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301Y1 - 약 정량 복용장치 - Google Patents

약 정량 복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301Y1
KR200428301Y1 KR2020060019980U KR20060019980U KR200428301Y1 KR 200428301 Y1 KR200428301 Y1 KR 200428301Y1 KR 2020060019980 U KR2020060019980 U KR 2020060019980U KR 20060019980 U KR20060019980 U KR 20060019980U KR 200428301 Y1 KR200428301 Y1 KR 200428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daily
medicine bag
portion form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저
Original Assignee
이종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저 filed Critical 이종저
Priority to KR2020060019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3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 정량 복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용 시간별로 약을 담기 위한 복수개의 수용 공간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와, 상기 복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를 날짜순으로 나열하여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별 약 주머니의 기본재와 수용부 형성재는 합성수지박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본재와 수용부 형성재는 고주파 열융착에 의해 수용 공간부가 단차지게 구비되도록 접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일별 약 주머니에는 복용 날짜를 표시하기 위하여 숫자 표시부가 상측 중간부에 각각 인쇄되고, 각 수용부 형성재가 이루는 수용 공간부의 전면부에는 아침, 점심, 저녁의 시간별 복용 순서를 표시하기 위하여 서로 구별되는 시간 및 색상 표시부가 인쇄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관수단에는 다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를 달력과 같이 날짜순으로 배치하여 보관하기 위한 약 보관판이 이용되고, 이 보관판에는 상단부에 요일 표시부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보관판에 각 일별 약 주머니가 마치 달력처럼 요일과 날짜순으로 배열되고, 각 일별 약 주머니의 노랑, 초록, 파랑색 등의 시간 및 색상 표시부가 표시된 상,중,하단의 수용 공간부에는 복용할 시간에 따라 약봉지가 담겨져 있으므로 환자가 약을 복용할 시간에 맞춰 정확하게 복용할 수 있고, 약을 제때에 복용하였는지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약을 빠짐없이 정확하게 복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환자의 약 복용 관리를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약 정량 복용장치{APPARATUS TAKING FIXED QUANTITY OF MEDICINE}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약 정량 복용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은 약 정량 복용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일별 약 주머니의 사시도.
도 3은 일별 약 주머니에 약봉지를 담아 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약 보관판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6은 일별 약 주머니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전개도.
도 7은 일별 약 주머니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일별 약 주머니 101,102.103 : 수용 공간부
104 : 숫자 표시부 105 : 시간 및 색상 표시부
106 : 걸이공 110 : 기본재
120;121,122,123 : 수용부 형성재 120a,120b,120c : 제1,2,3 접힘선
124 : 접합단부 125,126 : 절첩부
200 : 보관수단 201 : 요일 표시부
210 : 보관판 220 : 합성수지판
221 : 걸림핀 222 : 요입부
230 : 철판 240 : 자석 부착구
241 : 캡 242 : 자석
본 고안은 약 정량 복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관판에 각 일별 약 주머니가 마치 달력처럼 요일과 날짜순으로 배열되고, 각 일별 약 주머니의 노랑, 초록, 파랑색 등의 시간 및 색상 표시부가 표시된 상,중,하단의 수용 공간부에는 복용할 시간에 따라 약봉지가 담겨져 있어 환자가 약을 복용할 시간에 맞춰 정확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의 약 복용 관리를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약 정량 복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약을 수개월 내지 수년에 걸쳐 장기간 복용하여야 하는 경우 약봉지의 수가 많아 때를 놓치지 않고 복용하기가 어렵게 되며, 복용하여야 할 약의 종류가 아침, 점심, 저녁의 시간대 별로 다르게 된 경우에는 더욱 어렵게 된다.
더욱이 환자가 노인이고 노인이 치매 등으로 기억력이 흐린 경우에는 약을 복용했는지 안했는지도 모르기 때문에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복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노인의 병을 간호하는 가족 또는 간병인도 노인 말에 의해 복용했는지의 여부를 구별할 수 없게 되어 약 복용 관리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복용하여야 할 시간을 놓치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고, 이에 따라 환자의 치료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관판에 각 일별 약 주머니가 마치 달력처럼 요일과 날짜순으로 배열되고, 각 일별 약 주머니의 노랑, 초록, 파랑색 등의 시간 및 색상 표시부가 표시된 상,중,하단의 수용 공간부에는 약봉지가 복용할 시간별로 담겨져 환자가 약을 복용할 시간에 맞춰 정확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의 약 복용 관리를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약 정량 복용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약 정량 복용장치는 복용 시간별로 약을 담기 위한 복수개의 수용 공간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와, 상기 복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를 날짜순으로 나열하여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별 약 주머니의 기본재와 수용부 형성재는 합성수지박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본재와 수용부 형성재는 고주파 열융착에 의해 수용 공간부가 단차지게 구비되도록 접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일별 약 주머니에는 복용 날짜를 표시하기 위하여 숫자 표시부가 상측 중간부에 각각 인쇄되고, 각 수용부 형성재가 이루는 수용 공간부의 전면부에는 아침, 점심, 저녁의 시간별 복용 순서를 표시하기 위하여 서로 구별되는 시간 및 색 상 표시부가 인쇄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관수단에는 다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를 달력과 같이 날짜순으로 배치하여 보관하기 위한 약 보관판이 이용되고, 이 보관판에는 상단부에 요일 표시부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약 보관판은 합성수지판에 일별 약 주머니의 걸림핀으로 걸어 보관하거나, 자석으로 부착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약 정량 복용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에는 약 정량 복용장치의 정면도, 도 2에는 일별 약 주머니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일별 약 주머니에 약봉지를 담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는 약 보관판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일별 약 주머니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전개도, 도 7에는 일별 약 주머니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약 시간별 정량 복용장치는 복용 시간별로 약을 담기 위한 복수개의 수용 공간부(101),(102),(103)가 구비된 복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100)와, 상기 복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100)를 날짜순으로 나열하여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별 약 주머니(100)는 기본재(110)에 복수개의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가 각각 내측에 수용 공간부(101),(102),(103)가 구비되도록 단차지게 접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일별 약 주머니(100)의 기본재(110)와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는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박막으로 형성되며 이 기본재(110)와 수용부 형성재(121),(122),(123)는 고주파 열융착에 의해 수용 공간부(101),(102),(103)가 단차지게 구비되도록 접합된다.
상기 일별 약 주머니(100)를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는 장방형으로 재단되고, 도 6과 같이 각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의 양단부에는 제1 접힘선(120a)의 외측으로 접합단부(124)가 구비되며, 제1,2,3 접힘선(120a),(120b),(120c) 사이에 절첩부(125),(126)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는 도 6과 같이 단차를 두고 배치하여 제1 수용부 형성재(121)의 절첩부(126)에 제2 수용부 형성재(122)의 접합단부(124)를 접합하고, 제2 수용부 형성재(122)의 절첩부(126)에 제3 수용부 형성재(123)의 접합단부(124)를 접합한다.
이와 같이 이와 같이 접합된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를 접합한 후, 도 7과 같이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를 접은 형태로 제1 수용부 형성재(121)의 양측 접합단부(124)를 기본재(110)에 접합하고, 제2 수용부 형성재(122)의 하단부와 양측 접합단부(124)의 하측부를 기본재(110)에 접합하며, 제3 수용부 형성재(123)의 단부와 양측 접합단부(124)의 하측부를 기본재(110)에 접합 함으로써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가 기본재(110)에 접합되어 수용 공간부(101),(102),(103)가 형성된다.
상기 기본재(110)와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는 고주파 열융착으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재봉하여 접합하거나,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접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 형성재(120;121,122,123)는 내부의 약봉지(300;301,302,303)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복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100)에는 일별 복용 순서를 표시하기 위하여 1 내지 31의 숫자 표시부(104)가 상측 중간부에 각각 인쇄되며, 각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가 이루는 수용 공간부(101),(102),(103)의 전면부에는 시간별 복용 순서를 표시하기 위하여 서로 구별되는 시간 및 색상 표시부(105)가 인쇄된다.
여기서 도면에 예시한 형태의 일별 약 주머니(100)는 수용 공간부(101),(102),(103)에 약봉지(301),(302),(303)을 담을 때에 윗 부분이 가려서 안보이게 되므로 수용 공간부(101),(102),(103)에 시간 및 색상 표시부(105)을 표시하면서 아래에서 위로 아침, 점심, 저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관수단(200)에는 다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100)를 달력과 같이 날짜순으로 배열하여 걸기 위한 약 보관판(210)이 이용되며, 이 보관판(210)에는 필요에 따라 달력처럼 상단부에 일, 월, 화,...토의 요일이 인쇄된 요일 표시부(201)가 구비된다.
상기 약 보관판(210)은 도 3과 같이 합성수지판(220)에 일별 약 주머니(100)의 상측 중간부에 형성된 걸이공(106)에 끼워져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핀(221)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핀(221)은 달력의 숫자와 같이 31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합성수지판(220)과 걸림핀(221)을 사출성형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걸림핀(221)을 별도로 형성하여 합성수지판(220)에 접착제로 접합하거나, 열융착하여 접합할 수도 있다.
상기 약 보관판(210)의 다른 형태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합성수지판(220)의 요입부(222)에 철판(230)을 접착시켜, 합성수지 캡(241)의 내부에 자석(242)이 접착된 자석 부착구(240)를 이용하여 일별 약 주머니(100)를 부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약 보관판(210)은 합성수지판(220)의 요입부(222)에 철판(230)을 접착시키는 대신 합성수지판(220)에 다공성 철판(230)을 인서트 몰딩하여 일연체로 형성한 형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약 시간별 정량 복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약 정량 복용장치를 이용하여 약을 복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의사의 처방에 따라 조제된 약봉지, 예를 들어서 도 3과 같이 약봉지(300;301,302,303)를 각 일별 약 주머니(100)의 상,중,하단에 구비된 수용 공간부(101),(102),(103)에 넣고, 각 이와 같이 수정 갯수(예를 들어 31개)가 마련된 일별 약 주머니(100) 를 도 1과 같이 보관판(210)에 표시된 요일 표시부(201)의 요일 및 날짜에 맞춰 보관판(210)에 순서대로 배치한다.
이 때 도3과 같이 걸림핀(221)이 구비된 합성수지판(220)을 이용할 때에는 일별 약 주머니(100)의 상측 중간부에 형성된 걸이공(106)에 합성수지판(220)의 걸림핀(221)이 끼워지도록 걸고, 도 4 및 도 5와 같이 철판(230)이 구비된 합성수지판(220)을 이용할 때에는 일별 약 주머니(100)를 자석 부착구(240)로 부착한다.
이와 같이 보관판(210)에는 각 일별 약 주머니(100)를 날짜순으로 배치하면 보관판(210)은 일별 약 주머니(100)에 의해 마치 달력처럼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약 정량 복용장치는 보관판(210)에 각 일별 약 주머니(100)가 마치 달력처럼 요일과 날짜순으로 배열되고, 각 일별 약 주머니(100)의 상,중,하단의 수용 공간부(101),(102),(103)에는 예를 들어 아래에서 위로 노랑, 초록, 파랑색 바탕에 검정색으로 아침, 점심, 저녁의 글자를 인쇄한 시간 및 색상 표시부(105)가 형성되고, 이와 같이 시간 및 색상 표시부(105)가 각각 구비된 각 수용 공간부(101),(102),(103)에 약봉지(301),(302),(303)가 복용할 시간에 맞춰 담겨져 있으므로 약을 복용할 시간에 맞춰 정확하게 복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보관판(210)에 한 달분의 약봉지(300;301,302,303)를 걸어 놓은 후 1일부터 복용을 시작한다면 1일의 아침에는 보관판(210)에 걸린 1일의 일별 약 주머니(100)에서 하단의 노랑색으로 표시된 아침용 약봉지(303)의 약을 복용하고, 점심에는 중간의 녹색으로 표시된 점심용 약봉지(302)의 약을 복용하며, 저녁에는 상단의 파랑색으로 표시된 저녁용 약봉지(301)의 약을 복용한다.
따라서 환자가 요일, 날짜 및 시간별로 약봉지(301),(302),(303)를 차례로 꺼내서 복용할 순서에 맞춰 복용할 수 있고, 약을 제때에 복용하였는지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약을 빠짐없이 정확하게 복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한 달분의 약을 복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약을 일주일, 열흘, 보름 분으로 단기적으로 복용하거나, 수개월에 걸쳐 장기적으로 복용할 때에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복용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상기 보관수단(200)을 설명하면서 합성수지판(220)을 이용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보관수단(200)은 합성수지재 이외에 헝겊을 이용하여 장방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외에도 목재, 금속재를 포함한 다른 재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수단(200)에는 다수 매의 투명 비닐 봉투형 내지가 링형 바인더로 내부에 철하여지고, 지퍼로 개폐하는 손가방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약 정량 복용을 위한 손가방은 장기간 외출 및 여행 시 일정에 따라 다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100)에 약봉지(300;301,302,303)를 담고, 각 일별 약 주머니(100)를 비닐 내지에 복용할 순서에 따라 차례로 삽입한 상태로 휴대하면서 약을 순서에 맞춰 빠짐없이 복용할 수 있으므로 장기 외출 및 여행 시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별 약 주머니(100)의 재질도 합성수지 이외에 헝겊, 종이 등의 다른 재질도 이용할 수 있으며, 보관판(210)도 그 재질과 구조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별 약 주머니(100)에는 3개의 수용 공간부(101),(102),(103)가 구비 되어 복용할 시간에 따라 약봉지(300;301,302,303)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수용 공간부(101),(102),(103)의 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또한 보관판(210)에 31개의 일별 약 주머니(100)를 보관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보관할 수 있는 수를 가감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약 정량 복용장치는 보관판에 각 일별 약 주머니가 마치 달력처럼 요일과 날짜순으로 배열되고, 각 일별 약 주머니의 시간 및 색상 표시부가 표시된 상,중,하단의 수용 공간부에는 약봉지가 복용할 시간에 따라 담겨져 있으므로 환자가 약을 복용할 시간에 맞춰 정확하게 복용할 수 있고, 약을 제때에 복용하였는지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약을 빠짐없이 정확하게 복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환자의 약 복용 관리를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이상의 설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의 범위는 위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8)

  1. 복용 시간별로 약을 담기 위한 복수개의 수용 공간부(101),(102),(103)가 구비된 복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100)와, 상기 복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100)를 날짜순으로 나열하여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정량 복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별 약 주머니(100)는 기본재(110)에 복수개의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를 각각 내측에 수용 공간부(101),(102),(103)가 구비되도록 단차지게 접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정량 복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별 약 주머니(100)의 기본재(110)와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는 합성수지박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본재(110)와 수용부 형성재(121),(122),(123)는 고주파 열융착에 의해 수용 공간부(101),(102),(103)가 단차지게 구비되도록 접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정량 복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별 약 주머니(100)에는 복용 날짜를 표시하기 위하여 숫자 표시 부(104)가 상측 중간부에 각각 인쇄되고, 각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가 이루는 수용 공간부(101),(102),(103)의 전면부에는 시간별 복용 순서를 표시하기 위하여 서로 구별되는 시간 및 색상 표시부(105)가 인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정량 복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제1,2,3 접힘선(120a),(120b),(120c) 사이에 절첩부(125),(126)가 구비된 상기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를 각각 단차를 두고 배치하여, 제1 수용부 형성재(121)의 절첩부(126)에 제2 수용부 형성재(122)의 접합단부(124)를 접합하고, 제2 수용부 형성재(122)의 절첩부(126)에 제3 수용부 형성재(123)의 접합단부(124)를 접합함과 아울러, 상기 접합된 수용부 형성재(120; 121, 122, 123)를 제1 수용부 형성재(121)의 양측 접합단부(124)를 상기 기본재(110)에 접합하고, 제2 수용부 형성재(122)의 하단부와 양측 접합단부(124)의 하측부를 상기 기본재(110)에 접합하며, 제3 수용부 형성재(123)의 단부와 양측 접합단부(124)의 하측부를 상기 기본재(110)에 접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정량 복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수단(200)에는 다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100)를 달력과 같이 날짜순으로 배치하여 보관하기 위한 약 보관판(210)이 이용되고, 이 보관판(210)에는 상단부에 요일 표시부(201)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정량 복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약 보관판(210)은 합성수지판(220)에 일별 약 주머니(100)의 상측 중간부에 형성된 걸이공(106)에 끼워져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핀(221)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정량 복용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약 보관판(210)은 합성수지판(220)의 요입부(222)에 철판(230)을 접착시켜, 합성수지 캡(241)의 내부에 자석(242)이 접착된 자석 부착구(240)를 이용하여 일별 약 주머니(100)를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정량 복용장치.
KR2020060019980U 2006-07-24 2006-07-24 약 정량 복용장치 KR200428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980U KR200428301Y1 (ko) 2006-07-24 2006-07-24 약 정량 복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980U KR200428301Y1 (ko) 2006-07-24 2006-07-24 약 정량 복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301Y1 true KR200428301Y1 (ko) 2006-10-12

Family

ID=4177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980U KR200428301Y1 (ko) 2006-07-24 2006-07-24 약 정량 복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3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300A (ko) 2020-02-20 2021-08-30 조신자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300A (ko) 2020-02-20 2021-08-30 조신자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4621A (ko) 의약 웨이퍼의 보관 및 제공을 위한 장치 및 용도
KR200428301Y1 (ko) 약 정량 복용장치
JP3201517U (ja) 服薬支援ホルダー
CN203127316U (zh) 一种便携式药盒
JP2002209979A (ja) 薬剤または健康補助食品用の保持具
KR102414259B1 (ko)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JP3117811U (ja) 薬服用カレンダー
KR101994258B1 (ko) 휴대가 간편한 복약 달력
JP6579524B2 (ja) 薬ケース
JPS644353Y2 (ko)
JP7413617B2 (ja) 服薬カレンダー及びこれに用いる吊下げ保持体
JP3004695U (ja) 服用薬整理容器
JPH09168576A (ja) 容 器
JP6938070B1 (ja) 薬箱、キット、及び、袋帯収容体
JP2003052793A (ja) 薬剤の服用管理袋
CN217995312U (zh) 药品分粒装置
JP3028434U (ja) インデックス表示部付薬整理箱
JP3035809U (ja) 薬飲み忘れ防止用ファイル
CN210672906U (zh) 枕头
JP3159817U (ja) 飲み忘れ防止薬ケース
JP3206087U (ja) お薬携帯ポーチ
JPH0742642U (ja) 薬ホルダー
CN211461235U (zh) 一种高血压患者专用药盒
ES1069601U (es) Dispositivo organizador de la administracion de pastillas a intervalos de tiempo predeterminados.
JPH0647467Y2 (ja) 区分別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