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974Y1 - 전기압력밥솥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974Y1
KR200438974Y1 KR2020060029892U KR20060029892U KR200438974Y1 KR 200438974 Y1 KR200438974 Y1 KR 200438974Y1 KR 2020060029892 U KR2020060029892 U KR 2020060029892U KR 20060029892 U KR20060029892 U KR 20060029892U KR 200438974 Y1 KR200438974 Y1 KR 200438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flow path
lid
electric pressure
pressur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룡
배수호
장준호
박범식
박도현
김원주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9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9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9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58Cooking utensils with channels or covers collecting overflow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적으로 밥물의 배수가 가능한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내솥이 구비되고 몸체를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부로부터 배출된 밥물이 유입되어 흐르도록 형성된 유도유로부와, 상기 뚜껑의 외측으로 밥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유도유로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뚜껑의 내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도유로장치; 상기 유도유로장치로부터 배출된 밥물이 유입되도록 상부에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유입된 밥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탈부착되는 수로연결장치; 그리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로연결장치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로연결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밥물을 저장하는 물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한다.
전기압력밥솥, 밥물, 물받이, 토션 스프링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에서의 밥물의 흐름을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본체 표면에 고인 밥물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유도유로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도유로장치와 토션 스프링의 결합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밥물의 흐름을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수로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유도유로장치의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밥물의 흐름을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 뚜껑 115: 배출부
20,120: 본체 140: 물받이
150: 수로연결장치 151: 유입부
160: 토션 스프링 170: 유도유로장치
171: 유도유로부 172: 삽입돌기
173: 안내부 174: 저수부
175: 고정돌기 182: 삽입홀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생적으로 밥물의 배수가 가능한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쌀 등의 음식물을 내솥에 수용하고, 상기 내솥 내부를 가열하여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상기 전기압력밥솥을 이용한 취사시 상기 내솥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의 증기는 취사가 완료되면서 증기배출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상기 내솥의 내부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솥에 형성된 증기가 응결되면서 전기압력밥솥 뚜껑의 내측과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데, 상기 물방울은 합쳐지고 이동되어 전기압력밥솥의 본체에 구비되는 물받이에 모이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압력밥솥은 본체(20) 및 상기 본체(20)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동됨에 따라서 상기 본체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10)의 상부에는 증기조절캡(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후방에는 상기 증기조절캡(30)을 통한 증기 배출시 발생되는 밥물 등이 집수되는 물받이(4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2는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에서의 밥물의 흐름을 나타낸 일부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본체 표면에 고인 밥물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의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20)의 내측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그 상면이 개방된 용기의 형상으로 형성된 내솥(80)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20)의 상부는 뚜껑(1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뚜껑(10)에는 밥의 취사시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내솥(8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추(32)와, 취사 완료시 또는 보온시 자동제어에 의하여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장치(3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압력추(32)와 증기배출장치(31)의 상부에는 증기조절캡(30)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추(32) 또는 증기배출장치(31)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 중 일부는 상기 증기조절캡(30)의 하부면에 부딪히면서 물방울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물방울은 상부뚜껑(11)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부(13)에 낙하하게 된다.
상기 집수부(13)의 바닥면은 소정의 기울기로 형성되고, 가장 저부에는 배출 부(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부(13)에 낙하한 물방울은 합쳐져서 밥물을 형성하고, 상기 밥물은 상기 집수부(13)의 저부로 흐르고 상기 배출부(15)를 통하여 상기 뚜껑(10)의 내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5)를 통하여 배출된 밥물은 하부뚜껑(12)의 일측에 형성된 유로부(17)를 통하여 이동되고, 배수부(19)를 통하여 상기 뚜껑(10)의 외측으로 배수된다.
한편, 상기 밥물은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상부(21)로 낙하되고, 상기 본체상부(21)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홀(23)을 통하여 상기 본체(2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내측에 형성된 유로(미도시)를 따라 이동한 밥물은 상기 본체(20)의 외측에 구비되는 물받이(4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일반적으로 밥물은 점성이 강하여 뚜껑의 외측으로 완전 배출되지 못하고 유로면에 남아 굳게 된다. 특히, 뚜껑으로부터 배출되어 본체상부로 낙하된 밥물의 일부는 상기 본체상부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항상 고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지 않으면 밥물이 부패되어서 위생적으로도 불량하고, 본체표면도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퇴적된 밥물이 부패되면서 심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사용자가 밥물을 청소하고자 하여도 밥물의 유로가 뚜껑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위생적으로 밥물의 배수가 가능한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내솥이 구비되고 몸체를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부로부터 배출된 밥물이 유입되어 흐르도록 형성된 유도유로부와, 상기 뚜껑의 외측으로 밥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유도유로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뚜껑의 내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도유로장치; 상기 유도유로장치로부터 배출된 밥물이 유입되도록 상부에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유입된 밥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탈부착되는 수로연결장치; 그리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로연결장치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로연결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밥물을 저장하는 물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도유로부의 양측에는 상기 뚜껑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뚜껑의 개폐시 상기 유도유로장치가 회전되어 밥물이 상기 유입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상기 삽입돌기에는 상기 뚜껑의 개폐시 상기 안내부가 상기 유입부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도유로부의 양측에는 고정돌기가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각 고정돌기에는 상기 뚜껑의 개폐시 상기 안내부가 상기 유입부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이 선택적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도유로부의 바닥 유로면의 일측에는 밥물이 저수되는 홈 형상의 저수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상기 뚜껑의 개폐시 상기 안내부의 단부가 상기 유입부의 상부영역에 위치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로부터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라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로연결장치는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밥물이 이동하도록 상기 유입부의 일단부에 연통되어 형성된 내부수로와, 상기 내부수로로 이동한 밥물을 외측으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부, 상기 내부수로 및 상기 배수부는 상기 수로연결장치에 각각 선택적으로 탈부착 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압력밥솥은 본체(120), 뚜껑(110), 수로연결장치(150) 그리고 물받이(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몸 체를 형성하는 상기 본체(120)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120)를 개폐하도록 상기 뚜껑(110)이 결합되고, 상기 뚜껑(110)의 상부에는 증기조절캡(1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취사 과정에서 상기 증기조절캡(130)의 하부면에 부딪히면서 형성된 물방울이 낙하하고 합쳐져서 형성되는 밥물은 집수부(113)에 형성된 배출부(115)를 통해 유입부(151)로 유입되고, 상기 본체(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수로연결장치(150)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물받이(140)에 집수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유도유로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도유로장치와 토션 스프링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5a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뚜껑(110)의 내측에는 상기 뚜껑(110)의 내부로 유입된 밥물을 상기 뚜껑(110)의 외측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유도유로장치(17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유로장치(170)는 밥물이 유입되고 흐르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유출됨을 방지하고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터널형상으로 형성되는 유도유로부(171)와, 상기 유도유로부(171) 일단부에 형성되는 안내부(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도유로부(171)의 타단부 양측에는 돌출된 형상의 삽입돌기(17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110)의 하측을 형성하는 하부뚜껑(112)의 상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프레임(183)이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프레임(183)의 일측을 관통하 여 삽입홀(18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삽입홀(182)은 상기 삽입돌기(17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삽입돌기(172)가 상기삽입홀(182)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유도유로장치(170)는 상기 하부뚜껑(112)의 상측, 즉, 상기 뚜껑(1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182)은 상기 삽입돌기(172)의 외측지름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유도유로장치(170)는 상기 삽입돌기(17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183)은 상기 삽입돌기(172)가 상기 삽입홀(182)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각각 외측으로 휠 수 있는 재질과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유도유로장치(170)는 쉽게 탈착될 수 있다.
물론, 공간과 기능의 제약이 따르지 않는다면, 상기 하부뚜껑에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유도유로장치에 삽입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도유로장치가 상기 하부뚜껑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프레임이 상기 하부뚜껑에 일체가 아닌 별도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부뚜껑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기(172)의 일측에는 상기 유도유로장치(170)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발 지지하는 코일 형상의 토션 스프링(16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 형상의 고정돌기(17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토션 스프링(160)의 일단부는 상기 하부뚜껑(112)의 일측에 접하고, 타단부는 상기 유도유로장치(17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홈(176)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안내부(173)가 상기 수로연결장치(150)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션 스프링(160)은 상기 유도유로장치(170)를 탄발 지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삽입돌기(172)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토션 스프링(160)의 일단부는 상기 하부뚜껑(112)의 일측에 접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돌기(175) 또는 상기 고정홈(176)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안내부(173)가 상기 수로연결장치(150)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뚜껑(110)이 개폐되더라도 상기 안내부(173)는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유입부(151)의 상부영역에 지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안내부(173)를 통하여 배출되는 밥물은 상기 유입부(151)로 더욱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175) 및 고정홈(176)은 한 쌍을 이루면서 상기 유도유로장치(170)의 양측에 모두 형성되거나, 어느 일측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션 스프링(160)은 상기 유도유로장치(170)에 제공될 복원력의 강도조건 및 구조조건에 따라 양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175) 또는 삽입돌기(172)에 각각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고정돌기(175)와 삽입돌기(172)의 어느 일측에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175)는 상기 결합돌기(172)와 같이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176)도 상기 토션 스프링(160)의 타단부가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이면 모두 가능 하며, 어느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유도유로장치(170)는 상기 유도유로부(171)의 내측으로 밥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유도유로부(171)의 일측의 상부가 개방됨이 바람직하며, 유입된 밥물이 이동하기 위해 상기 유도유로부(171)가 소정의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도유로부(171)의 유로면은 밥물의 흐름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게 깔때기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밥물이 유입되는 상기 유도유로부(171)의 일측이 넓게 형성됨으로써 밥물이 외측으로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어 밥물의 유입을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173)로부터 상기 유도유로부(17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가 터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동하는 밥물이 상기 유도유로부(171)의 외측으로 넘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밥물의 흐름을 나타낸 일부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수로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120)의 내측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그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의 내솥(80)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120)의 상부에는 뚜껑(11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뚜껑(110)의 후측과 상기 본체(120)의 상측 후단부는 결합축(122)에 의해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뚜껑(110)은 상기 결합축(122)을 중심으 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120)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뚜껑(110)에는 취사시 발생되는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내솥(8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추(132)와, 취사 완료 또는 보온시 자동제어에 의하여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장치(13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추(132)와 상기 증기배출장치(131)의 상부에는 증기조절캡(130)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추(132) 또는 상기 증기배출장치(131)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 중 일부는 상기 증기조절캡(130)의 하부면에 부딪히면서 물방울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11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뚜껑(111)의 일측에는 상기 증기조절캡(130)의 하부면에 생성되어 낙하하는 물방울이 집수되도록 홀 형상의 집수부(1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집수부(113)는 소정의 기울기로 바닥의 유로면을 형성하는 집수로(114)와 상기 집수로(114)의 최저부에서 상기 상부뚜껑(111)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11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배출부(1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수부(113)로 낙하하여 합쳐져서 형성된 밥물은 상기 집수로(114)를 따라 흐르게 되고, 상기 배출부(115)를 통하여 상기 뚜껑(11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집수로(114)와 상기 배출부(115)는 밥물이 흐르는 동안 고임 또는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직선 또는 유선형의 유로면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집수부(113)의 밥물의 퇴적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15)를 통하여 배출된 밥물은 상기 유도유로장치(170)의 일측으 로 낙하되어 유입되고 상기 유도유로부(171)를 따라 아래로 이동되다가 상기 안내부(173)를 통하여 배수된다.
한편, 상기 뚜껑(110)의 후방 하측으로 상기 본체(120)의 일측에는 상기 안내부(173)로부터 배수되는 밥물이 유입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수로연결장치(1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로연결장치(150)는 상기 안내부(173)로부터 배출되는 밥물이 유입되는 유입부(151), 상기 유입부(151)로 유입된 밥물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유입부(151)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하측으로 유로가 형성되는 내부수로(152) 그리고 상기 내부수로(15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수로(152)를 통하여 이동한 밥물을 상기 수로연결장치(15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수부(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하는 밥물이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수로(152)는 상기 수로연결장치(150)를 관통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151)는 상기 내부수로(152)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라운드진 형상의 라운드부(157)와 상기 라운드부(157)의 일측으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173)로부터 배출되는 밥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부(151)의 상부는 개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173)의 단부는 상기 연장부(156)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안내부(173)로 배출된 밥물은 상기 연장부(156)에 안착되어 상기 내부수로(152)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173)의 단부는 상기 수로연결장치(15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장부(156)의 일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내부(173)로 배출된 밥물은 상기 연장부(156)에 안착되어 상기 내부수로(152)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173)의 단부는 상기 유입부(151)의 폭보다 같거나 작은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상기 안내부(173)를 통하여 배출되는 밥물은 외측으로 유출됨이 없이 상기 유입부(151)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110)이 열리도록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유도유로장치(170)는 상기 삽입돌기(172, 도 6 참조)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부(173)의 단부는 상기 연장부(156)와 상기 라운드부(157)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이동됨으로써, 상기 안내부(173)의 단부는 항상 상기 유입부(151)의 내측 상부영역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173)를 포함하는 상기 유도유로장치(170)의 일단부는 깔대기형상 또는 터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뚜껑(110)이 열림 상태일 경우에도 상기 유도유로장치(170)의 내측에 수용된 밥물이 배수되기에 충분한 기울기가 형성되어 밥물이 원활하게 상기 유입부(151)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유입부(151)로 유입된 밥물은 상기 내부수로(152)를 통하여 하향이동되고, 상기 내부수로(152)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배수부(153)를 통하여 상기 수로연결장치(150)의 외측으로 배수된다.
그리고, 상기 수로연결장치(150)의 하측으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된 물받이(140)의 상단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입구(141)를 통하여 상기 물받 이(140)의 내부로 유입되고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수로연결장치(150)의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수로연결장치(150)는 상기 본체(120)에 탈부착 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 내부수로 그리고 배수부는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탈부착 되거나, 상기 본체에 결합된 수로연결장치에 각각 탈부착 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 유도유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밥물의 흐름을 나타낸 일부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에서는 전술한 유도유로장치의 유로면에 저수부(174)가 형성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내지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압력밥솥에서 상기 유도유로장치(170)의 유로면에서 상기 안내부(173)의 일측으로는 상기 유로면을 이동하는 밥물이 저수되는 홈 형상의 저수부(17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도유로부(171)로 이동하는 밥물은 상기 저수부(174)를 거쳐 상기 안내부(173)를 통해 배수된다. 이때, 상기 저수부(174)에 밥물이 저수되면서 밥물의 유속은 감소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상기 안내부(173)로 배수되는 밥물의 유속도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도유로부(171)를 흐르는 밥물의 유속이 빠름으로 인하여 상기 안내부(173)로 배수되는 밥물의 일부가 상기 유입부(151)의 외측으로 튀어나가 유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110)이 닫힘 상태에서 상기 저수부(174)에 저수되어 남는 밥물은 상기 뚜껑(110)이 열림 상태로 되면서 상기 저수부(174)로부터 배수되어 상기 안내부(173)로 배출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저수부(174)의 바닥면의 형상은 상기 뚜껑(110)의 열림 상태 시 저수된 밥물이 모두 흘러나올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취사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밥물은 점성이 높아 유로면에 퇴적되어 남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뚜껑의 내측에서 이동하는 밥물은 상기 뚜껑의 내측에 구비되는 유도유로장치를 통해서만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도유로장치에 대한 청소만으로도 상기 뚜껑의 내측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유도유로장치는 상기 뚜껑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함으로써 청소와 교환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정비 편리성이 높아질 수 있다.
둘째, 유도유로장치에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수로연결장치 방향으로 회전되 도록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뚜껑이 개폐시 상기 유도유로장치의 단부에 형성되어 밥물이 배수되는 안내부는 상기 수로연결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부에 항상 위치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밥물의 이동도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유도유로장치를 통하여 뚜껑의 외측으로 배수된 밥물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로연결장치로 유입되어 물받이로 집수된다. 여기서, 상기 수로연결장치는 상기 본체에서 탈거가 가능하여 역시 청소와 교환이 용이할 수 있다.
넷째, 밥물이 본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서 상기 본체의 표면 변색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에 밥물의 퇴적을 방지하여 밥물의 부패를 예방하여 전기압력밥솥을 더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Claims (8)

  1. 내부에 내솥이 구비되고 몸체를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부로부터 배출된 밥물이 유입되어 흐르도록 형성된 유도유로부와, 상기 뚜껑의 외측으로 밥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유도유로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뚜껑의 내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도유로장치;
    상기 유도유로장치로부터 배출된 밥물이 유입되도록 상부에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유입된 밥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탈부착되는 수로연결장치; 그리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로연결장치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로연결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밥물을 저장하는 물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압력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유로부의 양측에는 상기 뚜껑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뚜껑의 개폐시 상기 유도유로장치가 회전되어 밥물이 상기 유입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3.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삽입돌기에는 상기 뚜껑의 개폐시 상기 안내부가 상기 유입부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유로부의 양측에는 고정돌기가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각 고정돌기에는 상기 뚜껑의 개폐시 상기 안내부가 상기 유입부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이 선택적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유로부의 바닥 유로면의 일측에는 밥물이 저수되는 홈 형상의 저수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뚜껑의 개폐시 상기 안내부의 단부가 상기 유입부의 상부영역에 위치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로부터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라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연결장치는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밥물이 이동하도록 상기 유입부의 일단부에 연통되어 형성된 내부수로와, 상기 내부수로로 이동한 밥물을 외측으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 상기 내부수로 및 상기 배수부는 상기 수로연결장치에 각각 선택적으로 탈부착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KR2020060029892U 2006-11-17 2006-11-17 전기압력밥솥 KR200438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892U KR200438974Y1 (ko) 2006-11-17 2006-11-17 전기압력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892U KR200438974Y1 (ko) 2006-11-17 2006-11-17 전기압력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974Y1 true KR200438974Y1 (ko) 2008-03-14

Family

ID=4162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892U KR200438974Y1 (ko) 2006-11-17 2006-11-17 전기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97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2999A (zh) * 2017-05-11 2017-07-14 马冯传 一种新型电饭煲
KR20180016776A (ko) * 2016-08-08 2018-02-20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KR20180016774A (ko) * 2016-08-08 2018-02-20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KR20180068631A (ko) 2016-12-14 2018-06-2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압력밥솥
KR20190064150A (ko) * 2017-11-30 2019-06-10 (주)쿠첸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KR20190083241A (ko) * 2018-01-03 2019-07-11 (주)쿠첸 조리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776A (ko) * 2016-08-08 2018-02-20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KR20180016774A (ko) * 2016-08-08 2018-02-20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KR102414952B1 (ko) 2016-08-08 2022-07-04 주식회사 위니아 전기압력밥솥
KR102414951B1 (ko) 2016-08-08 2022-07-04 주식회사 위니아 전기압력밥솥
KR20180068631A (ko) 2016-12-14 2018-06-2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압력밥솥
CN106942999A (zh) * 2017-05-11 2017-07-14 马冯传 一种新型电饭煲
KR20190064150A (ko) * 2017-11-30 2019-06-10 (주)쿠첸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KR102029937B1 (ko) * 2017-11-30 2019-10-08 (주)쿠첸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KR20190083241A (ko) * 2018-01-03 2019-07-11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175631B1 (ko) 2018-01-03 2020-11-06 (주)쿠첸 조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974Y1 (ko) 전기압력밥솥
US6571686B1 (en) Brew basket with overflow channel
US20080202346A1 (en) Tea maker with agitator
KR100747630B1 (ko) 전기압력밥솥
US4882983A (en) Appliance for brewing coffee/tea
US20080199580A1 (en) Tea maker with timer
US6722264B2 (en) Drink extraction apparatus
CA2258791C (fr) Dispositif de condensation de vapeurs de cuisson et appareil de cuisson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KR101294112B1 (ko) 전기밥솥의 물받이 구조체
KR100793408B1 (ko) 전기압력밥솥
CN202496973U (zh) 电烹饪设备
KR200434676Y1 (ko) 전기압력밥솥
JP3641827B2 (ja) 炊飯器
KR200434684Y1 (ko) 전기압력밥솥
KR200434682Y1 (ko) 전기압력밥솥
KR200434680Y1 (ko) 전기압력밥솥
KR200434683Y1 (ko) 전기압력밥솥
KR200215648Y1 (ko) 무인 자동취사기
JP5115421B2 (ja) 飲料抽出装置
KR20180068631A (ko) 압력밥솥
KR101567480B1 (ko) 온장고
KR20110100458A (ko) 주둥이 분리 가능한 주전자
JP3774109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0191118Y1 (ko) 컵수납장이 구비된 냉·온수기
CN211863407U (zh) 一种下开门立式桌面消毒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