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109Y1 -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 - Google Patents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109Y1
KR200433109Y1 KR2020060026503U KR20060026503U KR200433109Y1 KR 200433109 Y1 KR200433109 Y1 KR 200433109Y1 KR 2020060026503 U KR2020060026503 U KR 2020060026503U KR 20060026503 U KR20060026503 U KR 20060026503U KR 200433109 Y1 KR200433109 Y1 KR 200433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fixed
concrete
composite gir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숙
Original Assignee
허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숙 filed Critical 허영숙
Priority to KR2020060026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1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세는 경간에 콘크리트를 프리스트레싱처리한 합성거더의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과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형상을 유지하는 거푸집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합성거더에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일체로 설치된 정형화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지지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는 합성거더에 양측에 "ㄷ"자형으로 고정지지는 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그 단부에 비계를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교량축조시 사용되는 합성거더의 높이와 넓이에 맞게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더욱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작업자로 하여금 더욱 안전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교각의 상단에 올려진 합성거더에 고정되어 교량의 상판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와 거푸집의 하중을 지지하는 통상의 교량축조용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과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합성거더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정형화된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가 제공된다.
교량축조, 동바리, 합성거더,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부, 지지부

Description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The monolithic supporter for bridge building}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부 2 : 고정부
3 : 상부지지프레임 4 : 하부지지프레임
5 : 길이조절구 6 : 수직고정프레임
7 : 수평고정프레임 8 : 고정볼트
9 : 비계설치구 10 : 볼트공
100 : 동바리 F : 작업발판
G : 합성거더 P : 교각
S : 비계 M : 거푸집
본 고안은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세는 경간에 콘크리트를 프리스트레싱처리한 합성거더의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과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형상을 유지하는 거푸집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합성거더에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일체로 설치된 정형화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지지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는 합성거더에 양측에 "ㄷ"자형으로 고정지지는 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그 단부에 비계를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교량축조시 사용되는 합성거더의 높이와 넓이에 맞게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더욱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작업자로 하여금 더욱 안전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을 축조할 때에는 그 설치 방향에 따라 다수개의 교각을 일정간격으로 축조한 후 상기 교각의 상부에 아이빔인 경간에 콘크리트를 프리스트레싱처리한 다수개의 합성거더를 올려놓는다.
그런 다음 상기 합성거더의 외부에 동바리를 고정시킨 후 상기 동바리의 상부에 장선과 합판의 조합으로 된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에서 동바리의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함으로써 교량의 축조가 가능하였다.
여기서 상기 교량축조용 동바리는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합성거더의 높이 에 맞게 다수개의 각관을 조합하여 합성거더의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와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형상을 유지시키는 거푸집의 하중을 지지하고, 합성거더에 동바리 자체를 고정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교량축조용 동바리는 정형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아 상기 합성거더의 높이에 맞게 다수개의 각관을 상호 연결하여 구성할 수 밖에 없었다. 이때 합성거더는 교량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정형화되지 않은 구조를 가진 종래의 교량축조용 동바리는 다른 교량을 축조시에는 재차 사용할 수 없게 됨으로써, 상호 연결 구성된 각관을 분리한 후 그 교량에 적용된 합성거더의 높이에 맞게 재구성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교량축조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면서 다양한 높이를 갖는 합성거더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교량축조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항샹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거푸집과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합성거더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정형화된 형상을 가진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100)는 교각(P)의 상단에 올려진 합성거더(G)에 고정되어 교량의 상판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와 거푸집(M)의 하중을 지지하는 통상의 교량축조용 동바리(100)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M)과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를 합성거더(G)에 고정하는 고정부(20)가 일체로 구성되어 정형화된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1)는 상부지지프레임(3)과 하부지지프레임(4)을 평행하게 연결하는 다수개의 길이조절구(5)에 의해 상부지지프레임(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구(5)는 지지부(1)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각각 적정하게 경사진 상태에서 양단이 상부지지프레임(3)과 하부지지프레임(4)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는 하부지지프레임(4)에 고정시킨 수직고정프레임(6)의 상부에 적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의 수평고정프레임(7)에 의해 고정볼트(8)로 합성거더(G)의 양측에 "ㄷ"자형으로 고정된다.
상기 수직고정프레임(6)의 단부에 비계(S)가 동시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비계설치구(9)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은 볼트공이고, F는 작업발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교량축조용 동바리(10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소형의 교량을 축조할 때 사용하는 서포트로서, 교각(P)의 상단에 설치된 합성거더(G)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의 상판을 형성할 때 상기 합성거더(G)에 고정되어 콘크리트가 내부에 타설되는 거푸집(M)을 고정지지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정형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반복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되는 합성거더(G)의 다양한 높이와 넓이에 상관없이 적응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거더(G)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바리(100)를 구성하는 지지부(1)와 고정부(2)가, 합성거더(G)에 고정되어 교량의 상판을 형성할 수 있는 정형화된 형상으로 일체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교량축조용 동바리(100)와 달리, 교량을 축조할 때마다 다수개의 각관을 사용하여 지지부(1)와 고정부(2)를 형성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교량축조작업의 공기를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가 길이조절이 되는 다 수개의 길이조절구(5)로 연결된 상부지지프레임(3)과 하부지지프레임(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구(5)는 더욱 강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양단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교량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 합성거더(G)의 넓이 뿐만 아니라 높이가 다양하더라도 상기 길이조절구(5)의 길이조절을 통해 상부지지프레임(3)을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되는 합성거더(G)의 높이에 맞게 길이조절구(5)를 통해 상부지지프레임(3)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합성거더(G)의 다양한 높이와 넓이에 전혀 영향없이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가 지지부(1)의 하부지지프레임(4)에 고정된 수직고정프레임(6)과, 상기 수직고정프레임(6)의 상부에 합성거더(G)의 프리스트레싱된 부분이 내입될 정도의 간격으로 수평으로 고정된 두 개의 수평고정프레임(7)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측의 수평고정프레임(7)에는 볼트공(10)이 형성되어 고정볼트(8)로서 합성거더(G)의 하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2)의 수직고정프레임(6)과 수평고정프레임(7)이 합성거더(G)의 양측에서 "ㄷ"자형으로 고정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1)도 보다 안정된 지지력으로 거푸집(M)이 되는 합판과 장 선의 하중과 상기 거푸집(M)의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고정프레임(6)의 단부에는 비계(S)를 설치할 수 있는 비계설치구(9)가 설치된다.
따라서 비계설치구(9)를 통해 수직고정프레임(6)의 단부에 비계(S)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그 상부에 작업발판(F)을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게 된다.
이때 비계설치구(9)에는 비계(S)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비계(S)와 작업발판(F)가 거의 흔들리지 않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와 거푸집(M)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1)와, 상기 지지부(1)를 합성거더(G)에 고정하는 고정부(2)가 일체로 설치된 정형화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지지부(1)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2)는 합성거더(G)에 양측에 "ㄷ"자형으로 고정지지는 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그 단부에 비계(S)를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교량축조시 사용되는 합성거더(G)의 높이와 넓이에 상관없이 신속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더욱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작업자로 하여금 더욱 안전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교각(P)의 상단에 올려진 합성거더(G)에 고정되어 교량의 상판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와 거푸집(M)의 하중을 지지하는 통상의 교량축조용 동바리(100)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M)과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를 합성거더(G)에 고정하는 고정부(20)가 일체로 구성되어 정형화된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는 상부지지프레임(3)과 하부지지프레임(4)을 평행하게 연결하는 다수개의 길이조절구(5)에 의해 상부지지프레임(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구(5)는 지지부(1)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경사진 상태에서 양단이 상부지지프레임(3)과 하부지지프레임(4)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는 하부지지프레임(4)에 고정시킨 수직고정 프레임(6)의 상부에 적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의 수평고정프레임(7)에 의해 합성거더(G)의 양측에 "ㄷ"자형으로 고정지지된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고정프레임(6)의 단부에 비계(S)가 동시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비계설치구(9)가 설치된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
KR2020060026503U 2006-09-29 2006-09-29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 KR200433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503U KR200433109Y1 (ko) 2006-09-29 2006-09-29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503U KR200433109Y1 (ko) 2006-09-29 2006-09-29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109Y1 true KR200433109Y1 (ko) 2006-12-07

Family

ID=4178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503U KR200433109Y1 (ko) 2006-09-29 2006-09-29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1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846B1 (ko) 2009-03-20 2011-09-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용 거푸집 지지장치 및 거푸집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846B1 (ko) 2009-03-20 2011-09-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용 거푸집 지지장치 및 거푸집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273B1 (ko) 라멘교 시공방법
KR101027393B1 (ko) 양방향 및 일방향 조적벽 내진 보강방법
KR100891924B1 (ko) 가설교량용 변단면 유타입 지점부 주형보
JP6289046B2 (ja) 仮設架台
KR101101204B1 (ko) 강재 영구받침대를 이용한 스틸박스 교량 슬래브의 캔틸레버부 및 그 시공방법
CN108035546B (zh) 一种建筑用剪力墙浇筑模板固定装置
KR101243777B1 (ko)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긴장력이 도입된 파형강판 합성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923564B1 (ko)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KR100720067B1 (ko) 아치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 보의 시공방법
KR20200092593A (ko) 방호벽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슬래브로 제작된 교량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200433109Y1 (ko) 교량축조용 일체식 동바리
JP2006207209A (ja) 上路式吊床版橋の構築方法
KR101232329B1 (ko) 단부블럭과 아치리브에 의한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03729U (ko) 시스템서포트 헤드
KR102490192B1 (ko) 변위수용형 강가로보를 갖는 교량 상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KR101043710B1 (ko) 가각부가 형성된 하로교 및 하로교에 가각부를 형성시키는 방법
KR101046941B1 (ko) 헌치부가 배제된 라멘교 시공방법
KR100808291B1 (ko) 거더타입 교량용 안전장치
KR102296982B1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JP2000234410A (ja) 打込型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ラブ施工方法
KR100837831B1 (ko)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KR100734019B1 (ko) 4방향 또는 2방향으로 지지대가 설치된교량거더지지브라켓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740945B1 (ko) 건축 구조물 안전 계단 설치구조
KR200403599Y1 (ko) 철근 고임용 부재
CN220266318U (zh) 一种猫道承重索的锚固和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