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937B1 -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937B1
KR102029937B1 KR1020170163496A KR20170163496A KR102029937B1 KR 102029937 B1 KR102029937 B1 KR 102029937B1 KR 1020170163496 A KR1020170163496 A KR 1020170163496A KR 20170163496 A KR20170163496 A KR 20170163496A KR 102029937 B1 KR102029937 B1 KR 102029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lid
steam exhaust
ind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150A (ko
Inventor
염규현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7016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9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08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for draining liquids from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시 응결수(밥물)을 집수하기 위한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밥솥 뚜껑부의 스팀 배기부에서 발생된 밥물을 배수하기 위한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로서, 상기 스팀 배기부와 연통되고 상기 밥솥 뚜껑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밥물을 밥솥 본체의 외측 일부로 흐르게 하여 물받이부로 안내하는 배수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A drain assembly for electric rice cooker }
본 발명은 배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시 응결수(밥물)를 집수하기 위한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취사 중이나 취사완료 후에 증기배출장치(압력추 및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여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고온고압의 증기배출시 증기가 증기배출장치의 하방으로 배출되면서 일부는 수증기 상태로 증발된다. 이때 다른 일부는 물로 변화하여 뚜껑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이에 따라 밥물의 흐름에 따른 얼룩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내부가 더러워지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증기배출장치(스팀 배출 장치)의 내부에는 배수구조체가 제공된다.
즉, 전기압력밥솥의 취사시에는 내솥의 내부에 고압의 증기가 차있게 되고, 이는 뚜껑의 스팀배출장치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스팀배출장치의 내부에 수증기가 응결되어 밥물을 형성하게 되고, 이 밥물은 내부의 배수유로를 따라 물받이로 집수되는 배수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는 뚜껑 본체(1)의 외부에 탑 커버(4)가 장착되고, 이 탑 커버(4)의 상부의 일정 영역에는 증기커버 장착부(8)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 증기커버 장착부(8)에는 뚜껑 본체(1)에 형성된 솔레노이드 밸브(7)와 압력추(6)에서 배기되는 증기를 체류하여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증기커버(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커버(4)의 증기커버 장착부(8)의 바닥면을 따라 응축된 증기가 일 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탑 커버(40)의 가장자리(즉 증기 커버 장착부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배수공(5)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탑 커버(40)의 증기커버 장착부(8)에서 응축된 물은 탑 커버(4)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고 배수공(5)을 통과하여 뚜껑 본체(1)의 언덕부(9)에서 배수 유출로(2)로 배출되어 밥솥의 배수 저장소에 별도로 저장되거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는 탑 커버(4)를 따라 흐르는 응축수가 배수공(5)을 통해 배수되어 뚜껑 본체(1)의 언덕부(9)를 따라 흐르게 됨으로써 배수 유로(3)가 길어 흔적이 남거나 위생상 불결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 유출로(2)를 통해 유출수가 흐르고 뚜껑 본체(1)의 내부로 유출수가 유입됨으로써 내부의 전자장치가 고장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47630(공고일: 2007년 08월08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기압력밥솥의 증기 배출시 응축된 밥물의 배수과정에서 밥물이 밥솥 뚜껑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위생적으로 밥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밥솥 뚜껑부의 스팀 배기부에서 발생된 밥물을 배수하기 위한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로서, 상기 스팀 배기부와 연통되고 상기 밥솥 뚜껑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밥물을 밥솥 본체의 외측 일부로 흐르게 하여 물받이부로 안내하는 배수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스팀 배기부는 상기 밥솥 뚜껑부의 상부에 일정면적으로 갖도록 오목한 공간으로 이루어진 스팀 배기 영역과, 상기 스팀 배기 영역에 장착되는 스팀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수 안내부는, 상기 스팀 배기 영역의 바닥면에 관통되고 상기 밥솥 뚜껑부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배수 유로, 및 상기 배수유로의 말단과 연결되고 상기 밥솥 뚜껑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스팀 배기부에 발생된 밥물을 상기 밥솥 본체의 연결 케이싱으로 유도하여 물받이부로 안내하는 유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도관은 상기 배수 유로에서 탈착가능하게 삽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도관은 상기 밥솥 뚜껑부의 외부에서 상기 물받이부를 향하도록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밥솥 뚜껑부와 상기 밥솥 본체의 연결부에는, 상기 뚜껑부의 개방시 상기 절곡부의 말단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 케이싱의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회피영역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취사 또는 보온시 발생하는 증기를 뚜껑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로 인한 고장율을 낮출 수 있으며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성된 밥물을 밥솥 본체의 외부로 유도하여 물받이에 집수시킬 수 있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밥물의 배수가 밥솥 본체의 외부로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밥물의 흐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배수 영역에 대한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의 배수흐름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가 설치된 증기배출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투영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를 밥솥 뚜껑부의 개방상태에서 보여주는 상태도,
도 5a는 도 4의 일부에 대한 부분 확대도, 및
도 5b는 밥솥 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는 밥솥 뚜껑부(2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수 유로(41)가 설치되고, 이 배수 유로(41)에 유도관(42)이 연결되어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유도관(42)은 밥솥 뚜껑부(20)의 외부로 노출된 일부가 하향으로 절곡된 절곡부(42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도관(42)의 말단은 밥솥 본체(10)에 설치된 물받이부(50)로 밥물을 유도하여 흐르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압력밥솥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주배기구(21)와 압력추로 구성되는 보조 배기구(22)를 포함하는 스팀 배기부(30)가 밥솥 뚜껑부(20)에 설치된다. 이때 보조 배기구(22)는 취사시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압력추를 작동 포스트(21a)를 통해 들어올리는 것으로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밥솥 뚜껑부(20)는 밥솥 본체(10)에 뚜껑 연결부(6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뚜껑 연결부(60)에는 연결 케이싱(61)이 외부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 케이싱(61)에는 오목하게 회피영역(15)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의 흐름을 살펴보면, 도 2b와 같이, 스팀 배기부(30)에서 증기가 맺혀 생성된 밥물은 배수 입구(41a)를 통해 배수 유로(41)로 배출되고,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유도관(42)으로 배수된다. 이때 유도관(42)으로 배수된 밥물은 밥솥 본체(10)의 뚜껑 연결부(60)에 형성된 연결 케이싱(61)의 외부면을 따라 흘러 하부에 위치하는 물받이부(50)로 집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팀 배기부(30)는 주배기부(21)와 보조 배기부(22)의 주변에 일정공간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스팀 배기영역(30A)이 형성된다. 이 스팀 배기영역(30A)의 바닥면에는 배출증기가 변화된 밥물이 유입되는 배수입구(41a)가 형성된다. 이때 배수입구(41a)는 관형태인 배수유로(41)와 연결된다. 또한 배수유로(41)는 밥솥 뚜껑부(2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배수유로(41)의 말단에는 연결부(41b)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41b)에는 유도관(42)이 삽입연결된다. 여기서 유도관(42)은 배수유로(41)에서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우에 따라 유도관(42)을 밥솥 뚜껑부(20)에서 분리시켜 청소시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이때 배수유로(41)와 유도관(42)은 일체로 형성하여 밥솥 뚜껑부(20)에서 배수유로(41)와 유도관(42)을 일시에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로 노출된 유도관(42)은 일부가 하향으로 구부려지게 형성된 절곡부(42a)가 형성되고, 밥솥 본체(10)의 뚜껑 연결부(60)에는 절곡부(42a)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피영역(15)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뚜껑 연결부(60)를 보호하도록 형성된 연결 케이싱(61)에는 밥솥 뚜껑부(20)의 개방시 유도관(42)이 간섭(맞닿음)을 방지하도록 일정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된 회피 영역(1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밥솥 뚜껑부(20)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된 유도관(42)의 절곡부(42a)가 연결 케이싱(61)의 일부에 맞닿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밥솥 뚜껑부(20)의 개방상태에서도 유도관(42)을 통해 배수되는 밥물이 오목한 형상의 연결 케이싱(61)의 회피 영역(15)을 따라 흘러 물받이부(50)로 집수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밥솥 뚜껑부(20)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된 유도관(42)과 배수유로(41)를 통해 외부로 배수할 수 있어, 취사 또는 보온시 발생하는 증기를 뚜껑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그로 인한 고장율을 낮출 수 있으며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밥물을 밥솥 본체(10)의 외부로 유도하여 물받이(50)로 안내할 수 있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밥물의 배수룰 밥솥 본체(10)의 외부로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밥물의 흐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유도관(42) 및 배수유로(41)를 밥솥 뚜껑부(20)에서 분리시켜 관 내부를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밥솥 본체
20: 밥솥 뚜껑부
21: 주 배기구
22: 보조 배기구
30: 스팀 배기부
30A: 스팀 배기영역
30B: 스팀 커버부
41: 배수 유로
41a: 배수 입구
41b: 연결부
42: 유도관
50: 물받이부
60: 뚜껑 연결부
61: 연결 케이싱

Claims (6)

  1. 밥솥 뚜껑부의 스팀 배기부에서 발생된 밥물을 배수하기 위한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로서,
    상기 스팀 배기부와 연통되고 상기 밥솥 뚜껑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밥물을 밥솥 본체의 외측 일부로 흐르게 하여 물받이부로 안내하는 배수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안내부는, 상기 스팀 배기부와 연통하고 상기 밥솥 뚜껑부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배수 유로; 및 상기 밥솥 뚜껑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스팀 배기부에 발생된 밥물을 상기 밥솥 본체의 연결 케이싱으로 유도하여 상기 물받이부로 상기 밥물을 안내하는 유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관은, 상기 밥솥 뚜껑부의 외부에서 상기 물받이부를 향하도록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밥솥 뚜껑부와 상기 밥솥 본체의 뚜껑 연결부에는, 상기 밥솥 뚜껑부의 개방시 상기 절곡부의 말단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 케이싱의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회피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 유로는 상기 유도관이 삽입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관의 말단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연결 케이싱은 상기 유도관의 상기 말단으로부터 배수된 상기 밥물을 상기 물받이부로 안내하고 외부에 노출된 외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배기부는 상기 밥솥 뚜껑부의 상부에 일정면적으로 갖도록 오목한 공간으로 이루어진 스팀 배기 영역과, 상기 스팀 배기 영역에 장착되는 스팀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은 상기 배수 유로에서 탈착가능하게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5. 삭제
  6. 삭제
KR1020170163496A 2017-11-30 2017-11-30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KR102029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96A KR102029937B1 (ko) 2017-11-30 2017-11-30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96A KR102029937B1 (ko) 2017-11-30 2017-11-30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150A KR20190064150A (ko) 2019-06-10
KR102029937B1 true KR102029937B1 (ko) 2019-10-08

Family

ID=6684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496A KR102029937B1 (ko) 2017-11-30 2017-11-30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3457A (zh) * 2019-08-28 2019-11-05 李莹 一种高压锅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30B1 (ko) 2006-09-26 2007-08-08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
KR200438974Y1 (ko) * 2006-11-17 2008-03-14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068B1 (ko) * 2014-01-02 2018-03-16 (주)쿠첸 전기 조리기의 배수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30B1 (ko) 2006-09-26 2007-08-08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
KR200438974Y1 (ko) * 2006-11-17 2008-03-14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150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112B1 (ko) 전기밥솥의 물받이 구조체
KR101360463B1 (ko) 밥솥
KR102231032B1 (ko) 전기밥솥
KR102029937B1 (ko)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JP6079968B2 (ja) トイレ装置
JPH0478287B2 (ko)
KR101708464B1 (ko) 콤비스팀오븐의 응축수 배출장치
CN108125650B (zh) 水槽洗碗机的呼吸器和具有其的水槽洗碗机
KR101839068B1 (ko) 전기 조리기의 배수구조체
KR200452914Y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CN209733435U (zh) 烹饪器具
KR101857769B1 (ko) 탑 커버의 응축수 유입 방지 구조체
RU2019143755A (ru) Емкост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и вы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20180068631A (ko) 압력밥솥
KR200376404Y1 (ko)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
JP6169031B2 (ja) 蒸気回収器及び加熱機器
KR200422327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냄비
KR102175631B1 (ko) 조리 장치
KR20150136881A (ko) 전기밥솥의 탑 커버 배수구조체
IT202000027516A1 (it) Gruppo filtro perfezionato per cappa aspirante
KR940000214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증기배출로 배수구조
CN208435221U (zh) 组合式锅具
US11986142B2 (en) Water inlet assembly and a washing device comprising same
ES2570404T3 (es) Máquina para lavar la vajilla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de filtración de agua de lavado de la vajilla
JP2014221152A (ja) 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