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281B1 -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281B1
KR101043281B1 KR1020090022321A KR20090022321A KR101043281B1 KR 101043281 B1 KR101043281 B1 KR 101043281B1 KR 1020090022321 A KR1020090022321 A KR 1020090022321A KR 20090022321 A KR20090022321 A KR 20090022321A KR 101043281 B1 KR101043281 B1 KR 101043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magnet
guide
intermediate member
cl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130A (ko
Inventor
박인길
김대겸
이승환
김영술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9002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281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된 자석부와, 사용자에 의한 이동력을 상기 자석부에 인가하는 작동 부재와, 상기 자석부와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 회전 및 복원 시키는 매개 부재 및 상기 매개 부재를 지지하고, 사용자에 의한 하강하는 이동력을 상기 기판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기판의 배면에 돔 스위치를 두고 가이드부를 기판과 매개 부재 사이에 배치시켜, 돔 스위치의 클릭 존을 벗어나 매개 부재를 클릭하더라도 돔 스위치를 클릭할 수 있어 클릭 오동작을 방지하고 클릭 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석, 자기 센서, 매개 부재, 가이드부, 돔 스위치, 클릭감

Description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형화 및 슬림화할 수 있고, 클릭감과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매개부재의 처짐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자기기들은 점점 더 소형화되어 가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방식을 사용하여 전자기기의 조작을 쉽게 하도록 하였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휠 버튼, 마우스 또는 터치 패드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자석의 이동 방향 및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자석의 2차원적인 움직임을 감지하여 화면상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입력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여 자석을 이동 및 복원시키고, 이러한 자석의 이동을 기판 하측에 위치한 센서에서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여 출 력함으로 인해 화면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였다.
하지만,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는 경우 실리콘 고무가 마찰로 인해 쉽게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받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여 자석을 원활하게 이동 및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실리콘 고무의 일부를 돌출시킨 공간부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실리콘 고무의 돌출로 인해 포인팅 입력 장치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포인팅 입력 장치의 전체 사이즈는 자석의 사이즈보다는 실리콘 고무의 사이즈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이는 실리콘 고무가 탄성력과 복원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크기 이상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실리콘 고무의 탄성력과 복원력은 실리콘 고무의 수축과 팽창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실리콘 고무의 사이즈를 줄일 경우 실리콘 고무의 수축과 팽창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목표로 하는 탄성력과 복원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로인해 실리콘 고무의 사이즈를 줄이는데는 한계가 있고, 이는 결국 포인팅 입력 장치의 전체 사이즈를 줄여 소형화하는데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박판 형태의 탄성 및 복원력을 갖는 부재를 실리콘 고무를 대신하여 장착함으로 인해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장치를 슬림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박판 형태의 매개 부재는 그 형상에 따라 자석의 이동 거리와 복원력이 가변되기 때문에 형상 제작이 어려웠다. 그리고, 박판 형태의 매개 부재에 의해 자석이 평면 상에서 이동함으로 인해 중앙의 돔스위치로 부터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경우 돔스위치 클릭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박판 형태의 매개 부재가 기판 상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자석의 자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칩을 기판의 하측면에 실장하여야 한다. 이로인해 전체 장치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 부품의 구조 및 배치를 변경하여 클릭감과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슬림화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된 자석부와, 사용자에 의한 이동력을 상기 자석부에 인가하는 작동 부재와, 상기 자석부와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 회전 및 복원 시키는 매개 부재 및 상기 매개 부재를 지지하고, 사용자에 의한 하강하는 이동력을 상기 기판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 치를 제공한다.
상기 자석부 하측 영역의 상기 기판 상부면에 실장되고 상기 가이드부 내측 영역에 위치하는 자기 센서 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기 센서 칩의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칩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그 상측에 상기 자석부가 위치하는 중심 몸체와, 상기 중심 몸체에서 연장된 연장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 센서 칩은 상기 중심 몸체의 상부면에 실장되고, 상기 신호 처리칩은 상기 연장 몸체의 일 표면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기판 하부면에 마련된 돔 스위치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개 부재는 상기 자석부에 결합된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이동, 회전 및 복원시키는 절곡된 라인 형상의 복수의 패턴부와, 상기 복수의 패턴부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작동 부재는 내측에 상기 자석부를 수납 고정하는 자석 고정부와, 상기 자석 고정부 상측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이동력을 인가 받는 접촉 조작부와, 적어도 상기 자석 고정부와 상기 접촉 조작부의 측면을 감싸아 상기 자석 고정부와 상기 접촉 조작부의 수평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매개 부재를 고정하는 가이드 몸체와, 상기 가이드 몸체와 상기 매개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클릭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매개 부재가 이동하는 이동 영역을 갖는 몸체 판 과, 상기 이동 영역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매개 부재를 고정시키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부 하측 영역의 상기 기판 상부면에 실장되는 자기 센서 칩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 판에는 상기 자기 센서 칩이 관통하는 센서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판 하부면에 마련되어 클릭 존을 갖는 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클릭 가이드 판의 최소 직경은 상기 센서 관통홀의 최대 직경 및 상기 돔 스위치의 클릭 존의 최대 직경보다 큰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및 자기력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 표시부 내의 포인터를 제어하는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된 자석부와, 사용자에 의한 이동력을 상기 자석부에 인가하는 작동 부재와, 상기 자석부와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 회전 및 복원 시키는 매개 부재와, 상기 매개 부재를 지지하고, 사용자에 의한 하강하는 이동력을 상기 기판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자석부 하측 영역의 상기 기판 상부면에 실장되고 상기 가이드부 내측 영역에 위치하는 자기 센서 칩과, 상기 기판 하부면에 마련된 돔 스위치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판의 배면에 돔 스위치를 두고 가이드부를 기 판과 매개 부재 사이에 배치시켜, 돔 스위치의 클릭 존을 벗어나 매개 부재를 클릭하더라도 돔 스위치를 클릭할 수 있어 클릭 오동작을 방지하고 클릭 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센서 칩과 이의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칩을 분리 제작하고, 자기 센서 칩을 기판의 상측면에 배치함으로 인해 전체 소자를 슬림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의 내측에 자기 센서 칩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상측에 위치한 자석부와 자기 센서 칩 간의 이격 거리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석부의 사이즈를 줄여 전체 장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판을 매개 부재 하측에 위치시켜 매개 부재와 기판 간의 마찰에 의한 조작감 저하를 방지하고 클릭을 위한 힘을 기판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기판(100)과, 기판(100) 상에 마련된 자석부(300)와, 사용자에 의한 움직임을 통해 자석부(300)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400)와, 자석부(300)와 작동부재(400)를 이동, 회전 및 복원시키는 매개 부재(200)와, 상기 매개 부재(200)를 지지 고정하고 사용자에 의한 클릭력(클릭하는 힘)을 기판(100)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가이드부(600)와, 상기 기판(100) 상부면에 실장되고 상기 가이드부(600) 내측에 위치하는 자기 센서칩(700)과, 기판(100) 하부면에 마련된 돔 스위치(900)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부(600)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작동 부재(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500)와, 상기 커버부(500) 외측으로 연장된 기판(100)에 실장된 신호 처리칩(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00)으로는 인쇄 회로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100)의 형상은 포인팅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은 중심 몸체(110)와, 중심 몸체(110)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몸체(120)를 구비한다. 중심 몸체(110)와 연장몸체(12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각기 분리 제작된 다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중심 몸체(110) 및/또는 연장 몸체(120)가 판 형상의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몸체들은 원형 및 타원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가능하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심 몸체(110)의 상부면에는 자기 센서 칩(700)이 실장되고 연장 몸체(120)의 상부면에는 신호 처리 칩(800)이 실장된다. 그리고, 연장 몸체(120)의 일측에는 외부 시스템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13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심 몸체(110)의 하측면에 돔 스위치(900)를 위치시킨다. 이를 통해 기판(100) 전체가 하강하여 돔 스위치(900)를 클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600)를 두어 기판(100)에 균일하게 힘을 인가한다. 이를 통해 돔 스위치(900)의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돔 스위치(900)를 감싸는 별도의 하측 커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0)의 상측면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40)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40)는 신호 처리 칩(800)의 신호에 따라 그 발광 색상이 가변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140)를 장치의 내측에 배치시킴으로 인해 장치의 동작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자기 센서 칩(700)은 단일 모듈 내에 4개의 자기 센서가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자기 센서는 십자가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 4개의 자기 센서가 인접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4개의 자기 센서는 각기 자석의 ±X축 및 ±Y축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한다. 이러한 자기 센서로 홀소자, 반도체 자기 저항 소자, 감자성체 자기 저항 소자 또는 GMR(Giant Magneto Resistive) 소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기 센서는 자장의 변화에 따라 그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는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센서로 자속 밀도에 비례하여 출력 전압이 변화하는 홀 소자를 사용한다.
신호 처리 칩(800)은 자기 센서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회로와,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이 회로들이 단일 모듈 내에 형성된다. 물론 신호 처리 칩(800)에 의해 기판(100) 상의 발광 다이오드(140)가 발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300)의 자장 변화에 따라 그 출력 신호가 가변되는 자기 센서 칩(700)과, 자기 센서 칩(700)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고 분석하여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신호 처리 칩(800)을 단일 칩(즉, 단일 몸체) 내에 제작하지 않고, 분리 제작하였다. 그리고, 자기 센서 칩(700)과 신호 처리 칩(800)을 분리 실장하였다. 이를 통해 자기 센서 칩(700)을 소형화할 수 있게 되었고, 신호 처리 칩(800) 내부 회로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자기 센서 칩(700)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였다. 종래에는 자기 센서와 신호 처리 회로가 수직적으로 배치되된 구조로 자기 센서와 신호 처리 회로를 단일 모듈 내에 형성할 경우에는 모듈의 높이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도 3의 점선 참조).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두 회로를 분리하여 이러한 제약이 없어져 그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더욱이, 특히 자기 센서 칩(700)을 기판(100) 중심 몸체(110)의 상측면에 실장하고, 신호 처리 칩(800)을 연장 몸체(120)에 실장하였다. 이를 통해 자기 센서 칩(700)과 자석부(300) 간의 거리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기 판(100)의 두께만큼 자석부(300)와 자기 센서 칩(700)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게 되었다. 즉, 기존에는 그 이격 거리가 최소 1.5mm 이상이었다. 이로인해 자석부(300)로 최소 0.8t(mm) 이상, 3.5파이(mm) 이상의 자석을 사용하여야 자기 센서 칩(700)에 효과적인 자력을 미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기 센서 칩(700)을 기판(100) 상측에 위치시킴으로 인해 자석부(300)와 자기 센서 칩(700)간의 이격 거리가 0.5 내지 1.0mm로 가까워지게 된다. 이로인해 자석부(300)의 사이즈가 종래의 사이즈보다 작아지더라도(즉, 작은 자력으로도) 자기 센서 칩(700)은 충분한 감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300)로 최소 0.3t(즉, 0.3mm) 이상, 2.0파이(즉, 직경이 2.0mm) 이상의 자석을 사용해도 좋은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석부(300)의 최대 사이즈는 전체 장치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300)는 최대 10t(mm) 이하, 10파이(mm) 이하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 센서 칩(700)과 자석부(3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전체 장치를 소형화 및 슬림화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소형화 및 슬림화하더라도 그 자장 변화를 감지하는 감도가 변화되지 않는다.
이어서, 매개 부재(200)는 중심부(210)와, 중심부(210)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패턴부(220)와, 상기 패턴부(220)의 끝단에 마련된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부(210)와 패턴부(220)의 두께가 동일하거나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중심부(210)는 자석부(300)에 고정되어 자석부(300)의 이동력에 따 라 이동 및 회전한다. 이러한 중심부(210)의 이동에 따라 라인 형태의 패턴부(220)의 형상이 변화된다. 이어서, 이동력이 제거되면 패턴부(220)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고, 중심부(210)와 자석부(300)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라인 형태의 패턴부(220)의 일측은 지지부(230)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패턴부(220)의 형상 복원에 의해 중심부(210)가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중심부(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중심부(210)는 중심 몸체(211)과, 중심 몸체(211)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자석 고정 돌기(212)를 구비한다. 이때, 중심 몸체(211)는 원형 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중심부(210)의 사이즈는 자석부(300)의 사이즈보다 작게 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중심부(210)의 이동 거리에 의해 자석부(300)의 움직임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심부(210)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면 자석부(300)가 2차원 평면상에서 움직이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자석부(300)의 사이즈를 100로 할 경우 중심부(210)의 사이즈는 50 내지 95%이내 인 것이 효과적이다. 이 범위의 사이즈보다 작을 경우에는 중심부(210)와 패턴부(220) 간의 연결 지점이 작아지게 되어 패턴부(220)가 쉽게 떨어져 나가는 단점이 있다.
패턴부(220)는 절곡된 선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선의 두께는 중심부(210)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보다 더 얇을 수도 있다. 이때, 패턴부(2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력, 회전력 및 복원력을 중심부(210)에 인가한다. 따라서, 패턴부(220)의 형상과 개수에 따라 상기 힘(이동력, 회전력 및 복원력)과 중심부(210)의 이동 거리에는 큰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패턴부(220)의 개수를 3개로하여 중심부(210)의 이동 공간을 넓히면서도 패턴부(220)의 힘을 중심부(210)에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패턴부(220)의 개수를 4개로 하여 힘을 더욱 균형있게 분산시킬 수 있지만, 이 경우 중심부(210)의 이동 공간이 약간 줄어들게 되고, 패턴부(220)들 간이 중첩되는 면적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패턴부(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선 형상으로 제작되어 그 일단이 중심부(210)에 각기 접속되고, 그 타단에는 지지부(230)가 접속된다. 여기서, 패턴부(220)는 중심부(210)에서 연장되고 곡선 형태로 절곡된 제 1 굴곡부와, 제 1 굴곡부에서 연장되고 곡선 형태로 절곡된 제 2 굴곡부와, 제 2 굴곡부에서 연장된 직선 형태의 연장선부를 포함한다. 제 1 굴곡부는 그 끝단이 상기 중심부(210)를 향하도록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굴곡부는 그 끝단이 상기 중심부(210)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연장선부는 그 끝단이 상기 지지부(230)에 접속된다. 즉, 패턴부(220)는 대략 S자 곡선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의 지지부(230)는 패턴부(220)의 일단의 움직임을 고정시켜 패턴부(220)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부(230)는 가이드부(600)에 고정된다. 이때, 지지부(230)는 후크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물론 요철 형태로 제작하여 가이드부(600)에 위치하는 고정홈에 이 요철부의 일부가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부(230)는 중심부(21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지지부(230)의 일측이 하측 방면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부(600)에 장착 고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개 부재(200)의 패턴부(220)와 중심부(210) 및 지지부(230)는 단일 몸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로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개 부재(200)의 몸체로 고강도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패턴부(220), 중심부(210) 및 지지부(230)를 포함하는 매개 부재(220)는 사출 및/또는 금형 공정을 통해 제작하거나, 천공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물론 감광막 마스크를 이용한 에칭공정을 통해 얇은 박판의 일부를 제거하여 매개 부재(200)를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패턴부(220), 중심부(210) 및 지지부(230)를 각기 서로 다른 몸체로 제작하고, 이들을 용접시키거나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시켜 매개 부재(200)를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매개 부재(200)는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중심 영역에 위치한 중심부를 평면상에서 이동, 회전 및 복원시킬 수 있는 박판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와 패턴부(220)의 하측면을 지지하고, 지지부(230)가 고정되는 가이드부(600)를 구비한다. 가이드부(600)는 매개 부재(200)와 기판(100) 사이에 위치하여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에 인가되는 클릭력(즉, 수직 방향의 이동력)을 기판(100) 전면에 균일하게 제공한다.
가이드부(6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에 장착되어 매 개 부재(200)의 지지부(230)와 커버부(500)를 고정하는 가이드 몸체(610)와, 가이드 몸체(610)와 매개 부재(200) 사이에 위치하는 클릭 가이드판(620)을 포함한다.
가이드 몸체(610)는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와 패턴부(220)가 이동하는 이동 영역을 갖는 몸체 판(611)과, 상기 이동 영역 외각에 마련되어 매개 부재(200)의 지지부(230)와 커버부(500)를 고정시키는 가이드 돌기(613)를 구비한다.
여기서, 몸체 판(611)은 기판(100)에 밀착된다. 그리고, 몸체 판(611)의 하측면에는 기판(100)에 끼워 고정될 다수의 가이드 고정 돌기(614)가 마련된다. 이때, 기판(100)에는 가이드 고정 돌기(614)에 대응하는 고정홈이 마련된다. 이를 통해 가이드 고정 돌기(614)가 기판(100)의 고정홈에 끼워 고정됨으로 인해 몸체 판(611)이 기판(100)에 밀착 고정된다.
이때, 기판(100)의 상측면에는 자기 센서 칩(700)이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 판(611)의 중심 영역에 자기 센서 칩(700)이 관통하여 그 내측에 위치하는 센서 관통홀(612)이 마련된다. 이를 통해 몸체 판(611)에 의해 자기 센서 칩(700)이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센서 칩(700)의 상부 표면의 높이를 몸체 판(611)의 상부면의 높이와 일치시켜 자기 센서 칩(700)과 자석부(300) 간의 이격 거리를 줄일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센서 관통홀(612)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기 센서 칩(700)과 자석부(300) 사이에는 몸체 판(611)이 위치하게 되고, 이 몸체 판(611)의 두께만큼 자기 센서 칩(700)과 자석부(300)가 이격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 관통홀(612)에 의해 자기 센서 칩(700)이 몸체 판(611) 표면으로 노출됨으로 인해 이러한 두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몸체 판(611)의 이동 영역 외각에는 원형 띠 형상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613)가 마련된다. 이때, 가이드 돌기(613)에는 매개 부재(200)의 지지부(230)와 결합되어 이를 고정시키는 제 1 고정 부재(615)와, 커버부(500)와 결합되어 이를 고정시키는 제 2 고정 부재(616)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고정 부재(615, 616)는 가이드 돌기(613) 일측에서 후크 형태로 돌출된 돌기 형상일 수도 있고, 가이드 돌기(613)의 일부가 절개 또는 오목하게 들어간 홈 형상일 수도 있다. 물론 이두 형상이 결합된 형상일 수도 있다. 이는 매개 부재(200)의 지지부(230)의 형상과, 커버부(500) 중 제 2 고정 부재(616)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제 1 고정 부재(6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613)의 일단이 절개 되고, 그 절개 영역 내측에 작은 고정 돌기가 마련된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를 통해 매개 부재(200)의 지지부(230)가 절개 영역 내측으로 인입 고정됨으로 인해 지지부(230)의 좌우 방향(지지부(230)에서 중심부(210)를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230)의 하측면에 마련된 오목홈에 고정 돌기가 끼워 넣어짐으로 인해 지지부(230)의 전후 방향(지지부(230)에서 중심부(210)를 연결하는 선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 판(611)의 이동 영역이 가이드 돌기(613)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그 상부면에서 매개 부재(200)가 이동하는 이동 영 역을 갖는 몸체 판(611)을 매개 부재(200) 하측에 위치시킨다. 이를 통해 매개 부재(200)가 기판(100)에 접속하지 않기 때문에 매개 부재(200)와 기판(100) 간의 접촉에 의한 기판(100)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매개 부재(200)를 플라스틱 계열 또는 금속 계열의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따라서, 이러한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와 패턴부(220)가 기판(100)과 접촉하여 평면상으로 이동하게되면 기판(100)의 표면이 마찰에 의해 벗겨지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기판(100) 내의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기판(100)의 상측면에 자기 센서 칩(700)이 위치하는 경우 매개 부재(200)가 자기 센서 칩(700)에 걸리게 되어 조작감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매개 부재(200)와 기판(100) 사이에 가이드 몸체(610)를 배치함으로 인해 이러한 기판(100) 손상과 조작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몸체(610)를 둠으로 인해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에 고정된 자석부(300)의 이동에 따른 클릭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중심부(21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 이후 클릭을 할 경우 이 클릭력(즉, 수직 방향의 누르는 힘)이 가이드 몸체(610) 전체에 균일하게 제공된다. 이를 통해 클릭력이 일부 영역에 집중 되지 않고 넓게 퍼지게 함으로써 하부 돔 스위치의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00)의 하측면에 돔 스위치(900)를 배치함으로 인해 기판(100) 표면에 클릭력을 균일하게 가하는 것이 클릭감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즉, 만일 가이드 몸체(610) 없이 기판(100) 상측면에 돔 스 위치(900)가 형성되어 매개 부재(200)가 돔 스위치(900) 상측 영역에서 이동하는 경우,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가 돔 스위치(900)의 중심 영역을 벗어나서 클릭하는 경우에는 원활한 클릭 동작이 수행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가 돔 스위치(900)의 중심 영역을 벗어나더라도 클릭력이 가이드 몸체(610)를 통해 기판(100)에 균일하게 전달됨으로 인해 클릭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몸체(610)와 매개 부재(200) 사이에 클릭 가이드판(620)을 두어 클릭력을 가이드 몸체(610) 전면에 더욱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중심부(210)가 이동하지 않고 중심 영역에서 클릭되는 경우의 클릭력을 가이드 몸체(610) 전면에 분산시킬 수 있다. 가이드 몸체(610)의 몸체 판(611)의 중심에는 자기 센서 칩(700)이 관통하는 센서 관통홀(612)이 마련된다. 따라서,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가 이 센서 관통홀(61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클릭력이 가이드 몸체(610)보다는 자기 센서 칩(700)에 인가된다. 이로인해 자기 센서 칩(700)이 클릭력에 의해 손상을 받는 문제가 발생하고, 클릭력이 가이드 몸체(610)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앞서와 같이 가이드 몸체(610)와 매개 부재(200) 사이에 클릭 가이드판(620)을 둠으로 인해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릭 가이드판(620)의 최소 직경은 상기 센서 관통홀(612)의 최대 직경보다 큰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클릭 가이드판(620)의 최소 직경은 돔 스위치(900)의 클릭 존의 최대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릭 가이드판(620)으로 금속 판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서스(SUS) 판을 사용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 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세라믹 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클릭 가이드판(620)의 사이즈는 가이드 몸체(610)의 매개 부재(200) 이동 영역의 사이즈와 동일한 것이 효과적이다. 클릭 가이드판(620)은 링 형태의 가이드 돌기(613)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돌기(613)의 내측에는 클릭 가이드판(620)의 움직임(예를 들어 회전)을 잡아주는 가이드판 고정 돌기가 마련되고, 클릭 가이드판(620)에는 이러한 돌기에 대응하는 오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몸체(610)와 클릭 가이드판(620)을 갖는 가이드부(600)에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와 패턴부(220)가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심부(210)와 패턴부(220)의 작동(이동, 회전)에 따른 기판(100)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심부(210)와 패턴부(22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판(100)과의 마찰 방지를 위해 기판(100) 상측에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와 패턴부(220)를 이격 배치하는 경우, 장시간 사용후에는 이러한 매개 부재(200)가 처치게 되어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중심부(210)와 패턴부(200)가 가이드부(600)에 그 배면(즉, 하측면)이 밀착됨으로 인해 이러한 처짐에 의한 조작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600)의 가이드 몸체(610)의 하측 영역에 발광 다이오드(140)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발광 다 이오드(140)에서 방출된 빛을 산란시킬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광을 상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의 이동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가이드부(600)에 의해 지지되는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에는 자석부(300)가 고정 결합된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부(300)로 중심에 관통홀(301)이 마련된 원형 자석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중심부(210)의 자석 고정 돌기(212)에 자석부(300)를 끼워 넣음으로 인해 자석부(300)를 중심부(210)에 고정 장착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자석부(300)는 작동 부재(400)에 고정 결합된다. 이를 통해 작동 부재(400)에 제공되는 사용자의 이동력이 자석부(300) 및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에 전달된다. 물론 매개 부재(200)의 패턴부(220)에 의해 중심부(210)에 제공된 복원력은 반대 방향으로 작동 부재(400)에 전달된다.
이러한 작동 부재(400)는 사용자의 이동력에 따라 자석부(300)를 이동 및 회전시킨다. 즉, 작동 부재(400)는 사용자의 이동력에 따라 2차원 평면 상에서 평행 이동을 하거나 이 평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작동 부재(400)는 그 내측에 자석부(300)를 수납하는 자석 고정부(410)와, 상기 자석 고정부(410) 상측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이동력을 인가 받는 접촉 조작부(420)와, 상기 자석 고정부(410)와 접촉 조작부(420)의 측면을 감쌓아 이들의 수평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어부(430)를 구비한다.
자석 고정부(4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영역에 자석 부(300)를 수납하는 자석 수납홈(412)이 마련된 자석 고정 몸체(411)와, 자석 고정 몸체(411)의 상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접촉 조작부(420)가 고정될 조작부 고정홈(413)과, 상기 자석 고정 몸체(411)의 하측 영역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동 제어부(430)와 중첩되는 돌출부(414)를 구비한다.
자석 고정 몸체(411)는 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작되고, 이 통의 내측으로 자석부(300)가 끼워 넣어짐으로 인해 고정된다. 그리고,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14)가 이동 제어부(430)에 의해 눌려지게 되어 자석 고정부(410)가 수평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 조작부(4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조작 몸체(421)와, 조작 몸체(421) 상측에 마련된 다수의 조작 돌기(422)와, 조작 몸체(421) 하측으로 연장되어 자석 고정부(410)에 고정되는 조작 고정 돌기(423)을 포함한다.
접촉 조작부(420)는 사용자의 이동력을 직접 인가 받는다. 따라서, 조작 몸체(421) 상측에 조작 돌기(422)를 두어 사용자 조작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 조작부(420)의 조작 고정 돌기(423)가 자석 고정부(410)의 조작부 고정홈(413)에 끼워 고정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력을 자석부(300)에 직접 제공할 수 있다.
이동 제어부(430)는 접촉 조작부(420)의 측면을 감쌓아 접촉 조작부(420)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수평 이동력을 제한한다.
이동 제어부(430)는 상하가 개방된 통형상의 중심 몸체(431)와, 중심 몸 체(431)의 하측 영역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이동 제어 판(432)을 구비한다. 중심 몸체(431)의 내측에 접촉 조작부(420)와 자석 고정부(410)가 인입 고정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몸체(431)의 하부 내측 영역에는 상기 자석 고정부(410)의 돌출부(414)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중심 몸체(431)로 자석 고정부(410)의 돌출부(414)를 눌러 줌으로 인해 자석 고정부(41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제어 판(432)은 매개 부재(200)의 패턴부(220)와 커버부(500)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이동 제어판(432)와 커버부(500)의 측벽면 사이의 이동 거리에 따라 매개 부재(200)의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제어판(432)는 자석 고정부(410), 접촉 조작부(420) 및 이동 제어부(430)가 결합된 작동 부재(400)가 커버부(500)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제어 판(432)이 가이드부(600)의 가이드 돌기(613)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이동 제어판(432)의 이동 거리가 가이드 돌기(613)에 의해 제한 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작동 부재(400)의 동작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접촉 조작부(420)에 접속하여 이동력을 접촉 조작부(420)에 인가한다. 이때, 수평 방향의 이동력이 접촉 조작부(420)에 인가될 경우, 이 이동력의 인가 방향으로 접촉 조작부(420)가 이동한다. 이때, 접촉 조작부(420)와 결합된 자석 고정부(410)도 함께 이동하고, 접촉 조작부(420)의 측면을 감싸고 있는 이동 제어부(43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수직 방향의 이동력(즉, 클릭력) 이 접촉 조작부(420)에 인가될 경우, 접촉 조작부(420)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접촉 조작부(420)에 결합된 자석 고정부(410)도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동 제어부(430)는 사용자의 누르는 힘(즉, 수평 방향의 이동력)이 일정한 값 이상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눌려지지 않는다.
이를 통해 수직 방향의 이동력의 힘을 2가지로 분리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수직 방향의 이동력으로 접촉 조작부(420)를 누를 경우에는 접촉 조작부(420)와 자석 고정부(410) 만이 수평 방향으로 하강한다. 하지만, 제 1 수직 방향의 이동력보다 더 큰 제 2 수직 방향의 이동력으로 접촉 조작부(420)를 노를 경우에는 접촉 조작부(420), 자석 고정부(410) 및 이동 제어부(430)까지 한꺼번에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를 통해 작동 부재(400)의 위치에 따른 클릭 감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부재(400)의 위치가 중심에 있을 경우에는 제 1 힘으로 클릭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작동 부재(400)가 중심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힘 보다 큰 제 2 힘으로 클릭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힘을 예비 클릭으로 하고, 제 2 힘을 본 클릭으로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 부재(400)의 누르는 힘은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를 거쳐 가이드부(600)에 전달된다. 가이드부(600)는 이 누르는 힘(즉, 클릭력)을 클릭 가이드판(620)에 의해 가이드 몸체(610)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판(100)에 제공되는 누르는 힘은 일측에 집중되지 않고, 기판(100) 전면을 누르게 된다. 이로인해 기판(100)의 하측면에 위치한 돔 스위 치(900)가 장치가 장착된 시스템의 바닥면(또는 시스템의 마더 기판)에 접속되어 클릭 동작을 수행하게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케이스에 접속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작동 부재(400)가 그 이동 범위의 최외각 까지 이동한 후에 클릭하는 경우 종래에는 힘이 최외각에 집중됨으로 인해 원활한 클릭이 수행되지 못하여 오동작 및 클릭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작동 부재(400)가 돔 스위치(900)의 클릭존을 벗어나는 경우 클릭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 부재(400)가 돔 스위치(900)의 클릭존을 벗어나더라도 힘의 분산에 의해 클릭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오동작을 방지하고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작동 부재(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500)를 구비한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400)의 접촉 조작부(420) 및 이동 제어부(430) 일부가 커버부(500)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인가받는다.
이러한 커버부(500)는 커버 관통홈(511)을 갖는 커버 상부판(510)과, 커버 상부판(510)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가이드부(600)에 고정된 커버 측벽(520)을 구비한다.
여기서 작동 부재(400)의 접촉 조작부(420)와 이동 제어부(430)의 일부가 커버 관통홈(511) 내측에 위치한다. 이때, 커버 관통홈(511) 상측으로 돌출 될 수도 있다. 이때, 이동 제어부(430)의 측벽면과 커버 관통홈(511)의 측벽면은 이격되어 있다. 이 이격 공간 내에서 작동 부재(40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제어부(430)의 이동 제어판(432)의 크기가 커버 관통홈(511)의 크기보다 더 큰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작동 부재(400)의 이동 제어판(432)을 커버 상부판(510)이 눌러 줌으로 인해 작동 부재(4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측벽(520)에는 가이드부(600)의 제 2 고정 부재(616)에 결합될 고정 홈(521)이 마련된다. 이를 통해 커버부(500)가 가이드부(600)에 고정 결합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즉, 휴대용 전화기는 물론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PMP, PDA, GPS, 노트북, 게임기, 리모콘, 전자 사전 등의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소정의 신호(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면 표시부 내에는 포인터 또는 커서가 마련된다. 전자 장치는 화면 표시부 내의 포인터 또는 커서는 입력 장치를 통해 인가된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입력 장치로 포인팅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포인팅 장치의 센서부 출력(좌표 신호)은 제어부에 인가되고, 제어부에 의해 화면 표시부 내의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인팅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면상의 커서를 움직이기 위한 다양한 센서와 센서 구동을 위한 장치들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센서를 이용하여 작동 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화면의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 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판 200 : 매개 부재
300 : 자석부 400 : 작동부재
410 : 자석 고정부 420 : 접촉 조작부
430 : 이동 제어부 500 : 커버부
600 : 가이드부 610 : 가이드 몸체
611 : 몸체 판 612 : 센서 관통홀
613 : 가이드 돌기 614 : 가이드 고정 돌기
620 : 클릭 가이드 판 700 : 자기 센서 칩
800 : 신호 처리 칩 900 : 돔 스위치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된 자석부;
    사용자에 의한 이동력을 상기 자석부에 인가하는 작동 부재;
    상기 자석부와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 회전 및 복원 시키는 매개 부재;
    상기 매개 부재를 지지하고, 사용자에 의한 하강하는 이동력을 상기 기판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자석부 하측 영역의 상기 기판 상부면에 실장되는 자기 센서 칩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매개 부재를 고정하는 가이드 몸체와, 상기 가이드 몸체와 상기 매개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클릭 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매개 부재가 이동하는 이동 영역을 갖고 상기 자기 센서 칩이 관통하는 센서 관통홀이 마련된 몸체 판과, 상기 이동 영역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매개 부재를 고정시키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 칩의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칩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그 상측에 상기 자석부가 위치하는 중심 몸체와, 상기 중심 몸체에서 연장된 연장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 센서 칩은 상기 중심 몸체의 상부면에 실장되고, 상기 신호 처리칩은 상기 연장 몸체의 일 표면에 실장된 포인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 하부면에 마련된 돔 스위치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는 상기 자석부에 결합된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이동, 회전 및 복원시키는 절곡된 라인 형상의 복수의 패턴부와, 상기 복수의 패턴부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내측에 상기 자석부를 수납 고정하는 자석 고정부와, 상기 자석 고정부 상측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이동력을 인가 받는 접촉 조작부와, 적어도 상기 자석 고정부와 상기 접촉 조작부의 측면을 감싸아 상기 자석 고정부와 상기 접촉 조작부의 수평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 하부면에 마련되어 클릭 존을 갖는 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클릭 가이드 판의 최소 직경은 상기 센서 관통홀의 최대 직경 및 상기 돔 스위치의 클릭 존의 최대 직경보다 큰 포인팅 장치.
  10.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및
    자기력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 표시부 내의 포인터를 제어하는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된 자석부와, 사용자에 의한 이동력을 상기 자석부에 인가하는 작동 부재와, 상기 자석부와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 회전 및 복원 시키는 매개 부재와, 상기 매개 부재를 지지하고, 사용자에 의한 하강하는 이동력을 상기 기판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자석부 하측 영역의 상기 기판 상부면에 실장되고 상기 가이드부 내측 영역에 위치하는 자기 센서 칩과, 상기 기판 하부면에 마련된 돔 스위치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매개 부재를 고정하는 가이드 몸체와, 상기 가이드 몸체와 상기 매개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클릭 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매개 부재가 이동하는 이동 영역을 갖고 상기 자기 센서 칩이 관통하는 센서 관통홀이 마련된 몸체 판과, 상기 이동 영역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매개 부재를 고정시키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090022321A 2009-03-16 2009-03-16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10104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321A KR101043281B1 (ko) 2009-03-16 2009-03-16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321A KR101043281B1 (ko) 2009-03-16 2009-03-16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130A KR20100104130A (ko) 2010-09-29
KR101043281B1 true KR101043281B1 (ko) 2011-06-22

Family

ID=4300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321A KR101043281B1 (ko) 2009-03-16 2009-03-16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2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583A (ko) * 2000-10-31 2002-05-07 후루하시 켄지 슬라이드조작식 스위치
KR20080075984A (ko) * 2007-02-14 2008-08-20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20090011668A (ko) * 2007-07-27 2009-02-02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583A (ko) * 2000-10-31 2002-05-07 후루하시 켄지 슬라이드조작식 스위치
KR20080075984A (ko) * 2007-02-14 2008-08-20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20090011668A (ko) * 2007-07-27 2009-02-02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130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01750B (zh) 触摸输入设备
US20120112859A1 (en) Multi-direction input device
US10019085B2 (en) Sensor layer having a patterned compliant layer
KR20160009032A (ko) 국한된 키 클릭 피드백 기법
US20140374230A1 (en) Pressure sensitive keys with a single-sided direct conduction sensor
JP2015516612A (ja) 感圧キーの基準化
US11596979B2 (en) Piezo haptic feedback device with integrated support
JP2001324397A (ja) 力検出装置および操作量検出装置
KR20100083269A (ko) 고정형 마우스
KR101043281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EP2407860A1 (en)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0908033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JP2014119887A (ja) 制御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156937B1 (ko) 다방향 입력 장치
KR20080024414A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945439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101022406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20080024415A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00111139A (ko) 입력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20080073059A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US20200272327A1 (en) Computer system and input device thereof
KR100852163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100893755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JP2006039755A (ja) 入力装置
KR100833269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