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404Y1 -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 - Google Patents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404Y1
KR200376404Y1 KR20-2004-0034314U KR20040034314U KR200376404Y1 KR 200376404 Y1 KR200376404 Y1 KR 200376404Y1 KR 20040034314 U KR20040034314 U KR 20040034314U KR 200376404 Y1 KR200376404 Y1 KR 200376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drip tray
drain
drainage
ric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태
김재기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4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4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4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밥솥에 담겨진 쌀과 물이 가열되면서 취사 및 보온이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밥솥이 내장되어 취사가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물방울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배수유로와,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 하부에 형성된 장착홈에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배수유로를 따라 배수되는 물이 담겨지는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상기 물받이로 안내하는 배수덮개와,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와 물받이 및 배수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에 맺힌 물방울이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상기 물받이 중앙으로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배수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취사 및 보온 중에 발생되는 증기가 응축되어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모두 물받이에 안정적으로 받아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 {VAPOR DRAIN STRUCTURE OF ELECTRIC RICE COOKER}
본 고안은 밥솥에 담겨진 쌀과 물이 가열되면서 취사 및 보온이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사 및 보온 중에 발생되는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물방울이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모두 물받이에 받아지도록 하는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보온밥솥은 밥솥 내부에서 쌀과 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밀폐된 밥솥을 가열하여 취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취사된 밥을 따뜻하게 보관하도록 하되, 취사 및 보온 상태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물방울을 배출시킬 뿐 아니라 한꺼번에 모아 버릴 수 있는 배수구조가 구비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수구조가 도시된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1c는 도 1b에서 배수덮개 및 물받이가 생략된 정면도이며, 도 1d 및 도 1e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수구조 및 배수흐름이 추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종래의 전기압력보온밥솥은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솥 및 각종 히터가 내장되는 본체 상측에 증기배수구조가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본체(2)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물방울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2) 상면 일측에 배수유로(4)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배수유로의 유입구(4a)는 상기 본체(2) 상측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4b)는 상기 본체(2) 일측에 형성되도록 배수유로(4)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4b) 하단에 형성된 장착홈(2h)에는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4b)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받이(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물받이(6)는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4b)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4b) 하단이 더 돌출되어 상기 물받이(6)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4b)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물받이(6)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2) 및 물받이(6) 사이에 배수덮개(8)가 설치되는데, 상기 배수덮개(8)는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4b)로부터 흘러나오는 물방울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도 막아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기배수구조에서 배수흐름을 도 1e를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밥솥으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물방울이 상기 배수유로의 유입구(4a)로 유입된 다음, 상기 배수유로(4)를 따라 유동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4b) 끝단에 맺히게 되고,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4b)에 맺힌 물방울은 상기 물받이(6) 상측에서 떨어져 모아지게 된다.
물론, 상기 물받이(6)는 상기 장착홈(2h)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물받이(6)에 모아진 물을 사용자가 직접 비울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수구조는 배수유로의 유출구(4b) 하측에 형성된 장착홈(2h)에 상면이 개방된 물받이(6)가 장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4b) 끝단에 물방울이 맺히게 되고, 대부분의 물방울이 상기 물받이(6)로 바로 떨어지는 반면, 일부분의 물방울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4b) 및 그와 근접한 상기 장착홈(2h)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본체(2) 외관으로 물이 흘러나오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비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밥솥에서 배출되는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물방울이 모두 물받이로 유도되도록 안내하여 물이 물받이 주변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는 밥솥이 내장되어 취사가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물방울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배수유로와,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 하부에 형성된 장착홈에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배수유로를 따라 배수되는 물이 담겨지는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상기 물받이로 안내하는 배수덮개와,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와 물받이 및 배수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에 맺힌 물방울이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상기 물받이 중앙으로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배수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의 제1실시예 및 그 배수흐름이 추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는 고압 상태에서 취사 및 뒤따라 보온이 이루어지는 전기압력보온밥솥에만 적용될 뿐 아니라 보통 압력 상태에서 취사 및 뒤따라 보온이 이루어지는 전기보온밥솥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의 제1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2) 일측에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물방울이 유/출입되는 유입구(54a) 및 유출구(54b)를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유로(54)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 하측 본체(52)에 형성된 장착홈(52h)에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물받이(56)가 설치되며, 상기 물받이(56) 상측에는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가 외관에 드러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52)와 물받이(56) 사이에 배수덮개(58)가 장착되되, 상기 배수덮개(58) 하측에는 일종의 배수 가이드인 가이드 리브(60)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가이드 리브(60)를 따라 흘러내려 바로 상기 물받이(56)에 담겨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유로(54)는 상기 본체(52) 상면에 상기 배수유로의 유입구(54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52) 일측면에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 하단이 상단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장착홈(52h)은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 하측에 상기 물받이(56)의 일면이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물받이(56)는 상기 장착홈(52h)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56)는 상기 장착홈(52h)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 끝단이 상기 물받이(56) 중앙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가 물의 저장 정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상기 물받이(56)로 유입되도록 할 뿐 아니라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와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물받이(56) 상측에 상기 배수덮개(58)가 설치되는데, 상기 배수덮개(58)의 상단에 소정의 홀(58h)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52)와 물받이(56)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배수덮개(58)의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된 지지단(58a)이 상기 물받이(56) 상단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수덮개(58)의 양단이 상기 본체(52)에 끼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 리브(60)는 상기 배수덮개의 지지단(58a) 하측 및 끝단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리브(60)는 그 끝단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동시에 그 끝단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와 물방울보다 더 작은 소정의 간격(h)을 두고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가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물론, 상기 배출유로의 유출구(54b)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가이드 리브(60)를 따라 흘러내리도록 상기 가이드 리브(60)는 상기 배출유로의 유출구(54b)보다 상대적으로 더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기배수구조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본체(52)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물방울이 모아지는 과정을 도 3을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본체(52)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응축되어 물방울이 생성되고, 이러한 물방울이 안내되어 상기 배출유로의 유입구(54a)로 유입된 다음, 상기 배출유로(54)를 통과하면서 그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고, 상기 배출유로의 유출구(54b)에 맺힌 물방울은 상기 가이드 리브와 접촉되면서 상기 가이드 리브(60) 하단에 다시 맺히게 되며, 물방울이 상기 가이드 리브(60) 하단과 접촉 면적이 좁으므로 표면장력이 중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아져 물방울이 상기 가이드 리브(60) 하단에서 바로 상기 물받이(56)로 떨어진다.
이때, 상기 배출유로의 유출구(54b) 끝단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배출유로의 유출구(54b) 하측으로 유동되기 전에 상기 가이드 리브(60)와 접촉되면서 상기 가이드 리브(60)를 따라 안내되기 때문에 물이 상기 물받이(56) 이외에 상기 배출유로의 유출구(54b) 하측을 따라 상기 장착홈(52h)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의 제2실시예 및 그 배수흐름이 추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되,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받이(56)에 일종의 배수 가이드인 가이드 리브(70)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가이드 리브(70)를 따라 흘러내려 바로 상기 물받이(56)에 담겨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리브(70)는 상기 물받이(56)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그 상단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와 상기 배수덮개의 지지단(58a) 사이에 위치되고, 특히 상기 가이드 리브(70)의 상단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 끝단과 물방울보다 더 작은 소정 간격(h)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가이드 리브(70)는 상기 물받이(56) 내측의 어느 면에라도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물받이(56) 내측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로부터 물방울이 상기 가이드 리브(70)에 의해 상기 물받이(56) 하측까지 안내되어 상기 물받이(56)에 담겨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기배수구조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본체(52)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물방울이 모아지는 과정을 도 5를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따라 상기 배출유로의 유출구(54b)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가이드 리브(70)와 접촉되면서 상기 가이드 리브(70)를 따라 상기 물받이(56) 하측까지 안내되어 상기 물받이(56)에 저장되되, 이로 인하여 상기 배출유로의 유출구(54b)에 맺힌 물방울이 바로 상기 물받이(56)에 떨어져 물이 튀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의 제3실시예 및 그 배수흐름이 추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의 제3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되,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에 일종의 배수 가이드인 가이드 돌기(80)가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보다 더 하측으로 돌출되게 추가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가이드 돌기(80)를 따라 흘러내려 바로 상기 물받이(56)에 담겨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80)는 볼트 등과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물의 표면장력을 최소화시킴으로 물방울이 맺히더라도 바로 상기 물받이(56)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가이드 돌기(80)는 그 하단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54b) 하단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물방울이 중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돌기(80)의 하단에 맺힐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가이드 돌기(80)의 하단은 상기 물받이(56) 상단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물받이 덮개(58)와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기배수구조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본체(52)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물방울이 모아지는 과정을 도 7를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따라 상기 배출유로의 유출구(54b)에서 바로 상기 가이드 돌기(80)를 따라 흘러내려 그 하단에 맺히게 되되, 상기 가이드 돌기(80)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됨에 따라 물방울의 접촉면적이 좁아져 표면장력이 중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아짐으로 물방울이 상기 물받이(56)로 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전기압력보온밥솥 및 전기보온밥솥을 포함하는 전기밥솥에 적용될 수 있는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는 밥솥에서 배출되는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물방울이 안내되도록 본체 일측에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유출구 측에 물받이가 장착되고, 특히 배출유로의 유출구에 맺힌 물방울이 배수 가이드를 따라 유동되면서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바로 물받이로 떨어지게 하거나, 직접 물받이로 안내하도록 하기 때문에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뿐 아니라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수구조가 도시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c는 도 1b에서 배수덮개 및 물받이가 생략된 정면도,
도 1d 및 도 1e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수구조 및 배수흐름이 추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의 제1실시예 및 그 배수흐름이 추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의 제2실시예 및 그 배수흐름이 추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의 제3실시예 및 그 배수흐름이 추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본체 52h : 장착홈
54 : 배수유로 54a : 유입구
54b : 유출구 56 : 물받이
58 : 배수덮개 60,70 : 가이드 리브
80 : 가이드 돌기

Claims (4)

  1. 밥솥이 내장되어 취사가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물방울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배수유로와,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 하부에 형성된 장착홈에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배수유로를 따라 배수되는 물이 담겨지는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상기 물받이로 안내하는 배수덮개와,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와 물받이 및 배수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에 맺힌 물방울이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상기 물받이 중앙으로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배수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가이드는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와 물방울 크기보다 작은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도록 상기 배수덮개 하단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가이드는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와 물방울 크기보다 작은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도록 상기 물받이 내측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의 증기배출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가이드는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 하단에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보다 더 하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추가 장착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유출구에 맺힌 물방울이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하단에 맺힌 다음, 다시 상기 물받이 중앙으로 떨어지게 하는 가이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의 증기배출구조.
KR20-2004-0034314U 2004-12-03 2004-12-03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 KR200376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314U KR200376404Y1 (ko) 2004-12-03 2004-12-03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314U KR200376404Y1 (ko) 2004-12-03 2004-12-03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404Y1 true KR200376404Y1 (ko) 2005-03-11

Family

ID=4367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314U KR200376404Y1 (ko) 2004-12-03 2004-12-03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40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30B1 (ko) 2006-09-26 2007-08-08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
KR100793408B1 (ko) 2006-09-26 2008-01-09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
KR200461328Y1 (ko) 2009-12-29 2012-07-05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조리기기
KR20170116288A (ko) * 2016-04-08 2017-10-19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밥솥의 응축수 배수 구조체
KR101839068B1 (ko) * 2014-01-02 2018-03-16 (주)쿠첸 전기 조리기의 배수구조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30B1 (ko) 2006-09-26 2007-08-08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
KR100793408B1 (ko) 2006-09-26 2008-01-09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
KR200461328Y1 (ko) 2009-12-29 2012-07-05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조리기기
KR101839068B1 (ko) * 2014-01-02 2018-03-16 (주)쿠첸 전기 조리기의 배수구조체
KR20170116288A (ko) * 2016-04-08 2017-10-19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밥솥의 응축수 배수 구조체
KR102423046B1 (ko) * 2016-04-08 2022-07-22 주식회사 위니아 전기밥솥의 응축수 배수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112B1 (ko) 전기밥솥의 물받이 구조체
US5584234A (en) Cooking appliance, such as a fryer for example, having a condensation device for cooking vapours
US20100154656A1 (en) Heating cooker
US20020174775A1 (en) Drink extraction apparatus
KR200376404Y1 (ko) 전기밥솥의 증기배수구조
US20060112949A1 (en) Burner shield
US20040020374A1 (en) Utensil for slow-cook cycle steaming
JPH11244137A (ja) 炊飯器
JP2008039386A (ja) 還流凝縮器
CN211324326U (zh) 一种蒸汽回流盖体机构及电热饭盒及蒸煮器
ITMI960486A1 (it) Apparecchiatura per distillazione
JP3962483B2 (ja) 排水トラップ
US4414884A (en) Coffeemaker with coffee spreader
KR101839068B1 (ko) 전기 조리기의 배수구조체
JPH11244139A (ja) 炊飯器
JP2008022946A (ja) 蒸し器
JP2003310430A (ja) 炊飯器の蒸気通路構造とこれに用いる蒸気通路部材
JP2000037287A (ja) 炊飯器
KR102029937B1 (ko)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KR940000214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증기배출로 배수구조
JP2010273719A (ja) 炊飯器
JP3543783B2 (ja) 電気炊飯器
CN214964532U (zh) 方便排水的烹饪器具
KR200169251Y1 (ko) 중탕기의 낙수받이장치
JP4134097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