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725B1 -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725B1
KR100789725B1 KR1020060043255A KR20060043255A KR100789725B1 KR 100789725 B1 KR100789725 B1 KR 100789725B1 KR 1020060043255 A KR1020060043255 A KR 1020060043255A KR 20060043255 A KR20060043255 A KR 20060043255A KR 100789725 B1 KR100789725 B1 KR 100789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ver
center
hole
dom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0587A (ko
Inventor
나기룡
이욱희
최민웅
전영진
임성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725B1/ko
Priority to CN2007101037075A priority patent/CN101075505B/zh
Priority to JP2007129268A priority patent/JP4500829B2/ja
Publication of KR20070110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36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 H01H2203/038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to be bridged by a dome shaped contact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는 입력장치가 개시된다. 관통공을 구비하는 케이스,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평면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센터키, 센터키와 결합하여 함께 이동하며 외측을 향해서 N극 및 S극 중 적어도 하나의 극이 착자되는 제1마그네트, 케이스에 고정되며, 내측을 향해 N극 및 S극 중 제1마그네트와 동일한 극이 착자되는 제2마그네트, 제1마그네트의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소자를 포함하는 입력장치는 입력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박형화가 가능하다.
입력장치, 홀 IC, 마그네트

Description

입력장치{INPUT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선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에서 센터키가 관통공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에서 센터키가 관통공의 중앙에서 편심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
<도면 부호의 설명>
10: 입력장치 11: 센터키
13: 헤드부 14: 마그네트 결합부
15: 몸통부 17: 제1마그네트
18: 제2마그네트 19: 커버
21: 사이드키 23: 관통공
25: 걸림돌기 27: 지지부재
32: 홀 35: 마그네트 삽입부
36: 가압돌기 37: 고정홀
39: 인쇄회로기판 41: 고정홀
42: 리드선 43: 센터 돔버튼
45: 사이드 돔버튼 47: 베이스
48, 51: 고정돌기 49: 소자삽입공
53: 단턱 55: 커버 고정홈
57: 검출소자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많은 전자 기기에서 포인팅(pointing) 장치라고 하는 입력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서 커서(cursor) 또는 포인터(pointer)를 움직임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커서 또는 포인터 등과 같은 제어하고자 하는 물체를 길 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이와 같은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고 이를 커서 또는 포인터를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으로 변환한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 적용된 제품들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입력장치는 커서 또는 포인터 등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뿐만 아니라 사선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필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입력장치는 포인터를 사선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정보의 입력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포인터 또는 커서를 좌우 상하의 4방향 뿐만 아니라 45도의 각도로 이동시킬 수 있는 8방향의 입력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 역시 정보의 자유로운 입력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마우스(mouse) 또는 트랙 볼(track ball) 등을 이용하여 커서 또는 포인터 등을 이용하는 장치도 있으나, 이와 같은 마우스 또는 트랙볼 등은 조작을 위해서 볼 등을 수 차례 회전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날로 소형화, 박형화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조이스틱(joystick)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조작을 위해 레버를 간단히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마우스 또는 트랙볼 등에 비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이 역시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소형의 전자 기기에 적용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입력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케이스,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평면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센터키, 센터키와 결합하여 함께 이동하며 외측을 향해서 N극 및 S극 중 적어도 하나의 극이 착자되는 제1마그네트, 케이스에 고정되며, 내측을 향해 N극 및 S극 중 제1마그네트와 동일한 극이 착자되는 제2마그네트, 제1마그네트의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마그네트와 제2마그네트는 케이스에 고정되어 센터키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마그네트는 N극 또는 S극 중 하나가 내주면에 다른 하나가 외주면에 착자된 링 형상을 가지고, 제2마그네트는 내주면의 지름이 제1마그네트의 외주면의 지름에 비해 크며, 내주면에는 제1마그네트와 동일한 극이 착자된 링 형상의 마그네트일 수 있다.
케이스는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 및 커버와 결합하는 베이스로 이루어지고, 커버는 베이스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유격이 가능하며, 베이스에 고정되며 일면에는 커버의 유격에 의해 가압되는 적어도 하나의 돔버튼이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키는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 헤드부에 연해서 형성되며 관통공에 비해 큰 지름을 갖는 몸통부, 몸통부의 하면에서 돌출되며 제1마그네트와 결합하는 마그네트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는 그 내주면에 제2마그네트가 고정되고, 제2마그네트의 일면은 지지부재와 접할 수 있다. 지지부재의 저면에는 돔버튼과 접하는 가압돌기가 하향 돌출되어 있으며, 커버의 상면에는 가압돌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이드키가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에는 중앙 돔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며, 중앙 돔버튼은 지지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가압돌기에 의해 작동할 수 있고, 검출소자는 인쇄회로기판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는 검출소자가 삽입되는 소자 삽입홈을 가질 수 있으며, 베이스는 그 내부에 복수 개의 고정돌기를 가지고, 지지부재에는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는 그 내부에 복수 개의 고정돌기를 가지고, 인쇄회로기판에는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는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 및 커버와 결합하는 베이스로 이루어지고, 커버는 베이스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유격이 가능하며, 베이스에 고정되며 일면에는 커버의 유격에 의해 가압되는 센터 돔버튼 및 사이드 돔버튼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센터키의 이면에는 센터 돔버튼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의 이면에는 사이드 돔버튼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사이드 돔버튼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돔버튼은 일정한 높이를 갖는 평탄면을 갖 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커버(19) 및 베이스(47)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케이스를 가지고 중앙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센터키(11)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수평 방향이란, 커버(19)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커버(19)의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사이드키(21)가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사이드키(21)를 가압하면 커버(19)의 이면에 구비된 돔버튼(도 2의 45 참조)이 눌려져서 일정한 기능이 수행된다. 그리고 센터키(11)를 눌러서 돔버튼(도 2의 43 참조)을 추가로 가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휴대용 전화기(미도시) 등에 장착되며, 센터키(11)의 이동 방향에 따라 휴대용 전화기의 액정 표시장치(미도시)의 포인터(pointer) 또는 커서(cursor)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센터키(11) 및 사이드키(21)의 가압에 의해서도 입력장치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입력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입력장치(10)의 내부에는 돔버튼 등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도 2의 39 참조)이 구비되어 있는데, 인쇄회로기판은 외부의 제어장치(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리드선(42)이 입력장치(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케이스를 형성하는 커버(19) 및 베이스(47)의 내부에 감지소자(57), 인쇄회로기판(39), 지지부재(27), 제1마그네트(17) 및 제2마그네트(18), 그리고 센터키(11)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센터키(11)가 임의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에 연동하여 제1마그네트(17)가 이동한다. 제1마그네트(17)의 이동은 감지소자(57)에 의해 감지되어 커서 또는 포인터 등을 이동하게 하는 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센터키(11)가 원래의 위치에서 이동하면 지지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센터키(11)의 둘레에는 링 형상의 제1마그네트(17)가 삽입되어 있고, 커버(19)에는 링 형상의 제2마그네트(18)가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그네트(17)의 외주면 및 제2마그네트(18)의 내주면은 대향하고 동일한 극이 착자되어 있다. 따라서 센터키(11)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관통공(23)의 중심에서 일정 정도 편심되는 경우 제1마그네트(17) 및 제2마그네트(18) 사이에 발생하는 척력(repulsive force)에 의해 제1마그네트(17) 및 센터키(11)가 관통공(23)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하는 힘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센터키(11)가 평면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1마그네트(17) 및 제2마그네트(18) 사이에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원상으로 복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제1마그네트(17) 및 제2마그네트(18)의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입력장치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입력장치 전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커버(19)는 베이스(47)와 결합하여 입력장치(10)의 케이스를 형성한다. 커버(19)는 중앙에 관통공(23)을 가지고, 관통공(23)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사이드키(2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19)의 둘레에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25)가 하향 돌출되어 있는데, 걸림돌기(25)는 베이스(47)의 커버고정홈(55)에 삽입된다. 또한, 커버의 내주면에는 제2마그네트(18)가 고정된다. 커버(19)는 내부의 부품들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47)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유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이드키(21)를 눌러서 사이드 돔버튼(45)을 가압할 수 있다.
커버(19)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23)을 통해서는 센터키(11)의 헤드부(13)가 외부로 노출된다. 관통공(23)의 직경은 센터키(11)의 헤드부(13)의 직경에 비해 크기 때문에, 헤드부(13)가 관통공(23)의 내부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센터키(1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센터키(11)는 관통공(23)의 중앙에 위치하고(도 4a 참조), 외력이 가해진 후 제거되면 제1마그네트(17) 및 제2마그네트(18) 사이에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관통공(23)의 중심으로 원상 복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3)을 통해서는 센터키(11)의 몸통부(15)가 외부로 노출되며, 관통공(23)은 항상 센터키(11)의 헤드부(13) 또는 몸통부(15)에 의해 밀폐된다. 그리고 관통공(23)과 센터키(11)의 사이에는 실리콘과 같은 완충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도 있다.
사이드키(21)는 관통공(23)의 둘레를 따라서 90도의 간격을 가지고 4개가 배 치되어 있다. 사이드키(21)는 지지부재(27)의 가압돌기(도 3의 36 참조)의 위치에 대응하기 때문에 사이드키(21)의 가압에 의해 가압돌기(36)가 사이드 돔버튼(45)을 가압하게 된다.
커버(19)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하향 돌출된 걸림돌기(25)는 베이스(47)의 커버고정홈(55)에 걸림된다(도 3 참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5)의 일단부는 후크(hook) 형상을 가지고 커버고정홈(55)에 걸림되기 때문에, 커버(19)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유격이 가능하다.
센터키(11)는 커버(19)의 관통공(23)에 위치하는 헤드부(13) 및 헤드부(13)의 하면에 형성된 몸통부(15), 그리고 몸통부(15)의 하면에서 돌출된 마그네트 결합부(14)를 포함한다. 센터키(11)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에 연동하여 제1마그네트(17)가 이동하기 때문에 센터키(11)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센터키(11)는 사용자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가압 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부재(27)의 하면에 형성된 가압돌기(36)가 센터 돔버튼(43)을 가압하게 한다.
헤드부(13)는 관통공(23)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실린더 형상을 가진다. 헤드부(13)의 상면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며, 그 이동 거리는 관통공(23)과 헤드부(13) 직경의 차에 해당한다. 헤드부(13)의 중심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관통공(23)의 중심에 위치한다(도 4a 참조).
몸통부(15)는 헤드부(13)의 저면에 연해서 형성되며 원판 형상을 갖는다. 몸통부(15)의 저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7)의 상면과 접한다.
마그네트 삽입부(14)는 몸통부(15)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며, 일정한 직경을 갖는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마그네트 삽입부(14)의 하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7)의 상면과 접하기 때문에 센터키(11)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 삽입부(14)에는 제1마그네트(17)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제1마그네트(17)는 센터키(11)와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제1마그네트(17)는 링 형상을 가지고 외주면 및 내주면에 N극 및 S극이 각각 착자되어 있다. 마그네트(17)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선은 감지소자(57)에 의해 감지된 후 이에 상응하는 이동 신호가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에서 센터키(11)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3)의 중심에 위치하는 경우 제1마그네트(17)의 중심과 헤드부(13) 및 관통공(23)의 중심은 일치한다.
그리고 제1마그네트(17)의 내주면 및 제2마그네트(18)의 외주면에는 동일한 극(도 3에서는 N극)이 대향되도록 착자되어 있다. 따라서 제1마그네트(17) 및 제2마그네트(18)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한다. 또한, 제1마그네트(17) 및 제2마그네트(18)는 각각 링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1마그네트(17)의 외주면에는 척력이 균일하게 작용하고, 이로 인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마그네트(17)가 제2마그네트(18)의 중심에 위치한다(도 4a 참조).
제2마그네트(18)는 커버(19)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그 외주면와 내주면에는 N극 및 S극이 각각 착자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마그네트(18)의 내주면에는 제1마그네트(17)의 외주면과 동일한 극이 착자되어 있다. 그리고 제2마그네트(18)의 하면은 지지부재(27)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제1마그네 트(17) 및 제2마그네트(18)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도 3 참조).
지지부재(27)는 베이스(47)에 고정되고 센터키(11), 제1마그네트(17) 및 제2마그네트(18)를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지지한다. 지지부재(27)에는 홀(32)이 형성되어 있는데, 홀(32)을 통해서 제1마그네트(17) 및 제2마그네트(18)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력선이 감지소자(57)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가 있다.
지지부재(27)의 하면에는 센터 돔버튼(43) 및 사이드 돔버튼(45)에 각각 대응하여 가압돌기(36)가 하향 돌출되어 있다. 가압돌기(36)의 일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돔버튼(43) 및 사이드 돔버튼(45)에 각각 접한다. 그리고 지지부재(27)는 베이스(47)에 고정되기 때문에 지지부재(27)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이로 인해 제1마그네트(17) 및 센터키(11)도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9) 상에는 센터 돔버튼(43) 및 사이드 돔버튼(45)이 각각 실장되어 있다. 센터 돔버튼(43)은 센터키(11)가 눌려져서 가압되고, 사이드 돔버튼(45)은 사이드키(21)가 눌려져서 가압된다. 인쇄회로기판(39)은 외부의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검출소자(57) 및 돔버튼(43, 45)에 의해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인쇄회로기판(39)의 하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소자(57)가 부착된다.
인쇄회로기판(39)에는 베이스(47)의 기판고정돌기(48)에 삽입되는 고정홀(41)이 형성되어 있어서, 인쇄회로기판(39)이 베이스(47)에 대해 고정된다.
검출소자(57)는 인쇄회로기판(39)의 저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센터키(11) 와 함께 이동하는 제1마그네트(17)의 이동을 감지한다. 검출소자(57)로는 홀(hall) IC 또는 MR(GMR) 센서 등이 사용된다.
홀 IC는 제1마그네트(17)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력선에 대응하는 기전력을 발생하여 인쇄회로기판(29)을 통하여 외부의 제어장치(미도시)로 전달한다. MR 센서 또는 GMR 센서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소자로서, 고체속의 캐리어 진로가 전자력에 의해 휘어져 길어지기 때문에 저항이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MR 센서 또는 GMR 센서는 크기가 작고 신호 레벨이 클 뿐만 아니라 민감도가 우수하여 저자계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온도 안정성(temperature stability)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베이스(47)는 커버(19)와 결합하여 케이스를 형성하며, 중앙에는 소자삽입공(49)이 형성되어 있다. 소자삽입공(49)에는 검출소자(57)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베이스(47)의 내부에는 지지부재(27)의 고정홀(37)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7)를 고정하는 고정돌기(51) 및 인쇄회로기판(39)의 고정홀(41)에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39)을 고정하는 고정돌기(4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47)의 일측에는 인쇄회로기판(39)의 리드선(42)이 연장될 수 있는 단턱(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47)의 둘레에는 커버(19)의 걸림돌기(25)가 걸림 되는 커버고정홈(55)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19)의 관통공(23)의 내주면과 센터키(11)의 헤드 부(13)의 외주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센터키(11)는 관통공(23)의 내부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센터키(11)의 몸통부(15)는 커버(19)의 하면과 항상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센터키(11)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센터키(11)는 지지부재(27)의 하면에 형성된 가압돌기(36) 및 돔버튼(43, 45) 등에 의해 지지 된다.
센터키(11)의 마그네트 삽입부(14)에는 제1마그네트(17)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센터키(11) 및 제1마그네트(17)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센터키(11)를 임의의 방향(도 4b에서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그네트(17) 및 제2마그네트(18) 사이에 힘의 균형이 깨어져서 센터키(11)의 이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1마그네트(17) 및 제2마그네트(18) 사이에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센터키(11)의 중심과 관통공(23)의 중심은 대체로 일치한다.
제1마그네트(17)가 이동하면 검출소자(57)에 입력되는 자기장에 변화가 생기고, 검출소자(57)가 이러한 변화를 인식하기 때문에 센터키(11)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센터키(11)를 누르면 지지부재(27)의 이면에 형성된 가압돌기(36)가 센터 돔버튼(43)을 가압한 후 돔버튼(43)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으로 복귀한다. 또한, 사용자가 사이드키(21)의 일측을 누르면 커버(19)가 기울어지고 가압돌기(36)가 사이드 돔버튼(45)을 가압하면서 기능이 수행된 후 돔버튼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으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센터키(11)가 임의의 방향으 로 이동할 수 있고 센터키(11) 및 사이드키(21) 또한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입력이 편리하다. 그리고 박형화가 가능한 제1마그네트(17) 및 제2마그네트(18)를 이용하여 센터키(11)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입력장치(10)의 두께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입력장치(60)는 지지부재(27) 및 가압돌기(36)가 센터키(11) 및 커버(19)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입력장치(10)와 그 구성이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6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센터키(11)의 하면에는 가압돌기(36)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돌기(36)는 인쇄회로기판(39)의 중앙에 형성된 센터 돔버튼(43)과 접하고 있다. 따라서 센터키(11)를 누르면 그 이면에 형성된 가압돌기(36)가 직접 센터 돔버튼(43)을 가압한다. 그리고 사이드 돔버튼(45)은 커버(19)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돌기(36)의 단부와 접하고 있으며, 커버(19)를 누르면 가압돌기(36)가 사이드 돔버튼(45)을 직접 가압하여 기능을 수행한다.
센터 돔버튼(43)은 사이드 돔버튼(45)에 비해 일정한 높이를 갖는 평탄면(4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센터키(11)가 이동하면서 가압돌기(36)가 센터 돔버튼(43)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센터키(11)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센터키(11)에 대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제1마그네트(17) 및 제2마그네트(18)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센터키(11)의 이면에 형성된 가압돌기(36)가 센터 돔버튼(43)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커버(19)의 이면에 형성된 가압돌기(36)는 커버(19)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이드 돔버튼(45)에 대응하여 90도의 간격을 가지고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예와 수정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입력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관통공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평면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센터키;
    상기 센터키와 결합하여 함께 이동하며 외측을 향해서 N극 및 S극 중 적어도 하나의 극이 착자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내측을 향해 N극 및 S극 중 상기 제1마그네트와 동일한 극이 착자되는 제2마그네트;
    상기 제1마그네트의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소자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센터키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2마그네트는 각각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 위치하는 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네트는 N극 또는 S극 중 하나가 내주면에 다른 하나가 외주면에 착자된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마그네트는 내주면의 지름이 상기 제1마그네트의 외주면의 지름에 비해 크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의 외주면과 동일한 극이 착자된 링 형상의 마그네트인 입력장치.
  4.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베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유격이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일면에는 상기 커버의 유격에 의해 가압되는 적어도 하나의 돔버튼이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입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키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연해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비해 큰 지름을 갖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하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와 결합하는 마그네트 결합부를 구비하는 입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내주면에 상기 제2마그네트가 고정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의 일면은 상기 지지부재와 접하는 입력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돔버튼과 접하는 가압돌기가 하향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가압돌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이드키가 형성되어 있는 입력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에는 중앙 돔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돔버튼은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가압돌기에 의해 작동하는 입력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소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저면에 부착되는 입력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검출소자가 삽입되는 소자 삽입홈을 가지는 입력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그 내부에 복수 개의 고정돌기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입력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그 내부에 복수 개의 고정돌기를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입력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베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유격이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일면에는 상기 커버의 유격에 의해 가압되는 센터 돔버튼 및 사이드 돔버튼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키의 이면에는 상기 센터 돔버튼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이면에는 상기 사이드 돔버튼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상기 사이드 돔버튼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입력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돔버튼은 일정한 높이를 갖는 평탄면을 갖는 입력장치.
KR1020060043255A 2006-05-15 2006-05-15 입력장치 KR100789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255A KR100789725B1 (ko) 2006-05-15 2006-05-15 입력장치
CN2007101037075A CN101075505B (zh) 2006-05-15 2007-05-15 输入装置
JP2007129268A JP4500829B2 (ja) 2006-05-15 2007-05-15 入力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255A KR100789725B1 (ko) 2006-05-15 2006-05-15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587A KR20070110587A (ko) 2007-11-20
KR100789725B1 true KR100789725B1 (ko) 2008-01-02

Family

ID=3884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255A KR100789725B1 (ko) 2006-05-15 2006-05-15 입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00829B2 (ko)
KR (1) KR100789725B1 (ko)
CN (1) CN1010755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41Y1 (ko) 2007-10-08 2011-02-17 지피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고리 형태의 다중 명령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93734B (zh) * 2008-01-24 2012-01-25 联想(北京)有限公司 输入控制装置及方法及笔记本计算机
JP2010192298A (ja) * 2009-02-19 2010-09-02 Omron Corp 多方向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356165B2 (ja) * 2009-09-10 2013-12-0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CN102044371A (zh) * 2009-10-19 2011-05-04 英业达股份有限公司 方向控制装置
JP2011129462A (ja) * 2009-12-21 2011-06-30 Tokai Rika Co Ltd 入力装置
JP5290950B2 (ja) * 2009-12-21 2013-09-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入力装置
CN104063044B (zh) * 2013-07-22 2017-03-22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磁力键
DE102014213396A1 (de) * 2014-07-10 2016-01-14 Zf Friedrichshafen Ag Schalt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kennen eines Betätigens einer Schaltvorrichtung
CN106710922B (zh) * 2016-12-20 2019-10-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按键结构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2851A (ja) * 2000-12-28 2002-07-19 Hosiden Corp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2005347042A (ja) * 2004-06-01 2005-12-15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用のキーシート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20070041094A (ko) * 2005-10-14 2007-04-18 주식회사 팬택 방향 감지용 버튼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5968U (ko) * 1971-03-25 1972-10-24
JPH07117876B2 (ja) * 1990-09-18 1995-12-18 富士通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制御装置
CN2399070Y (zh) * 1999-11-19 2000-10-04 冮殿坚 磁正式方向开关手柄
JP3820548B2 (ja) * 2001-06-01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100897B2 (ja) * 2001-11-28 200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4066138A1 (ja) * 2003-01-20 2004-08-05 Asahi Kasei Emd Corporation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4305642B2 (ja) * 2003-09-29 2009-07-2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付き端末装置
KR100619892B1 (ko) * 2004-07-23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치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2851A (ja) * 2000-12-28 2002-07-19 Hosiden Corp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2005347042A (ja) * 2004-06-01 2005-12-15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用のキーシート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20060046385A (ko) * 2004-06-01 2006-05-17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포인팅 디바이스용 키 시트 및 포인팅 디바이스
KR20070041094A (ko) * 2005-10-14 2007-04-18 주식회사 팬택 방향 감지용 버튼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41Y1 (ko) 2007-10-08 2011-02-17 지피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고리 형태의 다중 명령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00829B2 (ja) 2010-07-14
CN101075505A (zh) 2007-11-21
JP2007311349A (ja) 2007-11-29
KR20070110587A (ko) 2007-11-20
CN101075505B (zh)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621B1 (ko) 입력장치
KR100789725B1 (ko) 입력장치
KR100816713B1 (ko) 입력장치
US7388574B2 (en) Pointing device
KR100774067B1 (ko) 포인팅 디바이스
US20120112859A1 (en) Multi-direction input device
US20090115749A1 (en) Input device
JP2018205150A (ja) 電子機器及びウェアラブル機器
JP3152408U (ja) 高さの低い多方向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構造
KR20110048880A (ko) 입력장치
US20120086634A1 (en) Multi-direction input device
US809414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3196019A (ja) 磁気センサアレイ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CN113296626A (zh) 力感测设备和具有力感测设备的电子装置
KR100872570B1 (ko) 회전식 입력장치
KR100857173B1 (ko) 회전식 입력장치
KR100857171B1 (ko) 회전식 입력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857168B1 (ko) 회전식 입력장치
KR100833269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67030B1 (ko) 회전식 입력장치
KR20080048826A (ko)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114078647A (zh) 一种按键模组和终端设备
KR20110020108A (ko)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