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684Y1 - 전기압력밥솥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684Y1
KR200434684Y1 KR2020060025941U KR20060025941U KR200434684Y1 KR 200434684 Y1 KR200434684 Y1 KR 200434684Y1 KR 2020060025941 U KR2020060025941 U KR 2020060025941U KR 20060025941 U KR20060025941 U KR 20060025941U KR 200434684 Y1 KR200434684 Y1 KR 200434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electric pressure
main body
ric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식
김원주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5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6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6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밥물의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게 한 전기압력밥솥가 가능하게 한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밥솥이 내장되어 취사가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동부재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뚜껑; 상기 뚜껑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증기조절캡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밥물이 낙하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의 단부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배수관; 상기 배수관과 상호 내통되도록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는 배수유로; 그리고, 상기 배수관과 배수유로를 통해 배수되는 밥물이 수용되며, 본체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물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밥솥, 밥물, 배수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에서의 밥물의 흐름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본체 표면에 고인 밥물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폐쇄 시 밥물 흐름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개방 시 밥물 흐름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뚜껑 11 : 상부뚜껑
12 : 하부뚜껑 13 : 집수부
15 : 배출부 17 : 유로부
19 : 배수부 20, 200 : 본체
21 : 본체상부 30, 300 : 증기조절캡
31, 310 : 증기배출장치 32, 320 : 압력추
40, 400 : 물받이 80, 800 : 내솥
110 : 배수관 111 : 단부
130 : 안내부 210 : 배수유로
211 : 입구 220 : 경사면
230 : 회동부재 500 : 밥물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생적으로 밥물의 배수가 가능한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쌀 등의 음식물을 내솥에 수용하고, 상기 내솥 내부를 가열하여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상기 전기압력밥솥을 이용한 취사시 상기 내솥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의 증기는 취사가 완료되면서 증기배출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상기 내솥의 내부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솥에 형성된 증기가 응결되면서 전기압력밥솥 뚜껑의 내측과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데, 상기 물방울은 합쳐지고 이동되어 전기압력밥솥의 본체에 구비되는 물받이에 모이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압력밥솥은 본체(20) 및 상기 본체(20)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동됨에 따라서 상기 본체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10)을 포함 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10)의 상부에는 증기조절캡(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후방에는 상기 증기조절캡(30)을 통한 증기 배출시 발생되는 밥물 등이 집수되는 물받이(40)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2는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에서의 밥물의 흐름을 나타낸 일부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본체 표면에 고인 밥물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의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20)의 내측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그 상면이 개방된 용기의 형상으로 형성된 내솥(80)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20)의 상부는 뚜껑(1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뚜껑(10)에는 밥의 취사시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함으로써 내솥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추(32)와, 취사 완료시 또는 보온시 자동제어에 의하여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장치(3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압력추(32)와 증기배출장치(31)의 상부에는 증기조절캡(30)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추(32) 또는 증기배출장치(31)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 중 일부는 상기 증기조절캡(30)의 하부면에 부딪히면서 물방울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물방울은 상부뚜껑(11)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부(13)에 낙하하게 된다.
상기 집수부(13)의 바닥면은 소정의 기울기로 형성되고, 가장 저부에는 배출부(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부(13)에 낙하한 물방울은 합쳐져서 밥물을 형성하고, 상기 밥물은 상기 집수부(13)의 저부로 흐르고 상기 배출부(15)를 통하 여 상기 뚜껑(10)의 내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5)를 통하여 배출된 밥물은 하부뚜껑(12)의 일측에 형성된 유로부(17)를 통하여 이동되고, 배수부(19)를 통하여 상기 뚜껑(10)의 외측으로 배수된다.
한편, 상기 밥물은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상부(21)로 낙하되고, 상기 본체상부(21)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홀(23)을 통하여 상기 본체(2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내측에 형성된 유로(미도시)를 따라 이동한 밥물은 상기 본체(20)의 외측에 구비되는 물받이(4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일반적으로 밥물은 점성이 강하여 뚜껑의 외측으로 완전 배출되지 못하고 유로면에 남아 굳게 된다. 특히, 유로가 협소한 부분에는 밥물이 반복적으로 퇴적되어 유로의 면적이 작아져서 밥물의 배출이 방해되고, 장시간 반복시 유로가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뚜껑으로부터 배출되어 본체상부로 낙하된 밥물은 상기 본체상부에 형성된 배수홀로 유입된다. 그러나, 상기 본체상부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밥물의 일부는 항상 고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지 않으면 밥물이 부패되어서 위생적으로도 불량하고, 본체표면도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퇴적된 밥물이 부패되면서 심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밥물의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게 한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밥솥이 내장되어 취사가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동부재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뚜껑; 상기 뚜껑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증기조절캡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밥물이 낙하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의 단부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배수관; 상기 배수관과 상호 내통되도록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는 배수유로; 그리고, 상기 배수관과 배수유로를 통해 배수되는 밥물이 수용되며, 본체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물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안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더욱이 상기 배수관의 단부는 상기 뚜껑의 밀폐시 상기 배수유로 내측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고, 상기 뚜껑의 개방시 상기 배수유로의 입구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수관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 은 본체(200), 뚜껑(100), 배수관(110), 그리고 물받이(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200)는 내측에 쌀 등의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솥(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200)와 연결되어 회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200)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100)이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뚜껑(100)에는 밥의 취사시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함으로써 내솥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추(320)와 취사 완료시 또는 보온시 자동제어에 의하여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압력추(320)와 증기배출장치(미도시)의 상부에는 증기조절캡(300)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추(320) 또는 증기배출장치(미도시)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 중 일부는 상기 증기조절캡(300)의 하부면에 부딪히면서 물방울을 형성하며, 이러한 물방울은 상기 뚜껑(100) 일측에 형성된 안내부(130)에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부(130)의 바닥면은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130)에 낙하한 물방울은 합쳐저서 밥물을 형성하고, 상기 밥물은 상기 안내부(130)의 저부로 흐른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130)를 타고 흐르는 밥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부(130)의 일측에 배수관(110)이 구비되며, 더욱이 상기 배수관(110)은 상기 안내부(13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내부(130)와 배수관(110)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관(110)을 통하여 밥물이 배출되어 상기 본체(200)의 뒷면에 구비된 물받이(400)에 집수되며, 상기 물받이(400)는 상기 본체(200)의 뒷면에 구비되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폐쇄 및 개방 시 밥물 흐름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본체(200), 뚜껑(100), 배수관(110), 배수유로(210), 그리고 물받이(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200)는 내측에 쌀 등의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솥(800)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200)와 연결되어 회동부재(2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200)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100)이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뚜껑(100)에는 밥의 취사시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함으로써 내솥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추(320)와 취사 완료시 또는 보온시 자동제어에 의하여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장치(31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압력추(320)와 증기배출장치(310)의 상부에는 증기조절캡(300)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추(320) 또는 증기배출장치(310)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 중 일부는 상기 증기조절캡(300)의 하부면에 부딪히면서 물방울을 형성하며, 이러한 물방울은 상기 뚜껑(100) 일측에 형성된 안내부(130)에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부(130)의 바닥면은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면을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130)에 낙하한 물방울은 합쳐저서 밥물(500)을 형성하고, 상기 밥물(500)은 상기 안내부(130)의 저부로 흐른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130)를 타고 흐르는 밥물(500)이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부(130)의 일측에 배수관(110)이 구비되며, 더욱이 상기 배수관(110)은 상기 안내부(13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내부(130)와 배수관(110)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유로(210)는 상기 배수관(110)을 통하여 배출되는 밥물(500)이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00)의 내측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110)은 상기 안내부(130)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안내부(130)를 타고 흐르는 밥물(500)이 상기 본체(200) 내측에 구비된 배수유로(210)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유로(210)와 상호 내통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수관(110)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200)의 상부에 회동부재(23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뚜껑(100)이 닫힌 경우, 배수관(110)은 상기 본체(200) 내측에 상기 배수관(110)과 상호 내통되어 구비되는 배수유로(210)에 삽입되며, 더욱이 상기 배수관(110)의 단부(111)가 상기 배수유로(210)의 입구(211)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된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200)의 상부에 회동부재(23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기 뚜껑(100)이 열린 경우, 상기 뚜껑(100)이 열림으로써 배수관(110)의 단부(111)가 상기 회동부재(230)를 중심으로 소정의 궤적을 그리며 배수유로(210)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상기 배수관(110)의 단부(111)가 상기 배수유로(210)의 입구(211)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100)이 열린 경우에도 상기 배수관(110)으로 유입되는 밥물(500)이 상기 배수유로(210) 입구(211)로 낙하하여 상기 배수유로(210)를 통하여 배수되는 것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유로(210)는 상기 배출되는 밥물(500)이 상기 본체(200) 뒷면에 구비된 물받이(400)에 집수될 수 있도록 내측 하부에 경사면(22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130)를 타고 흐르는 밥물(500)이 상기 배수관(110)과 배수유로(210)를 통하여 배수된 후, 상기 배수유로(210)의 경사면(220)을 따라 상기 물받이(400)에 집수된다.
또한, 상기 물받이(400)는 상기 본체(200)의 뒷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집수된 밥물(500)이 많이 누적되면 상기 물받이(400)를 상기 본체(200)에서 분리하여 상기 밥물(500)을 비울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수관을 구비함으로써 밥물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고, 배수유로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배수유로에 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본체상부 등에 밥물 고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배수관이 사출성형에 의해 안내부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밥솥이 내장되어 취사가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동부재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뚜껑;
    상기 뚜껑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증기조절캡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밥물이 낙하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의 단부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배수관;
    상기 배수관과 상호 내통되도록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는 배수유로; 그리고,
    상기 배수관과 배수유로를 통해 배수되는 밥물이 수용되며, 본체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물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압력밥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안내부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단부는 상기 뚜껑의 밀폐시 상기 배수유로 내측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고, 상기 뚜껑의 개방시 상기 배수유로의 입구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KR2020060025941U 2006-09-26 2006-09-26 전기압력밥솥 KR200434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941U KR200434684Y1 (ko) 2006-09-26 2006-09-26 전기압력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941U KR200434684Y1 (ko) 2006-09-26 2006-09-26 전기압력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684Y1 true KR200434684Y1 (ko) 2006-12-26

Family

ID=4178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941U KR200434684Y1 (ko) 2006-09-26 2006-09-26 전기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6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934Y1 (ko) * 2010-01-20 2012-08-16 주식회사 리홈 전기압력밥솥의 전장부품 침수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934Y1 (ko) * 2010-01-20 2012-08-16 주식회사 리홈 전기압력밥솥의 전장부품 침수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1686B1 (en) Brew basket with overflow channel
US5964143A (en) Brewing appliance having a tower with a water reservoir and brewing basket and an adjacently positioned pitcher receptacle
KR200438974Y1 (ko) 전기압력밥솥
KR100793408B1 (ko) 전기압력밥솥
KR20120077557A (ko) 전기밥솥의 물받이 구조체
KR100747630B1 (ko) 전기압력밥솥
KR200434684Y1 (ko) 전기압력밥솥
KR200434676Y1 (ko) 전기압력밥솥
JP3363372B2 (ja) 炊飯器
US4211157A (en) Coffee maker
CN202496973U (zh) 电烹饪设备
KR200434680Y1 (ko) 전기압력밥솥
KR200434682Y1 (ko) 전기압력밥솥
CN110584498A (zh) 防滴水锅盖及烹饪器皿
KR200434683Y1 (ko) 전기압력밥솥
JP3641827B2 (ja) 炊飯器
JP3700607B2 (ja) 電気炊飯器
KR20180068631A (ko) 압력밥솥
CN110495788A (zh) 锅盖组件及烹饪器具
JP3363371B2 (ja) 炊飯器
JP3586633B2 (ja) 炊飯器
CN212382481U (zh) 蒸箱系统以及集成灶
KR200362260Y1 (ko) 양면후라이팬
KR100221649B1 (ko) 취사기구의 수분수집장치
JP2009112628A (ja) 飲料抽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