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406B1 -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406B1
KR101022406B1 KR1020090006785A KR20090006785A KR101022406B1 KR 101022406 B1 KR101022406 B1 KR 101022406B1 KR 1020090006785 A KR1020090006785 A KR 1020090006785A KR 20090006785 A KR20090006785 A KR 20090006785A KR 101022406 B1 KR101022406 B1 KR 101022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agnet
movement
upper cover
upper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798A (ko
Inventor
김대겸
장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90006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4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7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면상에서 이동하는 상부 조작부와, 상측 영역에 상기 상부 조작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된 상측 커버와, 상기 상측 커버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조작부의 일축 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일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부 조작부의 타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상측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조작부에 결합되어 상부 조작부에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중심 버튼을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사각형 형태의 상부 조작부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자석과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된 포인팅 장치를 통해 종래의 터치 패드 입력부를 대체할 수 있고, 상부 조작부의 일축 방향의 이동력을 제한하는 슬라이더부를 두어 상부 조작부가 중심선에 대하여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석, 자기 센서, 매개 부재, 액츄에이터, 클릭감, 복원력, 포인팅, 커서

Description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노트북 화면상의 포인터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신호를 입력하는 터치 패드 입력부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와 이를 갖는 노트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자기기들은 점점 더 소형화되어 가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방식을 사용하여 전자기기의 조작을 쉽게 하도록 하였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마우스나 터치 패드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가 사용된다.
이중 현재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수단으로 키보드와 터치 패드가 사용된다. 이중 터치 패드는 터치 영역을 사용자가 접촉하면 이를 감지하여 해당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별도의 펜을 터치 패드에 터치시킨 상태에서 패드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화면상의 마우스 포인터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터치패드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원치않는 터치로 인해 터치 인식이 잘못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 손가락을 이용하여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하고 있는 중에 다른 손가락이 터치 패드와 접속될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가 원치 않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터치 패드는 고정된 패드 상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이동하기 때문에 조작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터치 패드 입력부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다양한 포인팅 입력 장치들이 제안되었다. 이중 하나로 자석과 자석의 이동에 따른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 센서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자기력을 이용한 종래의 포인팅 장치는 자석의 크기를 작게하여 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주변 회로의 영향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자기 센서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는 그 사이즈가 터치 패드 입력부와 다른 단점이 있다. 따라서, 터치 패드 입력부 대신 자기 센서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를 사용할 경우 노트북 케이스의 디자인을 변경시켜야 하고, 또한, 내부 구성 또한 변화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트북 구성에 변화를 주지 않고, 타치 패드 입력부를 대체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면상에서 이동하는 상부 조작부와, 상측 영역에 상기 상부 조작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된 상측 커버와, 상기 상측 커버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조작부의 일축 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일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부 조작부의 타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상측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조작부에 결합되어 상부 조작부에 탄성 및 복원력 을 제공하는 중심 버튼을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중심 버튼은, 상기 상부 조작부에 결합된 버튼 조인트와, 상기 버튼 조인트에 결합된 자석과, 상기 자석에 결합되어 상기 자석에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매개 부재 및 상기 자석의 이동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 제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조작부는, 조작판과, 상기 조작판의 하측 바닥면에서 상기 슬라이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와, 상기 조작판의 하측 바닥면 중앙에 마련된 고정홈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측 커버는, 상기 조작판이 놓여지는 상부 커버판과, 상기 상부 커버판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상측 측벽과 하측 측벽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판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가 관통하는 다수의 돌기 관통홀과 상기 버튼 조인트가 관통하는 조인트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조작부의 상기 조작판과, 상기 상측 커버의 상기 상측 측벽 간은 이격 거리, 상기 상부 조작부의 상기 돌기와, 상기 상측 커버의 상기 돌기 관통홀 간의 이격 거리 및 상기 상측 커버의 상기 조인트 관통홀과, 이를 관통하는 상기 버튼 조인트사이의 이격 거리 중 어느 하나의 이격 거리는 상기 상부 조작부의 일축 및 타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와 같고, 나머지 이격 거리들은 상부 조작부의 일축 및 타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보다 큰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슬라이더는, 슬라이더판과, 상기 슬라이더판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 조인트가 관통하는 중심홀과, 상기 슬라이더판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내측 공간에 상기 복수의 돌기가 인입되고, 상기 돌기의 상기 일축 방향 이동력을 상기 슬라이더판에 제공하고, 상기 돌기의 타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이동 제어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판의 변중 타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두변은 수납 공간의 내측벽면에 밀착되고, 나머지 일축 방향에 대향하는 두변은 상기 내측벽면과 이격되며, 상기 이동 제어홀은 그 내측으로 상기 상부 조작부의 사각형 형태의 상기 돌기가 인입되고, 상기 돌기의 일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두 면이 상기 이동 제어홀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돌기의 타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두 면은 상기 이동 제어홀의 내측면과 이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슬라이더판의 일축 방향의 일 변과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벽면과의 이격 거리는 상기 상부 조작부의 일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와 같거나 크고, 상기 돌기의 타축 방향의 일 면과 상기 이동 제어홀의 내측면과의 이격 거리는 상기 상부 조작부의 타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와 같거나 큰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중심 버튼과 상기 슬라이더가 놓이는 기판 및 상기 상측 커버와 결합하여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 공간에 상기 슬라이더부, 상기 중심 버튼 및 상기 기판을 수납하는 하측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센서 제어부는 상기 기판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조인트는, 하측면에 자석 수납홈이 마련된 조인트 몸체 및 상기 조인트 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석은 상기 자석 수납홈에 장착되는 띠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매개 부재는 상기 자석에 결합된 중심 몸체와, 상기 중심 몸체 외측에 마련되고 고정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중심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중심 몸체에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조작부, 상기 상측 커버, 상기 슬라이더, 상기 버튼 조인트, 상기 매개 부재는 플라스틱 사출 공정으로 제작하고, 상기 매개 부재로 고강도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상기 상측 커버부와 상기 슬라이더부는 열에 의한 팽창율이 동일한 물질로 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등의 전원 공급 장치, 그리고 이들을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신호에 따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화면 표시부와, 자기력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 표시부 내의 마우스 포인터를 제어하는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자석을 평면상에서 이동시키는 상부 조작부와, 상기 자석의 이동에 따라 상기 마우스 포인터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 제어부와, 상기 상부 조작부의 일축 방향의 움직임을 가이드하여 상기 상부 조작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측 영역에 상기 상부 조작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된 상측 커버와, 상기 슬라이더부 및 상기 상측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조작부 에 결합된 버튼 조인트와, 상기 버튼 조인트부에 결합된 자석 및 상기 자석에 결합되어 상기 자석에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매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대향하는 일측면의 두변 영역이 수납 공간에 밀착된 슬라이더판과, 상기 슬라이더판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 조인트가 관통하는 중심홀과, 상기 슬라이더판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내측 공간에 상기 복수의 돌기가 인입되고, 상기 돌기의 상기 일축 방향 이동력을 상기 슬라이더판에 제공하고, 상기 돌기의 타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이동 제어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각형 형태의 상부 조작부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자석과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이들을 수납하는 상측 커버부와 하측 커버부로 구성된 포인팅 장치를 통해 종래의 터치 패드 입력부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조작부의 일축 방향의 이동력을 제한하는 슬라이더부를 두어 상부 조작부가 중심선에 대하여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더부와 이와 그 일부가 밀착된 상측 커버부를 열 팽창율이 동일한 물질로 제작하여 포인팅 장치를 전자장치에 장착하였을 경우 전자 장치 열에 의한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 공정을 통해 포인팅 장치의 각 요소(즉, 각 부분)을 제작함으로 인해 제작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매개 부재를 평면상에서 절곡되는 판 형태로 제작하여 포인팅 장치를 슬림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노트북 컴퓨터 즉, 전자 장치는 베이스부(2000)와, 화면 표시부(3000)와, 키보드 입력부(4000) 및 화면 표시부(3000) 내의 마우스 포인터의 제어를 위한 포인팅 장치(1000)를 구비한다.
베이스부(2000)는 메인 보드, CPU, 각종 칩셋,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및 제어 장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등의 전원 공급 장치, 그리고 이들을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를 포함한다. 화면 표시부(3000)는 베이스부(2000)의 신호에 따라 화면 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한다. 키보드 입력부(4000)는 외장 케이스의 상측면에 마련된 키보드 자판을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를 베이스부(2000)에 제공한다. 베이스부(2000)는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화면 표시부(3000)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의 자기력 변화를 이용하여 화면 표시부(3000) 내의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포인팅 장치(1000)를 구비한다. 여기서, 포인팅 장치(1000)는 자석이 이동에 따른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베이스부(2000)에 제공한다. 그리고, 베이스부(2000)는 이동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 표시부(3000)의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즉, 사용자에 의해 자석이 이동하면 해당 방향으로 화면상의 포인터가 이동한다. 이를 통해 화면상의 포인터의 움직임(즉,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포인팅 장치(1000)는 도면에서와 같이 종래의 터치 패드와 동일한 사이즈와 두께로 제작된다. 여기서 동일함은 오차 범위(±5%) 내에서 일치함을 지칭한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즉, 노트북 컴퓨터)의 외장 케이스 및 내부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의 터치 패드 대신 본 실시예의 포인팅 장치(1000)를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포인팅 장치(1000)는 전자 장치의 외장 케이스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와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그 형상도 사각형이 아닌 다각형, 원형, 타원형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포인팅 장치(1000)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포인팅 장치를 결합후 A-A 선에 대해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포인팅 장치를 결합후 B-B 선에 대해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포인팅 장치를 결합후 C-C 선에 대해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조작부의 배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부의 평면 어레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마우스 포인터 제어를 위한 포인팅 장치(1000)는 평면상에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 조작부(1100)와, 상측에 상부 조작부(1100)가 이동 가능 하도록 수납됩 상측 커버부(1200)와, 상기 상측 커버부(1200)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조작부(1100)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부 조작부(110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더부(1300)와, 상부 조작부(1100)에 결합된 버튼 조인트부(1400)와, 버튼 조인트부(140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자석부(1500)와, 자석부(1500)에 결합되어 자석부(1500)에 탄성을 제공하는 매개부재(1600)와, 상기 매개 부재(1600)가 고정된 기판(1700)과, 상기 기판(1700)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자석부(1500)의 이동에 따라 이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센서 제어부(1800)와, 상기 상측 커버부(1200)와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수납 공간 내에 슬라이더부(1300), 버튼 조인트부(1400), 자석부(1500), 매개부재(1600) 및 기판(1700)을 수납하는 하측 커버부(19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버튼 조인트부(1400), 자석부(1500), 매개 부재(1600) 및 자기 센서 제어부(1800)를 중심 버튼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조작부(1100)는 사용자의 조작력(즉, 이동을 위해 가해진 힘)에 의해 평면상에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부 조작부(1100)는 버튼 조인트부(1400)를 통해 자석부(1500)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조작부(1100)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제공받아 자석부(15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자석부(1500)는 탄성 및 복원력을 갖는 매개 부재(1600)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력이 제거되는 순간, 상부 조작부(1100)는 매개 부재(160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상부 조작부(11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판부(1110)와, 조작판부(1110)의 하측 바닥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120)와, 조작판부(1110)의 하측 바닥면 중앙에 마련된 고정홈부(113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판부(1110)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한다. 이를 통해 노트북 컴퓨터의 터치 패드 대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조작판부(1110)의 형상은 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상측 커버부(1200)의 상측 측벽부(1220) 즉, 상측 오목 영역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 또는 팬등이 조작판부(1110)에 직접 접속되어 조작력을 조작판부(1110)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판부(1110)의 상측 표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턴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패턴으로는 요철 패턴 또는 돌기와 같은 다양한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조작판부(1110) 상에 별도의 미끄럼 방지막 또는 미끄럼 방지 시트를 형성 또는 부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형상의 조작판부(1110)의 4 귀퉁이 영역에 각기 1개씩의 돌출부(1120)가 마련된다. 즉, 4개의 돌출부(112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12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 기둥 형상, 원 기둥 형상, 타원 기둥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1120)를 통해 상기 조작판부(1110)게 가해진 조작력을 슬라이더부(1300)에 제공한다. 그리고, 돌출부(1120)에 의해 상기 조작판부(1110)가 뒤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홈부(113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판부(1110)의 하측 바닥면 중앙에 마련된 고정홈(1131)과, 상기 고정홈(1131)의 개구 영역에서 고정홈(113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1132)를 구비한다. 따라서, 고정홈부(1130)는 그 내측 바닥면의 면적이 상측 개구의 면적보다 더 크게 제작된다.
상기 고정홈부(1130)에 버튼 조인트부(1400)가 결합 고정된다. 이를 통해 조작판부(1110)의 조작력을 버튼 조인트부(1400)에 제공할 수 있고, 버튼 조인트부(1400)에 가해진 탄성 및 복원력을 조작판부(1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홈(1131)의 바닥면에는 상기 버튼 조인트부(140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패턴이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돌기(1132)는 링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물론 다수의 고정 돌기(1132)가 상기 고정홈(1131)의 개구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조작부(1100)는 조작판부(111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력을 제공 받는다. 그리고, 상기 조작력을 돌출부(1120)를 통해 슬라이더 부(1300)에 제공하고, 고정홈부(1130)를 통해 버튼 조인트부(1400)에 제공한다. 물론, 상부 조작부(1100)는 버튼 조인트부(1400)에 제공된 탄성 및 복원력을 슬라이더부(130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부 조작부(1100)는 상측 커버부(1200)상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된다. 이는 상부 조작부(1100)가 평면상에서 상하좌우 방향(즉, Y축 및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상하 방향은 도 2의 B-B선 또는 C-C선 방향을 지칭하고, 좌우 방향은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그리고, 상하좌우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좌우 방향으로도 함께 이동할 수 있음을 지칭한다.
상측 커버부(12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작부(1100)가 놓여지는 상부 커버판(1210)과, 상기 상부 커버판(12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상측 측벽부(1220)와 하측 측벽부(1230)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판(1210)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 관통홀(1240)과 조인트 관통홀(1250)을 구비한다.
상부 커버판(1210)는 사각형 형상으로 제작한다. 이때, 상부 커버판(1210)은 포인팅 장치(1000)가 장착될 영역의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트북 컴퓨터의 터치 패드와 동일 사이즈로 상부 커버판(1210)을 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노트북 컴퓨터의 외장 케이스의 디자인을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외장 케이스의 디자인이 바뀌는 경우, 상기 상부 커버판(1210)의 형상 또한 바뀔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측 커버판(1210) 상에서 상기 상부 조작부(1100)의 조작판부(1110)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상측 커버판(1210)과 조작판부(1110)의 사이에는 마찰을 줄이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들 간의 접촉을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이 되도록 하여 마찰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조작판부(1110)의 이동 영역을 제한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커버판(1210) 상측에 상측 오목 영역을 형성한다. 즉, 이러한 상측 오목 영역 내에서 조작판부(1110)가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오목 영역은 상부 커버판(1210)과 상측 측벽부(1220)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상측 측벽부(1220)는 상부 커버판(1210)의 상측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를 통해 상측 측벽부(1220)와 상부 커버판(1210)에 의해 상기 조작판부(1110)가 놓여지는(또는 실장되는) 사각형 형태의 오목한 공간(즉, 오목 영역)이 형성된다.
이는 상측 측벽부(1220)가 조작판부(11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상측 측벽부(1220)와 조작판부(1110)의 측면과의 이격 거리(T1, T2)는 조작판부(1110)의 상하좌우 방향(즉, Y축 및 X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보다 같거나 큰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격 거리(T1, T2)는 상기 상부 커버판(1210)의 장축 길이의 1/3 보다 작은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이격 거리(T1, T2)가 상하좌우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보다 작을 경우에는 조작판부(1110)가 설계한 범위 만큼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이격 거리(T1, T2)가 상 기 상부 커버판(1210)의 장축 길이의 1/3 보다 클 경우에는 조작판부(1110)의 이동 거리가 커짐으로 인해 사용자의 조작감이 나빠지고, 조작을 위한 힘이 커져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판부(1110)의 상하좌우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는 0.5mm 내지 10mm범위 내로 설정한다. 조작판부(1110)의 상하좌우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는 상하 방향(Y축 방향) 최대 이동 거리와, 좌우 방향(X축 방향) 최대 이동거리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하 방향(Y축 방향) 최대 이동 거리와, 좌우 방향(X축 방향) 최대 이동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하 방향(Y축 방향) 최대 이동 거리와, 좌우 방향(X축 방향) 최대 이동거리 모두 0.5mm 내지 10mm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조작판부(111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는 장치의 효유적인 설계와, 사용자의 조작감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조작판부(111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의 제한을 다양한 영역에서 수행할 수 있다. 그 일 예로 앞서 언급한 조작판부(1110)와 상측 측벽부(1220) 간의 이격 거리(T1, T2)로 조작판부(111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제 1 이격 거리(T1)로 좌우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하고, 제 2 이격 거리(T2)로 상하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이격 거리(T1)은 조작판부(1110)의 장변과 상측 측벽부(1220) 간의 이격 거리를 지칭하고, 제 2 이격 거리(T2)는 조작판부(1110)의 단변과 상측 측벽부(1220) 간의 이격 거리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이격 거리(T1)와 제 2 이격 거리(T2)가 동일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하측 측벽부(1230)는 상부 커버판(1210)의 하측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하측 측벽부(1230)는 하측 커버부(1900)와 결합하여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판부(1110)의 하측 바닥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1120)에 대응하는 다수의 돌기 관통홀(1240)이 마련된다. 이때,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돌출부(1120)가 상기 돌기 관통홀(1240)을 관통한다.
돌기 관통홀(1240)의 형상은 돌출부(112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같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돌기 관통홀(1240)은 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돌기 관통홀(1240)의 크기는 돌출부(1120)의 단면(즉, 수평 단면) 크기보다 큰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돌기 관통홀(1240)의 내측면과 돌출부(1120)는 이격되어 있다. 이를 통해 돌출부(1120)가 돌기 관통홀(1240) 내측에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 관통홀(1240)의 내측면과 돌출부(1120)의 상하 방향의 이격 거리와 좌우 방향의 이격 거리는 조작판부(111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즉, Y축 및 X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보다 같거나 큰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돌기 관통홀(1240)의 내측면과 돌출부(1120)의 상하 방향의 최대 이격 거리는 상부 커버판(1210)의 단변 길이의 1/2보다 작은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돌기 관통홀(1240)의 내측면과 돌출부(1120)의 좌우 방향의 최대 이격 거리는 상부 커버판(1210)의 장변 길이의 1/3보다 작은 것이 효과적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 관통홀(1240)의 내측면과 돌출부(1120)의 이격 거리를 제한하여 조작판부(111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판(1210)의 중심 영역에는 조인트 관통홀(1250)이 마련된다. 여기서, 버튼 조인트부(1400)가 상기 조인트 관통홀(1250)를 관통하여 상기 조작판부(1110)에 결합된다.
조인트 관통홀(12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상으로 제작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조인트 관통홀(1250)을 관통하는 버튼 조인트부(1400)의 형상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 조인트부(1400)와 조인트 관통홀(1250)은 이격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이격 거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작판부(111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즉, Y축 및 X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보다 같거나 큰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조인트 관통홀(1250)의 내측면과 이를 관통하는 버튼 조인트부(1400)간의 이격 거리를 제한하여 조작판부(111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터치 패드를 대체하기 위해 상부 커버판(1210)의 사이즈가 커져야하고, 상부 조작부(1100)의 조작판부(1110)의 사이즈 또한 커져야 한다. 그리고, 조작판부(1110)에 자유로운 움직임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조작판부(1110)가 상측 측벽부(1220)와 목표하는 이격 거리 많큼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조작판부(1110)의 무게와 자중에 의해 조작판부(1110)가 뒤틀리게 되는 현상(평면상에서 그 중심축이 경사지게 틀어짐)이 발생한다. 이를 통해 조작판부(1110)와 상측 측벽부(12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심지어는 일부 영역에서 조작판부(1110)가 상측 측벽부(1220)에 밀착되어 버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부 커버판(12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조작판부(1110)에서 돌출된 돌출부(1120)의 일축 방향(즉, 좌우 방향, X축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슬라이더부(1300)를 구비한다.
슬라이더부(1300)는 상부 커버판(12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더판(1310)과, 상기 슬라이더판(1310)의 중심 영역에 형성된 중심홀(1320)과, 슬라이더판(1310)의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된 다수의 이동제어홀(1330)을 구비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홀(1320)의 둘레에는 다수의 고정홀(1340)이 더 마련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판(1310)의 상하부로 돌출된 접촉 돌기(1350)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판(1310)은 도 2 및 도 7에서와 같이 사각 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슬라이더판(1310)의 4 변중 대향하는 두 변은 상측 커버부(1200)의 하측 측벽부(1230)에 밀착되고, 나머지 두변은 하측 측벽부(1230)와 좌우 이동 거리(T3) 만큼 이격되어 있다. 즉,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판(1310)의 장변은 하측 측벽부(1230)에 밀착되고, 슬라이더판(1310)의 단변은 좌우 이동 거리(T3) 만큼 하측 측벽부(1230)와 이격된다. 이때, 상기 좌우 이동 거 리(T3)는 조작판부(1110)의 좌우 방향(즉, X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보다 같거나 큰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좌우 이동 거리(T3)는 상측 측벽부(1220)과 조작판부(1110) 간의 제 1 이동 거리(T1)와 동일한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밀착은 오차 범위 내에서 밀착됨을 지칭한다. 즉, 공정 오차 범위 내에서 밀착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오차 범위로는 0.001 내지 0.8mm인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부(1300)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지만, 상하 방향으로는 그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때, 슬라이더부(1300)의 이동 제어홀(1330) 내측으로 상부 조작부(1100)의 돌출부(1120)가 인입된다. 여기서, 돌출부(1120)의 대향하는 일측면들은 이동 제어홀(1330)의 일 내측면에 밀착되고, 대향하는 타 측면들은 이동 제어홀(1330)의 타 내측면과 이격된다. 즉,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제어홀(1330)은 장변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제어홀(1330)의 장변 면에 돌출부(1120)가 밀착되고, 이동 제어홀(1330)의 단변 면에 돌출부(1120)가 상하 이동 거리 만큼(T4) 만큼 이격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 이동 거리(T4)는 조작판부(1110)의 상하 방향(즉, Y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보다 같거나 큰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하 이동 거리(T4)는 상측 측벽부(1220)과 조작판부(1110) 간의 제 2 이동 거리(T2)와 동일한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상기 돌출부(1120)는 이동 제어홀(1330)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만 자유롭게 이동하게 되고, 좌우 방향의 이동력은 슬라이더판(1310)에 직접 제공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상하 방향(즉, Y축 방향) 및 좌우 방향(즉, X축 방향)으로 이동력이 조작판부(1110)를 통해 돌출부(1120)에 제공된다. 이때, 돌출부(1120)에 제공된 상하 방향의 이동력에 의해 돌출부(1120)는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같이 돌출부(1120)가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제어홀(1330)내측으로 삽입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돌출부(1120)에 제공된 좌우 방향의 이동력은 이동 제어홀(1330)을 통해 슬라이더판(1310)에 제공된다. 그리고, 이러한 좌우 방향의 이동력에 의해 슬라이더판(1310)이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는 돌출부(1120)의 좌우(즉, Y축)의 측면이 이동 제어홀(133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이동력에 의해 조작판부(1110)는 평면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1120)의 좌우 측면이 이동 제어홀(133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이동 제어홀(1330)이 형성된 슬라이더판(1310)의 상하 측면이 상측 커버부(1200)의 하측 측벽부(123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를 통해 조작판부(1110)의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작판부(1110)가 무게와 자중에 의해 뒤틀리는 경우, 이러한 뒤틀림에 의한 회전력이 돌출부(1120)에 제공된다. 이때, 돌출부(1120)의 좌우 측면이 이동 제어홀(133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뒤틀림에 의한 회전력은 슬라이더판(1310)에 제공된다. 이때, 슬라이더판(1310)의 장변 즉, 상하 측면이 하측 측벽부(1230)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력이 소멸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조작판 부(1110)는 슬라이더부(1300)에 의해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설명에서는 슬라이더판(1310)의 장변이 하측 측벽부(1230)에 밀착되고, 단변이 이격됨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로인해 이동 제어홀(1330)의 장변 면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장변에 돌출부(1120)의 일측면이 밀착됨에 관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슬라이더판(1310)의 단변이 하측 측벽부(1230)에 밀칙될 수 도 있다. 이로인해 이동 제어홀(1330)의 장변 면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장변에 돌출부(1120)의 일측면이 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더판(1310)의 중심 영역에는 버튼 조인트부(1400)가 관통하는 중심홀(13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심홀(1320)의 직경이 조인트 관통홀(1250)의 직경보다 큰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버튼 조인트부(1400)가 단턱진 형상으로 제작되기 때문이다. 중심홀(1320)은 이를 관통하는 버튼 조인트부(1400)의 형상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중심홀(1320)은 버튼 조인트부(1400)와 이격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이격 거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작판부(111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즉, Y축 및 X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보다 같거나 큰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중심홀(1320)의 내측면과 이를 관통하는 버튼 조인트부(1400)간의 이격 거리를 제한하여 조작판부(111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슬라이더부(1300)는 다수의 고정홀(134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고정홀(1340)의 중심에 하측 커버부(1900)에서 연장된 하측 고정돌기()가 위치한다. 이때, 고정 돌기는 하측 커버부(1900)의 상측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돌기와 고정홀(1340)의 이격 거리를 제한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작판부(111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슬라이더부(1300)의 슬라이더판(1310)의 상측면은 상측 커버부(1200)의 상부 커버판(1210)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판(1310)의 하측면은 기판(1700)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판(1310)의 상하측면은 면접촉을 하게된다. 이경우 면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감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판(1310)의 상하부로 돌출된 다수의 접촉 돌기(1350)를 슬라이더판(1310)의 상하측면에 형성한다. 이를 통해 슬라이더판(1310)과 상측 커버부(1200)의 접촉을 점접촉으로 하고, 슬라이더판(1310)과 기판(1700)의 접촉을 점접촉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포인팅 장치(1000)를 슬림화하기 위해 상기 접촉 돌기(1350)의 높이를 5mm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 돌기(1350)의 상측면을 구 형상으로 제작하여 마찰력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슬라이더판(1310)의 상하측면에 마찰 방지를 위한 마찰 방지 시트를 부착하거나, 마찰 방지층을 코팅할 수도 있다.
버튼 조인트부(1400)는 상부 조작부(1100)에 결합되고, 그 하측 중심에 자석 부(1500)를 수납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버튼 조인트부(1400)는 상부 조작부(1100)에 인가된 힘(즉, 사용자의 이동력)을 자석부(1500)에 제공하고, 자석부(1500)에 인가된 힘(즉, 탄성 및 복원력)을 상부 조작부(1100)에 제공한다.
버튼 조인트부(1400)는 하측면에 자석 수납홈(1420)을 갖는 조인트 몸체(1410)와, 조인트 몸체(14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부(1430)를 구비한다. 그리고, 버튼 조인트부(1400)는 조인트 몸체(1410)의 하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거리 제어 돌기부(1440)와, 상기 조인트 몸체(14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1430) 내측에 위치한 중심 돌기(1450)를 더 구비한다.
조인트 몸체(1410)는 원형 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조인트 몸체(1410)의 하측면의 중심 영역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자석 수납홈(1420)이 마련된다. 자석 수납홈(1420)에 자석부(1500)이 수납 고정된다. 이때, 자석 수납홈(1420)은 자석부(15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결합 돌기부(14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작부(1100)의 고정홈부(1130)에 결합 고정된다. 결합 돌기부(1430)는 조인트 몸체(1410)의 상측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측 면으로 돌출된 연장 돌기(1431)와, 상기 연장 돌기(1431)의 상측에 마련된 결합 돌기(1432)를 구비한다.
상기 연장 돌기(1431)를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에 의해 가상의 원이 형성되고, 이 원의 직경은 고정 돌기(1132)에 의해 형성된 고정홈부(1130)의 개구의 직경과 동일한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연장 돌기(1431)는 상측 커버부(1200)의 조인 트 관통홀(1250)과, 슬라이더부(1300)의 중심홀(1320)을 관통한다.
상기 결합 돌기(1432)는 연장 돌기(1431)의 상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결합 돌기(1432)가 고정홈부(1130)에 끼워 결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1432)가 고정 돌기(1132)내측의 고정홈(1131) 내에 위치한다.
이와 간은 결합 돌기(1432)와 고정 돌기(1132)의 결합을 통해 조작판부(1110)에 가해진 힘이 버튼 조인트부(1400)에 제공되고, 버튼 조인트부(1400)에 가해진 탄성 및 복원력이 조작판부(1110)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결합 돌기부(1430)가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 돌기부(1430)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조인트 몸체(14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링 형태의 결합 돌기부(14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결합 돌기부(1430)와 상부 조작부(1100)의 고정홈부(1130) 간의 결합 고정을 위해 적어도 3개 이상의 결합 돌기부(1430)가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조인트 몸체(1410)의 하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링 형태의 거리 제어 돌기부(1440)가 마련된다. 이러한 거리 제어돌기부(1440)는 슬라이더부(1300)의 중심홀(132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한다. 그리고, 거리 제어 돌기부(1440)와 중심홀(1320)의 내측면은 이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격 간격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작판부(111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즉, Y축 및 X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보다 같거나 큰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거리 제어 돌기부(1440)와 중심 홀(1320)의 내측면간의 이격 거리를 제한하여 조작판부(111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부(1430) 내측에 중심 돌기(1450)가 위치한다. 이때, 상기 중심 돌기(1450)는 원형 판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1430)와 일정 거리 이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이격 거리는 결합 돌기부(1430)가 고정 홈부(1130)에 끼워질때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보다 큰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중심 돌기(1450)을 결합 돌기부(1430) 사이에 형성함으로 인해 고정 홈부(1130)의 중심 영역이 사용자의 힘에 의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고정 홈부(1130)의 바닥면에는 상기 중심 돌기(1450)가 끼워 맞추어 지는 오목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자석부(1500)는 버튼 조인트부(1400)의 하측에 고정 결합되고, 이러한 자석부(1500)는 매개부재(1600)에 의해 탄성력 및 복원력을 제공 받는다.
이러한 자석부(1500)는 그 중심 영역에 관통홈이 마련된 자석을 사용한다. 즉, 상기 자석부(1500)로 원형 띠 형태의 자석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석부(1500)의 자장에 의한 주변 장치의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자장의 센싱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자석부(1500)의 최대 직경이 3mm 내지 20mm 범위 내의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는 그 최대 직경이 5mm 내지 10mm의 원형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부(1500)로 상하 착자된 원형 링 형태의 자석을 사용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다극(2극, 4극, 8극) 착자 도는 단면 이형 다극 착자가 수행된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자석부(1500)는 버튼 조인트부(1400)의 자석 수납홈(1420)에 끼워 넣어짐으로 인해 버튼 조인트부(1400)에 결합 고정된다. 물론 별도의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자석부(1500)가 버튼 조인트부(1400)에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버튼 조인트부(1400)에 제공된 힘(즉, 이동력)에 의해 버튼 조인트부(1400)가 이동할 때 자석부(150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자석부(1500)의 중심에 마련된 관통홀을 통해 자석부(1500)는 매개 부재(1600)에 결합 고정된다. 이를 통해 자석부(1500)의 이동에 의해 매개부재(1600)의 탄성 및 복원력이 변화된다. 이어서, 버튼 조인트부(1400)에 제공된 힘이 제거된 경우 매개 부재(1600)의 탄성 및 복원력이 자석부(1500)에 제공되고, 이에 따라 자석부(1500)와 결합된 버튼 조인트부(1400)에도 탄성 및 복원력이 인가된다.
매개부재(1600)는 자석부(1500)에 결합되어 자석부(1500)에 탄성 및 복원력을 인가한다. 상기 매개부재(1600)로 종래의 실리콘 고무에 비하여 내 마모성이 우수한 고강도 플라스틱(예를 들어, POM, PC 등)을 사용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얇은 금속 박막을 사용할 수 있다.
매개 부재(1600)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부에 결합된 중심부(1610)와, 중심부(1610)에서 연장되어 중심부(1610)에 탄성 및 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수의 패턴부(1620)와, 패턴부(1620)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1630)를 구비한다. 상기의 매개 부재(1600)는 외부 힘에 의해 중심부(1610)가 이동하고, 이에 따라 중심부(1610)와 고정부(1630) 사이의 패턴부(1620)의 형상이 변화된다. 이후, 외부 힘이 제거되는 경우 패턴부(1620)가 초기 형상으로 복원됨으로 인해 중심부(161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여기서, 중심부(1610)는 원형 판 형상의 중심 몸체(1611)와, 상기 중심 몸체(1611)의 중심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자석 고정 돌기(1612)를 구비한다.
상기 중심 몸체(1611)는 원형판형상으로 제작하고, 그 최대 직경이 자석부(1500)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중심 몸체(1611)의 이동 거리를 충분히 넓힐 수 있게 된다. 이는 중심 몸체(1611)의 사이즈가 커질 경우에는 중심부(1610)와 고정부(163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이다.
자석 고정 돌기(161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부(1500)의 관통홀 내측으로 끼워넣어진다. 이를 통해 외부로 부터 제공된 자석부(1500)의 힘(즉, 이동력)을 중심부(1610)에 제공하고, 중심부(1610)의 탄성 및 복원력을 자석부(1500)에 제공하게 된다.
물론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심 몸체(1611)의 하측 바닥면에는 반구 형상의 돌기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반구 형상의 돌기를 통해 중심 몸체(1611)와 기판(1700) 사이의 접촉을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고정부(1630)의 중심점 영역에 중심부(1610)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고정부(1630)를 구비한다.
고정부(1630)는 링 형태의 몸체를 구비하고, 몸체의 일부가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다수의 오목부(도 8의 K 참조)를 구비한다. 이때, 다수의 오목부 의 내측으로 기판(1700) 또는 하측 커버부(1900)에서 돌출된 돌기가 각기 끼워넣어진다. 이를 통해 고정부(1630)가 회전(즉,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 형태의 복수의 패턴부(1620)를 구비한다. 이러한 복수의 패턴부(1620)의 하측에는 기판(1700)과의 마착을 줄이기 위한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패턴부(1620)는 외부 힘에 의해 중심부(1610)가 이동 또는 회전하는 경우 중심부(1610)를 지지하고, 외부 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즉, 중심부(1610)가 이동 및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심부(161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이때, 패턴부(1620)의 형상과 개수는 복원력과 사용자 조작감에 영향을 미친다. 즉, 선의 형상과 선의 절곡 영역의 개수에 따라 탄성 복원력과 조작감에 큰 차이가 있다. 또한, 선들 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서도 탄성 복원력과 조작감에 큰 차이가 있다. 이는, 패턴부(1620)에 의한 복원력과 조작감은 이의 수축과 팽창과 같은 형상 왜곡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이다. 또한, 조작감의 경우 인접한 패턴부(1620)들 간의 접촉 또는 중첩에 의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패턴부(1620)를 구비한다. 이를 통해 패턴부(1620)의 이동 공간을 최대로 넓힐 수 있고 중심부(161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인접한 패턴부(1620) 간의 중첩(또는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만일 상기 개수보다 작을 경우에는 중심부(1610)를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상기 패턴부(1620)의 개수를 5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5개 이상의 패턴부(1620)를 구비하는 경우 패턴부(1620)의 이동 공간이 줄어들게 될 뿐만 아니라 패턴부(1620) 간의 간섭에 의해 조작감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 다.
패턴부(162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S자 형상(즉, 대략 사인 곡선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턴부(1620)를 포함하는 매개 부재(1600)가 사출 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패턴부(1620)의 선폭은 0.2 내지 2.0mm 이내의 범위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패턴부(1620)는 중심부(1610)에 접속된 제 1 접속부와, 제 1 접속부에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 제 1 연장선부와, 상기 제 1 연장선부에서 절곡 연장된 원호 형상의 제 2 연장 선부와, 상기 제 2 연장 선부에서 연장되어 고정부에 접속된 제 2 접속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연장선부와 제 2 연장선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와 같은 패턴부(1620)의 형상에 의해 중심부(1610)는 외부 힘에 의해 2차원 운동(즉,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이동)할 수 있다. 즉, 직선 운동은 물론 곡선 및 원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힘이 제거되면 패턴부(1620)에 의해 중심부(1610)은 고정부(1630)의 중심점에 자연스럽게 복원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630)는 기판(1700)을 관통하여 연장된 다수의 매개 부재 고정부()에 끼워 맞춤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매개 부재(1600)는 기판(1700) 상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700)은 인쇄 회로 기판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1700)의 상측면에는 별도의 배선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 고, 상기 기판(1700)의 상측면의 일부 영역(예를 들어 매개 부재(1600) 실장 영역)에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별도의 시트 또는 막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700)에는 하측 커버부(1900)에서 돌출된 하측 고정 돌기()와 매개 부재 고정부()가 관통하는 다수의 홈(1710)이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700)의 하측면의 중심 영역에는 자기 센서 제어부(1800)가 위치한다. 기판(1700)의 상측면 중심에 매개 부재(1600)의 중심부(1610)가 위치한다. 즉, 자석부(1500)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자석부(1500)의 바로 하측에 자기 센서 제어부(1800)를 배치시켜 자기 센서 제어부(1800)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기 센서 제어부(18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700) 하측에 위치하여 기판(1700) 상측에 위치한 자석부(1500)의 이동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해당하는 이동 신호를 출력한다. 즉, 자기 센서 제어부(1800)는 자석부(1500)의 상하좌우 방향의 움직임(즉, 2차원 움직임)을 감지한다.
자기 센서 제어부(18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자석부(300)의 X축 방향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X 좌표치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 1 자기 센서와, Y축 방향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Y 좌표치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 2 자기 센서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자기 센서의 출력을 증폭하고, 종합하여 최종 자장의 변화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복수의 제 1 및 제 2 자기 센서와 제어부가 원칩화된 센서칩을 자기 센서 제어부(1800)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자기 센서들로는 홀소자, 반도체 자기 저항 소자, 감자성체 자기 저항 소자 또는 GMR(Giant Magneto Resistive) 소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기 센서는 자장의 변화에 따라 그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는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센서로 자속 밀도에 비례하여 출력 전압이 변화하는 홀 소자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기판(1700)의 바닥면에는 자기 센서 제어부(1800)과 연결되는 다수의 배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1700)의 일측면 영역에는 상기 배선과 접속되어 외부 시스템 즉, 베이스부(2000)와 전기적으로 연되는 다수의 외부패드가 마련된다.
상기의 기판(1700), 매개부재(1600), 자석부(1500), 버튼 조인트부(1400) 및 슬라이더부(1300)는 상부 커버부(1200)와 결합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부(1900) 내측에 위치한다.
하부 커버부(19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 몸체(1910)와, 하부 커버 몸체(1910)의 상측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매개 부재 고정부(1920) 및 하측 고정돌기(1930)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커버 몸체(1910)의 내측 영역에 마련된 다수의 실장홈(1940)을 구비한다.
하부 커버 몸체(1910)는 사각 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그 상측 표면 에는 기판(1700)이 수납되는 수납홈이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 몸체(1910)의 일측면이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절개 영역을 통해 기판(1700)의 외부 패드가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외부 배선과 기판(1700)의 외부 패드간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매개 부재 고정부(1920)는 하부 커버 몸체(1910)에서 돌출되어 기판(1700)을 관통하여 기판(1700) 상에 위치하는 매개 부재(1600)의 고정부(1630)를 고정시킨다. 이때, 다수의 매개 부재 고정부(19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 링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4개의 매개 부재 고정부(1920)가 상하 좌우 방향에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이 4개의 매개 부재 고정부(1920) 내측 공간으로 매개 부재(1600)의 고정부(1630)가 고정 배치된다. 그리고, 매개 부재 고정부(1920)의 일부가 돌출되어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630)의 오목부에 끼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매개 부재(1600)의 고정부(163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부(1300)의 다수의 이동 제어홀(133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하측 고정돌기(1930)를 구비한다. 이러한 하측 고정돌기(1930)에 의해 상부 조작부(1100)의 이동 거리가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700)의 바닥면 영역에 배선이 형성되고, 이 배선들과 연결될 다수의 전기적 소자가 기판(1700)의 바닥면 영역에 실장된다. 그러나 기판(1700)의 바닥면에는 하부 커버부(1900)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 커버부(1900)에 기판(1700)의 바닥면 영역을 노출시키는 다수의 실장홈(1940)이 마련된다. 이를 통해 기판(1700)의 바닥면에 다양한 전기적 소자를 실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상측 커버부(1200)와 하측 커버부(19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901)에 의해 서로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부재(1901)로는 볼트를 사용하고, 상기 상측 커버부(1200)와 하측 커버부(1900)에는 고정 부재(1901)가 인입 고정되는 홈이 마려된다. 이때, 상기 홈에는 볼트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1901)가 상측 커버부(1200)와 하측 커버부(1900)의 장변 영역에 위치한다. 이에 상측 커버부(1200)의 장변면에 밀착된 슬라이더부(1300)에는 고정부재(1901)가 이동하는 홈이 마련된다.
상술한 자석부(1500)와 기판(1700)을 제외한 나머지부는 플라스틱 사출 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조작부(1100), 상측 커버부(1200), 슬라이더부(1300), 버튼 조인트부(1400), 매개부재(1600) 및 하측 커버부(1900)을 사출 공정으로 제작하여 그 제작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조작부(1100), 상측 커버부(1200), 슬라이더부(1300), 버튼 조인트부(1400), 매개부재(1600) 및 하측 커버부(1900) 제작을 위한 재료로는 동일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동일한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못할 경우에는 각 재질은 각기 온도 수축율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측 커버부(1200)와 슬라이더부(1300)는 온도 수축율이 동일한 물질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실시예의 포인팅 장치(1000)를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전자 장치에 사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 내부 열에 의해 상측 커버부(1200) 및 슬라이더부(1300)가 수축 또는 팽창하기 때문이다. 이는 본 실시예의 포인팅 장치(1000)를 제작하고, 그 동작 테스트를 완료한 이후, 노트북 컴퓨터의 터치 패드 대신 장착하여 포인팅 장치(1000)의 동작을 재 테스트 하였다. 이러한 재 테스트시에 포인팅 장치(1000)의 상부 조작부(1100)가 원활하게 움직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는 처음 테스트시는 포인팅 장치(1000) 테스트로 상온(약 15 내지 30도)의 온도 범위에서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하짐만, 노트북 컴퓨터에 장착할경우에는 포인팅 장치(9000)는 노트북 컴퓨터의 내부 열에 의해 약 35 내지 50도 범위의 온도까지 상승하게된다. 이로인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부(1300)와 상측 커버부(1200) 간의 열 팽창율이 달라 슬라이더부(1300)가 원활하게 이동하게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 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와 같은 재질로 슬라이더부(1300)와 상측 커버부(1200)를 제작하여 이들의 열 팽창율을 일치시켰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매개 부재(1600)로 고강도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매개 부재(1600)에 사용자의 조작력이 전달될 뿐만 아니라 매개 부재(1600) 내의 패턴부(1620)에 의해 탄성 및 복원력이 상부 조작부(1100)에 제공되기 때문이다. 즉, 매개 부재(1600)로 윤활성, 내마모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물질을 사용한다.
그리고, 앞서와 같이 사출에 의해 제작된 상부 조작부(1100), 상측 커버 부(1200), 슬라이더부(1300), 버튼 조인트부(1400), 매개부재(1600) 및 하측 커버부(1900)들 간의 마찰면에는 마찰을 줄이기 위한 별도의 테이프 또는 윤활부재를 부착 또는 도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기판(1700)의 상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돔 스위치가 위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돔 스위치는 매개 부재(1600)의 중심부(1610) 하측의 기판(17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4개의 돔 스위치가 매개 부재(1600)의 고정부(1630) 하측에 방사상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매개 부재(1600) 외측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돔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매개 부재(1600)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에 각기 하나의 돔 스위치가 위치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클릭 동작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기판(1700) 대신 전자 장치의 메인 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메인 보드 상측에 매개 부재(1600)를 배치시키고, 메인 보드 하측면에 자기 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이경우, 물론 하측 커버부(1900)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의 하우징 또는 커버에 상기 포인팅 장치(1000)가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포인팅 장치를 결합후 A-A 선에 대해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포인팅 장치를 결합후 B-B 선에 대해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포인팅 장치를 결합후 C-C 선에 대해 자른 단면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조작부의 배면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부의 평면 어레이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개 부재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포인팅 장치 1100 : 상부 조작부
1110 : 조작판부 1120 : 돌출부
1200 : 상측 커버부 1210 : 상부 커버판
1220, 1230측벽부 1240 : 돌기 관통홀
1300 : 슬라이더부 1310 : 슬라이더판
1330 : 이동 제어홀 1400 : 버튼 조인트부
1500 : 자석부 1600 : 매개 부재
1700 : 기판 1800 : 자기 센서 제어부
1900 : 하측 커버부 2000 : 베이스부
3000 : 화면 표시부 4000 : 키보드 입력부

Claims (16)

  1. 평면상에서 이동하는 상부 조작부;
    상측 영역에 상기 상부 조작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된 상측 커버;
    상기 상측 커버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조작부의 일축 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일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부 조작부의 타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상측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조작부에 결합되어 상부 조작부에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중심 버튼을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 버튼은,
    상기 상부 조작부에 결합된 버튼 조인트;
    상기 버튼 조인트에 결합된 자석;
    상기 자석에 결합되어 상기 자석에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매개 부재; 및
    상기 자석의 이동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 제어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조작부는,
    조작판과, 상기 조작판의 하측 바닥면에서 상기 슬라이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와, 상기 조작판의 하측 바닥면 중앙에 마련된 고정홈을 구비하는 포인 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측 커버는,
    상기 조작판이 놓여지는 상부 커버판과, 상기 상부 커버판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상측 측벽과 하측 측벽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판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가 관통하는 다수의 돌기 관통홀과 상기 버튼 조인트가 관통하는 조인트 관통홀을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조작부의 상기 조작판과, 상기 상측 커버의 상기 상측 측벽 간은 이격 거리, 상기 상부 조작부의 상기 돌기와, 상기 상측 커버의 상기 돌기 관통홀 간의 이격 거리 및 상기 상측 커버의 상기 조인트 관통홀과, 이를 관통하는 상기 버튼 조인트사이의 이격 거리 중 어느 하나의 이격 거리는 상기 상부 조작부의 일축 및 타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와 같고, 나머지 이격 거리들은 상부 조작부의 일축 및 타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보다 큰 포인팅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슬라이더판과,
    상기 슬라이더판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 조인트가 관통하는 중심홀과,
    상기 슬라이더판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내측 공간에 상기 복수의 돌기가 인 입되고, 상기 돌기의 상기 일축 방향 이동력을 상기 슬라이더판에 제공하고, 상기 돌기의 타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이동 제어홀을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판의 변중 타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두변은 수납 공간의 내측벽면에 밀착되고, 나머지 일축 방향에 대향하는 두변은 상기 내측벽면과 이격되며,
    상기 이동 제어홀은 그 내측으로 상기 상부 조작부의 사각형 형태의 상기 돌기가 인입되고, 상기 돌기의 일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두 면이 상기 이동 제어홀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돌기의 타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두 면은 상기 이동 제어홀의 내측면과 이격된 포인팅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판의 일축 방향의 일 변과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벽면과의 이격 거리는 상기 상부 조작부의 일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와 같거나 크고,
    상기 돌기의 타축 방향의 일 면과 상기 이동 제어홀의 내측면과의 이격 거리는 상기 상부 조작부의 타축 방향의 최대 이동 거리와 같거나 큰 포인팅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심 버튼과 상기 슬라이더가 놓이는 기판; 및
    상기 상측 커버와 결합하여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 공간에 상기 슬라이더, 상기 중심 버튼 및 상기 기판을 수납하는 하측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센서 제어부는 상기 기판의 하측에 마련된 포인팅 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인트는,
    하측면에 자석 수납홈이 마련된 조인트 몸체; 및
    상기 조인트 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자석 수납홈에 장착되는 띠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매개 부재는 상기 자석에 결합된 중심 몸체와, 상기 중심 몸체 외측에 마련되고 고정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중심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중심 몸체에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패턴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 조작부, 상기 상측 커버, 상기 슬라이더, 상기 버튼 조인트, 상기 매개 부재는 플라스틱 사출 공정으로 제작하고,
    상기 매개 부재로 고강도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포인팅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상측 커버와 상기 슬라이더는 열에 의한 팽창율이 동일한 물질로 제작하는 포인팅 장치.
  14. 제어 장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등의 전원 공급 장치, 그리고 이들을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신호에 따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화면 표시부와,
    자기력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 표시부 내의 마우스 포인터를 제어하는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자석을 평면상에서 이동시키는 상부 조작부와,
    상기 자석의 이동에 따라 상기 마우스 포인터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 제어부와,
    상기 상부 조작부의 일축 방향의 움직임을 가이드하여 상기 상부 조작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슬라이더와,
    상측 영역에 상기 상부 조작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된 상측 커버와,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상측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조작부에 결합된 버튼 조인트와,
    상기 버튼 조인트에 결합된 자석과,
    상기 자석에 결합되어 상기 자석에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매개 부재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삭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상부 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대향하는 일측면의 두변 영역이 수납 공간에 밀착된 슬라이더판과, 상기 슬라이더판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 조인트가 관통하는 중심홀과, 상기 슬라이더판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내측 공간에 상기 복수의 돌기가 인입되고, 상기 돌기의 상기 일축 방향 이동력을 상기 슬라이더판에 제공하고, 상기 돌기의 타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이동 제어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090006785A 2009-01-29 2009-01-29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101022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785A KR101022406B1 (ko) 2009-01-29 2009-01-29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785A KR101022406B1 (ko) 2009-01-29 2009-01-29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798A KR20100087798A (ko) 2010-08-06
KR101022406B1 true KR101022406B1 (ko) 2011-03-15

Family

ID=4275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785A KR101022406B1 (ko) 2009-01-29 2009-01-29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731B1 (ko) * 2011-05-31 2014-04-21 크루셜텍 (주) 포인팅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20681B1 (ko) * 2011-09-02 2013-10-18 크루셜텍 (주) 포인팅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4502A (en) * 1990-09-18 1996-04-02 Fujitsu Limited Pointing control device for moving a cursor on a display on a computer
KR20000025650A (ko) * 1998-10-13 2000-05-06 윤종용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는 휴대형 컴퓨터
JP2005347042A (ja) 2004-06-01 2005-12-15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用のキーシート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20070010512A (ko) * 2005-07-19 2007-01-24 최중훈 마우스 기능이 구비된 키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4502A (en) * 1990-09-18 1996-04-02 Fujitsu Limited Pointing control device for moving a cursor on a display on a computer
KR20000025650A (ko) * 1998-10-13 2000-05-06 윤종용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는 휴대형 컴퓨터
JP2005347042A (ja) 2004-06-01 2005-12-15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用のキーシート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20070010512A (ko) * 2005-07-19 2007-01-24 최중훈 마우스 기능이 구비된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798A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5338B2 (ja) 追加された機能を持つ移動可能なタッチパッド
JP4909080B2 (ja) 小型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557337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操作入力方法
US20130228433A1 (en) Force Concentrator
TW201229830A (en) Multi-direction input device
TWM368130U (en)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ple push buttons in a user input device
JP2010170576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US20140374230A1 (en) Pressure sensitive keys with a single-sided direct conduction sensor
US20110134029A1 (en) Electronic device and a pointer mo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10804897B2 (en) Touch-sensitive keypad control device
KR101022406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US20110134025A1 (en) Input device
US20120086635A1 (en)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H04172521A (ja) ポインティング制御装置
JP2011210078A (ja) 入力装置
KR20180047314A (ko)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233435A (ja) 多方向入力装置
KR20080024414A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US11086414B2 (en) Mouse device
KR20120037151A (ko) 다방향 입력 장치
KR100945439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20090011668A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100994997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20100111139A (ko) 입력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100931069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