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535Y1 -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535Y1
KR200433535Y1 KR2020060024762U KR20060024762U KR200433535Y1 KR 200433535 Y1 KR200433535 Y1 KR 200433535Y1 KR 2020060024762 U KR2020060024762 U KR 2020060024762U KR 20060024762 U KR20060024762 U KR 20060024762U KR 200433535 Y1 KR200433535 Y1 KR 200433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
upper frame
switch
frame
buff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부현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엘에스 filed Critical (주)이엘에스
Priority to KR2020060024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5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2Mechanical or piezoelectric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은 개방되며, 측면에 후크 홈(211)이 형성된 하부프레임(210); 상기 하부프레임(210)에 수납되며, 텍트스위치(131)가 구비된 회로기판(130);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내부 외곽에 설치된 스프링(160) 및 상기 스프링(160)상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스프링(160)의 탄성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후크 홈(211)과 결합되는 후크(271) 및 상기 택트스위치(131)의 직상방에 탄성을 갖는 완충바(273)가 형성된 상부프레임(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요지로 하는바, 종래 완충바와 상부프레임을 일체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엘리베이터 스위치, 택트스위치, 완충부재, 일체형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Elevator switch}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
도 3a ~ 도 3c는 도 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
도 5a ~ 도 5c는 도 4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
도 7a ~ 도 7c는 도 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회로기판 131: 택트스위치
133: 발광체 135: 신호출력선
160: 스프링
200, 400, 600: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
210, 410, 610: 하부프레임 211, 411, 611: 후크 홈
213: 스프링 고정돌기 270, 470, 670: 상부프레임
271, 471, 671: 후크 273, 473, 673: 완충바
413, 675: 탄성돌기 630: 탄성돌기 지지바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완충바와 상부프레임을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에는 이동하고자 하는 층을 선택하거나 엘리베이터의 문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는바, 일반적으로 누름버튼 타입의 스위치가 이용된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100)는 상면이 개방된 하부프레임(110), 하부프레임(110)에 수납되며 택트스위치(131)가 실장된 회로기판(130), 회로기판(130) 상에 위치하며 택트스위치(131)와 접촉되는 완충부재(150), 완충부재(150) 상에 위치하며 하부프레임(110)과 결합에 필요한 후크(171)가 형성된 상부프레임(170) 및 하부프레임(110)과 상부프레임(170)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하부프레임(110)에는 측면에 후크(171)가 걸리는 후크 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스프링 고정 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회로기판(130)에는 택트스위치(131)가 눌림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체(133) 및 상술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선(135)이 실장된다.
다음 완충부재(150)는 탄성체로 제작되는바, 내측에는 서로 분리된 완충바(151)가 형성되며, 외측에는 스프링 고정돌기(113)에 결합되는 결합 홀(153)이 천공되어 있다.
다음 상부프레임(170)에는 외압을 완충부재(150)로 전달하기 위한 완충바 누름돌기(17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프레임(170)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상부프레임(170)이 스프링(160)의 탄성에 의해 하부프레임(110) 내부로 눌림과 동시에 상부프레임(170)의 완충바 누름돌기(173)가 완충바(151)를 누르게 되며, 완충바(151)의 눌림에 의해 택트스위치(131)가 눌리게 되어 발광체(133)는 발광되며, 신호출력선(135)에서는 해당 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상부프레임(170)에 과잉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완충부재(150)의 탄성에 의해 완충바(151)가 휘어짐으로써 택트스위치(131)로 가해지는 외력이 완충되어 택트스위치(13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 엘리베이터용 스위치 구조체에 따르면 상부프레임(170)에 과잉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완충부재(150)에 의해 택트스위치(13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완충부재(150)의 크기로 인해 엘리베이터용 스위치 구조체의 부피가 커지며, 내부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완충바와 상부프레임을 일체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완충바와 상부프레임을 일체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의 소형화가 가능 하도록 한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는 상면은 개방되며, 측면에 후크 홈(211)이 형성된 하부프레임(210); 상기 하부프레임(210)에 수납되며, 텍트스위치(131)가 구비된 회로기판(130);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내부 외곽에 설치된 스프링(160) 및 상기 스프링(160)상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스프링(160)의 탄성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후크 홈(211)과 결합되는 후크(271) 및 상기 택트스위치(131)의 직상방에 탄성을 갖는 완충바(273)가 형성된 상부프레임(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는 상면은 개방되며, 측면에는 후크 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 홈(411)이 형성된 위치의 하면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돌기(413)가 형성된 하부프레임(410); 상기 하부프레임(410)에 수납되며, 텍트스위치(131)가 구비된 회로기판(130) 및 상기 하부프 레임(410)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탄성돌기(413)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후크 홈(411)에 결합되는 후크(471) 및 상기 택트스위치(131)의 직상방에 탄성을 갖는 완충바(473)가 형성된 상부프레임(4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는 상면은 개방되며, 측면에는 후크 홈(611)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상부에는 탄성돌기 지지바(630)가 형성된 하부프레임(610); 상기 하부프레임(610)에 수납되며, 텍트스위치(131)가 구비된 회로기판(130) 및 상기 하부프레임(610)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택트스위치(131)의 직상방에 탄성을 갖는 완충바(673)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바(673)의 양측으로 상기 탄성돌기 지지바(630)에 접촉되는 탄성돌기(675) 및 상기 후크 홈(611)에 결합되는 후크(671)가 형성된 상부프레임(6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200)는 스프링(160)이 결합된 하부프레임(210), 하부프레임(210)에 수납되며 택트스위치(131)가 실장된 회로기판(130) 및 택트스위치(131)를 누르는 완충바(273)가 형성된 상부프레임(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하부프레임(210)에는 측면에 후크 홈(211)이 형성되어 있으 며, 상술한 스프링(16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스프링 고정돌기(213)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회로기판(130)에는 택트스위치(131)가 눌림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체(133) 및 상술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선(135)이 실장된다.
다음 상부프레임(270)의 측면에는 하부프레임(2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크(2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택트스위치(131)의 직상방의 위치에 완충바(273)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완충바(273)는 상부프레임(27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바, 탄성재질로 제작되며, 내측으로 4개의 바가 분리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200)의 내부공간은 종래 완충부재(150)에서 완충바(151)를 제외한 외곽 부분 즉, 결합 홀(153)이 형성된 부분만큼 확보된다.
도 3a ~ 도 3c는 도 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A-A'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인바, 도 3a는 상부프레임(270)에 외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며, 도 3b는 상부프레임(270)에 외압이 가해진 상태이고, 도 3c는 상부프레임(270)에 과잉외압이 가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도 3a 상태는 상부프레임(270)에 외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인바, 상부프레임(270)은 스프링(160)에 의해 상측으로 밀리지만 후크(271)에 의해 하부프레임(2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택트스위치(131)는 완충바(273)와 접촉되어 있 지만 눌리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상부프레임(270)에 외압이 가해지게 되면 도 3b와 같이 상부프레임(270)이 하부프레임(210) 내부로 이동되는바, 택트스위치(131)는 상부프레임(27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완충바(273)에 의해 눌리게 되며, 동시에 발광체(133)는 발광하게 되고, 신호출력선(135)에서는 해당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상부프레임(270)에 과잉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도 3c와 같은 상태가 되는바, 탄성에 의해 완충바(273)가 휘어짐으로써 과잉외압은 완충되어 택트스위치(13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부프레임(270)에 외력이 제거되면 도 3b 또는 도 3c 상태는 도 3a 상태로 복귀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400)는 하면에 탄성돌기(413)가 형성된 하부프레임(410), 하부프레임(410)에 수납되며 택트스위치(131)가 실장된 회로기판(130) 및 택트스위치(131)를 누르는 완충바(473)가 형성된 상부프레임(4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하부프레임(410)에는 측면에 후크 홈(4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상부프레임(470)에 외력이 가해져 하강하는 경우 외력이 제거되면 상승 즉,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돌기(413)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탄성돌기(413)는 하부프레임(410)의 하면 일부를 절개하여 내측으로 휩으로써 달성 되는바, 하부프레임(410)과 동일한 탄성재질로 달성된다.
다음 회로기판(130)에는 택트스위치(131)가 눌림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체(133) 및 상술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선(135)이 실장된다.
다음 상부프레임(470)의 측면에는 하부프레임(410)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후크(471)가 형성되어 있는바, 탄성돌기(413)와 접촉된 상태로 후크 홈(411)에 결합되며, 저면에는 택트스위치(131)의 직상방의 위치에 완충바(473)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완충바(473)는 상부프레임(47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바, 탄성재질로 제작되며, 내측으로 4개의 바가 분리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400)의 내부공간은 종래 완충부재(150)에서 완충바(151)를 제외한 외곽 부분 즉, 결합 홀(153)이 형성된 부분만큼 확보된다.
도 5a ~ 도 5c는 도 4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B-B'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인바, 도 5a는 상부프레임(470)에 외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며, 도 5b는 상부프레임(470)에 외압이 가해진 상태이고, 도 5c는 상부프레임(470)에 과잉외압이 가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도 5a 상태는 상부프레임(470)에 외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인바, 상부프레임(470)은 탄성돌기(413)에 의해 상측으로 밀리지만 후크(471)에 의해 하부프레임(4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택트스위치(131)는 완충바(473)와 접촉되어 있지만 눌리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상부프레임(470)에 외압이 가해지게 되면 도 5b와 같이 상부프레임(470)이 하부프레임(410) 내부로 이동되는바, 택트스위치(131)는 상부프레임(47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완충바(473)에 의해 눌리게 되며, 동시에 발광체(133)는 발광하게 되고, 신호출력선(135)에서는 해당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상부프레임(470)에 과잉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도 5c와 같은 상태가 되는바, 탄성에 의해 완충바(473)가 휘어짐으로써 과잉외압은 완충되어 택트스위치(13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부프레임(470)에 외력이 제거되면 도 5b 또는 도 5c 상태는 도 5a 상태로 복귀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600)는 하면에 하부프레임(610), 하부프레임(610)에 수납되며 택트스위치(131)가 실장된 회로기판(130) 및 택트스위치(131)를 누르는 완충바(673)가 형성된 상부프레임(6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하부프레임(610)에는 측면에 후크 홈(6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상부에는 탄성돌기 지지바(630)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회로기판(130)에는 택트스위치(131)가 눌림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체(133) 및 상술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선(135) 이 실장된다.
다음 상부프레임(670)의 측면에는 하부프레임(610)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후크(6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택트스위치(131)의 직상방의 위치에 완충바(673)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의 완충바(673) 양측에는 상부프레임(670)에 외력이 가해져 하부프레임(610)의 내부로 하강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승 즉,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돌기(675)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탄성돌기(675)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재질로 달성된다.
또한 상술한 완충바(673)는 상부프레임(67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바, 탄성재질로 제작되며, 내측으로 4개의 바가 분리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600)의 내부공간은 종래 완충부재(150)에서 완충바(151)를 제외한 외곽 부분 즉, 결합 홀(153)이 형성된 부분만큼 확보된다.
도 7a ~ 도 7c는 도 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C-C'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인바, 도 7a는 상부프레임(670)에 외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며, 도 7b는 상부프레임(670)에 외압이 가해진 상태이고, 도 7c는 상부프레임(670)에 과잉외압이 가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도 7a 상태는 상부프레임(670)에 외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인바, 상부프레임(670)은 탄성돌기(675)에 의해 상측으로 밀리지만 후크(671)에 의해 하부프레임(6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택트스위치(131)는 완충바(673)와 접촉되어 있지만 눌리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상부프레임(670)에 외압이 가해지게 되면 도 7b와 같이 상부프레임(670)이 하부프레임(610) 내부로 이동되는바, 택트스위치(131)는 상부프레임(67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완충바(673)에 의해 눌리게 되며, 동시에 발광체(133)는 발광하게 되고, 신호출력선(135)에서는 해당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상부프레임(670)에 과잉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도 7c와 같은 상태가 되는바, 탄성에 의해 완충바(673)가 휘어짐으로써 과잉외압은 완충되어 택트스위치(13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부프레임(670)에 외력이 제거되면 도 7b 또는 도 7c 상태는 도 7a 상태로 복귀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는 종래 완충바와 상부프레임을 일체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 또는 상부프레임에 탄성돌기를 형성시키는 경우 상부프레임의 상태를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필요 없어 제조비가 절감되고, 제조공정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면은 개방되며, 측면에 후크 홈(211)이 형성된 하부프레임(210);
    상기 하부프레임(210)에 수납되며, 텍트스위치(131)가 구비된 회로기판(130);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내부 외곽에 설치된 스프링(160) 및
    상기 스프링(160)상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스프링(160)의 탄성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후크 홈(211)과 결합되는 후크(271) 및 상기 택트스위치(131)의 직상방에 탄성을 갖는 완충바(273)가 형성된 상부프레임(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
  2. 상면은 개방되며, 측면에는 후크 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 홈(411)이 형성된 위치의 하면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돌기(413)가 형성된 하부프레임(410);
    상기 하부프레임(410)에 수납되며, 텍트스위치(131)가 구비된 회로기판(130) 및
    상기 하부프레임(410)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탄성돌기(413)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후크 홈(411)에 결합되는 후크(471) 및 상기 택트스위치(131)의 직상방에 탄성을 갖는 완충바(473)가 형성된 상부프레임(4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
  3. 상면은 개방되며, 측면에는 후크 홈(611)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상부에는 탄성돌기 지지바(630)가 형성된 하부프레임(610);
    상기 하부프레임(610)에 수납되며, 텍트스위치(131)가 구비된 회로기판(130) 및
    상기 하부프레임(610)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택트스위치(131)의 직상방에 탄성을 갖는 완충바(673)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바(673)의 양측으로 상기 탄성돌기 지지바(630)에 접촉되는 탄성돌기(675) 및 상기 후크 홈(611)에 결합되는 후크(671)가 형성된 상부프레임(6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
KR2020060024762U 2006-09-14 2006-09-14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 KR200433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762U KR200433535Y1 (ko) 2006-09-14 2006-09-14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762U KR200433535Y1 (ko) 2006-09-14 2006-09-14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535Y1 true KR200433535Y1 (ko) 2006-12-11

Family

ID=4178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762U KR200433535Y1 (ko) 2006-09-14 2006-09-14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5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7220B2 (en) Keyswitch structure
JP6409047B2 (ja) キーボードのキー用キーモジュールのためのキーリフタ、キーボードのキー用キーモジュール、およびキーボードのキー用キー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4371987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6708153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US10857453B2 (en) Button assembly and game controller including the same
JP5146588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200433535Y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
US11119588B2 (en) Wireless mouse and switch module applied therein
KR200460554Y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 장치
JP2008130531A (ja) 押釦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使用したトイレ用壁付けリモコン
US11161035B2 (en) Button assembly and controller including the same
KR200433536Y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
KR101208699B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US7012205B1 (en) Bezel assembly
JP3172749U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5394200B2 (ja) 押釦スイッチ
KR19980081195A (ko) 푸시버튼 스위치
KR101160655B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JPH11314861A (ja) エレベーターの押しボタン
JP2006041140A (ja) リモコン装置
JP2013016267A (ja) 押圧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H08161970A (ja) リモコン装置
JP2018186027A (ja) スイッチ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JP5573291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063653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