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548B1 - 주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주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548B1
KR100844548B1 KR1020067021500A KR20067021500A KR100844548B1 KR 100844548 B1 KR100844548 B1 KR 100844548B1 KR 1020067021500 A KR1020067021500 A KR 1020067021500A KR 20067021500 A KR20067021500 A KR 20067021500A KR 100844548 B1 KR100844548 B1 KR 100844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ating
dividing line
mold member
mat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9536A (ko
Inventor
조셉 버티기그
Original Assignee
디-엠-이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엠-이 컴퍼니 filed Critical 디-엠-이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60129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45/332Mountings or guides therefor; Driv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058Underc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성형을 위한 공동은 1차 주형 공동, 1차 주형 코어 부재(22, 24) 및 2차 코어 부재(16)에 의해 형성되며, 1차 주형 공동(50)과 1차 주형 코어 부재(22, 24)는 제 1 및 제 2 대응 주형 부재(12, 14)에 의해 지지 되며, 2차 코어 부재(16)는 대응 주형 부재(12, 14)의 이동 방향에 대해 가로질러서 이동 가능한 미끄럼 부재(18)에 의해 지지 되는 주형 어셈블리. 미끄럼 부재(18)는 제 1 대응 주형 부재(14)에 의해 지지 되며, 제 2 대응 주형 부재(12)의 분할선면과 경사진 각도로 제 2 대응 주형 부재(12)에 의해 지지 되는 구동핀(38)과 접촉하는 개구(36)를 갖는다. 구동핀(38)은 제 2 대응 주형 부재 분할선면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수단에 의해 제 2 대응 주형 부재(12)의 분할선면에서 지지 개구(48) 내에서 제거 가능하도록 보유된다.

Description

주형 어셈블리{MOLD ASSEMBLY}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사출 성형에 사용하는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주형 어셈블리 내부의 주형 코어(mold core)의 효과적인 이동을 위한 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계된 주형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주형 공동(mold cavity)을 형성하는 대응(mating) 주형 부재를 포함하며, 이러한 부재는 주형 부재를 결합하고 분리하기 위해 상호 간에 움직일 수 있고 성형기(molding machine) 부재에 의해 지지 된다. 적어도 하나의 대응 부재는 1차 주형 코어 부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대응 부재는 1차 주형 공동 부재를 포함하며, 이러한 주형 부재는 주형 어셈블리의 소위 분할선(parting line)에서 면을 맞댄다(소위 분할선면(parting line face)).
예를 들어, 1차 주형 코어를 횡단하는 오목부(recess)를 형성하기 위해, 주형 부재에 대해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2차 주형 코어를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성형 제품(mold article)이 알려져 있다. 미끄럼 부재 상의 그 러한 주형 코어는 주형 부재의 오목부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미끄럼 부재의 이동은 유리하게는 주형 어셈블리의 분할선에 경사지게 장착된 구동핀(actuating pin)과 맞물려서 대응 주형 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수동적으로 수행된다. 그러한 구동핀은 장착되는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끌어내는 앵글핀(angle pin)이라고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다. 대응 주형 부재가 분할선으로 접근하고 멀어지는 움직임은 표면에서 구동핀과 접촉하는 미끄럼 부재의 수평 이동(transverse movement)이라고 칭한다.
공지의 주형 어셈블리에서, 대응 주형 부재는 1차 코어 부재와 1차 공동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판을 포함한다. 공지의 성형 장치와 관련해서, 2차 코어를 위한 구동핀은 이를 보유하는 주형 부재 판을 통과하며, 주형 부재 분할선면과 대향한 주형 부재 판의 측면 상에서 부재에 의해 지지 된다. 그러한 공지의 배치와 관련해서, 구동핀을 위한 관통구(through hole)는, 예를 들어, 열전달 유체를 위해, 그러한 판 내부의 도관의 위치를 구속한다. 더구나, 그러한 공지의 주형 어셈블리에 있어서, 부재를 보유하는 구동핀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기계 부재로부터 주형 부재를 제거하거나 또는 주형 부재로부터 구동핀을 제거하도록 하기 위해 주형 부재의 분해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공지의 주형 어셈블리에서, 마모된 구동핀을 교체하는 것은 불편하게도 주형 부재의 제거 및 분해를 요구하므로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핀이 주형 부재를 관통하는 개구 내부에 보유되고 분할선면에 대향한 주형 부재면으로부터만 접근가능한 부재에 의해 지지 되는 공지의 주형 어셈블리의 단점을 극복한 주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2차 코어 미끄럼 수동 구동장치(passive actuator)가 주형 부재의 분할선면으로부터 접근가능한 수단에 의해 주형 부재 내부에서 보유되는 대응 주형 부재를 포함하는 주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과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과 관련해서,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대응 주형 부재, 2차 코어 부재를 지지하는 미끄럼 부재, 제 1 및 제 2 대응 주형 부재 상호 간의 상대적인 이동에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미끄럼 부재 내의 개구와 접하는 구동핀을 포함하는 주형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대응 주형 부재 중의 하나는 1차 코어 부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1차 공동 요소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대응 부재는 분할선면에서 만나고, 미끄럼 부재는 제 1 대응 주형 부재에 의해 지지 되고,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며, 개구를 갖고, 구동핀은 제 2 대응 주형 부재의 분할선면으로부터 접근가능한 수단에 의해 제 2 대응 주형 부재의 분할선면에 있는 지지 개구 내부에서 제거 가능하도록 보유되며, 제 2 대응 주형 부재 분할선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제 2 대응 주형 부재 내에서 지지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어셈블리의 대응 주형 부재의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면상의 대응 주형 부재는 결합 된 상태이다.
도 2는 도 1의 대응 주형 부재의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면상의 대응 주형 부재는 분리된 상태이다.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난 구동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이 실시예 및 도시되고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출원인의 의도가 아니다.
도 1에 있어서, 주형 어셈블리(10)는 제 1 및 제 2 대응 주형 부재(12, 14)와 이동가능한 미끄럼 부재(18)에 장착된 2차 주형 코어 부재(16)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대응 주형 부재(12, 14)는 분할선(20)을 따라서 면을 맞대고 있으며, 성형하고자 제품의 형상을 형성하는 1차 공동과 1차 코어 부재(22, 24)를 지지한다(1차 공동 및 1차 코어 부재의 일부분만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다). 분할선(20)에서 만나는 대응 주형 부재(12, 14)의 면은 본 설명과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는 분할선면(parting line face)이라고 칭한다. 도 1에서 나타나는 성형 되는 소재(50)는 1차 공동, 1차 코어 부재(22, 24) 및 2차 주형 코어 부재(16)에 의해 형성되는 주형 공동을 채운다. 결합 되는 주공 공동 및 1차 코어 부재(22, 24)와 함께, 미끄럼 부재(18) 및 2차 주형 코어 부재(16)는 힐 블록(heel block, 26)과 미끄럼 부 재(18)의 받침에 의해 제자리에서 지지 된다. 힐 블록(26)은 대응 주형 부재(12)에 고정된다. 대응 주형 부재(12)는 유리하게는 공동 베이스 판(28) 및 1차 공동 부재(22)가 고정되는 공동 유지판(retention plate, 30)을 포함한다. 대응 주형 부재(14)는 유리하게는 코어 베이스 판(32) 및 1차 코어 부재(24)가 고정되는 코어 유지판(34)를 포함한다. 특정한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대응 주형 부재(12)는 또한 형성된 구성요소를 정의하는 1차 공동을 포함하는 일체형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대응 주형 부재(14)는 미끄럼 부재(18) 및 형성된 구성요소를 정의하는 1차 코어를 위한 오목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차 주형 코어 부재는 지지 되는 미끄럼 부재와 구분되는 부재로서 설명되지만, 미끄럼 부재(18)는 형성된 구성요소를 정의하는 2차 코어가 있는 일체형 부재가 될 수도 있다.
도 2에 있어서, 성형 된 제품을 제거하기 위해 대응 주형 부재(12, 14)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1차 공동 및 1차 코어 주형 부재(22, 24)를 결합하고 분리하기 위한 상대적 움직임을 위해 대응 주형 부재(12, 14)는 기계 부재에 의해 지지 되며, 그러한 움직임은 분리선(20)에서 쌍두 화살표(double headed arrow)에 의해 지시되는 것과 같이 양 방향이다. 전형적인 사출성형기에서, 하나의 대응 주형 부재는 고정되어 있고 하나는 이동가능하나, 본 발명은 대응 주형 부재(12, 14)가 하나 또는 둘 다 실제로 움직이는지와는 관계없이 상호 간의 상대적 움직임에 대해서만 관여한다. 1차 공동 및 1차 코어 부재(22, 24)의 분리에 더하여, 성형 된 제품을 제거하기 위해 성형 소재(50)로부터 2차 주형 코어 부재(16)를 떼어내야 한다. 미끄럼 부재(18)의 이동은 미끄럼 부재(18)의 개구(36)와 구동핀(38)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동적으로 일어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36)와 구동핀(38)은 대응 주형 부재(12, 14)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에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개구(36)의 표면에 접하는 구동핀(38)에 있어서, 대응 주형 부재(12, 14)의 상대적 움직임은 대응 주형 부재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부재로 귀결된다. 따라서, 1차 공동과 1차 코어 부재(22, 24)를 결합하기 위한 대응 주형 부재(12, 14)의 상대적 움직임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부재(18)와 2차 코어 부재(16)를 1차 코어 부재(24)를 향해 이동시키고, 힐 블록(26)을 미끄럼 부재(18)와 접촉하도록 한다. 1차 공동과 1차 코어 부재(22, 24)를 분리하기 위한 대응 주형 부재(12, 14)의 상대적 움직임은,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힐 블록(26)을 떼어놓고, 미끄럼 부재(18)와 2차 코어 부재(16)가 1차 코어 부재(24)로부터 멀어지도록 한다. 1차 코어 부재(24)로부터 멀어지는 미끄럼 부재(18)의 이동은 미끄럼 부재(18)와 멈춤 블록(stop block, 27)의 접촉에 의해 멈춰진다.
본 발명에 관해서, 구동핀(38)은 대응 주형 부재(12)의 분할선면에 있는 지지 개구(support opening, 48) 내부에서 제거 가능하도록 보유되며, 지지 개구(48)는 대응 주형 부재(12) 내부에서 막힌다. 구동핀(38)은 주형 부재(12)의 분할선면으로부터 형성된 지지 개구(48)를 향해 삽입되고, 그로부터 제거된다. 구동핀(38)은 대응 주형 부재(12)의 분할선면에서 접근 가능한 수단에 의해 지지 개구(48) 내부에서 제거 가능하도록 보유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키(40)가 대응 주형 부재(12)의 분할선면으로 장착되며, 구동핀(38)을 지지 개구(48)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동핀(38)의 노치(44, 도 3)와 맞물린다. 키(40)는 스크류(46)와 같은 파스너(fastener)에 의해 대응 주형 부재(12)에 고정된다. 대응 주형 부재의 분할선면이 만날 때 키(40)와 미끄럼 부재(18)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릴리프(relief)가 대응 주형 부재(12)의 분할선면과 미끄럼 부재(18)의 대향면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40)는 대응 주형 부재(12)의 분할선면에 있는 오목부(42) 내부에서 수용된다.
도 3에 있어서, 구동핀(38)은 헤드리스(headless), 즉 지지면에 설치되는 어깨부(shoulder)를 형성하는 확대된 단(end) 직경을 갖지 않는다. 오히려, 구동핀(38)은 그 원주 상에 노치(44)를 갖고, 지지 개구(48)가 대응 주형 부재(12)의 분할선면에서만 개방되도록, 노치(44)는 구동핀(38)을 지지 개구 내부에 보유하기 위한 보유 수단에 의해 맞물린다. 유리하게는, 삽입이 쉽도록 지지 개구(48) 내부에 수용되는 단에서 구동핀(38)이 모따기(chamfered)된다. 또한, 유리하게는 미끄럼 부재(18) 내의 개구(36)와 접하는 단에서 구동핀(38)이 원뿔 형상이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개구(48)에서 보유될 때 핀(38)이 향하는 구동핀(38)의 장축과 분할선면과의 교선과 정렬되도록 노치(44)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달리, 노치(44)는 구동핀(38)의 장축과 수직이 되도록 정렬될 수 있고, 분할선에서 키(40)를 위한 릴리프는 분할선면에 대해 키(40)의 필연적인 경사를 수용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할선면에 대향하는 대응 주형 부재의 면으로부터만 접근 가능한 보유 부재에 의해 구동핀이 대응 주형 부재를 관통한 개구 내부에 보유되도록 하여 2차 주형 코어 부재의 수동 구동을 하는 공지 배치의 단점을 극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대응 주형 부재를 관통하는 개구에 대한 필요성을 극복하고,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열전달 유체를 위한, 도관의 대응 주형 부재 내부에서 위치를 구속하는 그러한 관통 개구의 단점을 극복한다. 또한, 대응 주형 부재 내에 존재하고 대응 주형 부재의 분할선면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구동핀의 보유를 위한 수단을 제작하여 구동핀을 교체하기 위해 주형 어셈블리를 제거 및 분해해야하는 필요성이 극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출원인의 의도가 아니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와 모든 등가물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6)

  1. 제 1 및 제 2 대응(mating) 주형 부재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대응 주형 부재 중의 하나는 1차 코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대응 주형 부재 중의 다른 하나는 1차 공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대응 부재는 분할선면(parting line face)에서 만나는, 상기 제 1 및 제 2 대응 주형 부재;
    2차 코어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제 1 대응 주형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며, 내부에 개구를 갖는 미끄럼 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대응 주형 부재 상호 간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상기 미끄럼 부재 내의 상기 개구와 결합하는 헤드리스 구동핀(headless actuating pin)으로서, 상기 제 2 대응 주형 부재의 상기 분할선면에 있는 지지 개구 내부에서 제거 가능하도록 보유되며 원주에 노치를 갖는, 상기 헤드리스 구동핀; 및
    상기 제 2 대응 주형 부재의 분할선면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대응 주형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상기 노치와 맞물리는 키(key)로서, 상기 구동 핀은 상기 제 2 대응 주형 부재의 분할선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상기 노치와 키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지지 개구 내에 보유됨으로써, 상기 키가 제거됨에 따라서 상기 구동핀은 상기 제 2 대응 주형 부재의 분할선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대응 주형 부재 내에 있는 상기 지지 개구로부터 제거가능한, 상기 키;를 포함하는 주형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주형 부재가 만남에 따라서,
    상기 키는 상기 제 2 대응 주형 부재의 상기 분할선면과 상기 미끄럼 부재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릴리프(relief) 내부에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구동핀이 상기 제 2 대응 주형 부재 내에 보유될 때 향하는 방향인 상기 구동핀의 장축과 상기 분할선면과의 교선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구동핀의 장축과 수직으로 정렬되고, 상기 릴리프는 상기 대응 주형 부재의 상기 분할선면을 향한 상기 키의 경사를 수용하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어셈블리.
KR1020067021500A 2004-03-17 2004-11-03 주형 어셈블리 KR100844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01,183 US7104774B2 (en) 2004-03-17 2004-03-17 Mold assembly
US10/801,183 2004-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536A KR20060129536A (ko) 2006-12-15
KR100844548B1 true KR100844548B1 (ko) 2008-07-08

Family

ID=3495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500A KR100844548B1 (ko) 2004-03-17 2004-11-03 주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04774B2 (ko)
EP (1) EP1812217A1 (ko)
KR (1) KR100844548B1 (ko)
CN (1) CN1950187A (ko)
AU (1) AU2004318032B2 (ko)
BR (1) BRPI0418659A (ko)
CA (1) CA2557370C (ko)
WO (1) WO2005095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4350B1 (fr) * 2004-08-18 2007-12-21 Faurecia Interieur Ind Snc Moule pour moulage par injection d'une piece en matiere plastique et procede de moulage
US20070281051A1 (en) * 2006-05-31 2007-12-06 Cerniglia Anthony J Angle pin roller guide
US7549856B2 (en) * 2007-05-10 2009-06-2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Side core-pulling mechanism of mold
CN101419321B (zh) * 2007-10-22 2011-06-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制作镜筒的牙板及用该牙板制作该镜筒的方法
US7481648B1 (en) * 2007-11-16 2009-01-2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Side mold working mechanism
US20090181119A1 (en) * 2008-01-15 2009-07-16 Chih-Yu Chen Lateral core-pulling mechanism of mold
CN101596571B (zh) * 2008-06-04 2011-11-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螺纹成型模板结构
KR101038485B1 (ko) * 2009-02-26 2011-06-01 제임스강 측면 홀 동시 가공이 가능한 비정질 합금용 슬라이드 다이캐스팅 장치
US20120076887A1 (en) * 2010-09-27 2012-03-2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uld having core-pulling mechanism
US8142185B1 (en) * 2010-09-30 2012-03-2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Injection mold forming a product having a barbed structure
US8197246B1 (en) * 2010-12-03 2012-06-1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lastic injection mold
US20120183640A1 (en) * 2011-01-14 2012-07-1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Injection mold
BRPI1100578B1 (pt) * 2011-01-31 2020-12-29 Juan Carlos Calabrese Muzzi molde e processo de obtenção de quadro de bicicleta em polímero reciclável e dito quadro de bicicleta
US8349240B2 (en) 2011-03-25 2013-01-08 Honda Motor Co., Ltd. Hidden parting line mold and hidden parting line molding technique using associated part removal device
PT2716428T (pt) * 2011-06-01 2016-11-04 Comercial De Utiles Y Moldes Sa Corrediça deslizante compacta para moldes de injeção
TWI527678B (zh) * 2013-06-28 2016-04-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射出成型模組及其射出成型方法
JP5887596B2 (ja) * 2014-01-29 2016-03-16 満行 根建 操作ノブの成形用金型
WO2020113346A1 (en) * 2018-12-06 2020-06-11 Marc Lecours Molding and slide apparatus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86A (ja) * 1992-06-29 1994-01-18 Mitsubishi Materials Corp 金型装置
JPH08281726A (ja) * 1995-04-11 1996-10-29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金型及び射出成形方法
US6093015A (en) 1999-01-11 2000-07-25 D-M-E Company Mold core positio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1645A (en) * 1973-01-05 1974-05-21 K Feist Slide retainer and positioner
US4383819A (en) * 1980-07-16 1983-05-17 Letica Corporation Apparatus for forming a container
US4768747A (en) * 1987-07-31 1988-09-06 Williams John B Slide clip
US5234329A (en) * 1992-10-02 1993-08-10 Vandenberg Leo A Angle pin assembly
US5536161A (en) * 1993-11-05 1996-07-16 North America Packaging Corporation Double lock pail mold
US5824256A (en) * 1996-12-05 1998-10-20 Fortiflex, Inc. Method of molding a thermoplastic container
DE69836420T2 (de) * 1997-03-10 2007-09-27 Progressive Components International Corp., Wauconda Formmechanismus mit seitlicher wirkung und verfahren
US6126429A (en) * 1998-06-02 2000-10-03 Burger Engineering, Inc. Combination slide retainer and position sensing switch for injection molds
US6443723B1 (en) * 1999-11-04 2002-09-03 D-M-E Company Slide retainer for an injection mol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86A (ja) * 1992-06-29 1994-01-18 Mitsubishi Materials Corp 金型装置
JPH08281726A (ja) * 1995-04-11 1996-10-29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金型及び射出成形方法
US6093015A (en) 1999-01-11 2000-07-25 D-M-E Company Mold core positio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318032B2 (en) 2008-01-31
US20050208172A1 (en) 2005-09-22
CA2557370C (en) 2009-10-20
CA2557370A1 (en) 2005-10-13
WO2005095084A1 (en) 2005-10-13
BRPI0418659A (pt) 2007-05-29
CN1950187A (zh) 2007-04-18
EP1812217A1 (en) 2007-08-01
AU2004318032A1 (en) 2005-10-13
US7104774B2 (en) 2006-09-12
KR20060129536A (ko) 200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548B1 (ko) 주형 어셈블리
US5560939A (en) Mold assembly comprising a sliding mold insert adapted for automated insertion and removal
US7300271B2 (en) Injection mold insert block alignment system
JP2009066858A (ja) 樹脂成形品、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用金型
JP2008119917A (ja) 射出成形用金型
WO2008026431A1 (fr) Appareil de fabrication d'un élément optique
CN206644260U (zh) 模具用活块的固定结构及具有该固定结构的透镜成型用模具
JP4758772B2 (ja) 成形用金型および成形方法
KR101889364B1 (ko) 유압식 캠 슬라이드 조립체를 가진 사출금형기
KR20100123511A (ko)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KR102275070B1 (ko) 인서트물 고정 구조가 구비된 사출 금형장치
CN109803816B (zh) 模制器具
JP2007190823A (ja) 成形用金型
JPH07314502A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
KR101816524B1 (ko) 다각도 언더컷 형상 제거용 금형
JPH0322810B2 (ko)
JP2003080570A (ja) 射出成形用金型
JP3288975B2 (ja) カセット式金型装置
MXPA06010568A (en) Mold assembly
JP2005205807A (ja) 射出成形用金型
JP2002127204A (ja) 射出成形用金型
JP3626471B2 (ja) 樹脂成形用金型構造
JP4590135B2 (ja) 成形用金型
JPH11192647A (ja) 射出成形金型におけるスライド機構
JP4804874B2 (ja) カセット式射出成形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