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6269A -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6269A
KR20080026269A KR1020060091012A KR20060091012A KR20080026269A KR 20080026269 A KR20080026269 A KR 20080026269A KR 1020060091012 A KR1020060091012 A KR 1020060091012A KR 20060091012 A KR20060091012 A KR 20060091012A KR 20080026269 A KR20080026269 A KR 20080026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hole
elastic member
input device
moving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6713B1 (ko
Inventor
임성환
윤영수
이욱희
나기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713B1/ko
Priority to FI20075634A priority patent/FI20075634A/fi
Priority to US11/898,914 priority patent/US20080068337A1/en
Publication of KR20080026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는 입력장치가 개시된다. 관통공을 구비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관통공을 통해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평면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부 이동키와,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부 이동키를 지지하며, 상부 이동키가 관통공의 중심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부 이동키를 중심으로 복귀하게 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부 이동키와 결합하는 하부 이동키를 포함하고, 상부 이동키의 이동에 대응하는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장치는 조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장치 전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다.
입력장치, 홀 IC, 마그네트

Description

입력장치{INPUT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선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에서 상부 이동키가 커버의 관통공 중앙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에서 상부 이동키가 커버의 관통공 중앙에서 편심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 부호의 설명>
10: 입력장치 11: 상부 이동키
13: 헤드부 15: 몸통부
17: 마그네트 19: 커버
23: 관통공 25: 걸림돌기
27: 탄성부재 29: 몸통부
31: 지지부 33: 암
34: 로드 35 마그네트 삽입부
38: 돌출부 39: 인쇄회로기판
41: 고정홀 42: 리드선
47: 베이스 48: 기판 고정돌기
49: 소자 삽입공 51: 보스
53: 단턱 55: 커버 고정홈
57: 홀 소자 61: 하부 이동키
63: 결합돌기 65: 센터 홀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개인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 있다. 즉,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 등은 숫자 및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해 복수 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눌러서 전화번호 또는 문자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최근 WIBRO(Wireless Broadband) 서비스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 용화됨에 따라, 개인 휴대 단말기에도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지원하는 윈도우 운용체계가 채용되었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위한 운영체계로는 Windows CE 등이 있다. 또한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개인 휴대 단말기는 위성 방송의 송신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구비하게 되었으며, 상기와 같은 부가 서비스의 편리한 운용을 위해서도 GUI를 지원하는 윈도우 운영체계가 채용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복잡해지고 입력해야 하는 정보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입력이 용이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은 힘으로도 조작이 용이한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관통공을 통해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평면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부 이동키와,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부 이동키를 지지하며, 상부 이동키가 관통공의 중심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부 이동키를 중심으로 복귀하게 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부 이동키와 결합 하는 하부 이동키를 포함하고, 상부 이동키의 이동에 대응하는 정보가 입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는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 및 커버와 결합하는 베이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탄성부재는 상부 이동키 및 하부 이동키와 결합하는 몸통부와, 몸통부의 둘레에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복수 개의 암을 포함하고, 암은 베이스에 형성된 보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암은 몸통부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함으로써 상부 이동키 및 하부 이동키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암은 몸통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분기되며 몸통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3개의 암으로 이루어져서 상부 이동키 및 하부 이동키의 흔들림 또는 롤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의 몸통부 및 암은 실리콘 고무 등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의 몸통부의 일면에는 마그네트 삽입부가 돌출되어 상부 이동키에 삽입되고, 마그네트 삽입부의 내부에는 마그네트가 삽입되며, 하부 이동키의 하부에는 마그네트의 이동을 인식하는 검출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이동키 및 탄성부재는 상호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을 가지고, 하부 이동키는 결합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돌기를 가져서 탄성부재 및 상부 이동키와 순차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탄성부재의 이면에는 하향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이동키에는 돌출부에 대응하는 센터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는 센터 홀에 삽입되어 고정 될 수 있다. 상부 이동키는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몸통부를 가지고, 몸통부는 케이스의 내면과 접함으로써 상부 이동키 및 하부 이동키의 흔들림 또는 롤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 이동키는 인쇄회로기판과 접하게 함으로써 하부 이동키의 흔들림 또는 롤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커버(19) 및 베이스(47)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케이스를 가지고 중앙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 이동키(1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수평 방향이란, 커버(19)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입력장치(10) 케이스 내부에서 외부로 리드선(42)이 연장되어 있는데, 리드선(42)은 케이스 내부의 인쇄회로기판(도 2의 39 참조)에서 연장되어 외부 기기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휴대용 전화기(도시하지 않음) 등에 장착되며, 상부 이동키(11)의 이동 방향에 따라 휴대용 전화기의 액정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포인터(pointer) 또는 커서(cursor)가 임의의 방향으로 이 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상부 이동키(11)를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이 용이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케이스를 형성하는 커버(19) 및 베이스(47)가 외체를 형성한다. 커버(19) 및 베이스(47)는 원형 형상을 가지며, 상호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구비한 원통 형상의 기둥을 형성한다. 그리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홀 소자(57), 인쇄회로기판(39), 하부 이동키(61), 탄성부재(27), 마그네트(17), 그리고 상부 이동키(11)가 위치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하부 이동키(11) 및 상부 이동키(61)가 임의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에 연동하여 마그네트(17)가 이동한다. 마그네트(17)의 이동은 홀 소자(57)에 의해 감지되어 커서 또는 포인터 등을 이동하게 하는 신호를 생성하게 한다. 그리고 상부 이동키(11)가 원래의 위치에서 이동하면 탄성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탄성부재(27)는 탄성고무 등을 이용하여 프레스 공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며, 상부 이동키(11)와 결합하여 함께 이동하는 몸통부(29)가 암(33)에 의해 연결되어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한 후 탄성력에 의해 원상으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상부 이동키(11)가 평면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탄성부재(27)에 의해 원상으로 복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탄성부재(27)가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되고 그 두께가 얇기 때문에, 입력 장치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27)는 상부 이동키(11) 및 하부 이동키(61) 사이에 위치하는데, 하부 이동키(61)의 결합돌기(63)가 상부 이동키(11)의 결합공(16) 및 탄성부재(27)의 결합공(31)에 삽입됨으로써 하부 이동키(61), 탄성부재(27) 그리고 상부 이동키(11)의 결합이 유지된다. 그리고 상부 이동키(11)는 커버(19)의 일면과 접하고 하부 이동키(61)는 인쇄회로기판(39)의 일면과 접하기 때문에 상부 이동키(11) 및 하부 이동키(61)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19)는 베이스(47)와 결합하여 입력장치(10)의 케이스를 형성한다. 커버(19)는 중앙에는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둘레에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25)가 하향 돌출되어 있는데, 걸림돌기(25)는 베이스(47)의 커버 고정홈(55)에 삽입된다. 걸림돌기(2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에 후크(hook) 형상을 가지고 커버 고정홈(55)에 걸림된다.
커버(19)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23)을 통해서는 상부 이동키(11)의 헤드부(13)가 외부로 노출된다. 관통공(23)의 직경은 헤드부(13)의 직경에 비해 크기 때문에, 헤드부(13)가 관통공(23)의 내부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부 이동키(11)는 관통공(23)의 중앙에 위치하고(도 4a 참조), 외력이 가해진 후 제거되면 탄성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해 관통공(23)의 중심으로 원상 복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3)을 통해서는 상부 이동키(11)의 헤드부(13)가 외부로 노출되며, 관통공(23)은 항상 상부 이동키(11)의 헤드부(13) 또는 몸통부(15)에 의해 밀폐된다. 그리고 관통공(23)과 상 부 이동키(11)의 사이에는 실리콘과 같은 완충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개재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19)는 원형 형상을 가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장치(10)가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 설계 조건 등에 따라서 다각형 또는 타원 형상 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관통공(23)의 형상도 원형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타원 형상 등을 가질 수 있고, 이때 상부 이동키(11)의 헤드부(13) 형상도 이에 대응하여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이동키(11)는 커버(19)의 관통공(23)에 위치하는 헤드부(13) 및 헤드부(13)의 하면에 형성된 몸통부(15)를 포함한다. 상부 이동키(11)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에 연동하여 마그네트(17)가 이동하기 때문에 상부 이동키(11)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이 이루어진다.
헤드부(13)는 관통공(23)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이면에는 마그네트 삽입부(35)에 삽입되는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13)는 관통공(23)의 내부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거리는 관통공(23)과 헤드부(13) 직경의 차에 해당한다. 헤드부(13)의 중앙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관통공(23)의 중앙에 위치한다(도 4a 참조). 그리고 헤드부(13)의 상면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가락을 헤드부(13)의 상면에 대고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면 이에 따라서 상부 이동키(11) 전체가 이동하게 된다.
몸통부(15)는 헤드부(13)와 일체로 형성되며 원판 형상을 갖는다. 몸통부(15)의 저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7)의 몸통부(29)의 상면과 접한다. 그리고 몸통부(15)에는 결합공(16)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공(16)에는 하부 이동키(61)의 결합돌기(63)가 탄성부재(27)의 결합공(31)을 관통한 후 삽입됨으로써, 하부 이동키(61), 탄성부재(27) 및 상부 이동키(11)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탄성부재(27)의 마그네트 삽입부(35)에 위치하는 마그네트(17)는 상부 이동키(11)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마그네트(17)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선은 홀 소자(57)에 의해 감지되기 때문에, 마그네트(17)의 이동에 상응하는 이동 신호가 생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에서 상부 이동키(11)가 관통공(23)의 중심에 위치하는 경우 마그네트(17)의 중심과 헤드부(13) 및 관통공(23)의 중심은 일치한다.
탄성부재(27)는 탄성고무 등을 프레스(press) 가공하여 제작되고 일체로 형성된 몸통부(29) 및 암(33)을 구비한다. 탄성부재(27)는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되는데, 실리콘 고무는 성형성이 좋고 인장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탄성부재(27)는 베이스(47)에 고정되고 상부 이동키(11)와 결합되어 상부 이동키(11)가 원래의 위치에서 이탈하는 경우 탄성력을 제공하여 관통공(23)의 중심으로 원상 복귀하게 한다. 탄성부재(27)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두께가 얇기 때문에 입력장치(10) 전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몸통부(29)는 얇은 원판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는 마그네트 삽입부(35)가 상향 돌출되어 있다. 마그네트 삽입부(35)의 내부에는 마그네트(17)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 삽입부(35)의 외주면에는 상부 이동키(11)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부 이동키(11)와 몸통부(29)가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게 된다. 몸통부(29)의 외주면에는 그 접선 방향으로 암(33)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몸통부(29)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하부 이동키(61)의 센터 홀(65)에 삽입됨으로써 하부 이동키(61)와 탄성부재(27)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암(33)은 몸통부(29)의 외주면에 접선 방향을 따라 분기하는 한 쌍의 로드(34)로 이루어지며 "∧" 형상을 가진다. 암(33)은 흔들림 방지를 위해서 적어도 3개가 구비되어야 하며, 도 2에는 몸통부(29)의 둘레에 4개의 암(33)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암(33)은 탄성고무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에 몸통부(29)가 원래의 위치(관통공(23)의 중심)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탄성력을 제공하여 원래의 위치로 원상 복귀하게 한다. 암(33)의 단부에는 고정공(37)이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공(37)에는 베이스(47)에 형성된 보스(51)가 삽입됨으로써 탄성부재(27)가 고정된다.
암(33)은 한 쌍의 로드(34)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몸통부(29)의 이동에 의해 암(33)이 수축되어 몸통부(29)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몸통부(29)의 롤링(rolling)을 방지할 수 있다. 암(33)이 하나의 로드로 이루어져 몸통부(29)를 지지하는 경우 직선으로 배열된 암(33)을 중심 축으로 하여 지지부(31)가 회전 하는 롤링이 발생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9)은 외부의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홀 소자(57)에 의해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인쇄회로기판(39)의 하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소자(57)가 부착된다. 인쇄회로기판(39)에는 베이스(47)의 기판 고정돌기(48)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41)이 형성되어 있어서, 인쇄회로기판(39)이 베이스(47)에 대해 고정된다. 인쇄회로기판(39)의 상면은 하부 이동키(61)의 하면과 접한 상태에서 평면 이동한다. 이로 인해 하부 이동키(61)의 롤링 또는 흔들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홀 소자(57)는 인쇄회로기판(39)의 저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상부 이동키(11)와 함께 이동하는 마그네트(17)의 이동을 감지한다. 홀 소자(57)는 마그네트(17)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력선에 대응하는 기전력을 발생하여 인쇄회로기판(29)을 통하여 외부의 제어장치(미도시)로 전달한다.
홀 소자(57)를 대신하는 감지소자로는 MR센서 또는 GMR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MR 센서 또는 GMR 센서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소자로서, 고체속의 캐리어 진로가 전자력에 의해 휘어져 길어지기 때문에 저항이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MR 센서 또는 GMR 센서는 크기가 작고 신호 레벨이 클 뿐만 아니라 민감도가 우수하여 저자계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온도 안정성(temperature stability)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하부 이동키(61)는 상부 이동키(11)의 몸통부(15)에 대응하는 원판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는 센터홀(65)이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7) 에 형성된 돌출부(38)가 센터홀(65)에 삽입된다. 그리고 센터홀(65)의 일측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63)가 상향 돌출되어 있으며, 결합돌기(63)는 탄성부재(27)의 결합공(31) 그리고 상부 이동키(11)의 결합공(31)에 각각 삽입되어, 하부 이동키(61), 탄성부재(27) 및 상부 이동키(11)가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하부 이동키(61)의 하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9)의 상면과 접하기 때문에, 하부 이동키(61)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베이스(47)는 원판 형상을 가지고 커버(19)와 결합하여 케이스를 형성하며, 중앙에는 소자 삽입공(49)이 형성되어 있다. 소자 삽입공(49)에는 홀 소자(57)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베이스(47)의 내부에는 탄성부재(27)의 고정홀(37)에 삽입되는 보스(51) 및 인쇄회로기판(39)의 고정홀(41)에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39)을 고정하는 기판 고정돌기(4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47)의 일측에는 인쇄회로기판(39)의 리드선(42)이 연장될 수 있는 단턱(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47)의 둘레에는 커버(19)의 걸림돌기(25)가 걸림 되는 커버 고정홈(55)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원통형의 케이스를 구비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고 입력장치(10)가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 등의 내부 공간을 케이스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19)의 관통공(23)의 내주면과 상부 이동키(11)의 헤 드부(13)의 외주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이동키(11)의 헤드부(13)는 관통공(23)의 내부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이동키(11)의 몸통부(15)는 커버(19)의 하면과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상부 이동키(11)의 이탈 및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27)의 몸통부(29)와 상부 이동키(11)의 헤드부(13) 결합 부분에는 마그네트(17)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이동키(11), 마그네트(17), 몸통부(29), 그리고 하부 이동키(6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몸통부(29)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암(33)에 의해 지지되어 관통공(23)의 중앙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상부 이동키(11)를 임의의 방향(도 4b에서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암(33)은 수축하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암(33)은 인장되어 몸통부(29)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암(33)은 몸통부(29) 외주면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몸통부(29)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그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상부 이동키(11) 및 하부 이동키(61)가 암(33)의 압축력이 아닌 인장력에 의해서 복원하기 때문에 상부 이동키(11)를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힘이 적게 소요된다.
그리고 몸통부(29)의 이동에 따라 마그네트(17)가 이동하면 홀 소자(57)가 이를 인식하기 때문에 몸통부(29)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가 생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상부 이동키(11)를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입력을 수행하기 때문에 입력이 편리하다. 그리고 박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프레스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탄성부재(27)를 이용하기 때문에 입력장치(10)의 두께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몸통부(29)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암(33)이 몸통부(29) 외주면에 접선 방향으로 결합되어 몸통부(29)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감이 우수하고 암(33)의 인장력에 의해 상부 이동키(11) 및 하부 이동키(61)가 복원하기 때문에, 상부 이동키(11)의 작동에 필요한 힘이 적게 든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예와 수정 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입력이 용이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적은 힘으로도 조작이 용이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관통공을 구비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관통공을 통해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평면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부 이동키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이동키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이동키가 상기 관통공의 중심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이동키를 중심으로 복귀하게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이동키와 결합하는 하부 이동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이동키의 이동에 대응하는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상부 이동키 및 상기 하부 이동키와 결합하는 몸통부 와; 상기 몸통부의 둘레에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복수 개의 암을 포함하고,
    상기 암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보스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몸통부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몸통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분기되며 상기 몸통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3개의 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및 상기 암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일면에는 마그네트 삽입부가 돌출되어 상기 상부 이동키에 삽입되고, 상기 마그네트 삽입부의 내부에는 마그네트가 삽입되며,
    상기 하부 이동키의 하부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이동을 인식하는 검출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동키 및 상기 탄성부재는 상호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을 가지고,
    상기 하부 이동키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돌기를 가져서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상부 이동키와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이면에는 하향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이동키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센터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센터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동키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몸통부를 가지고,
    상기 몸통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이동키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KR1020060091012A 2006-09-20 2006-09-20 입력장치 KR100816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012A KR100816713B1 (ko) 2006-09-20 2006-09-20 입력장치
FI20075634A FI20075634A (fi) 2006-09-20 2007-09-12 Syöttölaite
US11/898,914 US20080068337A1 (en) 2006-09-20 2007-09-17 Input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012A KR100816713B1 (ko) 2006-09-20 2006-09-20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269A true KR20080026269A (ko) 2008-03-25
KR100816713B1 KR100816713B1 (ko) 2008-03-27

Family

ID=3857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012A KR100816713B1 (ko) 2006-09-20 2006-09-20 입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068337A1 (ko)
KR (1) KR100816713B1 (ko)
FI (1) FI200756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55B1 (ko) * 2010-10-04 2012-06-28 (주)이엘에스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1730B2 (ja) * 2001-01-19 2008-07-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携帯型情報機器
KR101404745B1 (ko) * 2007-10-15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091068B1 (ko) 2009-03-09 2011-12-08 괴산두레식품(자)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이용한 육가공 제품의 제조방법
US20120086635A1 (en) * 2009-03-11 2012-04-12 Innochips Technology Co., Ltd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02376477B (zh) * 2010-08-12 2014-03-2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按键结构及具有该按键结构的电子装置
CN102376481B (zh) * 2010-08-12 2014-03-2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按键结构及具有该按键结构的电子装置
US9569002B2 (en) 2010-12-17 2017-02-14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sensor arrangement for gesture recognition
JP2013182425A (ja) * 2012-03-01 2013-09-12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JP2013182424A (ja) * 2012-03-01 2013-09-12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CN107526452B (zh) * 2017-07-28 2020-07-31 惠州华阳通用电子有限公司 一种软硅胶按键按压位置的确定方法
CN111834150B (zh) * 2019-04-17 2023-01-06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按键组件、控制结构及风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5257A (ja) * 1994-10-31 1996-07-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座標入力装置
EP1136939A3 (en) * 2000-03-14 2004-04-14 Alps Electric Co., Ltd. Capacitance change-based input device and detection device
JP4121730B2 (ja) * 2001-01-19 2008-07-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携帯型情報機器
KR100582128B1 (ko) * 2001-04-19 2006-05-22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포인팅 장치
KR100396518B1 (ko) * 2001-07-27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0827621B1 (ko) * 2006-04-27 2008-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입력장치
KR100783469B1 (ko) * 2006-11-29 2007-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55B1 (ko) * 2010-10-04 2012-06-28 (주)이엘에스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075634A0 (fi) 2007-09-12
KR100816713B1 (ko) 2008-03-27
US20080068337A1 (en) 2008-03-20
FI20075634A (fi) 200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713B1 (ko) 입력장치
KR100827621B1 (ko) 입력장치
KR100789725B1 (ko) 입력장치
US9232672B2 (en) Ceramic insert control mechanism
EP1193643A1 (en) Control device
EP1081922A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120049630A (ko) 다방향 입력 장치
JP2001159953A (ja) 座標入力装置
WO2002086694A1 (en) Pointing device
JP2002149336A (ja) 座標入力装置
US9257765B2 (en) Connector pin on springs
CN101495947A (zh) 具有可移动磁盘的指点装置及方法
JP2008148271A (ja) スライド型携帯端末
US20080280640A1 (en) Inductive joystick
JP2018205150A (ja) 電子機器及びウェアラブル機器
JP4612281B2 (ja) 位置検出装置
US20100175974A1 (en) Low profile multi-directional key unit structure
US10659577B2 (en) Hinge for a foldable-type mobile device
CN115394582A (zh) 非接触式开关及电子设备
EP2439616A1 (en) Multi-direction input device
US11378470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orce-sensing apparatus
JP2006049015A (ja) 入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160942B1 (ko) 복합 포인팅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0867030B1 (ko) 회전식 입력장치
JPWO2003012918A1 (ja) アンテナ切替装置および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