KR200436263Y1 - 금형조립체 - Google Patents

금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263Y1
KR200436263Y1 KR2020060028198U KR20060028198U KR200436263Y1 KR 200436263 Y1 KR200436263 Y1 KR 200436263Y1 KR 2020060028198 U KR2020060028198 U KR 2020060028198U KR 20060028198 U KR20060028198 U KR 20060028198U KR 200436263 Y1 KR200436263 Y1 KR 200436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ld
side plate
movable side
mai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8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2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2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29C33/123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for centering the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성형기의 고정측에 설치되는 고정측판(20)과, 일면에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메인코어(26)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측판(20)에 설치되는 제1형판(22)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되는 가동측판(30)과, 상기 가동측판(30)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판(22)과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제1메인코어(26)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제1메인코어(26)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공간을 만드는 제2메인코어(40)가 구비되는 제2형판(36)과, 상기 가동측판(30)과 제2형판(36)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 이동공간(49)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블록(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동측판(30), 제2형판(36) 및 스페이서블록(32)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볼트(45)가 이들을 관통하는 체결공(30',32',34',36')의 입구에는 각각 안착홈(43)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안착홈(43)에는 맞춤링(42)이 동시에 안착되어 인접하는 부품 사이의 상대 위치를 설정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금형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들 사이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금형조립체를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져 조립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금형조립체, 위치조절, 링

Description

금형조립체{Mold assembl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3a에서 도 3c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맞춤링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고정측판 22: 제1형판
23: 체결공 23': 체결볼트
24: 제1캐비티 26: 제1메인코어
28: 주입구 29: 로케이팅링
30: 가동측판 30': 체결공
31: 관통부 32: 스페이서블록
32': 체결공 34: 받침판
34': 체결공 36: 제2형판
36': 체결공 40: 제2메인코어
42: 맞춤링 43: 안착홈
45: 체결볼트 46: 머리부
47: 몸체부 49: 이동공간
50: 이젝트핀 51: 이젝트플레이트
본 고안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를 메인코어로 형성하고 그 캐비티 내에 합성수지를 채워 제품을 만들는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구성이 개략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금형조립체의 일측에는 성형기의 고정측에 장착되는 고정측판(1)이 구비되고, 반대쪽에는 가동측에 장착되는 가동측판(2)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측판(1)의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주입구(3)가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3)는 제품의 재료인 합성수지가 공급되는 부분이다. 상기 주입구(3)를 둘러서는 고정측판(1)을 성형기(도시되지 않음)의 고정측에 장착하기 위한 안내역할을 하는 로케이팅링(5)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측판(1)의 일면에는 제1형판(7)이 구비된다. 상기 제1형판(7)의 일측에는 금형조립체에서 만들어지는 제품(M)의 외면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되거나 별도의 코어가 구비된다. 상기 제1형판(7)의 일면에 분리가능하게 상기 가동 측판(2)측에는 제2형판(9)이 구비된다. 상기 제2형판(9)에는 상기 제1형판(7)과 협력하여 하나의 제품(M) 형상을 만들기 위한 코어(9')가 구비된다. 상기 제2형판(9)에는 가이드핀(10)이 상기 제1형판(7)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핀(10)은 상기 제1형판(7)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어 금형조립체의 동작시 제1형판(7)과 제2형판(9)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형판(9)중 상기 제1형판(7)과 마주보는 반대면에는 받침판(11)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판(11)의 타면에는 스페이서블록(13)이 가동측판(2)의 일면에 안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블록(13)은 적어도 2개가 상기 받침판(11)과 가동측판(2)의 사이에 이동공간(14)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공간(14)에는 상기 가동측판(2)의 일면과 마주보게 구비되는 이젝트플레이트(15)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젝트플레이트(15)에는 이젝트핀(16)이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이젝트플레이트(15)가 2장이 겹쳐져 있고 그 중 하나를 이젝트핀(16)이 관통하고 나머지 하나에 이젝트핀(16)의 단부가 지지된다. 상기 이젝트핀(16)은 상기 이젝트플레이트(15)와 함께 동작되면서 만들어진 제품(M)을 코어(9')에서 분리하여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젝트핀(16)은 다수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은 제품(M)에 직접 선단이 접촉되거나 인서트코어(16')에 접촉된다. 이들 이젝트핀(16)은 상기 받침판(11), 제2형판(9) 및 코어(9')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는 가동측판(2)에 형성되어 상기 이젝트플레이트(15)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조가 관통 하는 통공부이다.
한편, 상기 가동측판(2), 스페이서(13), 받침판(11) 및 제2형판(9)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17)이 천공되고, 상기 체결공(17)에는 체결볼트(18)가 체결되어 상기 가동측판(2), 스페이서(13), 받침판(11) 및 제2형판(9)을 일체로 체결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조립체에서는 상기 주입구(3)를 통해 재료를 공급하고, 제1형판(7)과 제2형판(9)사이의 코어에서 제품(M)이 형성되면, 상기 제1형판(7)과 제2형판(9)을 분리하여 성형기의 이동측이 동작하여 가동측판(2)의 관통부(2')를 통해 상기 이젝트플레이트(15)를 구동시킨다. 상기 이젝트플레이트(15)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젝트핀(16)이 상기 인서트코어(16')나 제품(M)을 밀어 제품(M)이 제2형판(9)의 코어(9')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금형조립체를 구성하는, 가동측판(2), 스페이서블록(13), 받침판(11) 및 제2형판(9)은 상대적으로 중량물이고, 이들은 먼저 제2형판(9)을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받침판(11), 스페이서블록(13) 및 가동측판(2)의 순서로 적층하면서 상기 코어(9')와 이젝트핀(16) 등을 설치하고, 최종적으로 체결볼트(18)로 가동측판(2), 스페이서블록(13), 받침판(11) 및 제2형판(9)을 체결하여 일체로 되게 한다.
하지만, 상기 가동측판(2), 스페이서블록(13), 받침판(11) 및 제2형판(9) 들 은 상대적으로 중량물이어서 이들의 상대위치가 정확하게 되도록 적층하는 것은 어렵다. 이들 사이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지 않으면, 이들 부품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는 부품, 예를 들면 이젝트핀(16)과 체결볼트(18) 등을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된다. 특히, 제품(M)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이젝트핀(16) 역시 매우 직경이 작아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 이젝트핀(16)을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형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 사이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성형기의 고정측에 설치되는 고정측판과, 일면에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메인코어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측판에 설치되는 제1형판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되는 가동측판과, 상기 가동측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판과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제1메인코어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제1메인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공간을 만드는 제2메인코어가 구비되는 제2형판과, 상기 가동측판과 제2형판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동측판, 제2형판 및 스페이서블록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볼트가 이들을 관통하는 체결공의 입구에는 각각 안착홈이 형성되 고, 서로 인접하는 안착홈에는 맞춤링이 동시에 안착되어 인접하는 부품 사이의 상대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맞춤링은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면 양단 모서리에는 쳄퍼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은 상기 가동측판의 네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중 적어도 2곳이상에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블록과 제2형판의 사이에는 받침판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금형조립체에 의하면 금형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들 사이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금형조립체를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져 조립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개략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a에서 도 3c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맞춤링의 구성이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고정측판(20)은 성형기의 고정측에 설치된다. 고정측판(2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그 일면에 제1형판(22)이 설치된다. 상기 제1형판(22)과 상기 고정측판(20)은 각각에 천공된 체결공(23)을 관통 하여 체결볼트(23')가 체결됨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1형판(22)에는 제1캐비티(2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캐비티(24)는 상기 제1형판(22)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그 내면 바닥을 상기 고정측판(20)이 형성한다.
상기 제1캐비티(24)의 내부에는 제1메인코어(26)가 설치된다. 상기 제1메인코어(26)에는 제품의 외면 형상 일부와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된다. 물론, 하나의 제1메인코어(26)에 다수개의 제1코어캐비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이들 코어캐비티에 각각 동일한 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제품의 외면 형상 일부와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된 제1형상코어(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코어캐비티의 갯수가 한번에 만들어 낼 수 있는 제품의 갯수에 해당된다.
한편, 상기 고정측판(20)에는 주입구(28)가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28)는 상기 제1메인코어(26)와 제2메인코어(40)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 내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하는 부분이다. 도면부호 29는 로케이팅링이다.
가동측판(30)은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된다. 상기 가동측판(30)도 상기 고정측판(20)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판상이다. 상기 가동측판(30)에는 스페이서블록(32)에 의해 받침판(34)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34)상에는 상기 제1형판(22)과 마주보게 제2형판(36)이 설치된다. 상기 제1형판(22)과 제2형판(36)은 제품의 성형시에 서로 밀착되었다가, 성형된 제품의 취출시에는 분리된다. 이는 성형기의 가동측이 고정측에 대해 이동됨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제2형판(36)에는 제2캐비티(38)가 형성된다. 상기 제2캐비티(38)는 상기 제1캐비티(24)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캐비 티(38)에는 제2메인코어(40)가 설치된다. 상기 제2메인코어(40)는 상기 제1메인코어(26)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고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2메인코어(40)에는,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2코어캐비티(41)가 구비된다. 상기 제2코어캐비티(41)는 상기 제1코어캐비티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코어캐비티(41)에는 제2형상코어(41')가 설치된다. 상기 제2형상코어(41')는 위에서 설명했듯이, 상기 제1형상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주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형상코어(41')는 상기 제2코어캐비티(41)에 설치되는데, 다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동측판(30), 스페이서블록(32), 받침판(34) 및 제2형판(36)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30',32',34',36')이 형성된다. 이들 중 체결공(30',32',34')은 상기 가동측판(30), 스페이서블록(32), 받침판(34)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형판(36)에 형성된 체결공(36')은 제2형판(36)을 관통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각각의 체결공(30',32',34',36')의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안착홈(4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43)은 상기 체결공(30',32',34',36')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43)은 상기 가동측판(30)과 스페이스블록(32), 스페이스블록(32)과 받침판(34), 받침판(34)과 제2형판(36)의 서로 대응되는 체결공(30',32',34',36')의 입구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43)에는 각각 맞춤링(42)이 설치된다. 상기 맞춤링(42)은 도 3a에서 도 3c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대략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 된다. 상기 맞춤링(42)의 중앙을 관통하여 관통공(4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2')은 상기 체결공(30',32',34',36')의 내경과 같은 내경을 가진다. 상기 맞춤링(42)의 양단 외면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모따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따기부(42")는 상기 맞춤링(42)이 안착홈(43)에 보다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맞춤링(42)은 상기 안착홈(43)에 안착되어 상기 가동측판(30)과 스페이스블록(32), 스페이스블록(32)과 받침판(340, 받침판(34)과 제2형판(36) 사이의 상대 위치를 맞춰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공(30',32',34',36')에는 체결볼트(45)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볼트(45)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머리부(46)와 상기 머리부(46)와 일체이고, 상기 체결공(30',32',34',36')에 안착되는 몸체부(47)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47)는 상기 머리부(46)보다는 직경이 작고 선단 일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부는 적어도 상기 제2형판(36)의 체결공(36')에는 형성되어야 한다. 물론,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받침판(34)의 체결공(34')에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체결공(30',32',34',36')과 체결볼트(45)는 적어도 2곳에 구비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군데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체결공(30',32',34',36')의 형성위치는 상기 가동측판(30) 등의 네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이다.
한편, 상기 받침판(34)과 가동측판(30)의 사이에 상기 스페이서블록(32)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공간(49)에는 이젝트핀(50)과 이젝트플레이트(52)가 설치된다. 상기 이젝트플레이트(52)는 두장이 겹쳐져 구비되는 것으로, 그 중 하나를 상기 이젝트핀(50)이 직교하게 관통한다. 상기 이젝트핀(50)은 상기 받침판(34), 제2메인코어(4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성형된 제품을 제2메인코어(40)에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젝트플레이트(52)의 구동을 위한 구성을 위해 상기 가동측판(30)의 관통부(31)를 통해 동력을 이젝트플레이트(52)로 전달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가동측판(30)에 구비되는 부품들이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가동측판(30)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블록(32), 받침판(34), 제2형판(36)와 그 외에 제2메인코어(40)와 이젝트핀(50) 등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거꾸로 상기 제2형판(36), 받침판(34), 스페이서블록(32) 및 가동측판(30)을 적층한다.
즉, 상기 제2형판(36)을 가장 아랫쪽에 두고 그 위에 차례로 받침판(34), 스페이서블록(32) 및 가동측판(30)을 적층한다. 물론,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제2메인코어(40)와 이젝트핀(50) 등을 그때 그때 조립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제2형판(36), 받침판(34), 스페이서블록(32) 및 가동측판(30)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층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2형판(36)을 작업대 상에 뒤집어 놓는다. 즉 상기 체결공(36')과 안착홈(43)이 보이도록 한다. 상기 제2형판(36)의 안착홈(43)에 각각 맞춤링(42)을 설치한다. 상기 맞춤링(42)은 상기 제2형판(36)의 안착홈(43)에서 일정 높이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는 상기 받침판(34)의 안착홈(43)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형판(36) 상에 받침판(34)을 적층한다. 이때, 상기 받침판(34)의 체결공(34')의 입구에 형성된 안착홈(43)에 상기 제2형판(36)의 안착홈(43)에서 돌출되어 있는 맞춤링(42)의 부분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2형판(36)과 받침판(34) 사이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스페이서블록(32)도 같은 방법으로 받침판(34)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블록(32)은 상기 받침판(34)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적어도 두개가 구비되는데 이들 각각도 상기 맞춤링(42)에 의해 상기 받침판(34)과의 상대 위치가 설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젝트핀(50)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이젝트핀(50)은 상기 받침판(34)과 제2메인코어(40) 등을 관통하는데, 상기 받침판(34)과 제2형판(36) 사이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그 삽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블록(32) 상에는 상기 가동측판(30)이 적층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블록(32)의 안착홈(43)에 안착된 상기 맞춤링(42)이 동시에 상기 가동측판(30)의 안착홈(43)에도 안착되게 한다.
이처럼, 상기 제2형판(36), 받침판(34), 스페이서블록(32) 및 가동측판(30)을 적층한 후에는, 상기 체결볼트(45)로 이들을 체결한다. 즉, 상기 체결볼트(45)의 몸체부(47)를 상기 체결공(30',32',34',36')에 삽입하고, 몸체부(47)의 나사부가 체결공(36')의 나사부와 체결되도록 하면 상기 제2형판(36), 받침판(34), 스페 이서블록(32) 및 가동측판(30)이 서로 체결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은 가동측판(30)측 뿐만 아니라 고정측판(20) 측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금형조립체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받침판(34)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므로, 상기 받침판(34)없이 스페이서블록(32)에 제2형판(36)을 직접 안착시킬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금형조립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금형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중 상대적으로 중량물인 제2형판, 받침판, 스페이서블록, 가동측판 등의 상대 위치를 맞추기 위해 이들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안착홈에 맞춤링을 설치하여 인접한 부품사이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금형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사이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되어, 각각의 부품 들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부품의 설치작업이 상대적으로 쉽고 정확하게 될 수 있으며, 금형조립체를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져 조립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성형기의 고정측에 설치되는 고정측판과,
    일면에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메인코어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측판에 설치되는 제1형판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되는 가동측판과,
    상기 가동측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판과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제1메인코어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제1메인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공간을 만드는 제2메인코어가 구비되는 제2형판과,
    상기 가동측판과 제2형판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동측판, 제2형판 및 스페이서블록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볼트가 이들을 관통하는 체결공의 입구에는 각각 안착홈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안착홈에는 맞춤링이 동시에 안착되어 인접하는 부품 사이의 상대 위치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링은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면 양단 모서리에는 쳄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가동측판의 네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중 적어도 2곳이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블록과 제2형판의 사이에는 받침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KR2020060028198U 2006-10-20 2006-10-20 금형조립체 KR200436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198U KR200436263Y1 (ko) 2006-10-20 2006-10-20 금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198U KR200436263Y1 (ko) 2006-10-20 2006-10-20 금형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263Y1 true KR200436263Y1 (ko) 2007-07-12

Family

ID=4163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198U KR200436263Y1 (ko) 2006-10-20 2006-10-20 금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2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280B1 (ko) 2007-04-24 2008-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형상코어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280B1 (ko) 2007-04-24 2008-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형상코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7216B2 (en) Ejector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oving plate including the same
KR100844548B1 (ko) 주형 어셈블리
US20090246313A1 (en) Mold fixing structure
KR200436263Y1 (ko) 금형조립체
US7922472B2 (en) Mold for use in injection molding process
KR20080010222A (ko) 멀티 사출금형
KR100456785B1 (ko) 사출성형용 카세트 금형에 사용되는 분할코어 조립체
CN210651688U (zh) 一种一出多成型cd音响钮帽的模具
KR200432932Y1 (ko) 금형조립체의 재료공급구조
KR100874977B1 (ko) 금형조립체
KR100320608B1 (ko) 코어교체식 사출금형
JPH0220314A (ja) 射出成形用金型
JPS6212572Y2 (ko)
KR200442922Y1 (ko) 금형조립체의 코어 위치 설정구조
JP2000141418A (ja) カセット式金型装置
JP5265901B2 (ja) 金型
JPH0699462A (ja) 射出成形鋳型
JPS6351111A (ja) 成形金型
CN221736931U (zh) 一种高精度注塑模具
KR20090004318U (ko) 사출성형장치의 밀핀
CN213383093U (zh) 电子产品用组合式连接件组装模具结构
US20070111578A1 (en) Socket adapter mold
CN216828458U (zh) 一种新型十字槽螺丝模具
JP5461771B2 (ja) 成形金型の位置決め構造
JP3626471B2 (ja) 樹脂成形用金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