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260Y1 - 철도용 차량의 저부 받침대 - Google Patents

철도용 차량의 저부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260Y1
KR200436260Y1 KR2020070001245U KR20070001245U KR200436260Y1 KR 200436260 Y1 KR200436260 Y1 KR 200436260Y1 KR 2020070001245 U KR2020070001245 U KR 2020070001245U KR 20070001245 U KR20070001245 U KR 20070001245U KR 200436260 Y1 KR200436260 Y1 KR 200436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railroad
vehicle
ladder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곤
Original Assignee
이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곤 filed Critical 이재곤
Priority to KR2020070001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2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2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 E06C5/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by piston and cylinder, or equivalent means, operated by a pressure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용 차량의 저부을 받쳐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구성되는 접철식 사다리를 포함하여 철도차량의 보수시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철도용 차량에 오르내리도록 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 저부에 승강되는 캐스터를 구비함으로써 철도용 차량을 받치지 않을 때는 이동이 쉽고 철도 차량을 받치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착지 되어 안정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받침대, 철도차량, 객차, 캐스터, 접철식 사다리

Description

철도용 차량의 저부 받침대{support device for trai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용 차량의 저부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접철식 사다리의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캐스터의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개스터의 작동을 보여주는 다른 상태도.
**도면의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 철도용 차량 100 : 몸체 프레임
110 : 바스켓 120 : 빔
200 : 접철식 사다리 210 : 발판
220 : 평행지주 230 : 가스 실린더
300 : 캐스터 400 : 에어호스 릴
500 : 충격흡수 자재
본 고안은 철도용 차량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철도용 차량을 지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기차나 지하철 등과 같은 다수의 객차로 구성된 철도용 차량의 유지 보수시에는 개별적으로 분리된 차량을 크레인 등으로 지면에서 들어올린 후, 해당 차량의 저부에 구성된 바퀴부를 탈거시키고, 이후 지면에 미리 놓인 2개 또는 4개의 받침대 위에 상기 크레인에 매달린 차량을 내려놓는다.
상기 바퀴부가 탈거된 차량은 받쳐진 다수의 받침대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수직으로 이격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차량의 저면부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보수작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철도용 차량의 내부(객차 내부)에도 작업자가 들어가 보수작업을 하여야 하는 일도 빈번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받침대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 만큼 올라가거나 내려오는데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철도용 차량을 받치고 있는 받침대는 철재 프레임으로 육면체 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추가로 일 측에 별도의 사다리를 설치하거나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별도의 사다리를 두지 않고 작업자가 철도용 차량 내부에서 외부로 나올 때 통상 지면으로 뛰어내리거나 하여 부상을 입거나 하였다.
한편, 상기 받침대는 작업 전후에 따라 그 설치 장소를 달리하기 때문에 하부에 이동을 위한 캐스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는 철도용 차량이 상부에 구성될 때, 상기의 캐스터에 의해 철도용 차량이 움직이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측에 구성되는 접철식 사다리를 포함하고 몸체 저부에 승강되는 캐스터를 구비함으로써, 철도차량의 보수시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철도용 차량에 오르내리도록 하고 철도용 차량을 받치지 않을 때는 이동이 쉽고 철도 차량을 받치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착지 되어 안정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철도용 차량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철도용 차량을 지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된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의 주연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빔으로 구성되는 스커트형(skirt-like)의 몸체 프레임과; 상기 몸체 프레임의 일측에 구성되는 접철식 사다리와; 상기 몸체 프레임의 저부에 다수로 구성되고 상하로 승강이 가능한 캐스터들로 이루어져, 철도용 차량을 받치는 경우 그 자중에 의해 상기 몸체 프레임 하부 말단이 지면에 착지하도록 하여 임의로 이동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차 량용 저부 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철식 사다리는 상기 몸체 프레임의 일측면과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발판과; 상기 발판들의 양 측면 각각에 흰지 결합하는 한 쌍의 평행지주와; 양단 각각은 상기 몸체 프레임과 상기 발판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저면에 각각 결합하여, 사다리를 접고 펼치는 회동을 단속하는 가스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는 상기 몸체 프레임 내부에 에어호스 릴 또는 전선 릴이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는 상기 바스켓의 내부 수용부에 충격흡수 자재가 더욱 포함하도록 하여, 철도 차량 저부의 손상방지 및 미끄러짐 방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대한 구성요소 간의 관계 등에 따른 설명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용 차량의 저부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접철식 사다리의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캐스터의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는 크게, 몸체 프레임(100)과, 접철식 사다리(200)와, 캐스터(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 프레임(100)은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의 주요 골격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써, 상부의 구성되는 바스켓(110)과, 상기 바스켓(110)의 둘레 가장자리를 타라 하방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빔(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스켓(110)은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부에 보수하고자 하는 철도용 차량(10)의 저부와 맞닿는 곳으로서, 특히, 내부 수용부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스켓(110)에 구성되는 내부 수용부에는 상기 철도용 차량(10) 저부의 손상방지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로 충격흡수 자재(500)를 끼워두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 자재(500)는 받치는 철도용 차량의 무게를 감안하여 너무 무르지 않고 금속재질과 닿아 서로 손상이 가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면 충분하며, 딱딱한 고무나 목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 자재(500)는 더욱 안전한 받침상태를 위해 상기 바스켓(110))의 내부 수용부 내에 하단부 일부가 끼워지도록 그 크기와 형상을 선택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빔(120)은 바스켓(110)의 주연부로부터 아래로 이어지되, 상기 다수의 빔(120)의 하단부는 상단부보다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 프레임의 외형은 원주형 또는 프라미드형과 같은 스커트형(skirt-like)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수직으로 받는 받침대이기 때문에, 상부에 구성된 바스켓(110)의 수평 면적에서 받은 하중을 하부에서 넓은 면으로 분산시켜 안정감을 향상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에서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빔(120)은 ┓자 빔을 사용하여 더욱 견고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빔(120)의 중간 측에는 추가로 수평 빔(도번 미표시)을 더욱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빔(120)은 ┓자형 뿐아니라 H빔이나 원형 빔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철도 차량의 보수작업시, 작업자가 빈번하게 사용하는 공구에 압축공기를 제공하거나 전기동력을 제공하는 에어 호스와 전선을 효율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에어호스 릴(400) 또는 전선 릴을 상기 몸체 프레임 내부에 더욱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수평 빔에 상기의 에어호스 릴(400) 또는 전선 릴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철식 사다리(200)는 상기 몸체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철도 차량(10)의 출입문에 대응되어 작업자의 차량 내부로의 안전한 출입을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접철식 사다리(200)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4 각각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몸체 프레임(100)의 일 측면과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발판(210)과, 상기 발판(210)들의 양 측면 각각에 흰지 결합하는 한 쌍의 평행지주(220)와, 양단 각각은 상기 몸체 프레임(100)과 상기 발판(210)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저면에 각각 결합하는 가스 실린더(23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접철식 사다리(200)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철도 차령의 보수작업 전과 후 또는 보관에 따른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의 이동시, 보다 효율적으로 사다리를 접고 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접철식 사다리(200)에 구성되는 발판(210)들에는 작업자가 발판을 디디는 과정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와 홀 등을 더욱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다리의 발판(210)들이 접은 상태 또는 펴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스 실린더(230)를 더욱 구성하여 사다리(200)의 접철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뿐만 아니라, 접거나 펼치는 발판(210)들의 회동시의 속도를 제한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몸체 프레임(100)의 저부에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300)들이 구성되되, 상기 각 캐스터(300)들은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철도용 차량(10)을 받치는 경우 그 자중에 의해 상기 몸체 프레임(100) 하부 말단이 지면에 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에서는 상기 캐스터(300)의 승강 동작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철도용 차 량(10)의 자중에 의해 몸체 프레임(100) 하부 말단이 지면에 착지하도록 하여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가 예상치 못한 이동을 방지하고 안정된 받침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6은 도 5에서 보이는 캐스터(300)의 승강 상태를 더욱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로써, 상기 캐스터(300)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수단(330)을 사이에 둔 상판(321) 및 하판(322)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판(322)의 저면에는 힌지부를 가지도록 결합되는 바퀴(310)가 구성되고 상기 상판(321)은 상기 몸체 프레임(100)의 저부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에 한정하여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저부 받침대는 철도용 차량의 보수시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접철식 사다리를 부가하여 상기 사다리를 통해 철도용 차량에 오르내리도록 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 저부에 승강되는 캐스터를 구비함으로써 철도용 차량을 받치지 않을 때는 이동이 쉽고, 철도 차량을 받치고 있는 경우에는 착지 되도록 하여 안정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철도용 차량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철도용 차량을 지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된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의 주연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빔으로 구성되는 스커트형(skirt-like)의 몸체 프레임과;
    상기 몸체 프레임의 일측에 구성되는 접철식 사다리와;
    상기 몸체 프레임의 저부에 다수로 구성되고 상하로 승강이 가능한 캐스터들로 이루어져, 철도용 차량을 받치는 경우 그 자중에 의해 상기 몸체 프레임 하부 말단이 지면에 착지하도록 하여 임의로 이동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사다리는,
    상기 몸체 프레임의 일측면과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발판과;
    상기 발판들의 양 측면 각각에 흰지 결합하는 한 쌍의 평행지주와;
    양단 각각은 상기 몸체 프레임과 상기 발판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저면에 각각 결합하여, 사다리를 접고 펼치는 회동을 단속하는 가스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는,
    상기 몸체 프레임 내부에 에어호스 릴 또는 전선 릴이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는,
    상기 바스켓의 내부 수용부에 충격흡수 자재가 더욱 포함하도록 하여, 철도 차량 저부의 손상방지 및 미끄러짐 방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차량용 저부 받침대.
KR2020070001245U 2007-01-24 2007-01-24 철도용 차량의 저부 받침대 KR200436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245U KR200436260Y1 (ko) 2007-01-24 2007-01-24 철도용 차량의 저부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245U KR200436260Y1 (ko) 2007-01-24 2007-01-24 철도용 차량의 저부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260Y1 true KR200436260Y1 (ko) 2007-07-12

Family

ID=4163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245U KR200436260Y1 (ko) 2007-01-24 2007-01-24 철도용 차량의 저부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2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949A (ko) * 2021-03-02 2022-09-13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크레인 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949A (ko) * 2021-03-02 2022-09-13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크레인 차량
KR102536517B1 (ko) * 2021-03-02 2023-05-26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크레인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9094B2 (ja) 移動足場
CN202528174U (zh) 一种轨道车辆可移动车顶装配平台
US7000733B2 (en) Work platform
CN106481061A (zh) 爬架
CN115465822A (zh) 一种隧道维护作业车组及其作业方法
JP2007131332A (ja) タンクコンテナ
CN111071295A (zh) 一种跨座式单轨列车的转向架检修作业平台
KR200436260Y1 (ko) 철도용 차량의 저부 받침대
KR101028631B1 (ko) 이동식 교량점검장치
KR101473245B1 (ko) 레일용 절연 사다리차
CN211421978U (zh) 一种车顶检修平台
GB2409851A (en) Work Platform
CN210530712U (zh) 一种空调安装用安全梯
CN218988728U (zh) 一种隧道维护作业车组
CN110937555A (zh) 轨道检修车
CN211770016U (zh) 可移动式悬挂空铁检修平台及悬挂式空铁检修库
WO20181731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201620315U (zh) 铁路施工机械用护轨器及换轨作业车护轨器
KR100749393B1 (ko) 튜브 내부용 원형 곤도라 장치
CN106337652A (zh) 一种电力维修梯
JP3968362B2 (ja) トンネル補修作業車
JP3214624U (ja) 車載式の道路点検作業機
CN215402651U (zh) 一种抓梁在非作业状态下支撑用防倾倒工装
CN220720922U (zh) 一种罐顶防护装置
CN214822943U (zh) 一种登车平台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