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755B1 -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755B1
KR100893755B1 KR1020070100546A KR20070100546A KR100893755B1 KR 100893755 B1 KR100893755 B1 KR 100893755B1 KR 1020070100546 A KR1020070100546 A KR 1020070100546A KR 20070100546 A KR20070100546 A KR 20070100546A KR 100893755 B1 KR100893755 B1 KR 100893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intermediate member
magnet
poin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321A (ko
Inventor
장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70100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7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9/04785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the operating part of a switch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는 작동 수단과, 상기 작동 수단의 중심과 그 중심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매개 부재 및 상기 작동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매개 부재와 작동 부재의 중심을 엇갈리게(이격되게) 배치하여 전자 장치의 각종 부품 요소들의 재배치 없이 포인팅 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이의 조립성 및 조립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석, 자기 센서, 매개 부재, 탄성력, 포인팅, 커서

Description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동 수단과 감지 수단의 중심과 탄성 복원력을 갖는 매개 부재의 중심을 어긋나게 배치하여 포인팅 장치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전자 장치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자 장치들은 점점 더 소형화되어 가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방식을 사용하여 전자장치의 조작을 쉽게 하도록 하였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마우스나 터치 패드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자석의 이동 방향 및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자석의 2차원적인 움직임을 감지하여 화면상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입력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는 기판상에 실리콘 고무를 마련하고, 상기 실리콘 고무의 중심 자석을 배치하고, 기판 하부에 센서를 부착하였다. 이때, 자석의 이동 시 실리콘 고무도 함께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고, 자석이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무의 탄성력으로 인해 자석을 초기 위치로 복원시켰다.
상술한 구조의 포인팅 입력 장치는 전자 장치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전자 장치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때, 포인팅 입력 장치를 전자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의 내부에는 최소한 실리콘 고무의 크기만큼의 공간이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전자 장치 내부에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위한 복수의 부품들이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포인팅 입력 장치를 실장하기 위해서는 부품들의 실장 위치를 조절하여 실리콘 고무의 크기 만큼의 공간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다른 부품들의 실장 마진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작동 부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고 사이즈가 큰 매개 부재의 중심과 작동 부재의 중심을 어긋나게 배치하여 조립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자 장치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는 작동 수단과, 상기 작동 수단의 중심과 그 중심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매개 부재 및 상기 작동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매개 부재는, 상기 작동 수단에 결합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이동, 회전 및 복원시키는 복수의 패턴부와, 상기 패턴부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 수단은 자석부와, 상기 자석부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자석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자석부의 중심과 상기 중심부의 중심이 엇걸리게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석부의 사이즈보다 상기 중심부의 사이즈가 더 큰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영역과 제어 영역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영역 내에 장착되는 포인팅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포인팅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는 작동 수단과, 상기 작동 수단의 중심과 그 중심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매개 부재 및 상기 작동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작동 수단의 중심이 상기 제어 영역을 이등분하는 수직 선 또는 수평 선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수직 선과 상기 수평 선이 만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매개 부재가 설치된 메인 기판과, 상기 메인 기판을 수납하고, 상기 작동 수단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개 부재가 설치될 공간의 중심이 상기 제어 영역의 중심에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개 부재는 상기 작동 수단에 결합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이동, 회전 및 복원시키는 복수의 패턴부와, 상기 패턴부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중심부에 결합되는 상기 작동 수단의 면적이 상기 중심부의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 수단은 자석부와, 상기 자석부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자석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개 부재와 작동 부재의 중심을 엇갈리게(이격되게) 배치하여 전자 장치의 각종 부품 요소들의 재배치 없이 포인팅 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이의 조립성 및 조립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중심 영역과 매개 부재가 장착될 전자 장치 내의 장착 공간의 중심 영역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작동 부재를 전자 장치의 중심 영역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공간 내에 매개 부재를 위치시키고, 매개 부재의 중심과 작동 수단의 중심을 엇갈리게 배치하여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장착 공간, 이동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개 부재의 중심부의 면적을 작동 수단의 자석부의 면적보다 크게 제작하여 중심부와 자석부간의 중첩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개념 단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개념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자석부(300)와, 사용자에 의한 움직임을 통해 자석부(300)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400)와, 자석부(300)와 작동 부재(400)를 이동, 회전 및 복원시키는 매개 부재(200)와, 자석부(300)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소정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600)를 포함한다.
또한, 매개 부재(200)를 지지 고정하고, 센서부(600)가 실장된 기판(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매개 부재(200)와 작동 부재(400)를 수납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100)으로는 인쇄 회로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100)은 그 상측에 배치된 매개 부재(200)의 형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포인팅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 형상, 다각형 형상, 타원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판(10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포인팅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메인 기판(10)이 기판(100)의 역할을 대신 할 수도 있다. 기판(100)상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감을 주기위해 돔 스위치(110)가 마련된다. 물론 돔 스위치(110)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릭감이 있는 스위치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돔 스위치(110)는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기판(100)의 일측에는 신호 출력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신 호 출력부는 센서부(600)의 출력을 인가받아 해당 제어 신호를 외부 시스템(즉, 전자 장치의 메인 보드)에 제공한다.
자석부(300)는 작동 부재(400)의 내측에 장착된다. 작동 부재(40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하여 자석부(30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매개 부재(200)는 탄성 복원력을 구비하여 자석부(300)와 작동 부재(400)를 초기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300)와 매개 부재(200)의 일부를 중첩시키되 자석부(300)의 중심과 매개 부재(200)의 중심을 일치시키지 않고, 엇갈리게 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부(300)가 장착된 작동 부재(400)의 중심에서 기판(100)의 표면에 수직하게 연장된 선과, 매개 부재(200)의 중심에서 기판(100)의 표면에 수직하게 연장된 선 간이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설명에서의 중심은 수평 단면에서의 중심점을 지칭한다.
여기서, 자석부(300)로 상하 착자된 원 형상의 자석을 사용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다극(2극, 4극, 8극) 착자 도는 단면 이형 다극 착자가 수행된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자석으로 타원형, 원형 띠 및 다각형 형상의 자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작동 부재(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몸통부를 구비한다. 몸통부의 하측에는 자석부(300)가 장착되는 홈부가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홈부를 생략하고 몸통부의 하측에 자석부(300)가 부착될 수도 있다. 작동 부재(400)의 상측면은 곡면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작동 부재(4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가된 힘에 의해 이동 및 회전할 경우, 상기 힘의 방향으로 자석부(300)를 함께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다.
매개 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두께의 대략 사각형 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물론 매개 부재(2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즉, 다각형 판 형상, 원 판 형상 또는 타원 판 형상이 가능하다. 매개 부재(200)의 형상은 포인팅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매개 부재(200)는 대략 사각형의 띠 형상의 지지부(230)와, 지지부(230)의 내측 영역에 마련된 중심부(210)와, 지지부(230)와 중심부(210) 사이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패턴부(220)를 포함한다.
지지부(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의 띠 형상으로 배치된 'ㄱ'자 형상의 4개의 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는 선 형상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들이 모두 연결되어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230)는 기판(100)에 고정된다. 지지부(230)는 전자 장치의 외부 케이스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매개 부재(200)는 전자 장치의 장착(설치) 공간에 배치되고, 이 장착 공간은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230)의 형상도 사각형 형태의 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부(230)의 형태는 장착 공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착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패턴부(220)는 일 끝단이 지지부(230)에 접속되고, 타 끝단이 중심부(210)에 접속된 복수의 절곡될 선 형상으로 제작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에서는 4개의 패턴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4개의 패턴부(220)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두께(즉, 중심부(210) 및 지지부(230)의 두께와 동일한, 0.01 내지 1mm)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절곡의 형상은 지그재그 형상, 원형상, 반원형상, 반타원 형상, 다각형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부(220)는 S자 곡선 형태로 제작되어 곡선의 탄성력으로 중심부(210)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고,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패턴부(220)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절곡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패턴부(220)는 선의 절곡에 의해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즉, 패턴부(220)는 중심부(210)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힘에 의해 해당 영역의 절곡된 선의 형상이 변형된다. 이를 통해 평면을 기준으로 2차원 방향(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후에 힘이 제거된 경우에는 절곡된 선은 초기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를 통해 중심부(210)를 초기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중심부(210)는 지지부(230)의 중앙 영역 배치된다. 이를 통해 중심부(210)가 매개 부재(20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중심부(210)는 원형 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중심부(210)는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부(210)의 중심과 작동 부재(400)의 중심을 엇갈리게 배치한다. 즉, 중심부(210)의 중심과 작동 부재(400)의 중심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때, 이들 두 중심 사이의 이격 거리(K)는 0.1mm 내지 5mm 인 것이 효과적 이다. 이를 통해 포인팅 장치가 전자 기기에 적용되었을 때, 작동 부재(400)를 전자 기기의 제어 영역을 이등분하는 수직 선, 수평 선 또는 수직 선 및 수평 선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자 기기의 제어 영역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표시 영역과 제어 영역으로 분리된다. 상기 제어 영역에는 다수의 버튼, 스위치 및 IC 칩과 같은 복수의 요소(1010)들이 마련되고, 본 실시예의 포인팅 장치가 배치된다. 전자 장치의 이러한 요소들은 케이스(1001)에 의해 보호된다.
포인팅 장치의 작동 부재(400)가 전자 장치의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작동 부재(400)는 사용자에 의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1)에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작동 부재(400)가 돌출된다. 특히 제어 영역의 중심에 돌출되도록 작동 부재(400)를 배치하여 조작감의 향상은 물론 표시 영역의 포인터의 움직임 제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작동 부재(400)의 중심이 전자 기기의 제어 영역을 이등분하는 수직 선과 수평 선이 만나는 지점 즉, 중심점과 일치하도록 작동 부재(400)를 배치하였다. 이때 오차 범위 내(약 10% 이내)에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동 부재(400)의 중심이 상기 제어 영역을 이등분하는 수직 선 또는 수평 선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때, 상기 작동 부재(400)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매개 부재(200)는 케이스(1001) 내측에 마련된다. 매개 부재(200)는 케이스(1001)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요소(1010)에 따라 그 배치 공간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복수의 요소(1010)에 의해 매개 부재(200)의 중심이 작동 부재(400)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매개 부재(200)의 배치 공간이 일측(좌측, 우측, 상측 또는 하측)으로 치우칠 수 있다. 도 3에서는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의 중심이 좌측으로 치우쳐 배치됨이 도시되었다. 이경우, 매개 부재(200)의 중심에 작동 부재(400)를 배치시키게 되면 작동 부재(400)는 제어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고 매개 부재(200)가 치우친 방향으로 치우치게 된다. 이로인해 사용자의 조작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400)의 중심을 제어 영역의 중심 영역에 위치시키고, 매개 부재(200)의 중심이 제어 영역의 중심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작동 부재(400)와 매개 부재(200)의 일부가 중첩되도록 하고, 이 중첩 영역에서 작동 부재(400)와 매개 부재(200)를 결합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자 장치의 내부 요소의 재배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 부재(200)를 제어 영역의 중심에 위치시킬 수 있고, 매개 부재(200)를 전자 장치내에 마련된 장착 공간의 형상에 맞도록 배치하여 전자 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조립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착 공간 전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매개 부재(200)를 장착 공간 내에 배치하여, 작동 부재(400)가 중심부(210)의 일부와만 결합되었더라도, 작동 부재(400)의 이동, 회전 및 복원 동작이 자연스럽게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매개 부재(200)의 축소 없이 충분한 길이를 갖는 패턴부(220)를 제작하여, 작동 부재(400) 가 패턴부(220)로부터 충분한 탄성 복원력을 부여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부(210)의 직경의 크기를 작동 부재(400)의 직경 보다 크게 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중심부(210)의 직경을 100으로 하였을 경우, 작동 부재(400)의 직경은 4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작동 부재(400)의 직경이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에는 작동 부재(400)가 작석부(300)를 충분히 고정시키지 못하게 되거나, 자석의 사이즈가 작아져 충분한 자기력을 발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범위보다 클 경우에는 작동 부재(400)의 사이즈가 과도하게 커지기 때문에 전자 장치 내부 장착 공간(또는 빈 공간)들을 원활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중심부(210)의 직경을 작동 부재(400)의 직경 보다 크게 하여 매개 부재(200)의 중심과 작동 부재(400)의 중심이 어긋나더라도 이둘 간의 중첩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210)의 중심(A)과 작동 부재(400)의 중심(B)이 어긋나있더라도 이둘 간의 일부가 중첩됨(도 2의 C영역 참조)을 알 수 있다. 상기 중첩 영역(도 2의 C영역)에 의해 작동 부재(400)와 중심부(210)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 부재(400)가 움직이더라도 사용자의 힘이 제거되는 순간 작동 부재(400)를 초기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심부(210)에 제공되는 탄성 복원력은 중심부(210)와 지지부(230)사이에 마련된 패턴부(220)에 의해 제공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매개 부재(200)의 패턴부(220)와 중심부(210) 및 지지부(230)는 단일 몸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로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얇은 금속 박판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부(220), 중심부(210) 및 지지부(230)를 포함하는 매개 부재(220)는 금형 공정을 통해 제작하거나, 천공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즉, 천공 프레스로 얇은 박판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 2에서와 같은 형상을 제작하여 적은 비용으로 대량 생산을 할 수 있다. 물론 감광막 마스크를 이용한 에칭공정을 통해 얇은 박판의 일부를 제거하여 매개 부재(200)를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패턴부(220), 중심부(210) 및 지지부(230)를 각기 서로 다른 몸체로 제작하고, 이들을 용접시키거나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시켜 매개 부재(200)를 제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매개 부재(200)의 판 형상의 몸체의 두께는 0.01 내지 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매개 부재(200)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의 전체 두께와 사이즈를 대폭 줄일 수 있어 소형의 포인팅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30), 중심부(210) 및 패턴부(220)가 단일 몸체로 제작될 경우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부(230), 중심부(210) 및 패턴부(220)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매개 부재(200)는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제 1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제 2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평면도 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개 부재(200)의 지지부(230)는 원형태의 띠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형태의 띠 또는 타원 형태의 띠 형상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개 부재(200)의 지지부(230)는 고정홈(231)을 갖는 사각 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도 7에서는 4개의 지지부(230)가 각기 이격 배치되었다. 그리고, 패턴부(220)는 지지부(230)와 중심부(210)를 연결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부(230)의 개수는 패턴부(220)의 개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매개 부재(200)의 각 요소들은 각기 제작된 다음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매개 부재(200)의 지지부(230)가 전자 장치의 메인 기판(10)에 실장될 수도 있다. 또한, 작동 부재(400)의 내측 영역에 자석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부재(400)는 이탈 방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작동 부재(400)는 외부 케이스에 의해 일부가 노출되어 사용자의 힘을 인가 받는다. 외부 케이스의 관통홀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작동 부재(400)의 일부가 외부 케이스의 하측 영역으로 연장된 이탈 방지부를 두어, 작동 부재(400)가 외부 케이스의 관통홀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의 하측면 영역는 자석부(300)의 이동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600)가 마련된다. 센서부(600)는 각기 자석부(300)의 X축 방향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X 좌표치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들과, Y축 방향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Y 좌표치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기 센서의 출력을 증폭하고, 종합하여 최종 자장의 변화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자기 센서를 자석부(300) 하측의 기판(100)에 인접 배치시킨다. 이때, 복수의 자기 센서들의 중심과 자석부(30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조립 특성상 중심들의 일부가 오차 범위(10%내외) 내에서 일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자석부(300)의 중심이 매개 부재(200)의 중심과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인접 배치된 복수의 자기 선세의 중심도 매개 부재(200)의 중심과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자기 센서를 자석부(300)의 중심점 영역 또는 매개 부재(200)의 중심점 영역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자기 센서를 기판 상측면에 위치시킨다. 이때, 자기 센서는 매개 부재(200)의 지지부(230)에 인접 배치된다. 이로인해 복수의 자기 센서의 중심과 매개 부재(200)의 중심이 일치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300)의 중심과 매개 부재(200)의 중심이 엇갈려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부(300)의 중심과 자기 센서의 중심이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로인해 자장의 중심점과 센서부의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 자기 센서에 의한 측정값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그램적(수학적)인 보정을 통해 자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들을 보정하여 상기의 중심점들의 불일치를 보상하여야 한다. 이러한 보정은 자기 센서의 출력 값 을 통해 자장의 변화를 계산하는 신호 출력부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 센서들의 중심과 자석부(300)의 중심이 X축 방향으로 1 정도 이격되었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자석부(300)가 이동하여 신호 출력부가 초기 이동 위치를 X=4, Y=4로 감지하였다면, 신호 출력부는 최종 이동 위치를 X=3, Y=4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자기 센서로는 홀소자, 반도체 자기 저항 소자, 감자성체 자기 저항 소자 또는 GMR(Giant Magneto Resistive) 소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기 센서는 자장의 변화에 따라 그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는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센서로 자속 밀도에 비례하여 출력 전압이 변화하는 홀 소자를 사용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 매개 부재(200)와, 전자 장치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요소(1010)를 배치한다. 복수의 요소(1010)에 의해 본 실시예의 포인팅 장치가 장착(설치)될 공간이 마련된다. 여기서, 복수의 요소(1010)들은 칩 형태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복수의 요소(1010)들은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장착 공간도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요소(1010)의 일부가 매개 부재(200)와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요소(1010)들에 의해 마련된 공간의 크기가 매개 부재(200)의 크기보다 작아 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의 중심이 상기 요소들에 의해 마련된 공간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이에, 작동 부재(400)를 상기 공간의 중심에 배치시키기 위해 중심부(210)의 중심과 작동 부재(400)의 중심을 엇갈리게 배치하였다. 이를 통해 상기 요소들의 이동 없이 매개 부재(200)와 자석부(300) 및 작동 부재(400)를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를 전자 장치 내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 부재(400)의 상하 좌우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요소(1010)들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에서 작동 부재(400)가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공간을 이동 공간이라고 한다.
전자 장치의 동작을 위한 복수의 요소(1010)들의 배치에 의해 도 8에서와 같이 중심부(210)의 중심이 이동 공간의 좌측 방향으로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만일 중심부(210)의 중심에 작동 부재(400)의 중심이 일치하는 경우, 작동 부재(400)는 좌측 방향의 이동 거리 보다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가 더 길어지게 된다. 이는 중심부(210)가 좌측 방향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동 공간의 좌우 거리(T1)가 4mm 이고 상하 거리가 6mm 일 경우, 중심부(210)의 중심에서 이동 공간의 좌측면까지의 거리(T2)가 1mm 이고, 우측면까지의 거리(T3)가 3mm인 경우, 작동 부재(400)는 좌측 방향으로는 1mm만 움직일 수 있는 반면에 우측 방향으로는 3mm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 거리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되고, 작동 부재(400)의 실질적인 이동 거리가 상기 좌측 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결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작동 부재가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이동거리를 확보하도록 이동 공간을 마련하였더라도 중심부(210)의 치우침으로 인해 상기 이동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부(210)와 작동 부재(400)의 일부를 중첩시켜 이들 간을 결합하되, 일측으로 치우친 중심부(210)의 중심과 작동 부재(400)의 중심을 엇갈리게 배치한다. 여기서, 작동 부재(400)의 중심이 상기 이동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작동 부재(400)가 이동 공간의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이동 공간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 공간의 좌우 거리(T1)가 4mm 이고 상하 거리가 6mm 일 경우, 작동 부재(400)의 중심이 상기 이동 공간의 중심에 위치되는 경우, 작동 부재(400)는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각기 2mm 씩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공간의 이동 거리를 충분히 활용하여 작동 부재(400)의 이동 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의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포인팅 장치 내부의 자석부(300)는 평상시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 부재(200)에 의해 초기 설정 위치에 위치한다. 이때, 자석부(300)는 작동 부재(400)의 하측 영역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300)가 매개 부재(200)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고 이격 배치된다.
이와 같이 평상시 포인팅 장치의 작동 부재(400)에 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센서부(600)의 출력은 기준점(0,0) 값이 출력된다. 이로 인해 화면상의 포인터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의 일측을 가압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작동 부재(400)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밀게 되면, 사용자의 미는 방향으로 상기 작동 부재(400)가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작동 부재(400)와 결합된 자석부(300)와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20)가 상기 사용자의 미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자석부(300)를 구비하는 작동 부재(400)와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만이 중첩되고, 상기 중첩 영역에서 이들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 부재(400)의 중심과 중심부(210)의 중심이 엇갈려 있더라도 작동 부재(400)에 인가된 힘이 중심부(210)에 제공될 수 있다.
미는 힘의 방향으로 작동 부재(400) 및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가 이동한다. 이를 통해 미는 힘의 방향으로 매개 부재(200)의 패턴부(220)의 선 간격이 줄어들고, 반대 방향으로의 패턴부(220)의 선 간격이 늘어난다. 이를 통해 중심부(210)의 이동시 패턴부(220)의 형태가 변화한다. 그리고, 미는 힘에 의해 자석부(300)가 이동하고, 자석부(300)의 이동에 따른 자장의 변화를 센서부(600)가 감지하게 되어 초기 위치와는 다른 센서 출력을 발생한다. 이러한 센서 출력의 변화를 제어부에서 감지하여 화면의 커서를 상기 자석부(300)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후에 상기 사용자의 미는 힘이 사라지게 된 경우에는 일측으로 밀렸던 패턴부(220)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해 이동하였던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와 그 상부의 자석부(300)는 초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매개 부재(200)를 통해 하부의 돔 스위치(110)를 클릭할 수도 있다. 작동 부재(400)를 기판(100)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작동 부 재(400)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패턴부(220)는 늘어나고 매개 부재(200)의 중심부(210)는 함께 하강하여 그 하부의 돔 스위치(110)를 누르게 된다. 이후, 외부에서 인가되었던 힘이 사라지게 되면 늘어났던 패턴부(220)가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이를 통해 중심부(210)와 작동 부재(400)도 함께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자석부(300)도 하강하게 되고, 이를 센서부(600)가 감지하여 사용자에 의한 클릭이 발생함을 알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즉, 휴대용 전화기는 물론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PMP, PDA, GPS, 노트북, 게임기, 리모콘, 전자 사전 등의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소정의 신호(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면 표시부 내에는 포인터 또는 커서가 마련된다. 전자 장치는 화면 표시부 내의 포인터 또는 커서는 입력 장치를 통해 인가된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입력 장치로 포인팅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포인팅 장치의 센서부 출력(좌표 신호)은 제어부에 인가되고, 제어부에 의해 화면 표시부 내의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인팅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면상의 커서를 움직이기 위한 다양한 센서와 센서 구동을 위한 장치들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센서를 이용하여 작동 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화면의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 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개념 단면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개념 평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일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제 1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일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제 2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판 200 : 매개 부재
210 : 중심부 220 : 패턴부
230 : 지지부 300 : 자석부
400 : 작동 부재

Claims (11)

  1.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는 작동 수단;
    상기 작동 수단의 중심과 그 중심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매개 부재; 및
    상기 작동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는,
    상기 작동 수단에 결합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이동, 회전 및 복원시키는 복수의 패턴부와,
    상기 패턴부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자석부와, 상기 자석부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자석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의 중심과 상기 중심부의 중심이 엇걸리게 이격된 포인팅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의 사이즈보다 상기 중심부의 사이즈가 더 큰 포인팅 장치.
  6. 표시 영역과 제어 영역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영역 내에 장착되는 포인팅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포인팅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는 작동 수단;
    상기 작동 수단의 중심과 그 중심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매개 부재; 및
    상기 작동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의 중심이 상기 제어 영역을 이등분하는 수직 선 또는 수평 선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수직 선과 상기 수평 선이 만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가 설치된 메인 기판과,
    상기 메인 기판을 수납하고, 상기 작동 수단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개 부재가 설치될 공간의 중심이 상기 제어 영역의 중심에서 이격된 전자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는 상기 작동 수단에 결합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이동, 회전 및 복원시키는 복수의 패턴부와, 상기 패턴부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에 결합되는 상기 작동 수단의 면적이 상기 중심부의 면적보다 작은 전자 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자석부와, 상기 자석부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자석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070100546A 2007-10-05 2007-10-05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100893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546A KR100893755B1 (ko) 2007-10-05 2007-10-05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546A KR100893755B1 (ko) 2007-10-05 2007-10-05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321A KR20090035321A (ko) 2009-04-09
KR100893755B1 true KR100893755B1 (ko) 2009-04-20

Family

ID=4076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546A KR100893755B1 (ko) 2007-10-05 2007-10-05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7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7938A (en) 1990-08-18 1992-03-18 David Roger Sherriff Capacitative puck
JP2003263271A (ja) 1999-03-17 2003-09-19 Fuji Xerox Co Ltd 情報受感装置、情報伝達システム、情報受感装置の制御を行なう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JP2006146524A (ja) 2004-11-18 2006-06-08 Fujitsu Component Ltd 入力装置
KR20060117954A (ko) * 2003-11-24 2006-11-17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포인팅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7938A (en) 1990-08-18 1992-03-18 David Roger Sherriff Capacitative puck
JP2003263271A (ja) 1999-03-17 2003-09-19 Fuji Xerox Co Ltd 情報受感装置、情報伝達システム、情報受感装置の制御を行なう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KR20060117954A (ko) * 2003-11-24 2006-11-17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포인팅 디바이스
JP2006146524A (ja) 2004-11-18 2006-06-08 Fujitsu Component Ltd 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321A (ko)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2840C (zh) 开关组装体
JP2005347042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用のキーシート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10217857A (ja) フラットコイルを有するボイスコイルモーター
JP2012104482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1221700A (ja) 静電容量式センサ
KR20190059915A (ko) 플렉서블 센서
KR100908033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JP2006349613A (ja) 容量検出型加速度センサ
KR100893755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JP2011118796A (ja) 入力装置
JP2010182093A (ja) タッチパネル付画像表示装置
WO2006077807A1 (ja) 多段スイッチ
CN102369499B (zh) 指向元件以及具有此指向元件的电子装置
KR100862949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20090035322A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JP5350860B2 (ja) 情報入力装置
KR100852161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100852163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100945439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JP2017022225A (ja) 基板及び電子機器
KR100931069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101043281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TWI717152B (zh) 操作支援裝置
KR100994997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TWI836488B (zh) 觸控板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