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259B1 -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259B1
KR102414259B1 KR1020200021307A KR20200021307A KR102414259B1 KR 102414259 B1 KR102414259 B1 KR 102414259B1 KR 1020200021307 A KR1020200021307 A KR 1020200021307A KR 20200021307 A KR20200021307 A KR 20200021307A KR 102414259 B1 KR102414259 B1 KR 10241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medication
storage body
detachab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300A (ko
Inventor
조신자
Original Assignee
조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신자 filed Critical 조신자
Priority to KR1020200021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25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7Calendar blocks in which the calendar sheet or sheets are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용할 약을 보관하고 관리하기 위한 복용약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복용할 약을 수납하면서 상기 약을 복용할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약을 복용할 시간에 도달하면 인디케이터를 점등하는 단계와, 상기 약을 수납한 수납부가 탈착될 때까지 상기 인디케이터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알람, 인디케이터, 메시지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약 복용을 안내하여, 환자 또는 보호자가 복용해야 할 약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고, 약을 복용하지 않은 사실에 대해서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며, 정확한 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Description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TAKING MEDICINE ON SCHEDULE}
본 발명은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용 시간 및 복용 여부 등 복용과 관련된 정보를 환자에게 정확한 시간에 빠짐없이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는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약을 복용할 경우에 특히, 노약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약을 복용해야 할 경우에 있어 개인적인 일상 생활과 약속 등의 스케쥴 때문에 깜박 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통상적으로 약이라는 것은 제때 복용하지 않으면 효과가 없으며, 이를 간과하여 복용할 시기를 놓치고 나중에 알았을 때에는 적시에 약을 복용하지 못하여 병을 치유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는 경우도 있다. 다시 말해서, 아무리 약사가 우수한 처방에 근거하여 약을 지어줘도, 환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거나 약을 적시에 복용하지 않으면, 처방과 달라져 그 효과를 볼 수가 없다.
게다가, 노인의 경우, 노화로 약물의 흡수 속도가 느리고, 약의 대사 작용을 하는 간의 기능이 퇴화함에 따라 약이 제대로 분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약의 복용 간격이 길거나 빼먹게 되면, 약물이 제대로 체내에서 작용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약물은 신장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는데, 노화로 신장의 크기와 혈류량이 줄어 약물 배출도 잘 안된다. 이렇게 되면 약이 체내에 오래, 고농도로 남게 되어, 약을 복용하는 시간 간격이 너무 짧으면, 똑같은 양의 약을 먹어도 젊은 사람보다 노인에게서 부작용 위험이 더 커진다. 따라서, 노인 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복용해야 하는 약을 제때에 처방에 따라 제대로 복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환자의 상태, 나이, 복합 질환 등의 유무에 따라, 그 복용 방법이 복잡하고, 약국에서는 동일한 포장 봉투 내에 포장하여 주기 때문에, 환자의 경우, 특히 약의 종류가 많고 기억력이나 인지력이 저하되는 노인의 경우, 어떤 날짜에 어떠한 약의 포장지를 뜯어서 약을 복용해야 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정해진 약을 제때 복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더욱이,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이 3개월 이상 매일 복용해야 하는 약의 개수는 1인당 5.3개이다. 입원 환자의 경우 18개, 외래환자는 평균 6개의 약을 처방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노인들은 5종류 이상 약물을 먹는 '다약제 복용' 비율이 82.4%이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따라서, 노인의 경우 처방에 따라서 정확하게 약을 복용하기 어렵고, 심한 경우 약이 복용 여부 자체를 혼돈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따라, 누구나 쉽게 복용 시기를 알아볼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나 기구 등의 개발이 중요하게 부각되어 왔다.
그러한 장치의 일 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선행 기술1에 따른 종래의 약 달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선행 기술2에 따른 종래의 약 정량 복용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선행 기술2에 따른 종래의 약 정량 복용 장치에 적용되는 일별 약 주머니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약 복용 관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달력형 약 수납 장치의 일 예이다.
먼저, 본원에서 선행 기술1로 인용하는 등록특허 제10-1939491호의 "약 달력"은,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약 달력, 즉, 투명 재질의 본체에 약 봉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약 포켓이 좌우 및 상하로 각각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복용 날짜에 해당하는 약을 상기 약 포켓에 수용하여 상기 날짜에 약을 인출하여 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약의 처방이, 통상적으로 1일 1회, 1일 2회(예를 들어, 아침, 저녁), 1일 3회(매 식후 30분) 등 하루에 여러번 나누어 이루어지는 반면, 선행 기술1을 포함한 다수의 종래 발명은 일 단위로 구분되어 있어, 정확한 복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이 보완된 등록실용공보 제20-0428301호의 "약 정량 복용 장치"도 있다. 이 고안에 따르면, 복용 시간별로 약을 담기 위한 복수개의 수용 공간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첨부된 도 3 참조)와, 그 복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를 날짜순으로 나열하여 보관하기 위한 보관 수단(첨부된 도 2 참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일별 약 주머니의 기본재와 수용부 형성재는 합성 수지 박막으로 형성되고, 기본재와 수용부 형성재는 고주파 열융착에 의해 수용 공간부가 단차지게 구비되도록 접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일별 약 주머니에는 복용 날짜를 표시하기 위하여 숫자 표시부가 상측 중간부에 각각 인쇄되고, 각 수용부 형성재가 이루는 수용 공간부의 전면부에는 아침, 점심, 저녁의 시간별 복용 순서를 표시하기 위하여 서로 구별되는 시간 및 색상 표시부가 인쇄되어 구성된다. 이 보관 수단에는 다수개의 일별 약 주머니를 달력과 같이 날짜순으로 배치하여 보관하기 위한 약 보관판이 이용되고, 이 보관판에는 상단부에 요일 표시부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보관판에 각 일별 약 주머니가 마치 달력처럼 요일과 날짜순으로 배열되고, 각 일별 약 주머니의 노랑, 초록, 파랑색 등의 시간 및 색상 표시부가 표시된 상,중,하단의 수용 공간부에는 복용할 시간에 따라 약봉지가 담기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달력형 약 수납 수단은, 날짜에 맞게 약을 담는 다는 개념을 중심으로 개시하고 있을 뿐, 능동적으로 환자에게 약을 복용하도록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즉, 기존의 달력형 약 수납 장치는 달력에 표시된 요일별 및 날짜별로 구획된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정시에 약 수납 장치를 통해 투약할 약을 찾는 환자에게는 유용할 수 있더라도, 시간 경과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투약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투약해야 한다는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는 없다.
따라서, 기존의 달력형 약 수납 장치만으로는 환자에게 처방에 따른 정확한 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선행 기술1 : 등록특허공보 제10-1939491호(2019. 1. 10 등록)의 "약 달력" 선행 기술2 : 등록실용공보 제20-0428301호(2006. 9. 29 등록)의 "약 정량 복용 장치"
본 발명은 월 단위로, 요일별, 날짜별, 복용 시간별로 복용약을 분할 수납하는 달력형 약 수납 장치에 적용하여, 약 복용 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약 복용이 지연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보를 통보하며, 달력형 약 수납 장치에서 투약해야 할 약을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약 복용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용할 약을 보관하고 관리하기 위한 약 복용 관리 장치로서, 해당 월욜 표시하는 월 표시란, 각 요일별을 표시하는 요일 표시란, 상기 요일 표시란의 라인에 대응하여 일별 수납체를 탈부착하도록 구획된 복수개의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을 포함하는 달력형 지지부와, 상기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에 탈부착되는 일별 수납체를 구비하되, 상기 일별 수납체는, 상기 복용약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적어도 2개로 분리 구획된 서브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별 수납체를 상기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에 부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는 가동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달력형 지지부의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에는 상기 일별 수납체의 가동 결합부에 대응하여, 상기 일별 수납체를 탈착 및 부착할 수 있는 고정 결합부가 포함되며, 상기 서브 수납체에 수납된 복용약이 복용될 시간을 알리는 복용시간 통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약 복용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결합부 및 상기 고정 결합부는, 상기 고정 결합부에 상기 가동 결합부가 매달리는 걸쇠형과, 상기 가동 결합부가 상기 고정 결합부에 부착되는 결합형과, 상기 일별 수납체의 몸체가 상기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에 삽입 탈거되는 서랍형과, 상기 일별 수납체의 몸체가 상기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에 안착되는 포켓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약 복용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용 관리부는, 설정된 복용 시간을 계시하는 타이머와, 복용 시간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통지부와, 상기 타이머에서 계시된 시간이 상기 복용 시간에 도달하면, 복용 시간에 도달했음을 알리도록 상기 통지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약 복용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용 관리부는, 복용약이 수납된 상기 서브 수납부가 탈착 또는 부착 되는 것을 감지하는 탈부착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약 복용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소리로 약 복용 시간이 도달했음을 알리는 알람과, 상기 서브 수납부 각각에 대해 마련되어, 수납된 복용약을 복용해야 될 신간에 도달한 서브 수납부에 대응하여 점등되는 인디케이터와, 복용 시간 안내 메시지를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발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용할 약을 보관하고 관리하기 위한 복용약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복용할 약을 수납하면서 상기 약을 복용할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약을 복용할 시간에 도달하면 인디케이터를 점등하는 단계와, 상기 약을 수납한 수납부가 탈착될 때까지 상기 인디케이터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약 복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을 복용할 시간에 도달하면, 기설정된 시간동안 알람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약 복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을 복용할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약을 수납한 수납부가 탈착될 때까지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복용 시간 안내 메시지를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 복용 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약 복용이 지연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보를 통보하며, 달력형 약 수납 장치에서 투약해야 할 약을 직관적으로 표시함으로써, 환자가 처방에 따라 정확히 약을 복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알람, 인디케이터, 메시지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약 복용을 안내함으로써, 환자 또는 보호자가 복용해야 할 약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고, 약을 복용하지 않은 사실에 대해서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며, 정확한 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다음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의 구성 요소는 불필요하게 스케일링되지 않으며, 대신 실시예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요소, 그리고 동일한 기능 및/또는 동일한 기술적 또는 물리적 효과를 갖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거나 동일한 명칭으로 식별하며,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 또는 설명된 요소 및 그 기능의 설명은 서로 교환 가능하거나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선행 기술1에 따른 종래의 약 달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선행 기술2에 따른 종래의 약 정량 복용 장치의 정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약 복용 관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달력형 약 수납 장치의 일 예이다.
도 3은 선행 기술2에 따른 종래의 약 정량 복용 장치에 적용되는 일별 약 주머니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약 복용 관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달력형 약 수납 장치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약 복용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달력형 약 수납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약 복용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달력형 약 수납 장치의 가동 결합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약 복용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달력형 약 수납 장치의 가동 결합체가 달력형 지지부에 부착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보다 확실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복수의 세부 사항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설명한 구체적 세부 사항이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정의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후술되는 다른 실시예의 특징들은 서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질적인 특징부를 보다 명료하게 하기 위해, 잘 알려진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기존의 공지된 주지의 기술을 채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는 점도 명확히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일 요소가 다른 요소에 "연결된" 또는 "접속된" 것으로 언급될 때,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거나,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된다. 또한,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다른 유사한 용어, 예를 들어 "사이에", "인접한", "위", "아래", "측면" 등은 그 사이에 게재된 요소가 있거나 간격을 둔 상태에서의 "사이에", "인접한", "위", "아래", "측면"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7을 중심으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에 대해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일반적인 종래의 포켓식 달력형 약 수납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약 복용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서랍식 달력형 약 수납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약 복용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달력형 약 수납 장치의 가동 결합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약 복용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달력형 약 수납 장치의 가동 결합체가 달력형 지지부에 부착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는, 크게 일별 수납체(100), 달력형 지지부(200)와, 복용 관리부(300), 네트워크(400), 환자 단말기(500)를 구비한다.
먼저, 일별 수납체(1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수납부(101, 102, 103)로 구획되고, 달력형 지지부(200)의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에 일별 수납체(100)를 부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는 가동 결합부(106)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약은 주로 1일 1회(예컨대, 매일 아침 식사 후), 1일 2회(예컨대, 아침과 저녁 식사 후), 1일 3회(예컨대, 매일 아침, 점심, 저녁 식사후) 복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별 수납체(100)는 3개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히, 특정 환자를 위해, 전용으로, 1일 한개로 서브 수납부없이 1일 1수납부만 구성될 수도 있으며, 1일 3회 이상 더 많은 수로 분할 구획될 수도 있다.
한편, 가동 결합부(106)는 달력형 지지부(200)의 걸쇠에 걸기 위한 구멍(도 3의 106 참조)이 될 수도 있고, 반대로 달력형 지지부(200)에 마련된 구멍 또는 고리에 걸기위한 걸쇠가 될 수도 있다.
또한, 가동 결합부(106)가 고정 결합부(221)에 부착되는 부착형인 경우에는, 가동 결합부(106)는 딱단추나 클립 또는 버클의 암컷 또는 수컷이고, 고정 결합부(221)는 딱단추나 클립 또는 버클의 수컷 또는 암컷으로 구성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가동 결합부(106)와 고정 결합부(221)는 자석형으로 구성되어, 어느 한쪽은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다른쪽은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호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일별 수납체(100)의 몸체가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에 삽입 탈거되는 서랍형인 경우, 가동 결합부(106)는 서랍이 몸체 자체가 될 수 있고, 서랍이 삽입되는 격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고정 결합부(221)가 될 수 있다.
또한, 일별 수납체(100)의 몸체가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에 안착되는 포켓형인 경우, 가동 결합부(106)는 일별 수납체(100)의 몸체, 예컨대, 아침, 점심, 저녁에 복용할 약이 각기 수납된 포장 봉투 각각의 모체가 가동 결합부(106)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 포장 봉투가 안착하는 포켓이 고정 결합부(221)가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별 수납체(100)의 일 예로서, 1>4>3>2의 순서로 크기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설정될 때, 그 곡선이 자연스럽게 꺽이면서 모양이 자연스럽고 예쁘게 나온다.
또한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일별 수납체(100)가 달력형 지지부(200)에 부착되는 크기 및 각도를 상세한 수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는 바, 상술한 수치의 비례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가변 제작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 외에도, 일별 수납체(100)는 달력형 지지부(200) 내의 고정 결합부(221)에 대응하여 쌍을 이루는 다양한 형태의 가동 결합부(106)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일별 수납체(100)는 서브 수납부(101, 102, 103) 내부의 수납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별 수납체(100)에는, 달력형 지지부(200)의 요일별로 구획된 일별 수납체 탈부착 란에 해당 달의 요일에 맞게 부착되어, 달력의 날짜로서 식별될 수 있도록, 각기 1∼31의 숫자가 표기된 날짜 표시부(104)가 마련된다.
또한, 서브 수납부(101, 102, 103) 역시 아침, 점심, 저녁의 복용 시간을 표시할 수 있도록, 아침, 점심, 저녁과 같은 한글 표기, 또는 영문 표기, 농도 또는 색상을 다르게 한 표시 등 서브 수납부 각각을 구별할 수 있는 서브 수납 표시부(10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달력형 지지부(200)는 후술하는 복용 관리부(300)가 탑재되는 후면 패널을 포함하여, 복용 관리부(300)가 탑재될 소정 공간을 둔 이중 후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전면에는 해당 월욜 표시하는 월 표시란, 각 요일별을 표시하는 요일 표시란(201), 상기 요일 표시란의 라인에 대응하여 일별 수납체를 탈부착하도록 구획된 복수개의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에는,일별 수납체의 가동 결합부(106)에 대응하여, 상기 일별 수납체(100)를 탈착 및 부착할 수 있는 고정 결합부(221)가 포함된다. 고정 결합부(221)에 대해서는, 상술한 일별 수납체(100)의 가동 결합부(106)와 연계하여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복용 관리부(300)는 입력 조작부(310), 시스템 제어부(320), 화면 표시부(330), 타이머(340), 데이터 저장부(345), 알람(350), 인디케이터(360), 탈착 감지 센서(370), 통신부(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입력 조작부(310)는, 예컨대, 상하좌우 버튼과, 선택 버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용 시작 날짜, 일간 복용 횟수, 복용 시간(또는 시간 간격)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물리적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프로그램 또는 앱 상의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시스템 제어부(320)는 입력 조작부(310)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내부 메모리(도시 생략함) 등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구동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화면 표시부(330)에 복용 시간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복용 시간을 타이머(340)에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알람(300)에서 경보를 발생하고, 인디케이터(360)에서 점등하며, 통신부(380)를 통해서 환자의 단말기(500)에 약 복용 시간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발송하며, 탈착 감지 센서(370)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복용 시간 이후 탈착 감지 센서에 대응하는 일별 수납체(100) 또는 서브 수납부(101, 102, 103)가 탈착되면 알람(350)에서의 알람 경보를 해제하고, 인디케이터(360)를 소등하는 등의 복용 관리부(3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화면 표시부(330)는 달력형 지지부(200)의 전면 패널에 마련될 수도 있고, 환자 단말기(500)의 디스플레이 창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달력 표시부, 복용 횟수 표시부, 복용 시간 표시부 등을 포함하는 복용 관리 화면을 표시한다.
타이머(340)는 시스템 제어부(320)로 설정된 첫번째 복용 시간부터 마지막 복용 시간까지 각 복용 시간이 타이머(340) 내부의 데이터 저장부(3450)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며, 매 복용 시간의 도달을 카운트하고, 복용 시간이 도달하면 시스템 제어부(320)에 복용 시간을 통지한다.
데이터 저장부(345)는 장치 설계에 따라, 타이머(340) 내부에 탑재될 수도 있고, 별도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용 관리부(300)의 메모리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시스템 제어부(320)로 순차적으로 설정된 첫번째 복용 시간부터 마지막 복용 시간까지 각 복용 시간이 저장된다.
알람(350)은 부저 또는 시스템 내에 구성된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며, 시스템 제어부(320)의 제어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알람 경보를 발생한다.
인디케이터(360)는 LED 등으로 구성되며, 서브 수납부(101, 102, 103)의 수에 대응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시스템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면 표시부(330)와 통합 구성되어, 화면 표시부(330)에 표시되는 달력에서 해당 날짜 해당 시간에서 점멸하거나, 문자 등으로 표시하여, 해당 날짜 또는 그 날짜에 포함되는 복용 시간의 복용약이 미복용 상태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탈착 감지 센서(370)는 한번 눌리면 온이 되고, 다시 눌리면 오프가 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적외선 센서 등 가동 결합부(106)와 고정 결합부(221)의 구성에 따라 적절한 센서가 선택될 수 있다. 이 탈착 감지 센서(370)는, 설계에 따라, 일별 수납체(100) 또는 그 일별 수납체(100)의 수납부를 세분한 서브 수납부(101, 102, 103)에 대응하여, 달력형 지지부(200) 내의 고정 결합부(221)에 마련되어, 복용 시간 설정시 부착 신호를 발생하여 시스템 제어부(320)가 다수의 일별 수납체(100) 각각의 서브 수납부(101, 102, 103)에 복용약이 수납된 것을 알릴 수 있으며, 복용 시간에 도달하여, 환자 또는 보호자 등에 의해 일별 수납체(100)가 탈착되면, 탈착 신호를 발생하여, 하여금, 환자가 약을 복용하기 위해서 서브 수납부(101, 102, 103)로부터 약을 꺼낸 것을 시스템 제어부(320)에게 알릴 수 있다.
통신부(380)는 이더넷(Ethernet)과 같은 유선망, AP(Access Point)를 중심으로 구축된 WiFi망이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망, 그리고 3G, LTE, 5G와 같은 모바일망 등을 포함하여 네트워크(400)의 사용 규격에 따라, 네트워크(400)를 통해 환자 단말기(500)로, 약 복용 안내 메시지, 약 미복용 경고 메시지 등을 통보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이더넷(Ethernet)과 같은 유선망, AP(Access Point)를 중심으로 구축된 WiFi망이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망, 그리고 3G, LTE, 5G와 같은 모바일망 등을 포함하여, 개발중인 네트워크도 이용될 수 있으며, 통신부(380)와 환자 단말기(500) 간의 문자 또는 데이터 등의 유선 또는 무선 송수신을 매개한다.
상술한 메시지를 발송하는 통신부(380) 외에 알람(350), 인디케이터(360)는 모두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약 복용 시간을 통지하는 통지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환자 단말기(500)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400)를 통해 통신부(380)로부터 오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얘플리케이션 등의 경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욕 관리 장치에 의하면, 처방에 따른 복용 시간에 맞게 약을 분할 수납하고, 수납된 약의 복용 시간에 맞게,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복용 시간을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용되지 않은 약에 대해 인디케이터로 표시하여, 약의 미복용 상태를 환자 또는 보호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약 복용 관리 장치에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방법에 대해 도 8을 중심으로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방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환자 또는 보호자가 약 복용 관리 장치가 탑재된 달력형 지지부(200)에 약을 수납하기 위해, 복용 관리부(300)의 스위치를 켜거나, 약 복용 관리 장치에 탑재된 약 복용 관리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시스템 제어부(320)는 화면 표시부(330)를 제어하여, 약 복용 관리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약 복용 관리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에는 월간 달력, 복용 시간 설정창, 상하좌우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환자 또는 보호자는 입력 조작부(310)를 통해 의사 또는 약사의 처방에 따른 복용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복용 시작일의 복용 시작 시간, 일일 복용 횟수, 마지막 복용일의 마지막 복용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 조작부(310)는 입력 조작된 신호를 발생하여 시스템 제어부(320)에 송신하고, 시스템 제어부(320)는 수신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약 복용 시간을 순차적으로 산출한 후, 그 산출된 시간을 타이머(340)에 설정한다.
예컨대, 첫번째 복용 시간과 마지막 복용 시간 간에 복용 기간이 결정되고, 일일 복용 횟수에 따라 매일 오전, 오후, 저녁의 소정 시간으로 복용 시간이 산출되게 되며, 그 각각의 복용 시간이 타이머(340) 내부의 데이터 저장부(345)에 저장된다(S10).
상술한 S10 단계에서 복용 시간을 설정하고, 그에 맞게 서브 수납부(101, 102, 1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전체 복용 시간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수납부(101, 102, 103)에 약을 수납한다.
이 때, 약을 수납한후 다수의 일별 수납체(100) 각각의 가동 결합부(106)가 달력형 지지부(200)의 고정 결합체(221)에 체결되면, 탈착 감지 센서(370)는 탈착 신호를 발생하여 시스템 제어부(320)에 송신한다.
그 결과, 시스템 제어부(320)는 다수의 복용약 각각이 수납된 서브 수납부(101, 102, 103)를 감지할 수 있고, 각 서브 수납부(101, 102, 103)에 대해 따로 복용 시간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복용 시간에 근거하여 타이머(340)머를 가동시킨다. 예컨대, 첫날 점심부터 3일간 복용 이라면, 최종 9개의 복용 시간에 대해 타어미(340)가 가동된다(S20).
타이머(340)는 시스템 제어부(320)의 제어에 의해 가동되어, 지속적인 식나을 카운트하고, 현재 시간이 설정된 첫번째 복용 시간에 도달하면, 첫번째 복용 시간에 도달하였다는 사실을 시스템 제어부(320)에 통지한다(S30).
S30 단계에서, 약 복용 시간에 도달하였다는 통지를 수신한 시스템 제어부(320)는, 해당 복용 시간에 대응하는 서브 수납부(101, 102, 103)에 대응하여 마련된 인디케이터(360)를 점등시킨다.
따라서, 환자 또는 보호자는 인디케이터(360)의 점등을 보고 약을 복용해야될 시간이 되었고, 그 약이 인디케이터가 점등된 서브 수납부(101, 102, 103)에 수납된 복용약이라는 사실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S40).
S40 단계에서, 시스템 제어부(320)는 탈착 감지 센서(330)로부터 해당 서브 수납부(101, 102, 103)의 탈착 신호가 발생되는지 체크하며, 탈착 감지 센서(330)로부터 탈착 신호가 수신되면(S50), 시스템 제어부(320)는 해당 약이 복용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인디케이터(360)를 소등시킨다.
한편, 인디케이터(360)는 해당 서브 수납부(101, 102, 103)를 환자 또는 보호자가 탈착할 때까지 계속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해당 복용 시간이 지난 후에도 해당 약을 복용하지 않은 사실을 환자나 보호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S60).
한편, S30 단계에서, 약 복용 시간에 도달하였다는 통지를 수신한 시스템 제어부(320)는 경보 알람을 발생하도록 알람(350)을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약 복용 시간을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환기시킬 수 있어서 정확한 시간에 약을 복용하도록 할 수 있다(S42),
한편, 시스템 제어부(320)는 알람 경보를 울린후 기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는 지 체크하여(S52), 기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알람 경보를 중지하도록 알람(350)을 제어한다. 즉, 일정 시간 이상 알람 경보가 울리는 것은 주변인에게 소음이 될 수도 있으므로, 기설정된 시간만큼 알람 경보를 울린 후, 기설정된 시간 후 알람 경보를 해제함으로써, 주변인에게 소음 피해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한편, S30 단계에서, 약 복용 시간에 도달하였다는 통지를 수신한 시스템 제어부(320)는 복용 시간이 도달하였다는 투약 안내 메시지를 통신부(380)를 통하여 송신하여,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환자 단말기(500)에 발송한다(S44).
이후, 시스템 제어부(320)는 S50 단계와 마찬가지로, 탈착 감지 센서(330)로부터 해당 서브 수납부(101, 102, 103)의 탈착 신호가 발생되는지 체크하며(S54), 기설정된 시간 동안 탈착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S64), 다시 S44 단계를 반복하여 다시 투약 안내 메시지를 발송한다.
이상, 최종 복용약에 대한 복용이 완료될 때까지(S70),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방법에 따르면, 알람, 인디케이터, 메시지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약 복용을 안내함으로써, 환자 또는 보호자가 복용해야 할 약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고, 약을 복용하지 않은 사실에 대해서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며, 정확한 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드러, 각 기능 블록을 세분화 한 기능 블록으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두개 이상의 분리된 구성 요소를 통합하여 하나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기능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명령어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명령어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명령어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명령어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모바일 또는 컴퓨터 이용 가능 기록 매체나 모바일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거기에 저장된 명령어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각 청구항에 의해 규정되는 기술 내용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을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일별 수납체
101, 102, 103 : 서브 수납부
104 : 날짜 표시부
105 : 서브 수납 표시부
106 : 가동 결합체
201 : 요일 표시부
221 : 고정 결합체
300 : 복용 관리부
310 : 입력 조작부
320 : 시스템 제어부
330 : 화면 표시부
340 : 타이머
345 : 데이터 저장부
350 : 알람
360 : 인디케이터
370 : 탈착 감지 센서
380 : 통신부
400 : 네트워크
500 : 환자 발생기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복용할 약을 보관하고 관리하기 위한 약 복용 관리 장치로서,
    해당 월욜 표시하는 월 표시란, 각 요일별을 표시하는 요일 표시란, 상기 요일 표시란의 라인에 대응하여 일별 수납체를 탈부착하도록 구획된 복수개의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을 포함하는 달력형 지지부와,
    상기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에 탈부착되는 일별 수납체
    를 구비하되,
    상기 일별 수납체는, 상기 복용약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적어도 2개로 분리 구획된 서브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별 수납체를 상기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에 부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는 가동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달력형 지지부의 일별 수납체 탈부착란에는 상기 일별 수납체의 가동 결합부에 대응하여, 상기 일별 수납체를 탈착 및 부착할 수 있는 고정 결합부가 포함되며,
    상기 서브 수납부에 수납된 복용약이 복용될 시간을 알리는 복용시간 통보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용 시간 통보 장치는,
    설정된 복용 시간을 계시하는 타이머와,
    복용 시간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통지부와,
    상기 타이머에서 계시된 시간이 상기 복용 시간에 도달하면, 복용 시간에 도달했음을 알리도록 상기 통지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와,
    복용약이 수납된 상기 서브 수납부가 탈착 또는 부착 되는 것을 감지하는 탈부착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지부는,
    소리로 약 복용 시간이 도달했음을 알리는 알람과, 상기 서브 수납부 각각에 대해 마련되어, 수납된 복용약을 복용해야 될 신간에 도달한 서브 수납부에 대응하여 점등되는 인디케이터와, 복용 시간 안내 메시지를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발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00021307A 2020-02-20 2020-02-20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1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307A KR102414259B1 (ko) 2020-02-20 2020-02-20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307A KR102414259B1 (ko) 2020-02-20 2020-02-20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300A KR20210106300A (ko) 2021-08-30
KR102414259B1 true KR102414259B1 (ko) 2022-06-28

Family

ID=7750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307A KR102414259B1 (ko) 2020-02-20 2020-02-20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30318A1 (de) 2021-01-05 2022-07-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Benutzerendgerät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s automatischen Interpretationsdienstes auf der Grundlage einer Sprechertrenn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434Y1 (ko) * 2012-05-29 2013-12-13 김정원 약의 보관 및 복용을 관리할 수 있는 달력
KR101939491B1 (ko) 2017-09-04 2019-01-16 김수미 약 달력
KR102027359B1 (ko) * 2017-07-20 2019-11-12 이종훈 치매 환자용 스마트 약 복용 지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301Y1 (ko) 2006-07-24 2006-10-12 이종저 약 정량 복용장치
KR20170082751A (ko) * 2016-01-07 2017-07-17 김정준 제조약 복용 알림 장치
KR101938150B1 (ko) * 2017-01-25 2019-01-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약 복용 지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434Y1 (ko) * 2012-05-29 2013-12-13 김정원 약의 보관 및 복용을 관리할 수 있는 달력
KR102027359B1 (ko) * 2017-07-20 2019-11-12 이종훈 치매 환자용 스마트 약 복용 지원 시스템
KR101939491B1 (ko) 2017-09-04 2019-01-16 김수미 약 달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300A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1228C (en) Method of using a medication reminder and compliance system including an electronic pill box
CA2921239C (en) Electronic pill box and medication reminder and compliance system incorporating same
CA2752772C (en) Medical reminder and dispensing device
US20160354283A1 (en) Sensor-based medication systems
US7877268B2 (en) Intelligent pill box
US7844361B2 (en) Prescription drug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JP5671045B2 (ja) 薬ディスペンサー
US9597262B2 (en) Medication administration tracker
US20180000692A1 (en) Connected Pill Box
KR102414259B1 (ko)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7225639A (ja) 服薬管理装置及び薬剤保管装置
TWI536984B (zh) Intelligent kit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medication and its operation
TWM560913U (zh) 多種用藥型態管理智能藥箱
KR200426335Y1 (ko) 디지털투약용 카렌더
Kini et al. A Review on Dispenser Mechanisms of Medicine Dispenser
JP2019187603A (ja) 服薬管理装置、服薬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40156686A1 (en) Smart medication holder
TWI765191B (zh) 智慧用藥提醒系統
TW201424727A (zh) 自動提醒用藥時機之分藥盒裝置
BR102012003037A2 (pt) dispositivo despertador para uso especÍfico
JP3159817U (ja) 飲み忘れ防止薬ケース
ES1069601U (es) Dispositivo organizador de la administracion de pastillas a intervalos de tiempo predeterminados.
TWM511326U (zh) 電子藥盒
KR20240059445A (ko) 알람 기능이 구비된 약통
BR102016024734A2 (pt) dispositivo e método para lembrar a ingestão de medicamento a um usuár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