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655B1 -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655B1
KR101160655B1 KR1020100096508A KR20100096508A KR101160655B1 KR 101160655 B1 KR101160655 B1 KR 101160655B1 KR 1020100096508 A KR1020100096508 A KR 1020100096508A KR 20100096508 A KR20100096508 A KR 20100096508A KR 101160655 B1 KR101160655 B1 KR 101160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frame
pressing plate
actuator
guid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037A (ko
Inventor
오부현
Original Assignee
(주)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엘에스 filed Critical (주)이엘에스
Priority to KR1020100096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6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2Mechanical or piezoelectric inpu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스위치의 결합구조 내부에서 일정 넓이방향으로 구비 및 결합되는 각 부품 간의 가로 폭을 최소화하여 소형의 스위치 구조체를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누름판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텍트스위치가 형성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는 교량형의 가이드링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의 하단에는 교량형의 브래킷이 형성되되, 상기 브래킷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기둥형의 엑츄에이터가 삽입되며, 상기 누름판은 하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각 돌출부 사이에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에는 완충부재가 상기 브래킷의 관통공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져, 상기 누름판에 작용하는 외력과 연동하여 상기 엑츄에이터를 하강시키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조로 구성되는 본 발명은, 프레임의 가이드링 하단에 형성된 교량형의 브래킷에 기둥형의 엑츄에이터가 종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누름판의 돌출부에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통해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각 부품 간에 결합되는 가로 폭이 최소화되어 소형의 스위치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형의 스위치 구조체를 필요로 하는 엘리베이터에 장착 가능하여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ELEVATOR SWITCH}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 내부의 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둘레넓이가 작은 소형의 스위치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또는 산업현장 등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방으로 운반하는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내부에는 조작반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조작반에는 엘리베이터의 승하강 조작을 위한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조작의 편의성과 제품의 제조 효율성 등을 위해 다양한 구조의 엘리베이터 스위치가 당업자에 의해 제안된바 있으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2009년 08월 26일자로 특허출원된 '제10-2009-0079063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대해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스위치는, 내부에 각종 부품이 안착되는 프레임(10)과, 다수개의 전장부품과 발광소자 (22)및 텍트스위치(24)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로기판(2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링(30)과, 상기 가이드링(30)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누름판(40)과, 상기 누름판(40)과 연동되어 상기 텍트스위치(24)를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50)와, 상기 엑츄에이터(50)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시키는 리턴스프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엑츄에이터(50)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걸림턱(1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30)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누름판(4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제2걸림턱(32)이 형성되고, 상기 리턴스프링(60)은 상기 누름판(40)과 상기 엑츄에이터(50)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스프링(62) 및 상기 누름판(40)과 상기 프레임(10)의 제1걸림턱(12) 사이에 구비되는 탄발스프링(64)으로 구성되며, 상기 누름판(40)과 상기 엑츄에이터(50)는 일정 간격을 두고 후크 결합되어, 상기 누름판(40)의 외력에 연동되는 상기 엑츄에이터(50)의 압력을 완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는, 누름판에 강한 외력이 가해져 이에 연동되는 엑츄에이터에 직접적인 강한 압력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탄발스프링 및 완충스프링을 통해 상기 엑츄에이터가 완충되면서 상기 완충스프링에 의해 간접적인 압력이 상기 엑츄에이터에 제한적으로 전달되므로 텍트스위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결합구조의 내부에는 완충스프링 및 탄발스프링이 넓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상기 완충스프링의 지지를 위해 누름판의 하부에는 일정 둘레넓이를 가지는 엑츄에이터가 결합되기 때문에 각 부품 간의 폭이 넓어져 스위치 구조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폭이 좁은 소형의 스위치 구조체를 필요로 하는 엘리베이터에 장착 가능하도록 보다 작은 넓이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스위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의 결합구조 내부에서 일정 넓이방향으로 구비 및 결합되는 각 부품 간의 가로 폭을 최소화하여 소형의 스위치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누름판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텍트스위치가 형성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는 교량형의 가이드링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의 하단에는 교량형의 브래킷이 형성되되, 상기 브래킷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기둥형의 엑츄에이터가 삽입되며, 상기 누름판은 하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각 돌출부 사이에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에는 완충부재가 상기 브래킷의 관통공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져, 상기 누름판에 작용하는 외력과 연동하여 상기 엑츄에이터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에는 상방걸림턱이 형성되어져, 상기 돌출부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재는 박막 형태의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조로 구성되는 본 발명은, 프레임의 가이드링 하단에 형성된 교량형의 브래킷에 기둥형의 엑츄에이터가 종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누름판의 돌출부에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통해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각 부품 간에 결합되는 가로 폭이 최소화되어 소형의 스위치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형의 스위치 구조체를 필요로 하는 엘리베이터에 장착 가능하여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측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은 크게, 프레임(200)과, 상기 프레임(20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누름판(400)과, 상기 프레임(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텍트스위치(620)가 형성되는 회로기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0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는 교량형의 가이드링(22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220)의 하단에는 교량형의 브래킷(240)이 형성되되, 상기 브래킷(240)에는 관통공(242)이 형성되어 기둥형의 엑츄에이터(80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400)은 하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부(420)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링(22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각 돌출부(420) 사이에는 복수개의 결합홈(440)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440)에는 완충부재가 상기 브래킷(240)의 관통공(242)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져, 상기 누름판(400)에 작용하는 외력과 연동하여 상기 엑츄에이터(80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위치의 내부에서 일정 넓이방향으로 구비 및 결합되는 각 부품 간의 가로 폭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종래의 엘리베이터 스위치에 비해 폭이 더 좁은 소형을 스위치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형의 스위치 구조체를 필요로 하는 엘리베이터에 장착 가능하여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응할 수 있게 되며, 부품의 개수 및 결합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공정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파생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프레임(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200)은 각종 부품의 결합 및 안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구조로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는 교량형의 가이드링(22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220)의 하단에는 교량형의 브래킷(2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00)의 내측 둘레면과 가이드링(220) 사이에는 리턴스프링(500)이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리턴스프링(500)은 상기 누름판(400)을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누름판(40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리턴스프링(50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누름판(400)의 돌출부(420)에 결합된 완충부재(700)가 엑츄에이터(80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간극을 두고 떠 있게 되고, 상기 누름판(400)에 압력이 가해질 때에는 상기 리턴스프링(500)에 의해 완충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엑츄에이터(800)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0)의 내측에는 하방걸림턱(26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하방걸림턱(260)은 상기 누름판(40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여 외압에 의해 과도한 압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누름판(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누름판(400)은 엘리베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기계적인 신호인 외력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외부에는 숫자, 기호, 점자 등이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표기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200)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판(400)의 상부에는 박막 형태의 커버(300)가 별도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커버(300)가 상기 누름판(400)상에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400)의 돌출부(420) 끝단에는 걸림돌기(4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걸림돌기(422)는 상기 가이드링(220)의 내측에 형성된 상방걸림턱(222)에 의해 상방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누름판(40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판(400)의 돌출부(420) 사이에는 복수개의 결합홈(440)이 형성되어 완충부재(700)가 결합되는데, 상기 완충부재(700)는 박막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판스프링 형태의 완충부재(700)는 누름판(400)에 발생하는 압력에 따라 엑츄에이터(800)를 아래로 밀어내어 상기 엑츄에이터(800) 하부에 위치한 텍트스위치(620)가 눌러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700)는 엑츄에이터(800)와 접촉시 압력을 완충시키면서 아래로 밀어내기 때문에 상기 텍트스위치(620)가 엑츄에이터(80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누름판(800)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여 완충부재(700)가 엑츄에이터(800)에 강하게 충돌할 경우에는 상기 완충부재(700)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800)로 인해 텍트스위치(620)가 손상될 수 있는 충격이 가해지기 전에 완충부재(700)에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상기 텍트스위치(62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700)가 강한 충격에 의해 휘어지거나 부러진다고 하더라도 얇은 박막 형태의 완충부재(700)는 교체가 쉬울 뿐만 아니라 저가이기 때문에, 텍트스위치(620)가 손상되는 것에 비하여 사후 관리가 훨씬 더 간편해지고 비용적으로도 많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회로기판(6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회로기판(620)은 엘리베이터의 조작을 위한 각종 전장부품이 집적되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중앙에는 텍트스위치(620)가 장착되고, 상기 텍트스위치(620)의 주변에는 저항과 콘덴서 및 외부에 빛을 표출시키는 발광소자 등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텍트스위치(620)는 상술한 엑츄에이터(800)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기계적인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엘리베이터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의 결합구조 내부에서 일정 넓이방향으로 구비 및 결합되는 각 부품 간의 가로 폭을 최소화하여 소형의 스위치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며,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작동원리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에 해당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 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라면 하기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프레임 12: 제1걸림턱
20: 회로기판 22: 발광소자
24: 텍트스위치 26: 나사
30: 가이드링 32: 제2걸림턱
40: 누름판 50: 엑츄에이터
60: 리턴스프링 62: 완충스프링
64: 탄발스프링
200: 프레임 220: 가이드링
222: 상방걸림턱 240: 브래킷
242: 관통공 260: 하방걸림턱
300: 커버 400: 누름판
420: 돌출부 422: 걸림돌기
440: 결합홈 500: 리턴스프링
600: 회로기판 620: 텍트스위치
700: 완충부재 800: 엑츄에이터

Claims (3)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누름판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텍트스위치가 형성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는 교량형의 가이드링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의 하단에는 교량형의 브래킷이 형성되되, 상기 브래킷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기둥형의 엑츄에이터가 삽입되며,
    상기 누름판은,
    하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각 돌출부 사이에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에는 완충부재가 상기 브래킷의 관통공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져, 상기 누름판에 작용하는 외력과 연동하여 상기 엑츄에이터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에는 상방걸림턱이 형성되어져, 상기 돌출부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박막 형태의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KR1020100096508A 2010-10-04 2010-10-04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KR101160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508A KR101160655B1 (ko) 2010-10-04 2010-10-04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508A KR101160655B1 (ko) 2010-10-04 2010-10-04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037A KR20120035037A (ko) 2012-04-13
KR101160655B1 true KR101160655B1 (ko) 2012-06-28

Family

ID=4613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508A KR101160655B1 (ko) 2010-10-04 2010-10-04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6144A (zh) * 2015-01-30 2015-04-29 杨立涛 一种按键及键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4861A (ja) * 1998-04-27 1999-11-16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押しボタン
KR20040072546A (ko) * 2004-07-21 2004-08-18 오재학 엘리베이터용 누름버튼
KR20080026269A (ko) * 2006-09-20 2008-03-25 삼성전기주식회사 입력장치
KR20110010056U (ko) * 2010-04-19 2011-10-26 우진전장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4861A (ja) * 1998-04-27 1999-11-16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押しボタン
KR20040072546A (ko) * 2004-07-21 2004-08-18 오재학 엘리베이터용 누름버튼
KR20080026269A (ko) * 2006-09-20 2008-03-25 삼성전기주식회사 입력장치
KR20110010056U (ko) * 2010-04-19 2011-10-26 우진전장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037A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5024168B1 (pt) Mecanismo de levantamento de tecla para um módulo de tecla, módulo de tecla e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 módulo de tecla
KR200494466Y1 (ko) 중간 발광 키 스위치
JP6708153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US20140118989A1 (en) Backlight module and keyboard
KR101160655B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CN107610966B (zh) 薄膜式按键开关
US9620306B2 (en) Magnetic keyboard
KR101208699B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KR200460554Y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 장치
US20120305376A1 (en) Press key
CN111095459A (zh) 按键开关
CN205789615U (zh) 一种电梯用防暴防冲击控制按钮
US9633805B2 (en) Pushbutton switch
KR101602805B1 (ko) 엘리베이터용 리미트 스위치의 브라켓
KR101076450B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US8267570B2 (en) Fixed base and lighting device utilizing the same
US20130256106A1 (en) Button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2592582A (zh) 一种数码钢琴脚踏板
KR101891151B1 (ko) 키 버튼 장치
KR101808220B1 (ko) 박형 키보드 누름 구조체
CN101699599A (zh) 新型按钮开关
KR200237258Y1 (ko) 엘리베이터용 스위치
KR100504659B1 (ko)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KR200433535Y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
JP2008305694A (ja) 携帯電子機器のスイッチ作動用ゴムキーの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