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269B1 -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269B1
KR100833269B1 KR1020060093480A KR20060093480A KR100833269B1 KR 100833269 B1 KR100833269 B1 KR 100833269B1 KR 1020060093480 A KR1020060093480 A KR 1020060093480A KR 20060093480 A KR20060093480 A KR 20060093480A KR 100833269 B1 KR100833269 B1 KR 100833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unit
pointing device
protrusio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8110A (ko
Inventor
장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60093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269B1/ko
Publication of KR20080028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자석부와, 상기 자석부의 수직 방향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자석부를 밀어 이동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자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변화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석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시키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자석을 2차원 이동시킬 수 있고, 자석을 수평 방향으로 2차원 이동시켜 자기 센서의 자기장 센싱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석, 자기 센서, 자장, 수평 방향, 스위치

Description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Pointing devicd and handheld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 개념도.
도 3 내지 도 6은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 개념도.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 개념도.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 개념도.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 개념도.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 개념도.
도 16은 제 5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개념도.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판 110 : 자석
120 : 고정부 130 : 조작부
140 : 커버부 150 : 센서부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수평면상에서 자석을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자석의 이동에 따른 자석의 자장 변화를 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이를 통해 화면상의 커서의 방향을 이동시키는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들은 점점 더 소형화되어 가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방식을 사용하여 전자기기의 조작을 쉽게 하도록 하였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장치로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포인팅 장치는 화면상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2차원적으로 조절하는 장치로, 종래에는 마우스나 터치 패드를 사용하였다.
최근에는 자석의 자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자석의 2차원적인 움직임을 감지하여 화면상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였다. 종래의 포인팅 장치의 경우 소형의 전자 기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그 사이즈를 줄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자장 변화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의 경우 그 크기를 소형화 함으로 인해 자장 변화에 따른 센싱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Z축 방향으로의 자석 움직임을 고정시키고, Z축 방향의 운동을 X축나 Y축 방향의 운동으로 변화시켜 자석을 수평면상에서 2차원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자기 센서를 밀집 배치시켜 전체 소자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자석의 자기장 센싱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부와, 상기 자석부의 수직 방향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자석부를 밀어 이동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자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변화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고정부는 원통 형상의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 상측에 마련된 고정판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석부가 상기 중심부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고정판 하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심부와 상기 자석부 사이에 마련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 내측에는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 하측으로 기판 상에 마련된 스위치부가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중심부 내측 또는 하부에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자석부 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부와 척력을 갖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작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자석부에 그 단부가 밀착된 제 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사용자의 가압으로 인해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자석부를 밀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기판 상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고정부 상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의 몸체와 상기 기판 사이 또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작부의 몸체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 패드가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조작부는 상기 몸체에서 연장된 제 2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돌출부의 끝단에 마련된 자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원기둥 형태의 몸통과 상기 몸통의 끝단에서 연장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의 끝단에 스위치가 마련되거나, 상기 제 2 돌출부는 원기둥 형태의 몸통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이 기판 상의 스위치부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몸체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몸체의 상측 영역으로 돌출된 제 3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조작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자석부에 그 단부가 밀착된 제 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석부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외측에 접속된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의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자석부의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는 이동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복수의 자기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자기 센서는 상기 자석부 내측 또는 외측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자석부의 상부 및 하부 영역에 배치되거나, 상기 자석부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 상측에 마련된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자석부, 고정부 및 조작부를 보호하는 케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본 발명에 따른 자석부와, 일측에 상기 자석부가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상측에서 가압하여 상기 이동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자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변화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이동부는 기판과 접속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연장된 내측벽 및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에서 외측벽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고 연장된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내측벽에 상기 자석부가 부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조작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서 연장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고 연장되어 이동부의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내측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부와, 상기 자석부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지지부와 접속된 제 1 돌출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자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변화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와, 상기 화면 표시부 내의 포인터를 움직이는 좌표 신호를 공급하는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 장치는 자석부와, 상기 자석부의 수직 방향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자석부를 밀어 이동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자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변화를 센싱하여 상기 좌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와, 상기 화면 표시부 내의 포인터를 움직이는 좌표 신호를 공급하는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 장치는 자석부와, 일측에 상기 자석부가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상측에서 가압하여 상기 이동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자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변화를 센싱하여 상기 좌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기판(100)과, 기판(100)상에 마련된 자석부(110)와, 상기 자석부(110)의 이탈을 방지하고 Z축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고정부(120)와, 자석부(110)의 X축 및 Y축 방향의 이동을 제어하는 조작부(130)와, 상기 자석부(110)의 이동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소정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100)상에 위치하여 조작부(130)에 의해 동작하는 돔 스위치(160)를 더 포함하고, 조작부(130)를 덮는 커버부(1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100)으로는 인쇄 회로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사각형 형태의 인쇄 회로 기판이 도시되었지만 상기 기판(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기판(100)의 일측에는 외부시스템에 접속될 신호 출력부(101)가 마련된다. 신호 출력부(101)로는 기판 하부면 또는 측벽면의 일부에 마련된 커넥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100)과 배선 또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일 수도 있다.
상술한 기판(100)의 상측면 상에 자석부(110)가 마련된다. 상기 자석부(110)는 기판(100) 상측 평면상에서 수평 운동을 한다. 즉, 기판(100) 상측 평면을 기준으로 X축과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을 한다. 본 실시예에에 따른 자석부(110)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120)를 통해 자석부(110)의 Z축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시키기 때문이다. 상기의 자석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띠 형상의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석부(110)는 기판(10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영역에 각기 마련된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석부(110)는 원형 띠 형태의 몸체와, 몸체 내부에 4영역(상하좌우 영역)에 각기 마련된 자석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부(110)의 원형 띠 형상의 자석은 내외경 1극 착자된 즉, 자석 몸체의 외측벽에는 N극 또는 S극이 내측벽에는 이에 대응하는 S극 또는 N극이 형성된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착자가 수행된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착자, 외경 다극(2극, 4극, 8극등) 착자, 내경 다극 착자 또는 내외경 다극 착자가 수행된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00)의 중심 영역에 고정부(120)가 마련되고, 이 고정부(120)에 의해 자석부(11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고, Z축 방향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1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형(원형 파이프형)의 몸체부(121)와, 몸체부(121) 상측에 마련된 고정판(122)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판(122)은 자석부(110)에 대응되는 대략 원형 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21)와 고정판(122)은 단일 몸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판(122)은 몸체부(121)의 상측 영역에서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몸체부(121)와 고정판(122)이 분리 제작된 다음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21)의 직경은 상기 자석부(110)의 직경보다 작고, 고정판(122)의 직경은 상기 자석부(110)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21)의 외측벽면과 고정판(122) 사이 영역에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 내부에 자석부(110)가 배치된다. 즉, 원형 띠 형상의 자석부(110)의 내측에는 몸체부(121)가 마련되고, 자석부(110)의 상측 영역에는 고정판(122)이 마련되어 자석부(11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자석부(110)의 Z축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21)의 외측벽면과 자석부(110) 사이에는 제 1 탄성 부재(125)가 마련된다. 이러한 제 1 탄성부재(125)를 통해 외부의 힘(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의 자석부(110)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힘이 인가된 다음, 외부 힘이 제거된 후에도 제 1 탄성부재(125)를 통해 자석부(11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즉, 제 1 탄성부재(125)를 통해 자석부(110)의 위치를 항상 초기 위치로 되돌릴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자석부(110)의 자장을 초기 상태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어, 자석부(110)의 일측 영역이 외부 힘을 인가받게 되면 제 1 탄성부재(125)에 의해 힘을 인가받은 자석부(110) 영역은 외부 힘에 의해 몸체부(121)의 외측벽면과 그 거리가 까가워지게 되고, 그 사이에 마련된 제 1 탄성부재(125)는 수축하게 된다. 이때, 이와 반대 영역의 자석부(110)는 몸체부(121)의 외측벽면과 그 거리가 멀어지고, 그 사이에 마련된 제 1 탄성부재(125)는 팽창하게 된다. 이후, 상기 외부 힘이 사라지게 되면 수축되었던 영역의 제 1 탄성부재(125)는 팽창하고, 팽창되었던 영역의 제 1 탄성부재(125)는 수축하여 원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는 좌우 양측에 스프링 형태의 제 1 탄성부재(125)가 마련됨을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탄성부재(125)는 복수의 탄성 부재가 몸체부(121)의 외측벽면을 따라 균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4개의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개의 탄성부재가 몸체부(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일의 탄성부 재가 상기 몸체부(121)의 외측벽면과 자석부(110) 사이 영역에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로는 스프링, 고무,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등을 포함하는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21)의 내부 공간(123)에 의해 노출된 상기 기판(100) 상에는 돔 스위치(16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는 상기 돔 스위치(160)에 한정되지않고,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릭감이 있고, 스위치를 누름 다음 자동 복귀하는 스위치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조작부(130)는 상기 고정부(120) 상측에 마련되어 고정부(120)의 고정판(122) 하측에 마련된 자석부(110)를 수평 방향(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수평 방향으로 변형시켜 자석부(110)에 인가한다.
상기 조작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31)와, 몸체(131)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자석부(110)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132)와, 몸체(131)의 중앙 영역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133)와, 상기 몸체(13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단부와 기판(100) 사이에 마련된 제 2 탄성부재(134)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31)는 원형 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의 제 1 돌출부(132)는 몸체(131)의 하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부(132a)와, 상기 수직부(132a)에서 자석부(110)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경사 부(132b)와, 상기 경사부(132b)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이 자석부(110)에 인접하는 접속부(132c)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132b)는 몸체(131)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경사각)를 갖고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부(132c)는 상기 몸체(131)의 하측면과 평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돌출부(1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띠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제 1 돌출부(132)가 몸체(131)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균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4개의 제 1 돌출부(132)가 몸체(131)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돌출부(132)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돌출부(132)를 통해 몸체(131)의 수직 운동을 수평 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이 수평 운동을 자석부(110)에 인가한다. 즉, 상기 몸체(131) 가장자리 영역을 소정 힘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힘을 받는 몸체(131) 영역은 하강하게 된다. 상기 힘을 받는 몸체(131) 영역 하부에 마련된 제 1 돌출부(132)도 기판(100)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 1 돌출부(132)의 접속부(132c)는 몸체(131)의 중심 영역으로 대략 수평하게 움직이게 된다. 이를 통해 자석부(110)를 몸체(131)의 중심 영역으로 밀게 된다. 이후, 상기 힘이 제거되면 몸체(131)는 제 1 돌출부(132) 외측에 마련된 제 2 탄성부재(134)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자석부(110)를 밀고 있던 제 1 돌출부(132)도 함께 복원된다. 따라서, 자석부(110)는 고정부(120)의 제 1 탄성부재(125)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탄성부재(13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31)의 끝단의 하측면과 기판(10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 1 돌출부(132)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어 몸체(131)를 초기 장착된 위치로 복원시킨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31)에 인가된 힘이 제거된 후에는 상기 제 2 탄성부재(134)에 의해 몸체(131)는 초기의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는 제 1 돌출부(132)의 외측에 스프링 형태의 두개의 제 2 탄성부재(134)가 마련됨을 도시하였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제 2 탄성부재(134)가 상기 제 1 돌출부(132)의 외측영역을 따라 균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탄성부재(134)는 상술한 제 1 탄성부재(125)와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131) 중앙에 마련된 제 2 돌출부(1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돌출부(133)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120)의 몸체부(121) 내측 공간(123)영역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2 돌출부(133)의 끝단은 기판(100)에 마련된 돔 스위치(160)와 인접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몸체(131) 중앙 영역을 사용자가 누를 경우 제 2 돌출부(133)에 의해 상기 돔 스위치(160)를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돌출부(133)의 인접영역에 별도의 탄성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30)의 외측에는 사용자의 접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커버부(140)가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40)는 상기 조작부(130)의 몸체(131) 상측 영역에 마련되고, 몸체(131)의 가장 자리 영역의 상부가 중심 영역에 비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 부(14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가 소형의 전자 기기에 적용될 때 전자 기기의 몸체와의 결합을 위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상기 조작부(130)의 몸체(131)를 상기 커버부(140)의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판(100)의 하측면 영역에 센서부(150)가 마련된다. 센서부(150)는 X축 방향의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X 좌표치를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자기 센서(151, 152)와, Y축 방향이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Y 좌표치를 출력하는 제 3 및 제 4 자기 센서(153, 15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의 출력을 증폭하고, 종합하여 최종 자장의 변화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155)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자기 센서(151, 15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3 및 제 4 자기 센서(153, 154)는 Y축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를 상기 원형 자석의 중심점 영역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원형 자석의 중심점에서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를 인접 배치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포인팅 장치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자기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6에서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를 원형 자석의 중심점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물론,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를 원형 자석의 외측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로는 홀소자, 반도체 자기 저항 소자, 감자성체 자기 저항 소자 또는 GMR(Giant Magneto Resistive) 소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기 센서는 자장의 변화에 따라 그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는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로 자속 밀도에 비례하여 출력 전압이 변화하는 홀 소자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 장치는 제 1 돌출부(132)의 미끄러짐을 지지하는 미끄럼 유도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미끄럼 유도부(170)는 기판(100)상에 마련되고, 소정의 경사면을 포함한다. 즉, 상기 미끄럼 유도부(17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제 1 돌출부(132)의 경사부(132b)가 하강 또는 상승하는 경우 상기 경사부(132b)가 상기 미끄럼 유도부의 경사면에 접속하여 하강 및 상승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 돌출부(132)가 하강할 때 제 1 돌출부(132)는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로인해 제 1 돌출부(132)의 수직부(132a)는 하강 운동을 하고, 경사부(132b)는 경사 운동을 하게 되고, 접속부(132c)는 수평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미끄럼 유도부(170)를 통해 제 1 돌출부(132)를 지지하여 제 1 굴절부(132)의 수직운동이 수평운동으로 변화됨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탄성부재(134)가 접속되는 기판(100) 상에 소정의 패드(18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패드(180)를 통해 제 2 탄성부재(134)로 인한 기판(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30) 또는 커버부(140)의 가장자리에 과도한 힘이 인가될 경우 이들이 기판(100)에 접속되어 기판(100)에 손상을 줄 수가 있다. 하지만, 본 변형예에서와 같이 기판(100) 상에 패드(180)를 마련하여 조작부(130)와 커버부(140)로 인한 기판(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의 중심에 제어부(155)가 마련되고, 이 제어부(155) 주변에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가 일정 간격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153, 154)와 제어부가 기판에 실장될 수도 있고,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어부(155)와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가 단일 패키지화되어 기판(100) 하측 중심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130)의 제 2 돌출부(133)의 끝단 영역에 고정 자석(135)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자석(135)을 통해 센서부(150)의 자기장 변화의 검출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 상측 영역에 센서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부(120)의 몸체부(121) 내에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를 마련한다.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를 자석부(110)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50)의 제어부(155)도 상기 기판(100) 상측 영역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130)의 몸체(131)는 제 1 돌출부(132)를 갖는 제 1 몸체(131a)와 제 2 돌출부(133)를 갖는 제 2 몸체(131b)로 분리될 수도 있다. 제 1 몸체(131a)를 가압하여 제 1 돌출부(132)를 하강시켜 자석부(1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2 몸체(131b)를 가압하여 제 2 돌출부(133)를 하강시켜 돔 스위치(160)를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몸체(131a)와 제 2 몸체(131b)로 분리하여 제 1 돌출부(132)와 제 2 돌출부(133)의 움직임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석부(110)가 상기 기판(100)과 고정부(120) 사이에 수평 운동을 하기 때문에 기판(100)과 고정부(120)의 고정판(122)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마찰을 줄이기 위해 상기 기판(100)과 자석부(110) 사이 영역 및 고정판(122)과 자석부(110) 사이 영역에 마찰을 줄일 수 있는 물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판(100)상에 상기 자석부(110)와의 마찰력이 작은 물질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의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포인팅 장치 내부의 자석부(110)는 평상시에는 본 실시예의 고정부(120)에 의해 초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자석부(110)는 고정부(120)의 고정판(122)에 의해 수직 방향(Z 축 방향)의 이동이 차단된다. 그리고, 자석부(110)는 외부 힘(압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부(120)의 몸체부(121)와 제 1 탄성부재(125)에 의해 수평 방향(X축 및 Y축 방향)의 움직임이 고정된다. 상기에서 초기 설정된 위치는 원형의 자석부(110)의 중심과 몸체부(121)의 중심이 중첩되는 자석부(110)의 위치를 지칭한다. 이때, 원형의 자석부(110)는 고정부(120)내의 몸체부(121)의 외측벽면으로부터 동일간격으로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110)가 초기 설정된 위치에 있을 때의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의 출력을 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평상시 즉, 포인팅 장치의 조작부(130)에 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센서부(150)의 출력은 기준점(0,0) 값이 출력된다. 이로 인해 화면상의 포인터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인팅 장치의 일측을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도 7의 (a)와 같이 커버부(140)의 좌측 또는 도 7의 (b)와 같이 커버부(140)의 우측을 가압하는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가압 영역 하부의 조작부(130)는 기판(100) 방향으로 내려간다. 즉, 조작부(130)의 몸체(131)가 기판(100)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를 통해 가압 영역의 제 2 탄성부재(134)는 압축되고, 제 1 돌출부(132)도 몸체(131)와 같이 기판(100)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때, 제 1 돌출부(132)의 접속부(132c)는 수평 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수평 운동의 힘은 자석부(110)에 인가되어 가압 영역의 자석부(110)가 고정부(120)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7의 (a)에서와 같이 커버부(140)의 좌측을 가압하는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자석부(11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자석부(110)의 이동으로 인해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에 인가되었던 자장이 변 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20)를 통해 자석부(110)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기판(100) 상부면을 기준으로 자석부(110)의 수직 방향(Z축 방향)의 이동을 방지시키고, 수평 방향(X축 및 Y축 방향)으로만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자석부(110)의 자장도 기판(100) 표면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판(100) 하부에 마련된 센서부(150)의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의 센싱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자석의 자장 중심이 자석부(110)의 중심점에 위치하는 경우 도 8의 실선에서와 같이 자석부(110)의 움직이 없는 경우에는 자장의 중심이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의 중앙 영역 즉 수평면의 중심점(도 8의 O 참조)에 위치하였다.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는 초기 세팅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하지만 자석부(110)가 도 8의 점선에서와 같이 자석부(11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자석의 자장 중심이 X축 방향으로 이동(도 8의 A에서 A')하게 된다. 이로인해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는 초기 세팅된 전압이 아닌 자기장의 변화에 다른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전압 변화를 감지하여 화면상의 커서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시스템에서는 X축 및 Y축 선상에 각기 마련된 두개의 자기 센서의 출력을 비교하여 포인터의 변화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자석부(110)의 초기 위치에서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는 제 1 내지 제 4 자기 센서(151, 152, 153, 154)가 자장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모두 동일한 출력 전 압을 출력한다. 이때, 제 1 자기 센서(151)의 출력과 제 2 자기 센서(152)의 출력 간의 차는 0이 되어 X축 방향의 변화량이 0이 된다. 또한, 제 3 자기 센서(153)의 출력과 제 4 자기 센서(154)의 출력 간의 차도 0이 되어 Y축 방향의 변화량도 0이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서와 같이 자석부(11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 1 자기 센서(151)의 출력은 감소 또는 증가하고 제 2 자기 센서(152)의 출력은 제 1 자기 센서(151)와는 반대로 증가 또는 감소한다. 이에 반하여 제 3 및 제 4 자기 센서(153, 154)는 동일하게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자기 센서(151)의 출력과 제 2 자기 센서(152)의 출력 간의 차가 0이 되지않고, 양의 값 또는 음의 값을 갖게 되고, 제 3 자기 센서(153)의 출력과 제 4 자기 센서(154)의 출력 간의 차는 0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의 값을 갖게 되어 양의 X축 방향으로 화면상의 포인트를 이동시킨다. 물론 상술한 설명에서는 시스템 내부에서 상술한 연산을 함을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연산을 센서부(140) 내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기판(100) 상에 제 1 돌출부(132)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미끄럼 유도부(170)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조작부(130)의 몸체(131) 하강으로 인해 제 1 돌출부(132)가 하강할 때, 제 1 돌출부(132)는 미끄럼 유도부(170)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짐으로 인해 제 1 돌출부(132)의 끝단인 접속부(132c)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1 돌출부(132)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판(100) 상측에 패드(180)가 마련되어 있어, 조작부(130)에 과도한 압력이 인가되더라도 기판(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돌출부(132)가 기판(100)과 접속되어 손상 받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상기 패드(180)는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부의 중앙 영역을 가압하여 기판에 마련된 돔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포인팅 장치는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조작부에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경사면을 갖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갖는 이동부와 이동부의 내측에 부착된 자석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설명의 기술은 상술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 상에 마련된 자석부(110)와, 자석부(110)를 수평 방향(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210)와, 사용자의 수직 가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부(210)를 수평 방향(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130)와, 상기 기판(100)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자석부(110)의 수평 방향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센서부(150)를 포함한다.
상기의 이동부(210)는 원형 띠 형상으로 마련되고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경사면이 마련된다. 즉, 내측벽면에서 외측벽면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과 기판(100)의 상측 표면과 이루는 기울기가 10 내지 8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동부(210)의 바닥면은 기판(100)과 접속하고, 상기 기판(100)의 상측면상에서 수평 운동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210)의 내측벽면에는 자석부(11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형 띠 형태의 자석이 내측벽면 전체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의 자석이 내측벽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210)는 그 내측에 자석이 부착된 복수의 고정 영역과 상기 고정 영역 사이에 마련된 탄성 영역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영역에 상술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 영역은 기판(100)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4 영역(X축 및 Y축의 양측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30)는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중심 영역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133)와, 상기 제 2 돌출부(133)의 외측 영역에서 상기 이동부(210)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내측 경사면을 갖는 제 1 돌출부(132)와, 상기 제 1 돌출부(132)의 외측 영역에 마련된 제 2 탄성 부재(13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131)와 제 1 및 제 2 돌출부(132, 133)는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이들을 각기 제작한 다음 결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조작부(130)의 몸체(131)는 두개의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조작부(130) 중앙에 상기 제 2 돌출부(133)가 형성된 제 2 몸체와 제 2 몸체 외측에 마련되어 제 1 돌출부(132)가 형성된 제 1 몸체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132)는 상기 몸체(131)의 하부면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고 연장된 내측 경사면과, 상기 내측 경사면에서 몸체(131)의 하부면으로 연장된 외측면을 포함한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그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132)의 내측 경사면과 기판(100) 상측 표면과 이루는 기울기는 이동부(210)의 경사면의 기울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돌출부(132)의 내측 경사면과 상기 이동부(210)의 경사면의 일부가 중첩된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외부로부터 힘(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부(210)의 경사면 영역과 제 1 돌출부(132)의 내측 경사면 영역의 일부가 인접되거나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부(210)의 이동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제 1 돌출부(132)를 통해 이동부(2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132)를 원형 띠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 1 돌출부(132)는 이동부(210)의 경사면과 면접촉을 하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제 1 돌출부(132)가 일정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 1 돌출부(132)는 적어도 4 영역(X축 및 Y축의 양측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 1 돌출부(132)와 이동부(210)의 경사면과의 접촉을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 또는 점 접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동부(210)와 접하는 제 1 돌출부(132) 영역을 삼각뿔 형태로 제작하거나, 소정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 돌출부(132)와 상기 이동부(210)의 경사면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돌출부(132)의 내측 경사면과 이동부(210)의 경사면 사이에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별도의 물질이 마련될 수 도 있다.
상술한 제 2 돌출부(13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기둥 형상의 몸통(133a)과 상기 몸통(133a)의 하측 끝단 영역에서 기판(100)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133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돌기부(133b)를 통해 몸통(133a)과 기판(100)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33b)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격 공간 내에 스위치(220)를 형성하여 제 2 돌출부(133)의 상하 운동을 통해 상기 이격 공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스위치(22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스위치(220)는 몸통(133a)의 끝단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실시예의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 장치의 사용자로 부터의 가압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형 띠 형태의 이동부(210)의 경사면의 끝단 영역을 조작부(130)의 제 1 돌출부(132)의 내측 경사면의 끝단으로 고정한다. 이를 통해 이동부(210)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결국 자석부(110)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하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130)의 일측 영역을 사용자가 가압하게 되면 가압 영역의 조작부(130)는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를 통해 가압 영역 조작부(130)의 제 1 돌출부(132)가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하강하고, 제 1 돌출부(132)에 의해 가압 영역 하부의 이동부(210)는 수평 방향(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의 (a)에서는 조작부(130)의 좌측 가장자리 영역을 가압함을 도시하였고, 도 10의 (b)에서는 조작부(130)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을 가압함을 도시하였다. 상기 도 10의 (a)에서와 같이 조작부(130) 좌측 가장자리 영역의 제 1 돌출부(132)가 Z축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제 1 돌출부(132)의 내측 경사면과 이동부(210)의 경사면이 접하는 영역에서 제 1 돌출부(132)의 Z축 방향의 운동이 X축 방향의 운동으로 변화된다. 즉, 제 1 돌출부(132)가 하강할수록 이동부(210)는 X축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는 상기 이동부(210)의 내측벽면에 마련된 자석부(11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센서부(150)는 이러한 자석부(110)의 이동으로 인한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132)가 상기 이동부(210)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이동부(210)의 Z축 방향의 이동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들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를 통해 자석부의 수직 방향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조작부의 돌출부와 자석부가 마련된 이동부 간을 연결하는 이동축을 구비하여 자석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설명의 기술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 상에 마련된 자석부(110)와, 상기 자석부(110)의 수직 방향(Z축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120)와, 상기 자석부(110)와 접속되고 이동하는 이동부(310)와, 사용자의 수직 가압력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작부(130)와, 상기 조작부(130)의 이동력을 상기 이동부(310)에 전달하는 이동축(320)과, 상기 기판(100)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자석부(110)의 이동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센서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부(130)는 제 1 돌출부(132)가 마련된 제 1 몸체(131a)와, 제 2 돌출부(133)가 마련된 제 2 몸체(131b)를 구비한다. 제 2 돌출부(133)은 기판(100) 중심 영역에 마련되어 기판(100) 중심에 마련된 돔 스위치(160)와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몸체(131a)의 양 가장자리에는 제 2 탄성 부재(134)가 마련된다. 제 1 몸체(131a)는 도넛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제 1 몸체(131a)는 상기 제 1 몸체(131a)의 내측 원의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제 1 돌출부(13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몸체에 복수의 제 1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제 1 돌출부가 제 1 몸체의 하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적어도 4개의 제 1 돌출부가 제 1 몸체의 하측면에 X축과 Y축 선상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제 1 돌출부(132)에 상기 이동축(320)이 연결된다. 이때, 이동 축(320)은 상기 제 1 돌출부(132)의 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돌출부(132)에는 상기 이동축(320)과 연결될 관통홀(미도시)이 마련된다. 상기 관통홀 내측으로 이동축(320) 끝단 일부가 연장된다. 이를 통해 상기 이동축(320)은 관통홀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이동축(320)의 끝단에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홀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축(320)의 홀과 제 1 돌출부(132)의 관통홀을 고정핀(미도시)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축(320)의 다른 일 끝단은 이동부(310)에 연결된다. 이때, 이동부(3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갖고, 이동축(320)은 상기 이동부(310)의 곡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동부(310)는 상기 제 1 돌출부(132)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동일한 개수로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310)와 이동축(320)간의 연결관계도 상기 제 1 돌출부(132)와 이동축(320)간의 연결관계와 동일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310)에는 자석부(110)가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부(310)에 접속된 자석부(110)의 일부는 고정부(120)의 고정판(122) 하부영역에 마련된다. 이를 통해 상기 자석부(110)의 수직 방향(Z축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자석부(110)는 고정부의(120) 몸체부(121)와 고정판(122)이 이루는 오목공간 내에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실시예의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포인팅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 즉, 조작부(130)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을 때는 조작부(130)의 제 1 돌출부(132)도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돌출부(132)와 이동축(320)으로 연결된 이동부(310)도 움직이지 않게 된다.
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130)의 일측 영역을 사용자가 가압하게 되면 가압 영역의 조작부(130)는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 1 돌출부(132)도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제 1 돌출부(132)와 이동축(320)으로 연결된 이동부(310)는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가압 영역의 제 1 돌출부(132)가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면 제 1 돌출부(132)와 이동부(31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그러나 이동축(320)으로 인해 제 1 돌출부(132)와 이동부(310)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동부(310)가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부(310) 일측에 접속된 자석부(110)는 고정부(120)에 의해 수직 방향(Z축 방향)의 이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310)에 의해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자석부(110)의 자장 변화를 센서부(150)가 감지하여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들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의 중앙 영역에 자석부를 배치시키고, 이를 조작부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면의 포인터를 2차원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설명의 기술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기판(100)과, 기판(100) 중심에 마련된 자석부(110)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 1 돌출부(132)를 통해 자석부(1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130)와, 상기 제 1 돌출부(132)에 접속되고 상기 자석부(110)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410)와, 상기 자석부(110) 하측에 마련된 센서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자석부(110)는 기판(100) 중심영역 상측에 마련된다. 이때, 자석부(110)는 원형 판, 타원형 판 및 다각형 판 형상의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석부(11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자석부(110)를 감싸는 지지부(410)가 마련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410)로 상기 자석부(110) 전체를 감 쌓을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지지부(410)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410)를 통해 자석부(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410)는 조작부(130)의 제 1 돌출부(132)의 접속부(132c)에 접속된다. 이를 통해 상기 조작부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지지부를 통해 제 1 돌출부와 접속된 자석부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조작부(130)의 움직임이 없게 되어 지지부(410)를 통해 제 1 돌출부(132)에 연결된 자석부(110)는 초기 위치를 유지한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130)의 일측 가장자리 가압하는 경우, 이러한 가압으로 인해 조작부(130)는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를 통해 가압이 발생한 영역의 상기 제 1 돌출부(132)의 경사부(132b)가 미끄럼 유도부(170)에 접속한다. 이때, 제 1 돌출부(132)의 끝단의 접속부(132c)는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접속부(132c)에 접속된 지지부(410)도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자석부는 기판 중심에서 부터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자석부의 이동 즉, 자장의 변화를 그 하부에 마련된 센서부가 감지하여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판과 기판 상측에 마련된 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자석부를 초기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자석의 자기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설명의 기술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16은 제 5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기판(10)과, 상기 기판(100) 상에 마련된 제 1 자석부(110)와, 상기 제 1 자석부(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고정부(120)와, 상기 제 1 자석부(1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130)와, 상기 기판(100)상에 고정되어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자석부(110)를 초기 위치로 유지하는 제 2 자석부(510)와, 상기 기판(100) 상측 영역을 덮고, 상기 조작부(13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상부 케이스부(520)와, 상기 기판(100) 하측면에 마련된 센서부(150)를 포함한다.
상기의 제 2 자석부(510)는 고정부(120)의 몸체부(121) 외측벽에 마련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자석부(110, 510) 상측 영역에는 고정부(120)의 고정판(122)이 마련된다. 이때, 제 2 자석부(510)의 극성은 이와 대응하는 제 1 자석부(110)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 1 및 제 2 자석부(110, 510) 사이의 자기력으로 척력이 작용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부(110, 510)는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자석부(110)를 이동시켜 제 2 자석부(510)에 가까이 할 경우 제 1 및 제 2 자석부(110, 510) 사이의 척력이 강해져 제 1 자석부(110)를 밀어내게 된다. 이러한 척력을 통해 제 1 자석부(11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자석부(11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별도의 탄성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자석부(510)는 상기 몸체부(121)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몸체부(121)의 내측벽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6에 도시된 변형예에서와 같기 상기 제 2 자 석부(510)를 미끄럼 유도부(170)의 외측벽에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30)의 몸체(131) 상측으로 돌출된 제 3 돌출부(13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돌출부(135)는 상부 케이스부(520)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3 돌출부(135)를 상부 케이스부(520) 상측 평면에서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3 돌출부(135)의 이동을 통해 상기 조작부(130)의 몸체(131)가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제 1 돌출부(132)에 의해 제 1 자석부(110)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부(130)의 몸체(131)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 2 탄성부재(134)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30)의 몸체(131)와 고정부(120)의 고정판(122) 사이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도 16의 변형예와 같이 조작부(130)의 몸체(131)와 상부 케이스부(520) 사이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의 제 2 탄성 부재(134)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상부 케이스부(520)는 외부 충격으로 부터 기판(100) 상측에 마련된 조작부(130), 고정부(120) 및 제 1 및 제 2 자석부(110, 510)를 보호한다. 또한, 상기 각 부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기 또는 후크와 같은 고정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자석부(110, 510) 사이의 척력에 의해 제 1 자석부(110)는 초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후, 만일 사용자 가 상기 조작부(130)의 제 3 돌출부(135)를 수평 방향(X축 및 Y축 방향)으로 밀게 되면(가압하면) 제 3 돌출부(135)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힘을 인가받은 제 3 돌출부(135) 영역의 반대편에 영역의 몸체(131)가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즉, 몸체(131)의 하방으로 연장된 제 2 돌출부(133)가 고정부(120)의 몸체부(121) 내부 공간으로 삽입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제 3 돌출부(135)에 수평 방향의 힘이 인가되더라도 몸체(131)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몸체(131)의 이동은 제 1 돌출부(132)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 1 돌출부(132)에 의해 제 1 자석부(110)는 수평 방향(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자석부(110)의 수평 방향(X축 및 Y축 방향) 이동으로 인해 자장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자장 변화를 센서부(150)에서 감지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 1 자석부(110)는 사용자가 제 3 돌출부(135)를 미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해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휴대용 전화기를 그 일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PMP, PDA, GPS, 노트북, 게임기, 리모콘, 전자 사전 등의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각 단말기의 기능에 따라 소정의 신호(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와, 화면 표시부의 포인터 및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포인팅 장치를 포함한다. 입력장치로 상기 포인팅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개념도이고,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는 상기 안테나에 접속되어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관리하는 무선통신부(1100)와, 상기 무선통신부(1100)로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변환시켜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마이크부로 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데이터화 하여 무선부로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1200)와, 커서가 마련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표시부(1300)와, 키패드를 통해 화면표시부(1300)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1400)와, 화면 표시부(1300)의 포인터 및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포인팅 장치(1000)와, 상기 각부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1000)는 수직 방향(Z축 방향)의 움직임은 고정되고, 수평 방향(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석부와, 상기 자석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자석부의 수평 방향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1000)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자석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센서부는 이러한 자석부의 움직임에 따른 X 좌표 및 Y좌표를 센싱하고, X 좌표값과 Y좌표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150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자석의 자장에 따라 그 출력값이 변화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센서를 X축과 Y축 상에 대칭으로 배치하여 자석부의 X축 및 Y축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X 좌표값과 Y 좌표값을 이용하여 화면 표시부(1300) 내의 포인터 또는 커서를 이동시킨다. 즉, 제어부(1500)는 포인팅 장치(1000)로 부터 인가된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을 이용하여 백터를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백터에 해당하는 만큼 화면 표시부(1300) 내의 포인터 또는 커서를 이동시킨다. 즉, 현재 화면상에 포인터가 위치한 화면의 좌표를 기준점으로 하여 입력된 백터에 해당하는 만큼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인터 또는 커서는 백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포인터 또는 커서는 백터 크기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속도록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백터의 지속 시간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백터가 계속적으로 입력될 때 포인터 또는 커거의 움직이는 속도가 증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석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시키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자석을 2차원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석을 수평 방향으로 2차원 이동시켜 자기 센서의 자기장 센싱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센서를 자석 내측 영역에 밀집시켜 전체 소자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자석부;
    상기 자석부의 수직 방향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자석부를 밀어 이동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자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변화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측에 마련된 고정판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석부가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고정판 하측 영역에 배치되는 포인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자석부 사이에 마련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측에는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 하측으로 기판 상에 마련된 스위치부가 노출되는 포인팅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원형 띠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부의 내측 영역 또는 외측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자석부와 척력을 갖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자석부에 그 단부가 밀착된 제 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사용자의 가압으로 인해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자석부를 밀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인팅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기판 상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고정부 상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의 몸체와 상기 기판 사이 또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작부의 몸체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된 포인팅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몸체에서 연장된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출부의 끝단에 마련된 자석을 더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원기둥 형태의 몸통과 상기 몸통의 끝단에서 연장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의 끝단에 스위치가 마련되거나,
    상기 제 2 돌출부는 원기둥 형태의 몸통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이 기판 상의 스위치부에 접속되는 포인팅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리된 포인팅 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자석부에 그 단부가 밀착된 제 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석부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외측에 접속된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의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자석부의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는 이동축을 더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복수의 자기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자기 센서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원형 띠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부의 중심점 영역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포인팅 장치.
  13. 자석부;
    일측에 상기 자석부가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상측에서 가압하여 상기 이동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자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변화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기판과 접속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연장된 내측벽 및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에서 외측벽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고 연장된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내측벽에 상기 자석부가 부착된 포인팅 장치.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서 연장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고 연장되어 이동부의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내측 경사면을 갖는 포인팅 장치.
  16. 자석부;
    상기 자석부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지지부와 접속된 돌출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자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변화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17.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상기 화면 표시부 내의 포인터를 움직이는 좌표 신호를 공급하는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 장치는 자석부와, 상기 자석부의 수직 방향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자석부를 밀어 이동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자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변화를 센싱하여 상기 좌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상기 화면 표시부 내의 포인터를 움직이는 좌표 신호를 공급하는 포인팅 장 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 장치는 자석부와, 일측에 상기 자석부가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상측에서 가압하여 상기 이동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자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변화를 센싱하여 상기 좌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60093480A 2006-09-26 2006-09-26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33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480A KR100833269B1 (ko) 2006-09-26 2006-09-26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480A KR100833269B1 (ko) 2006-09-26 2006-09-26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110A KR20080028110A (ko) 2008-03-31
KR100833269B1 true KR100833269B1 (ko) 2008-05-28

Family

ID=3941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480A KR100833269B1 (ko) 2006-09-26 2006-09-26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2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953A (ja) 1999-09-22 2001-06-12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座標入力装置
JP2002007059A (ja) 2000-06-27 2002-01-11 Nagano Fujitsu Component Kk 座標入力装置
JP2002149336A (ja) 2000-11-09 2002-05-24 Nagano Fujitsu Component Kk 座標入力装置
JP2005004365A (ja) 2003-06-10 2005-01-06 Fujitsu Component Ltd 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953A (ja) 1999-09-22 2001-06-12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座標入力装置
JP2002007059A (ja) 2000-06-27 2002-01-11 Nagano Fujitsu Component Kk 座標入力装置
JP2002149336A (ja) 2000-11-09 2002-05-24 Nagano Fujitsu Component Kk 座標入力装置
JP2005004365A (ja) 2003-06-10 2005-01-06 Fujitsu Component Ltd 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110A (ko) 2008-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0777A2 (en) Multi-direction input device
JP4108401B2 (ja) 入力装置及び移動端末
JP4408862B2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US8125446B2 (en)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signal into an electronic apparatus
JP5765640B2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ている電子機器
US10312039B2 (en) Generator button for electronic devices
JP4500829B2 (ja) 入力装置
CN113918040B (zh) 触摸感测装置及包括触摸感测装置的电子装置
JP4660697B2 (ja) 入力装置及び移動端末
KR100833269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EP2407860A1 (en)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080024414A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908033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US20120086634A1 (en) Multi-direction input device
US20070249397A1 (en) Modular input device and portable handset and remote control provided with the same
KR100945439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20080024415A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13296626A (zh) 力感测设备和具有力感测设备的电子装置
KR100862949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100862950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0931069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100852163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20090035322A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WO2008063021A1 (en)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43281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