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363Y1 -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363Y1
KR200424363Y1 KR2020060014886U KR20060014886U KR200424363Y1 KR 200424363 Y1 KR200424363 Y1 KR 200424363Y1 KR 2020060014886 U KR2020060014886 U KR 2020060014886U KR 20060014886 U KR20060014886 U KR 20060014886U KR 200424363 Y1 KR200424363 Y1 KR 200424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waste
beams
body portion
construction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대환
Original Assignee
대흥에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에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흥에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4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3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3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로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어 나머지 일단부로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이송 및 배출하는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부,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부의 측면판에 고정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다수의 철근빔,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부의 하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부와 지지 프레임을 연결 지지하는 다수의 스프링 및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부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구동부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와 연동하여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부의 일단부에서 나머지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크랭크 축 및 크랭크 축에 끼워져 크랭크 축을 따라 회전하고, 단면이 가상의 원에서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어 원의 중심으로부터 각 단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크랭크를 포함하고,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부가 구동부와 함께 진동하면서, 투입된 건설 폐기물 중 각 철근빔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 폐기물은 각 철근빔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고, 각 철근빔 사이의 간격보다 큰 건설 폐기물은 철근빔을 따라 이송하여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부의 나머지 일단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건설 폐기물; 크랭크

Description

건설폐기물용 선별기{Separator for construction waste}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1 실시예의 입체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1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1 실시예의 폭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크랭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측면도이다.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측면도이다.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3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2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4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3 은 도 11 및 도 12 의 측면도이다.
도 14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5 실시예의 폭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5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12 : 투입부
14 : 제 1 배출부 16 : 이송부
18 : 제 2 배출부 20 : 바퀴
30 :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부 32, 52 : 측면판
34, 54 : 측면 보조판 40 : 철근빔
42 : 지지빔 50, 50a : 덮개판
56, 56a : 보조판 60 : 지지 프레임
70 : 스프링 80 : 구동부
82 : 구동모터 84 : 크랭크 축
86 : 크랭크 90 : 크락샤
92 : 호퍼
본 고안은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건설 폐기물을 선별 분류하여 재활용하거나 재처리하는데 있어서 크락샤로 크기가 큰 폐기물을 투입하기 전에 바이브레이팅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에서 크기가 작은 폐기물을 분리할 수 있도록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H 빔을 설치한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설 폐기물 중 크기가 작은 폐기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진동 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진동 스크린의 경우 와이어 메쉬 형태여서 건설 폐기물의 내부에 혼재되어 있는 철근 등 이물질이 쉽게 껴서 막히게 되고, 함수비가 큰 토분의 경우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막히는 등 작업상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통상적인 그리즐리 피더(Grizzly feeder)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부에 위치한 간극 부재의 하부에 보강 및 지지 역할을 수행하는 가로대가 다수 설치되어 있어서, 이들 간극 부재와 가로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폐곡선 형태의 간극 사이에 건설 폐기물의 내부에 혼재된 철근 등의 이물질이 쉽게 껴서 막히고 함수비가 큰 토분 역시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막히는 등 작업상 지장을 초래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그 기술적 구성을 개선하여 건설 폐기물을 이송 및 분류하는 과정에서 각종 이물질이 중간에 걸리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철근빔 사이의 간격보다 큰 폐기물과 혼재되어 있는 토분과 쓰레기 등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재생 골재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크락샤에 건설 폐기물을 우선적으로 투입하여 작은 크기로 분쇄한 후 분쇄된 건설 폐기물을 그 크기에 따라 분류하던 종래의 건설 폐기물 처리 공정을 개선하여, 크락샤를 이용하여 건설 폐기물을 분쇄하기 전에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에 의해 건설 폐기물을 미리 분류함으로써 크락샤에는 오직 크기가 큰 건설 폐기물만이 투입 및 분쇄되도록 하여 건설 폐기물의 처리 공정을 단순하게 하고 처리 수율을 높일 수 있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는, 건설 폐기물을 투입하여 건설 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분류 및 이송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로서,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이 루며, 일단부로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어 나머지 일단부로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이송 및 배출하는 몸체부(30), 몸체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다수의 철근빔(40), 몸체부(30)의 하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60), 몸체부(30)와 지지 프레임(60)을 연결 지지하는 다수의 스프링(70) 및 몸체부(30)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되어 전방을 향하여 진동하는 힘을 발생하는 구동부(80)를 포함하고, 구동부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82), 구동모터(82)와 연동하여 몸체부(30)의 일단부에서 나머지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크랭크 축(84) 및 크랭크 축(84)에 끼워져 크랭크 축을 따라 회전하고, 단면이 가상의 원에서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어 원의 중심으로부터 각 단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크랭크(86)를 포함하고, 몸체부(30)가 구동부(80)와 함께 진동하면서, 투입된 건설 폐기물 중 각 철근빔(40)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 폐기물은 각 철근빔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고, 각 철근빔 사이의 간격보다 큰 건설 폐기물은 철근빔을 따라 이송하여 몸체부의 나머지 일단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80)가 서로 수직을 이루며 배치되는 두개의 크랭크(86)를 포함하도록 한다. 각 철근빔(40) 사이의 간격은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는 몸체부(30)의 일단부에서 건설 폐기물이 배출되는 몸체부의 나머지 일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철근빔(40)을 몸체부(3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몸체부의 나머지 일단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가 몸체부(30)의 나머지 일단부로 노출되는 각 철근빔(40) 위에 몸체부와 동일한 폭을 이루며 설치되는 덮개판(50)을 더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몸체부(30)가 측면판(32)의 상단부에서 외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측면 보조판(34)을 포함하도록 하고, 덮개판(50) 역시 몸체부(30)의 측면판(32) 및 측면 보조판(34)과 동일하게 연장 형성되는 측면판(52) 및 측면 보조판(54)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덮개판(50)은,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 철근빔(40) 사이의 공간에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덮개판(5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보조판(56)을 더 포함하도록 하며, 보조판(56)은 덮개판(50)에 대하여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20 내지 40°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는, 몸체부(30)의 중간 부분에 각 철근빔(4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 철근빔의 하부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몸체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빔(4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빔(42)이 설치된 동일선상의 각 철근빔(40)의 상부에는 각 철근빔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몸체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되는 덮개판(50a)과,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 철근빔(40) 사이의 공간에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덮개판(50a)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보조판(56a)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판(56a) 역시 덮개판(50a)에 대하여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20 내지 40°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각 철근빔(40)은 그 단면이 위부분은 역삼각형을 이루고 아래부분은 삼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1 실시예의 입체사시도이다. 또한,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1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1 실시예의 폭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10)는 건설 폐기물이 투입 및 이송되는 부분이 경사지지 않고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진동을 이용하여 건설 폐기물을 특정 방향(도 1 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10)는, 건설 폐기물 등이 투입되어 진동에 의해 이송되며 다수의 철근빔이 설치되는 몸체부(30), 몸체부의 하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60), 몸체부와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스프링(70) 및 몸체부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되어 몸체부를 진동시켜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80)를 포함한다.
몸체부(30)의 일 단부에는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12)가 배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투입부(12)가 배치되는 몸체부(30)의 일 단부에 구동부(80)를 배치하도록 한다. 또한, 몸체부(30)의 나머지 일 단부에는 몸체부를 거치면서 분류된 건설 폐기물이 배출되는 제 1 배출부(14)와 제 2 배출부(18)가 배치된다.
건설 폐기물 등을 투입부(12)를 통해 몸체부(30) 내에 투입하면 구동부(80)의 진동에 의해 건설 폐기물 등이 밀려 특정 방향(도 1 에서 오른쪽 방향) 이동하면서 그 크기에 따라 분류되어, 크기가 큰 건설 폐기물은 제 1 배출부(14)로 배출되고 크기가 작은 건설 폐기물이나 이물질 등은 제 2 배출부(18)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10)는 작업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하여 하부에 다수의 바퀴(20)를 구비할 수 있다. 각 구성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몸체부(30)는 구동부(80)와 함께 진동하면서 투입부(12)로 투입되는 건설 폐기물을 분류 및 이송하는 구성부로서,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의 구조를 이루며, 내부의 중간 높이에는 다수의 철근빔들(40)이 서로 평행하게 일자형으로 배치된다. 각 철근빔(40)은 몸체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된다.
몸체부(30)의 측면판(32)은 이송되는 건설 폐기물이 몸체부의 진동에 의해 위로 튀어 올라 몸체부의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로 형성한다. 또한, 측면판(32)은 그 상단부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측면 보조판(34)을 형성하는데, 측면 보조판 역시 몸체부에서 이송되는 건설 폐기물이 진동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몸체부(30), 측면판(32) 및 측면 보조판(34)은 강도가 높은 철판을 이용하여 제작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철근빔(40)은 H빔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평행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몸체부(30)에 투입된 건설 폐기물이 철근빔(40) 위를 이동하면서 철근 빔들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 폐기물은 철근빔 사이로 배출되어 몸체부의 바닥으로 떨어지고, 철근 빔들 사이의 간격보다 큰 건설 폐기물만이 철근 빔 위에 남게 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철근 빔(40)이 10cm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 건설 폐기물 중 그 크기가 10cm 이상인 건설 폐기물은 철근빔 사이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철근빔 위에 남은채로 몸체부(30)의 진동에 의해 이동하여 제 1 배출부(14)로 배출된다. 또한, 그 크기가 10cm 이하인 건설 폐기물, 토분, 쓰레기 등은 철근빔들(50) 사이로 배출되어 몸체부(30)의 바닥으로 떨어지고 역시 몸체부의 진동에 의해 이동하여 제 2 배출부(18)로 배출되게 된다. 각각의 철근빔(40) 사이의 간격은 건설 폐기물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철근빔(40)은 기본적으로 H 빔의 모양을 이루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철근빔의 윗부분은 그 단면이 역삼각형을 이루고 아랫부분은 그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건설 폐기물이 철근빔들(40) 상에서 진동에 의해 이동하는 도중 건설 폐기물 중 크기가 작은 물질이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철근 빔(50)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철근 빔(40)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몸체부(30)의 전체 길이보다 철근 빔의 길이를 더 길게 구성하도록 한다. 이때, 몸체부(30)의 전체 길이를 벗어나는 각각의 철근빔들(40)의 영역 위에는 덮개판(50)이 고정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덮개판(50)은 몸체부(30)를 벗어나서 배치되는 철근빔들(40)의 상부에 배치되며, 덮개판의 폭은 몸체부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또한, 덮개판(50) 역시 몸체부(30)의 측면판(32)과 측면 보조판(34)과 동일하게 연장 형성되는 측면판(52) 및 측면 보조판(54)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 에서는 덮개판(50)의 일측에만 측면판(52) 및 측면 보조판(54)을 도시하였으나, 실제 실시에 있어서는 덮개판의 양측 모두에 측면판 및 측면 보조판을 설치하도록 한다. 덮개판(50), 측면판(52) 및 측면 보조판(54)은 몸체부(30)와 동일한 재질의 철판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철근빔들(40)의 하부에는 각 철근빔을 몸체부(30)에 고정 및 지지하는 지지빔(42)이 장착될 수도 있다. 지지빔(42)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빔(40)의 양단부의 하부에 철근빔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투입부(12)가 배치되는 몸체부(30)의 일단부에 배치된 철근빔(40)의 하부와, 제 1 배출부(14)가 배치되는 몸체부의 나머지 일단부, 즉 덮개판(50)의 아래에 배치된 철근빔의 하부에 지지빔(42)을 설치하도록 한다.
각각의 지지빔(42)은 용접 등에 의해 철근빔(4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양단부는 몸체부(30)의 측면판(32)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한편, 건설 폐기물은 대부분 콘크리트 덩어리나 돌덩어리와 같은 무거운 물체로 구성되므로 건설 폐기물이 몸체부(30)에 투입되어 철근빔(40)에 올려졌을 때 철근빔 각각이 몸체부(30)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얼마 사용하지 못하고 고장이 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철근빔(40) 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철근빔의 중간 부분, 즉 몸체부(30)의 가로 방향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철근빔의 하부에도 지지빔(42)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빔(42) 역시 철근빔(40)과 직교하는 세로 방향으로 각 철근빔 및 몸체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철근빔들(40)이 더욱 강력하게 몸체부(30)에 고정 및 지지되므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어 더 무거운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더라도 철근빔, 특히 측면판(32)과 인접하지 않은 철근빔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 프레임(60)은 몸체부(30)의 하부에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몸체부를 지지하게 된다. 지지 프레임(60)과 몸체부(30)의 이격된 공간에는 다수의 스프링(70)이 배치되는데, 구체적으로 몸체부의 측면 또는 하부에 스프링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지지 프레임의 측면 또는 상부에 스프링의 나머지 일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몸체부(30)가 구동부(80)와 함께 진동할 때 지지 프레임(60)은 고정된 채로 몸체부만이 진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지지 프레임(60)은 고정된 상태에서 몸체부(30)만이 구동부(80)에 의해 진동하면서 건설 폐기물을 분류 및 이송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80)는 몸체부(30)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력을 몸체부에 전달하여 몸체부를 진동시킨다. 구동부(80)는 몸체부(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동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힘에 의해 몸체부를 함께 진동시키게 된다. 구동부(80)는 회전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전방(폐기물이 배출되는 방향)을 향한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데, 구동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크랭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80)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82), 구동모터와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크랭크 축(84) 및 크랭크 축에 끼워져 크랭크 축을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크랭크(86)를 포함한다.
크랭크(86)는 크랭크 축(84)을 따라 회전하면서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데, 구동모터(82)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하로 진동하면서 전방을 향하는 힘으로 변환하게 된다. 크랭크(86)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가상의 원에서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가상의 원의 중심에 크랭크 축(84)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원의 중심으로부터 크랭크(86)의 각 단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된다. 상기 원의 중심으로부터 크랭크의 일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a라 하고 원의 중심으로부터 크랭크의 테이퍼진 타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b 라 하면 a 가 b 보다 크게 된다. 원의 중심으로부터 각 단부까지의 거리는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랭크 축(84)을 따라 크랭크(86)가 회전하면서 원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a 인 일측 단부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 즉 일측 단부가 90°의 위치에서 0°의 위치를 거쳐 -90°의 위치로 움직이면, 원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b 인 테이퍼진 타측 단부가 위로 올라가 90°의 위치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원의 중심에서의 크랭크의 높이가 a 에서 b 로 줄어들어 (a-b) 만큼 내려가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테이퍼진 타측 단부가 90°의 위치에서 0°인 위치를 거쳐 -90°의 위치로 내려가면 일측 단부가 90°의 위치로 올라오게 되므로, 원의 중심에서의 크랭크의 높이가 b 에서 a 로 늘어나 (a-b) 만큼 올라가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크랭크 축(84)의 회전 방향은 건설 폐기물의 이송 방향이 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크랭크(86)의 일측 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크랭크(86)가 회전하면서 상하로 진동하는 힘이 발생하며 크랭크의 회전 방향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힘에 방향성, 즉 전방으로 밀어주는 힘이 부가되어 몸체부(30)에 전달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80)는 크랭크 축(84)에 복수의 크랭크(86)를 장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크랭크(86)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각 크랭크는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두 개의 크랭크(86)로부터 발생하는 힘의 합력으로 가장 강하고, 몸체부(30)의 건설 폐기물이 진동에 의해 몸체부의 밖으로 이탈하지 않고 가장 효과적으로 이송됨이 실험에 의해 입증되었다.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8 은 도 7 의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투입부(12)를 통해 몸체부(30)에 건설 폐기물이 투입된다.
또한, 구동부(80) 내부의 구동모터(82)에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크랭크(86)가 회전하면서 전방, 즉 제 1 배출부(14)를 향하며 밀어주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80)와 일체형을 이루며 고정되는 몸체부(30)는 구동부의 함께 상하로 진동하면서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전방으로 밀어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몸체부(30)와 지지 프레임(60)은 스프링(70)에 의해 연결되므로 지지 프레임은 진동하지 않으면서 몸체부만이 진동하게 된다.
투입된 건설 폐기물 중 철근빔(40) 사이의 간격보다 크기가 큰 건설 폐기물, 예를 들어 크기가 큰 돌덩이 등은 철근빔 위에서 제 1 배출부(14)를 향해 이송된다. 또한, 철근빔(40)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 폐기물, 예를 들어 크기가 작은 돌, 쓰레기 또는 나무 조각 등은 철근빔 사이로 배출되어 몸체부(30)의 바닥에 떨어진 후 몸체부의 진동에 의해 이송되어 제 2 배출부(18)로 배출된다.
몸체부(30)의 진동에 의해 이송된 크기가 큰 건설 폐기물은 제 1 배출부(14)로 배출된다. 즉, 건설 폐기물이 덮개판(50)을 통과하여 호퍼(92)를 통해 크락샤(90)에 유입되어 더 작은 크기로 파쇄되게 된다. 이때, 덮개판(50)은 제 1 배출부(14)와 호퍼(92)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커버하여 건설 폐기물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제 1 배출부(14)와 호퍼(92)는 서로 밀착하지 않고 일정 거리만큼 떨어지게 설치되는데, 이 경우 미처 철근빔(40) 사이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철근 빔에 잔류하여 이송되던 크기가 작은 건설 폐기물이 제 1 배출부(14)와 호퍼(92)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배출부(14)와 호퍼(92)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덮개판(50)에 의해 커버함으로써 건설 폐기물이 온전하게 호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덮개판(50)의 길이는 제 1 배출부(14)와 호퍼(92) 사이의 간격과 적어도 동일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0 는 도 9 의 측면도로서 덮개판과 보조판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9 및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몸체부의 제 2 실시예는 덮개판(50)에서 철근빔(40)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 반원형의 보조판(56)을 더 포함한다.
보조판(56)은 크기가 큰 건설 폐기물이 철근빔들(40) 위를 진동 이송된 후 덮개판(50) 위에 쉽게 올려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건설 폐기물은 모양이 매우 불규칙하기 때문에 철근빔들(40) 사이의 공간으로 빠진 건설 폐기물의 하단부가 덮개판(50)의 모서리에 걸려 건설 폐기물이 덮개판 위로 용이하게 올려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보조판(56)은 건설 폐기물의 이송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하부를 향하여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구성을 이루고 그 단부는 반원형을 이룬다. 따라서, 모양이 불규칙한 건설 폐기물이 보조판(56)을 타고 위로 올려져 용이하게 덮개판(50) 위에 올려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미처리된 건설 폐기물이 최초의 파쇄공정을 위해 몸체부(30)에 투입될 때에는 건설 폐기물의 덩어리가 매우 크기 때문에 몸체부에 설치된 철근빔들(40)이 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고장이 발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철근빔들(40)의 중간 부분에 철근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빔(42)을 더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지지빔(42) 사이에 건설 폐기물 중 쓰레기 등이 걸리기 쉬워 건설 폐기물 처리시마다 지지빔 사이에 낀 쓰레기들을 제거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는 도 1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3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몸체부의 제 3 실시예는 철근빔들(40) 밑면의 중간 지점을 가로질러 철근빔들과 직각으로 지지빔(42)이 고정 설치되고, 지지빔의 양단부는 몸체부(30)의 측면판(32)과 고정 설치된다. 또한, 지지빔(42)이 설치된 동일선상의 철근빔들(40)의 위에는 덮개판(50a)이 철근빔들과 직각을 이루며 고정 설치되고, 덮개판에서 철근빔들 사이의 공간으로는 반원형의 보조판(56a)이 연장 설치된다. 보조판(56a)은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판(50a)과 보조판(56a)에 의해 건설 폐기물 중 노끈, 비닐조각 등의 쓰레기 등이 지지빔(4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4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몸체부의 제 4 실시예는 투입부(12)가 배치되는 위치에서 철근빔들(40) 사이의 간격이 좁고 제 1 배출부(14)가 배치되는 위치로 갈수록 철근빔들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이 경우 구동부(80)에 의해 몸체부(30)가 진동하는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철근빔들(40) 사이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므로 노끈이나 비닐조각 등 쓰레기이 철근빔들(40) 또는 지지빔(42)에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분류되어야할 작은 건설 폐기물들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2 에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4 실시예는 지지빔(42), 덮개판(50a) 및 보조판(56a)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3 은 도 11 및 도 12 의 측면도이다.
도 1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빔의 하부로는 3개의 지지빔(42)이 철근빔(40)과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고, 각각의 지지빔은 양단부가 몸체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몸체부(30)에 무거운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더라도 철근빔들(4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판(50)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빔(42)과 철근 빔(40)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빔은 덮개판(50, 50a)과 보조판(56, 56a)의 구성에 의해 쓰레기 등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조판(56, 56a)은 건설 폐기물의 이송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덮개판(50, 50a)의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쓰레기 등이 지지빔(4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모가 난 돌덩이와 같이 불규칙한 모양의 건설 폐기물 등이 투입된 경우에도 쉽게 덮개판(50, 50a) 위를 지나 진동하면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보조판(56, 56a)의 철근빔(40)과 20 내지 40° 경사지게 형성하도록 한다. 철근빔(40)과 보조판(56, 56a)이 이루는 각도가 20° 미만이거나 40°보다 큰 경우에는 건설 폐기물이 쉽게 덮개판(50, 50a) 위로 올려지지 않게 된다. 한편, 철근빔(40)과 보조판(56, 56a)이 이루는 각도가 20 내지 40°의 범위를 벗어나게 구성하고 구동부(80)의 진동력을 더 높인 경우, 건설 폐기물이 몸체부(30)의 측면판(32)의 높이 이상으로 튀어올라 몸체부 밖으로 이탈할 뿐만 아니라 건설 폐기물이 호퍼(92)의 밖으로까지 튀어 떨어지는 등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철근빔(40)과 보조판(56, 56a)의 기울어진 정도가 25 내지 35°를 이루도록 한다. 이 경우 구동부(80)의 진동의 세기에 상관없이 건설 폐기물이 철근빔들(40) 위에서 2개의 덮개판들(50, 50a)을 부드럽게 통과하여 호퍼(92) 속으로 투입되게 된다.
도 14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5 실시예의 폭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5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5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4 및 도 1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의 제 5 실시예(10)는 몸체부(30)의 저면을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고 몸체부의 개방된 저면의 하부에 이송부(16)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30)에 투입된 건설 폐기물 중 철근빔(40) 사이의 간격보다 크기가 작은 건설 폐기물이나 이물질 등은 철근빔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어 몸체부 하부의 이송부(16)에 떨어지게 된다. 이송부(16)는 분류된 건설 폐기물을 이송하여 제 2 배출부(18)로 배출하게 된다. 이송부(16)로는 컨베이어 밸트로 구성된 컨베이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는 몸체부에 다수의 철근빔을 설치하여 각각의 철근빔 사이의 간격보다 크기가 큰 건설 폐기물과 작은 건설 폐기물을 크락샤에서 1차 파쇄공정을 하기 전에 미리 분리함으로써 건설 폐기물의 처리 공정을 단순화하고, 이에 따라 건설 폐기물의 처리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건설 폐기물을 현장에서 운반하여 분리 작업 없이 그대로 크락샤에서 1차 파쇄과정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재활용되기 어려운 쓰레기들까지 크락샤에 투입하여 파쇄공정을 진행하게 되어 파쇄된 건설 폐기물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건설폐기물을 선별하는 것이 힘들고 공정 수율이 낮아지게 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은 크락샤에 의한 건설 폐기물의 1 차 파쇄공정 전에 재활용이 힘든 쓰레기들을 미리 선별 분리할 수 있으므로,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고 처리 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설 폐기물 처리 공정의 전체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크랭크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힘을 이용해 몸체부를 진동시키고 크랭크 축에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두개의 크랭크를 설치함으로써, 몸체부의 진동 강도를 건설 폐기물의 이송에 적합하게 최적화하고 건설 폐기물이 이송 중 몸체부의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10)

  1. 건설 폐기물을 투입하여 상기 건설 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분류 및 이송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로서,
    일단부로 상기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 (12) 가 설치되고 나머지 일단부로 상기 투입된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어 배출하는 몸체부(30);
    상기 몸체부(30)의 안쪽 양측면판(32)의 중간 높이부분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다수개의 철근빔(40)으로 구성된 철근빔 조합체판;
    상기 몸체부(30)의 바깥쪽 양 측면판 (32)의 하부로, 상기 양측면판 (32) 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60);
    상기 몸체부(30)와 상기 지지 프레임(60)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다수개의 스프링들(70); 및
    상기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상기 투입부 (12)가 위치한 상기 몸체부 (30)의 일단부에, 상기 몸체부 (30)와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 (30) 가 상기 건설폐기물이 이송되어 배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스프링 (70) 들에 연결되어 지지되어 진동하는 힘을 발생하는 구동부(8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 (80) 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82);
    상기 구동모터(82)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30)에서 상기 건설폐기물이 이송되어 배출되는 나머지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크랭크 축(84); 및
    상기 크랭크 축(84)에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크랭크 축과 함께 회전하고, 단면이 가상의 원에서 일측 단부에서 반대편 타측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어, 상기 크랭크축 (84)에 끼워져 고정된 상기 원의 중심으로부터 각 단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2개의 크랭크(86)를 포함하고,
    상기 각 크랭크 (86)가 상기 크랭크축 (84) 에 끼워져 고정된 상기 가상의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의 크랭크 (86) 에서 일직선으로 가장 긴 길이를 가진 부분이 서로 수직을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2개의 크랭크 (86) 는 상기 몸체부 (30) 의 상기 나머지 일단부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회전을 하고,
    상기 몸체부(30)가 상기 구동부(80)와 함께, 상기 다수개의 지지프레임 (60) 의 다수개의 스프링들 (70) 과 연결되어 지지된 상태로 진동하면서, 투입된 상기 건설 폐기물 중 상기 각각 철근빔(40)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 폐기물은 상기 각 철근빔 사이의 아래 공간으로 배출하고, 상기 각 철근빔 사이의 간격보다 큰 건설 폐기물은 상기 철근빔 (40) 을 따라 이송하여 상기 몸체부의 나머지 일단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철근빔(40) 사이의 간격이 상기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는 상기 몸체부(30)의 일단부에서 상기 건설 폐기물이 배출되는 상기 몸체부 (30) 의 반대편 일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철근빔(40)이 상기 몸체부(3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나머지 일단부로 노출되고,
    상기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가,
    상기 몸체부(30)의 나머지 일단부로 노출되는 각 철근빔(40) 위에 상기 몸체부와 동일한 폭을 이루며 설치되는 덮개판(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30) 의 밑부분에는 별도로 이송부 (16) 가 설치되어 상기 철근빔들 (40) 사이로 떨어지는 건설폐기물을 별도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50)이,
    상기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 철근빔(40) 사이의 공간에 아래방향을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상기 덮개판(5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보조판(5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56)이 상기 덮개판(50)에 대하여 상기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20 내지 4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가,
    상기 몸체부(30)의 중간 부분에 상기 각 철근빔(4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 철근빔의 하부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몸체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빔(4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가,
    상기 지지빔(42)이 설치된 동일선상의 상기 각 철근빔(40)의 상부에 상기 각 철근빔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 (30)의 각 철근빔(40) 사이의 공간에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상기 덮개판(50a)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보조판(56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56a)이 상기 덮개판(50a)에 대하여 상기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20 내지 4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철근빔 (40) 의 단면은 위부분이 역삼각형 모양이고 아래부분이 삼각형 모양인 에이치빔 (H 빔)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KR2020060014886U 2005-07-12 2006-06-02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KR200424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886U KR200424363Y1 (ko) 2005-07-12 2006-06-02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833 2005-07-12
KR2020060014886U KR200424363Y1 (ko) 2005-07-12 2006-06-02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363Y1 true KR200424363Y1 (ko) 2006-08-18

Family

ID=4177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886U KR200424363Y1 (ko) 2005-07-12 2006-06-02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3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89524A (zh) * 2022-11-11 2023-05-30 苏州市民用建筑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建筑设计的抗震模拟台及模拟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89524A (zh) * 2022-11-11 2023-05-30 苏州市民用建筑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建筑设计的抗震模拟台及模拟方法
CN116189524B (zh) * 2022-11-11 2024-03-22 苏州市民用建筑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建筑设计的抗震模拟台及模拟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0780B2 (ja) がれき類処理装置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1061166B1 (ko)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KR102164244B1 (ko) 원석의 선택적 파쇄와 필터링이 가능한 크러싱 시스템
KR100734519B1 (ko)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
KR101434571B1 (ko)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CN108686960B (zh) 建筑垃圾干式分选系统
KR200424354Y1 (ko) 진동과 상하완충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분급 이송 장치
KR100863605B1 (ko) 다단 각도변화를 갖는 순환골재 선별용 스크린을 이용하여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KR101786946B1 (ko) 건설오니의 파쇄 및 마쇄 스크린 장치
KR100808548B1 (ko)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KR20020035362A (ko) 폐콘크리트 골재화장치
KR200424363Y1 (ko)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KR200266263Y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0730877B1 (ko)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KR100641400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KR100971723B1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KR200194531Y1 (ko) 폐기물의 현장처리 장치
JP7086498B2 (ja) 廃棄物を用いた燃料の製造方法及び製造プラント
KR200370561Y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KR100595006B1 (ko) 건설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0381990Y1 (ko)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KR100518918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20020029059A (ko) 폐기물선별장치
KR20010068176A (ko)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