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877B1 -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 Google Patents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877B1
KR100730877B1 KR1020060014901A KR20060014901A KR100730877B1 KR 100730877 B1 KR100730877 B1 KR 100730877B1 KR 1020060014901 A KR1020060014901 A KR 1020060014901A KR 20060014901 A KR20060014901 A KR 20060014901A KR 100730877 B1 KR100730877 B1 KR 100730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construction waste
bend
reinforcing beams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376A (ko
Inventor
구대환
Original Assignee
구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대환 filed Critical 구대환
Publication of KR20070008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2Leaf spring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설폐기물로부터 재활용 골재를 생산하는 초기과정에서 건설폐기물을 파쇄하기 전에 건설폐기물의 내부에 혼재되어 있던 쓰레기나 토분 등과 같은 이물질을 사전에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엔 통상적인 진동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있으나, 이러한 진동스크린의 경우 와이어 메쉬 형태이어서 건설폐기물의 내부에 혼재되어 있는 철근 등의 이물질이 쉽게 끼워져 막히고 함수비가 큰 토분은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막히는 등 작업상 지장을 초래하며, 종래의 그리즐리 피더(Grizzly Feeder)의 경우에도 내부에 가로대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켜 어떠한 형태의 이물질도 중간에 걸리거나 막힘이 없이 건설폐기물을 이송하게 하여 덩어리 형태의 건설폐기물과 이와 혼재된 토분 등을 분리시켜 재생골재나 기타 골재의 생산과정에서 유효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빔, 휘다

Description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Feeder with a plurality of beams}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입체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를 앞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가 실시되는 것이 도시된 실시예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휘다의 실시도를 측면에도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판의 제 1 변형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판의 제 2 변형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8 은 도 7 을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덮개판의 보조판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를 위에 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1 은 도 9 및 도 10 의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의 빔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휘다부 10: 측면판
20: 측면보조판 30, 34: 덮개판
30b, 34b: 보조판 50: H 빔
100: 호퍼 110: 크락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건설폐기물을 선별분리하여 재활용하거나 재처리하는데 있어서 크락샤로 크기가 큰 폐기물을 투입하기 전에 바이브레이팅 휘다에서 크기가 작은 폐기물을 분리할 수 있도록 휘다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H 빔이 설치된 휘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엔 통상적인 진동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있으나, 이러한 진동스크린의 경우 와이어 메쉬 형태이어서 건설폐기물의 내부에 혼재되어 있는 철근 등의 이물질이 쉽게 끼워져 막히고, 함수비가 큰 토분은 스크린을 통과 하지 못하고 막히는 등 작업상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통상적인 그리즐리 피더(Grizzly feeder)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부에 위치한 간극부재의 하부엔 보강 및 지지 역할을 수행하는 가로대가 다수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이들 간극부재와 가로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폐곡선 형태의 간극 사이에 건설폐기물의 내부에 혼재되어 있던 철근 등의 이물질이 쉽게 끼워져 막히고 함수비가 큰 토분은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막히는 등 작업상 지장을 초래하여 생산서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 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 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어떠한 형태의 이물질도 중간에 걸리거나 막힘이 없이 휘다내에서 이송되면서 H 빔과 H 빔의 간격보다 큰 덩어리 형태의 건설폐기물과 혼재된 토분 및 쓰레기 등을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재생골재의 품질이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종래에 건설폐기물의 처리에 있어서, 크락샤에 건설폐기물을 우선적으로 투입하여 작은 크기로 분쇄한 후에,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그 크기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크락샤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을 분쇄하기 전에 휘다에 의한 건설폐기물의 분류를 실행하게 하여 크락샤에는 오직 크기가 큰 건설폐기물만을 투입하여 분쇄하므로, 건설폐기물의 처리공정이 단순하여 처리수율을 높 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는, 편심축의 작동에 의해서 복수개의 스프링시트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진동작동이 이루어지며 휘다부 (5) 내로 투입된 건설폐기물들이 진동분리 및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로서,
상기 휘다는 내부에 모터가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게 하는 구동부 (40) 와, 상기 구동부 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투입된 건설폐기물이 좌우측 중 어느 한 방향에 힘이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건설폐기물이 배출되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건설물폐기물이 투입되도록 위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상자모양의 휘다부 (5) 로 구성되고
상기 휘다부 (5) 안쪽의 중간 높이 지점에 다수개의 철근 빔들 (50) 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휘다부 (5)의 측면판 (10) 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건설폐기물이 휘다부 (5)내부에 투입되면 상기 철근빔들 (50) 의 간격보다 큰 건설폐기물은 상기 철근빔들 (50) 의 위에서 진동하면서 이송되고, 상기 철근빔들 (50) 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폐기물들은 휘다부 (5)의 바닥에 떨어져서 진동하면서 이송되고,
상기 휘다부 (5) 내에 설치된 각각의 철근빔들 (50) 의 간격은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부분에서 건설폐기물이 배출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더 좁아지는 구성이고,
상기 철근빔들 (50) 은 상기 휘다부 (5)의 전체길이보다 일정한 길이만큼 동일한 길이로 더 길고, 상기 휘다부 (5)의 전체길이를 초과되는 철근빔들상에 상기 건설폐기물이 배출하는 부분의 휘다부 (5)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덮개판 (30)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철근빔들은 10 cm 내지 20 cm 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덮개판 (30) 의 좌우측 모서리상에 상기 휘다부 (5) 의 측면판 (10) 과 연결되도록 측면보조판 (20) 이 설치되고,
상기 건설폐기물이 상기 철근빔들 (50) 상에서 진동이동하면서 상기 덮개판 (30) 으로 진입하는 부분에 상기 덮개판 (30) 에 연장되게 보조판 (30b) 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판 (30b) 은 아래 방향으로 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구부려져 있고,
상기 보조판 (30b) 은 상기 덮개판 (30) 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20 도 내지 40도 사이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휘다부 (5) 의 중간부분에 상기 철근빔들 (50) 밑부분과 직교되도록 상기 휘다부의 측면판 (10) 까지 연장된 보조빔 (20) 이 상기 각각의 철근빔들 (50) 의 밑면과 상기 측면판 (10) 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빔 (20) 이 설치된 동일위치의 상기 철근빔들 위에 상기 측면판 (10) 까지 연장된 덮개판 (34) 이 상기 철근빔들 (50) 과 상기 측면판 (1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건설폐기물이 상기 철근빔들 (50) 상에서 진동이동하면서 상기 덮개판 (34) 으로 진입하는 부분에 상기 덮개판 (34) 에 연장되게 보조판 (34b) 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판 (34b) 은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구부려져 있고,
상기 보조판 (34b) 은 상기 덮개판 (34) 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20 도 내지 40도 사이의 각도로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 및 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입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휘다는 물체가 운반되는 부분이 경사가 지지 않는 상태에서 진동만을 시켜서 휘다 내부에 있는 물체들을 앞으로 (도 1 에서 왼쪽 방향)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휘다는 크게 건설폐기물 등이 투입되어 진동에 의해 이송되는 휘다부 (5) 와 휘다부 (5) 아래에 설치되어 휘다부 (5) 를 진동시키면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게 하는 구동부 (40) 로 구성된다. 건설폐기물 등을 휘다부 (5) 내에 투입하면 (도면부호 34 부분) 진동에 의해 건설폐기물 등이 밀려서 점진적으로 앞으로 (도 1 에서 왼쪽 방향, 도면부호 32번 부분) 움직이게 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휘다는 휘다부 (5) 안쪽의 중간높이 위치에 다수개의 H 빔 (50) 들이 일자형으로 휘다부 (5) 의 측면판 (10) 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H 빔 (50) 들은 동일한 길이로 본 발명에 따른 휘다부 (5) 의 전체 길이보다 더 길게 구성되고, 휘다부 (5) 의 전체 길이보다 동일한 길이만큼 더 벗어난 각각의 H 빔들 (50) 의 벗어난 부분들 위에는 덮개판 (30) 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이 경우 덮개판 (30) 은 휘다부 (5)의 재질과 동일한 철판으로 구성되고, 그 폭 길이는 휘다부 (5) 의 폭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휘다부 (5) 에서는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휘다부의 측면보조판 (20) 이 측면판 (10) 의 연장선상에 덮개판 (30) 과 연결되게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측면판 (10) 과 측면보조판 (20) 은 휘다부 (5) 안에 투입된 건설폐기물들이 이동하는 도중 휘다부 (5) 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에서는 왼쪽부분의 측면보조판 (20) 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의 실시예 있어서는 오른쪽 부분에도 측면보조판 (20) 을 설치한다.
도면 부호 40은 휘다의 구동부를 나타낸다. 휘다의 구동원리는 모터에 의한 회전운동이 좌우로 움직이는 직선왕복운동으로 바꾸어져 물체를 한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미 공지된 사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부 (5) 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면, 각각의 H 빔들 (50) 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H 빔들 (50) 의 간격은 경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각의 H 빔들 (50) 의 간격을 10 cm 로 설치하면, 건설폐기물의 덩어리들이 10cm 이상의 것들은 본 발명의 H 빔들 (50) 위에 머무르면서 휘다부 (5) 의 진동에 의해 H 빔들 (50) 상에서 이동을 하며, 10cm 이하의 건설폐기물 덩어리, 토분, 쓰레기 등의 물체들은 H 빔들 (50) 사이를 빠져나가서 본 발명의 휘다부 (5) 의 바닥에 떨어져서 휘다부 (5) 의 진동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면 부호 52 는 H 빔 (52) 들을 휘다부 (5) 에 고정되게 지지하는 지지빔 (52) 이다. 도 2 에서는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휘다부 (5) 의 뒤부분의 H 빔 밑과 투입된 건설폐기물이 배출되는 앞부분의 덮개판 (30) 아래의 H 빔 부분의 밑부분에 용접 등에 의해 H 빔 (50) 과 고정되게 설치되고, H 빔중 측면판 (10) 과 맞닫는 H 빔은 측면판 (10) 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건설폐기물은 대부분 콘크리트 덩어리, 돌덩어리 등 무거운 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건설폐기물이 휘다부 (5) 의 내부로 투입되고 (도면 부호 34번 부분), H 빔 (50) 에 올려졌을때, H 빔들 (50) 각각이 휘다부 (5) 와 견고하게 고정되게 설치되지 않는다면 얼마 사용하지 못하고 고장이 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휘다부 (5) 에서 H 빔의 중간부분 (휘다부 (5) 의 가로방향 중간부분) 밑에 H 빔과 직교되게 세로로 지지빔 (52) 을 하나 더 휘다부 (5) 의 측면판 (10) 에 고정되게 설치한다면, H 빔들 (50) 은 더욱더 강력하게 휘다부 (5) 에 지지되어, 더 무거운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더라도 내구성이 향상되어 H 빔이 (특히, 도 2 에서 두 번째 및 세 번째 H 빔) 이탈하는 문제점이 덜 발생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구성하에서는 건설폐기물 중 노끈, 비닐류 등의 쓰레기 등이 지지빔 (52) 에 걸리게 되어 매번 휘다를 사용시마다 지지빔 (52) 에 걸린 쓰레기들을 먼저 제거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2 에서는 도 1 과 달리, 양쪽 각각의 측면판 (10) 과 연장된 부분에 측면 보조판 (20) 이 설치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부 (5) 를 앞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 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휘다부 (5)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H 빔들 (50) 은 기본적으로는 H 빔의 모양을 하고 있고, H 빔 (50) 의 위부분은 역삼각형을 모양을 하고 있고 아래 부분은 삼각형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이는 건설폐기물이 H 빔들 (50) 상에서 진동에 의해 이동하는 도중 건설폐기물 중 크기가 작은 물질이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H 빔 (50)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도면부호 12 는 H 빔 (50) 들의 간격보다 큰 돌덩이들이 이동되는 경로이고, 도면부호 14 는 H 빔 (50) 들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폐기물들이 떨어져 이동되는 경로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가 실시되는 것이 도시된 실시 예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휘다의 실시도를 측면에도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부 (5) 가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휘다부 (5) 안으로 트럭 등으로 옮겨져온 미처리된 건설폐기물이 투입된다. 투입된 미처리 건설폐기물중 각각의 H 빔들 (50) 의 간격보다 그 크기가 큰 건설폐기물 (70), 예들 들어 크기가 큰 돌덩이 등은 H 빔들 위에 남아서 진동하면서 왼쪽의 호퍼 (100) 쪽으로 이동하고, 그 크 기가 각각의 H 빔들 (50) 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폐기물들 (80), 예를 들어, 크기가 작은 돌들, 쓰레기, 나무조각들 등은 H 빔들 (50) 아래로 떨어져, 본 발명의 휘다부 (5) 의 바닥면 (14)에 위치하여 왼쪽으로 진동하면서 이송된다.
도면 부호 40 은 본 발명의 휘다의 구동부를 나타낸다. 휘다구동부 (40) 에는 모터가 설치되어 있어서 모터가 회전하면서 휘다부 (5) 를 진동하게 하여 진동에 따라 건설폐기물이 호퍼 (100) 쪽으로 이송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휘다부 (5) 의 진동에 의해 이송된 크기가 큰 건설폐기물들 (70) 은 덮개판 (30) 을 지나서 호퍼 (100) 속으로 투입되고, 크락샤 (110) 에 의해 더 작은 크기로 파쇄된다. 크기가 작은 건설폐기물들 (80) 은 이송장치 (120) 로 투입되어 별도의 장소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서 이송장치 (120) 의 일예로 컨베이어 밸트로 구성된 컨베이어 시스템일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덮개판 (30) 의 역할이 설명된다. 만일 덮개판 (30) 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이송장치 (120) 와 호퍼 (100) 가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서 설치되기 때문에 미쳐 H 빔 (50) 사이들 통과하지 못하고 H 빔 (50) 상에 잔류되어 이송되던 크기가 작은 건설폐기물 (80) 이 이송장치 (120) 와 호퍼 (100) 사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판 (20) 의 길이는 이송장치 (120) 과 호퍼 (100)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판의 제 1 변형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판의 제 2 변형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6 에 도시된 덮개판 (30) 의 제 1 변형례를 살펴보면, 덮개판 (30) 에서 H 빔과 H 빔 (50) 사이에 안쪽으로 들어간 반원모양으로 오려내어진 오목부 (30a)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에 도시된 덮개판 (30) 의 변형례를 살펴보면, 덮개판 (30) 에서 H 빔과 H 빔 (50) 사이에 바깥쪽으로 반원이 돌출된 모양으로 보조판 (30b)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 의 오목부 (30a) 와 보조판 (30b) 은 크기가 큰 건설폐기물 (70) 이 H 빔들 (50) 위를 진동이송되어 덮개판 (30) 위에 쉽게 올려지기 위한 구성으로, 크기 큰 건설폐기물 (70) 의 모양이 매우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커버판 (30) 의 모서리 부분에 건설폐기물 (70) 이 정지되어 쉽게 덮개판 (30) 위로 운반이송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으로 안출된 것이다.
도 8 은 도 7 을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덮개판의 보조판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8 의 반원형 보조판 (30b) 은 아래 방향으로 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접어진 구성을 하고 있어서 모양이 불규칙한 건설폐기물 (70) 이 더 쉽게 덮개판 (30) 위로 올려지기 쉽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부 (5) 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미처리된 건설폐기물이 최초의 파쇄공정을 위해 휘다부 (5) 에 투입될 때에는, 건설폐기물의 덩어리가 매우 크기 때문에 휘다부 (5) 에 설치된 H 빔들 (50) 이 휘다부 (5) 로부터 이탈되는 고장이 발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H 빔들 (50) 에 지지빔 (52) 을 더 설치하는 것이 좋으나, 지지빔 (52) 을 더 설치하면 지지빔 (52) 사이에 건설폐기물 중 쓰레기 등이 걸리기 쉬워, 매 건설폐기물 처리공정시마다 지지빔 (52) 사이에 낀 쓰레기들을 제거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안이 도 9 에 도시되어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도 2 와는 달리 H 빔들 (50) 밑면의 중간지점을 가로질러 H 빔들 (50) 의 밑면과 직각으로 지지빔 (52) 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지지빔 (52) 의 양끝단은 휘다부 (5) 의 측면판 (10) 과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빔 (52) 이 설치된 동일선상의 H 빔들 (50) 위에는 덮개판 (34) 이 H 빔들 (50) 과 직각이 되게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지지빔 (52) 을 더 설치함으로 인하여 비록 무거운 건설폐기물이 H 빔들 (50) 위로 지속적으로 투입된 경우에도 H 빔들 (50) 이 휘다부 (5) 로부터 이탈되는 고장가능성을 줄일 수 있어 수명을 늘릴 수 있다.
그리고, 덮개판 (34) 의 오른편에는 보조판 (34b) 이 연장되어 구성되고 보조판 (34b) 은 아래쪽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있다. (도 11 참조) 이 덮개판 (34) 과 보조판 (34b) 의 구성으로 인하여 건설폐기물 중 노끈, 비닐조각 등의 쓰레기 등이 지지빔 (52) 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부 (5) 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위치인 오른쪽의 H 빔들 (50) 의 간격이 넓고 건설폐기물이 배출되는 왼쪽부분의 H 빔들 (50) 의 간격이 좁게 되는 구성이다. 도 10 과 같은 제 3 실시례의 휘다부 (5) 에서는, 건설폐기물의 투입되는 오른쪽 부분의 H 빔들 (50)의 간격이 왼쪽의 건설폐기물 배출부분 (32) 쪽의 H 빔들 (50)의 간격보다 넓기 때문에 건설폐기물 중 대부분의 쓰레기가 중간의 덮개판 (34) 을 지나기 전에 H 빔들 (50) 사이를 낙하하기 때문에 H 빔들 (50) 중간에 설치된 덮개판 (34) 이나 지지빔 (52) 에 쓰레기 등이 걸릴 가능성이 적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1 은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의 H 빔과 덮개판 지지빔의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3개의 지지빔 (52) 이 H 빔들 (50)의 밑면에 H 빔 (50) 들과 직각으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또한, 각각의 지지빔 (52) 의 양 끝단부가 휘다부 (5) 의 측면판 (10) 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견고한 구성하에서 휘다부 (5) 내부의 H 빔들 (52) 위로 무거운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더라도 H 빔들 (50) 이 이탈됨이 없이 잘 지지된다.
또한, 도 11 에서 왼쪽 첫번째와 두번째의 각각의 지지빔들 (52) 에 건설폐기물 중 쓰레기 등의 걸림은 기 설명된 바와 같이, 덮개판 (30, 34) 과 보조판 (30b, 34b) 의 구성에 의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판 (30b, 34b) 이 덮개판 (30, 34) 과 아래쪽으로 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모 (72)가 난 돌덩이 (70) 등이 휘다부 (5) 내부에 투입된 경우에도 쉽게 덮개판 (30, 34) 위를 지나 진동하면서 이동이 가능하다.
실제로 H 빔 (50) 에 대하여 보조판 (30b, 34b) 의 기울기를 여러 각도로 조 절하여 실험을 한 결과, H 빔 (50) 과 보조판 (30b, 34b) 이 이루는 각도가 20 내지 40도 일 경우, 무거운 돌덩이 (70) 등의 덮개판 (30, 34) 위를 지나 진동하면서 이동이 가장 잘 되었고, H 빔 (50) 과 보조판 (30b, 34b) 이 이루는 각도가 20도 미만이거나 40도 보다 큰 경우에는 돌덩이 (70) 등이 쉽게 덮개판 (30, 34) 위로 올려져 이동되지 않았다.
H 빔 (50) 과 보조판 (30b, 34b) 이 이루는 각도가 20 내지 40도내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고, 휘다부 (5) 의 진동력을 더 높인 경우도 실험을 하였는데, 이 경우에는 H 빔들 (50) 위를 진동하면서 이동하던 돌덩이 (70) 등이 보조판 (30b, 34b) 에 걸려서 잠시 이동을 중지하고, 더 강력해진 진동력에 의해 돌덩이 (70) 가 튀어 올라서 덮개판 (30, 34) 위에 안착됨이 없이, 중간의 덮개판 (34) 과 가장자리의 덮개판 (30) 의 가운데 부분까지 꿍하는 소리와 함께 공중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휘다부 (5) 의 측면판 (10) 의 높이 이상으로 돌덩이들 (70)이 튀어올라다녀서 작업에 상당한 위험이 따르기도 하였고, 또한, 무거운 건설폐기물인 돌덩이들 (70) 중 일부가 휘다부 (5) 의 측면판 (10) 밖으로 이탈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또한, 호퍼 (100) 내부로 제대로 돌덩이 (70) 등이 투입되지 않고 호퍼 (100) 의 바깥까지 돌덩이 (70) 가 튀어서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같이 수차례에 걸친 H 빔 (50) 과 보조판 (30b, 34b) 이 이루는 각도의 실험결과는 그 이루는 각도가 H 빔 (50) 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20 내지 40도 일 때 돌덩이 (70) 등이 휘다부 (5) 의 진동에 의해 호퍼 (100) 쪽으로 이동할 때, 보조 판 (30b, 34b) 에 걸려서 이동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없고, 또한, 휘다부 (5) 가 더 강력한 진동으로 구동할때, 보조판 (30b, 34b) 에 돌덩이의 모난부분 (72) 이 걸리고 강한 진동에 의해 휘다부 (5) 의 H 빔들 (50) 위로 튀거나 휘다부 (5) 의 측판 (10) 을 벗어나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호퍼 (100)의 내부로 잘 투입이 되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H 빔 (50) 과 보조판 (30b, 34b) 의 기울어진 정도가 H 빔 (50) 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25도 내지 35도의 각도 사이에서 휘다부 (5) 의 구동 진동의 세기에 상관없이 돌덩이들 (70) 이 H 빔들 (50) 위에서 2개의 덮개판들 (30, 34) 을 부드럽게 통과하여 호퍼 (100) 속으로 투입이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부 (5) 는, 휘다부 (5) 에 다수개의 H 빔을 설치하여 각각의 H 빔들의 간격보다 크기가 큰 건설폐기물과 각각의 H 빔들의 간격보다 크기가 작은 건설폐기물들을 크락샤에서 1차 파쇄공정을 진행하기 전에 분리하여, 종래의 건설폐기물의 처리공정을 단순화하였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건설폐기물의 처리비용과 시간을 줄이는 현저한 효과를 가져왔다.
종래의 경우에는 건설폐기물을 현장에서 운반해 온 후, 건설폐기물에 대한 분리작업 없이 그대로 크락샤에서 1차 파쇄과정을 진행시켰다. 종래와 같이 재활용되기 어려운 쓰레기들까지 크락샤에 투입하여 파쇄공정을 진행하면, 크락샤에서 파쇄된 건설폐기물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건설폐기물을 선별하는 것이 더 힘들었고, 공정 수율도 낮았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크락샤에 의한 건설폐기물의 1 차 파쇄공정전에 재활용이 힘든 쓰레기들을 미리 선별 분리할 수 있어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고, 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이로 인하여 건설폐기물의 처리에 있어서 전체적인 수율이 급격하게 향상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11)

  1. 삭제
  2. 편심축의 작동에 의해서 복수개의 스프링시트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진동작동이 이루어지며 휘다부 (5) 내로 투입된 건설폐기물들이 진동분리 및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로서,
    상기 휘다는 내부에 모터가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게 하는 구동부 (40) 와, 상기 구동부 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투입된 건설폐기물이 좌우측 중 어느 한 방향에 힘이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건설폐기물이 배출되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건설물폐기물이 투입되도록 위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상자모양의 휘다부 (5) 로 구성되고
    상기 휘다부 (5) 안쪽의 중간 높이 지점에 다수개의 철근 빔들 (50) 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휘다부 (5)의 측면판 (10) 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건설폐기물이 휘다부 (5)내부에 투입되면 상기 철근빔들 (50) 의 간격보다 큰 건설폐기물은 상기 철근빔들 (50) 의 위에서 진동하면서 이송되고, 상기 철근빔들 (50) 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폐기물들은 휘다부 (5)의 바닥에 떨어져서 진동하면서 이송되고,
    상기 휘다부 (5) 내에 설치된 각각의 철근빔들 (50) 의 간격은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부분에서 건설폐기물이 배출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더 좁아지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3. 편심축의 작동에 의해서 복수개의 스프링시트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진동작동이 이루어지며 휘다부 (5) 내로 투입된 건설폐기물들이 진동분리 및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로서,
    상기 휘다는 내부에 모터가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게 하는 구동부 (40) 와, 상기 구동부 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투입된 건설폐기물이 좌우측 중 어느 한 방향에 힘이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건설폐기물이 배출되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건설물폐기물이 투입되도록 위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상자모양의 휘다부 (5) 로 구성되고
    상기 휘다부 (5) 안쪽의 중간 높이 지점에 다수개의 철근 빔들 (50) 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휘다부 (5)의 측면판 (10) 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건설폐기물이 휘다부 (5)내부에 투입되면 상기 철근빔들 (50) 의 간격보다 큰 건설폐기물은 상기 철근빔들 (50) 의 위에서 진동하면서 이송되고, 상기 철근빔들 (50) 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폐기물들은 휘다부 (5)의 바닥에 떨어져서 진동하면서 이송되고,
    상기 철근빔들 (50) 은 상기 휘다부 (5)의 전체길이보다 일정한 길이만큼 동일한 길이로 더 길고, 상기 휘다부 (5)의 전체길이를 초과되는 철근빔들상에 상기 건설폐기물이 배출하는 부분의 휘다부 (5)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덮개판 (30)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4. 편심축의 작동에 의해서 복수개의 스프링시트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진동작동이 이루어지며 휘다부 (5) 내로 투입된 건설폐기물들이 진동분리 및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로서,
    상기 휘다는 내부에 모터가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게 하는 구동부 (40) 와, 상기 구동부 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투입된 건설폐기물이 좌우측 중 어느 한 방향에 힘이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건설폐기물이 배출되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건설물폐기물이 투입되도록 위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상자모양의 휘다부 (5) 로 구성되고
    상기 휘다부 (5) 안쪽의 중간 높이 지점에 다수개의 철근 빔들 (50) 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휘다부 (5)의 측면판 (10) 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건설폐기물이 휘다부 (5)내부에 투입되면 상기 철근빔들 (50) 의 간격보다 큰 건설폐기물은 상기 철근빔들 (50) 의 위에서 진동하면서 이송되고, 상기 철근빔들 (50) 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폐기물들은 휘다부 (5)의 바닥에 떨어져서 진동하면서 이송되고,
    상기 각각의 철근빔들은 10 cm 내지 20 cm 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 (30) 의 좌우측 모서리상에 상기 휘다부 (5) 의 측면판 (10) 과 연결되도록 측면보조판 (20) 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폐기물이 상기 철근빔들 (50) 상에서 진동이동하면서 상기 덮개판 (30) 으로 진입하는 부분에 상기 덮개판 (30) 에 연장되게 보조판 (30b) 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판 (30b) 은 아래 방향으로 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구부려져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 (30b) 은 상기 덮개판 (30) 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20 도 내지 40도 사이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8. 편심축의 작동에 의해서 복수개의 스프링시트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진동작동이 이루어지며 휘다부 (5) 내로 투입된 건설폐기물들이 진동분리 및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로서,
    상기 휘다는 내부에 모터가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게 하는 구동부 (40) 와, 상기 구동부 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투입된 건설폐기물이 좌우측 중 어느 한 방향에 힘이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건설폐기물이 배출되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건설물폐기물이 투입되도록 위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상자모양의 휘다부 (5) 로 구성되고
    상기 휘다부 (5) 안쪽의 중간 높이 지점에 다수개의 철근 빔들 (50) 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휘다부 (5)의 측면판 (10) 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건설폐기물이 휘다부 (5)내부에 투입되면 상기 철근빔들 (50) 의 간격보다 큰 건설폐기물은 상기 철근빔들 (50) 의 위에서 진동하면서 이송되고, 상기 철근빔들 (50) 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폐기물들은 휘다부 (5)의 바닥에 떨어져서 진동하면서 이송되고,
    상기 휘다부 (5) 의 중간부분에 상기 철근빔들 (50) 밑부분과 직교되도록 상기 휘다부의 측면판 (10) 까지 연장된 보조빔 (20) 이 상기 각각의 철근빔들 (50) 의 밑면과 상기 측면판 (10) 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빔 (20) 이 설치된 동일위치의 상기 철근빔들 위에 상기 측면판 (10) 까지 연장된 덮개판 (34) 이 상기 철근빔들 (50) 과 상기 측면판 (1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폐기물이 상기 철근빔들 (50) 상에서 진동이동하면서 상기 덮개판 (34) 으로 진입하는 부분에 상기 덮개판 (34) 에 연장되게 보조판 (34b) 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판 (34b) 은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 (34b) 은 상기 덮개판 (34) 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20 도 내지 40도 사이의 각도로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빔의 절단측면은 위부분이 역삼각형이고 아래부분이 삼각형의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KR1020060014901A 2005-07-12 2006-02-16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KR100730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833 2005-07-12
KR20050062833 2005-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376A KR20070008376A (ko) 2007-01-17
KR100730877B1 true KR100730877B1 (ko) 2007-06-20

Family

ID=3801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901A KR100730877B1 (ko) 2005-07-12 2006-02-16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313B1 (ko) * 2018-09-06 2019-01-04 김상수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용 골재의 처리장치
KR101935315B1 (ko) * 2018-09-06 2019-04-03 김상수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용 골재의 편심형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6609A (zh) * 2017-10-31 2018-01-26 安徽宏实光机电高科有限公司 一种色选机盖板的调节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91A (ko) * 2000-10-07 2001-01-05 박범수 등록메세지 사후 전송 시스템
KR20030000009A (ko) * 2001-06-22 2003-01-03 김기영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0243A (ko) * 2002-06-24 2004-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3개 시트열을 구비한 차량의 2열시트 센터석 시트벨트지지장치
KR100518918B1 (ko) * 2005-02-22 2005-10-05 유한회사 해동환경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522785B1 (ko) * 2004-11-26 2005-10-19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가열수단이 구비된 건설폐기물 처리용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91A (ko) * 2000-10-07 2001-01-05 박범수 등록메세지 사후 전송 시스템
KR20030000009A (ko) * 2001-06-22 2003-01-03 김기영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0243A (ko) * 2002-06-24 2004-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3개 시트열을 구비한 차량의 2열시트 센터석 시트벨트지지장치
KR100522785B1 (ko) * 2004-11-26 2005-10-19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가열수단이 구비된 건설폐기물 처리용 컨베이어
KR100518918B1 (ko) * 2005-02-22 2005-10-05 유한회사 해동환경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313B1 (ko) * 2018-09-06 2019-01-04 김상수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용 골재의 처리장치
KR101935315B1 (ko) * 2018-09-06 2019-04-03 김상수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용 골재의 편심형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376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0780B2 (ja) がれき類処理装置
JP6109068B2 (ja) 分離デバイス
US5322170A (en) Waste material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782330B1 (ko) 합성진동 기능을 갖는 폐토사 선별용 스크린
KR102164244B1 (ko) 원석의 선택적 파쇄와 필터링이 가능한 크러싱 시스템
KR200424354Y1 (ko) 진동과 상하완충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분급 이송 장치
KR100734519B1 (ko)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
JP6814026B2 (ja) 選別装置
JP2012206015A (ja) 破砕機
JP2007000814A (ja) 分別装置
KR100730877B1 (ko)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KR101434571B1 (ko)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KR101786946B1 (ko) 건설오니의 파쇄 및 마쇄 스크린 장치
KR100808548B1 (ko)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KR100358899B1 (ko) 폐콘크리트 골재화장치
KR100698024B1 (ko) 진동과 상하완충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분급 이송 방법
JPH11197534A (ja) 自走式破砕機
JP7086498B2 (ja) 廃棄物を用いた燃料の製造方法及び製造プラント
KR100971723B1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KR200424363Y1 (ko) 건설폐기물용 선별기
KR200194531Y1 (ko) 폐기물의 현장처리 장치
KR100574882B1 (ko) 자유 상하완충 및 좌우회전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뭉침 방지 방법
KR0152297B1 (ko) 건축 폐기물의 선별 분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518918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489506B1 (ko) 폐기물선별시스템을 구성하는 분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