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850Y1 - 소형엔진 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소형엔진 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850Y1
KR200423850Y1 KR2020060012300U KR20060012300U KR200423850Y1 KR 200423850 Y1 KR200423850 Y1 KR 200423850Y1 KR 2020060012300 U KR2020060012300 U KR 2020060012300U KR 20060012300 U KR20060012300 U KR 20060012300U KR 200423850 Y1 KR200423850 Y1 KR 200423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housing
spring
ree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화
Original Assignee
김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화 filed Critical 김현화
Priority to KR2020060012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8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8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00Starting apparatus having hand cr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00Starting apparatus having hand cranks
    • F02N1/02Starting apparatus having hand cranks having safety means preventing damage caused by reverse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초기, 엔진톱, 비료살포기, 잔디깍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엔진의 시동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동장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시동 끈을 조립함에 있어서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중심축을 분리하였고, 탄성력을 축적하기 위한 탄성래칫을 덮개와 일체로 함과 동시에 3개의 래칫을 구성하여 보다 완벽한 동작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시동끈(20)을 인출하기위한 끈인출공(11)이 형성되며 엔진(90)에 장착하도록 구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설치 되어서 끝단에 손잡이(25)를 결속한 시동끈(20)이 하우징(10)의 끈인출공(11)을 통하여 들어와서 결속되고 감겨진 시동끈(20)이 풀렸다가 다시 원위치로 감기도록 릴스프링(35)의 외부 끝단에 탄지 하며 중심부에 클러치수납공(31)을 형성한 릴(30)과, 상기 릴(30)의 클러치수납공(31)에 스프링(45)에 탄지 되어서 출몰하도록 결합되는 일 방향동력전달 클러치(40)와, 상기 일 방향동력전달 클러치(40)에 외부면에 형성한 톱니형 걸림돌기(52)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태엽수납실(51)을 형성한 드럼(50)과, 상기 드럼(50)의 내부에 수납되어 외측 끝단이 드럼(50)에 고정되고 내부 끝단에는 결합부(61)를 형성한 동력축적용 태엽(60)과, 상기 동력축적용 태엽(60)의 내측 끝단의 결합부(61)에 결합되는 결합홈(71)을 형성하고 반대측에는 걸림돌기(72)를 형성하여 태엽(60)에 축적된 회전동력을 엔진(90)의 회전축(91)에 축착된 회전자(92)에 전달하는 커플링(70)으로 구성되어 시동끈(20)을 당겨서 태엽(60)을 감아 축적한 힘이 태엽(60)이 풀리면서 엔진(90)의 회전축(91)을 구동하여 시동을 걸도록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중심부에 축공(110)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릴스프링결합부(101)를 형성하며 그 끝단에 커플링축(102)을 형성한 별도의 조정축(100)을 구성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축공(110)에 릴스프링(35)의 내부끝단이 상기 릴스프링결합부(101)에 결합되게 조정축(100)을 결합하여 조정축(100)의 회동으로 릴스프링(35)의 텐션을 조정하여 세트스크류(105)로 하우징(10)에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드럼(50)을 역회전하지 못하고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속하여 태엽(60)의 감김이 풀어지지 못하도록 하여서 태엽(60)에 축적된 힘이 엔진(90)을 시동하는 것에 다 쓰이도록 구성함에 있어서는 상기 드럼(50)의 입구 주연에 래칫홈(150)을 형성하고 탄성래칫(121)을 일체로 형성한 드럼(50)의 입구를 막아주는 덮개(120)를 하우징(10)에 고정하여 상기 탄성래칫(121)이 드럼(50)의 래칫홈(150)에 결합되어 드럼(50)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여 시동 장치의 외경을 알맞게 함은 물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원가를 줄이고 고장발생률을 최소화 하는 등 생산 작업이 용이하고 사용에 편리함을 부여함으로서 예초기, 엔진톱, 비료살포기, 잔디깍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엔진의 시동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하기위한 시동장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시동 끈을 조립함에 있어서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한 신규하고도 유용한 고안이다.
하우징, 시동끈, 릴, 릴스프링, 클러치, 드럼, 태엽, 커플링, 엔진, 회전자, 조정축, 릴스프링결합부, 커플링축, 세트스크류, 축공, 덮개, 탄성래칫, 래칫홈.

Description

소형엔진 시동장치{Small size engine starting device}
도 1은 종래 시동장치의 구성상태 예시도.
도 2는 종래 시동장치의 다른 구성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상태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상태 배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장착상태 예시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끈인출공.
20: 시동끈. 25: 손잡이.
30: 릴. 31: 클러치수납공. 35: 릴스프링.
40: 클러치. 45: 스프링.
50: 드럼. 51: 태엽수납실. 52: 걸림돌기.
60: 태엽. 61: 결합부.
70: 커플링. 71: 결합홈. 72: 걸림돌기.
90: 엔진. 91: 회전축. 92: 회전자.
100: 조정축. 101: 릴스프링결합부. 102: 커플링축.
105: 세트스크류.
110: 축공. 120: 덮개. 121: 탄성래칫.
150: 래칫홈.
본 고안은 예초기, 엔진톱, 비료살포기, 잔디깍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엔진의 시동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동장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시동 끈을 조립함에 있어서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중심축을 분리하였고, 탄성력을 축적하기 위한 탄성래칫을 덮개와 일체로 함과 동시에 3개의 래칫을 구성하여 보다 완벽한 동작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고 인류문명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의 생활이 윤택해지고 보다 쾌적한 생활을 추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간은 보다 편안한 생활을 누리기 위하여 생활에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생활도구를 보다 편리하게 발전시켜왔다.
여기에 발맞추어 농촌에서는 필수적으로 하여야하는 풀베기 작업을 과거 낫으로 하던 것을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개선한 엔진의 구동으로 칼날이 회전하면서 풀을 베는 예초기를 개발하였고, 벌목을 하기 위한 톱을 엔진으로 구동하여 보다 쉽게 나무를 자르도록 하였으며, 비료를 살포하는 비료 살포기를 소형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살포하는 등 점차 소형 엔진을 이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엔진은 가볍고 소형이어야 하므로 대부분이 2사이클 엔진으로서 엔진을 시동하는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엔진의 시동을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엔진의 시동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도1과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엽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작은 힘을 태엽에 저장하였다가 일정한 힘이 축적되면 태엽이 탄발하면서 엔진의 피스톤을 순간적으로 가속하여 엔진의 시동이 걸리도록 한 엔진시동장치가 개발되었다.
여기서 도1의 시동장치는 사용자가 시동끈을 당겨서 시동할 때 태엽에 축적된 힘이 엔진을 돌리는데 소진되어 엔진의 시동이 이루어질 때 까지 시동끈을 당기고 있어야 하는 구성이고 여기서 개량 발전된 도2는 사용자가 일단 시동 끈을 당기기만하면 태엽에 축적된 힘은 해제되지 않기에 사용자가 시동끈을 놓아도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지금까지의 엔진시동장치는, 태엽을 압축시키는 기본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시동끈을 릴에 감아서 시동 후 다음 동작을 위하여 자동으로 말려 들어가도록 하였는바, 이때 릴을 원상태로 돌려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릴스프링이 약간의 텐션을 갖도록 하여 시동끈을 릴에 묶어 주어야만 하는데 이 작업을 잘못하면 시동끈이 시동 후 완벽한 복귀를 못하고 외부로 노출되어 덜렁거리는 것은 물론, 다음 동작에 그만큼 불리해지고, 만약 시동 끈을 너무 타이트하게 묶어주면 시동에 많은 힘을 요구하여 시동장치로서의 원래의 기능을 상쇄시키는 원인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지금까지 엔진시동장 치를 제작함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이 시동 끈을 적당한 텐션을 갖도록 조립하는 것이었으며, 이로 인한 작업의 지연과 불량의 발생으로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품질의 가치를 하락시키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도2에 도시된 시동장치와 같이 사용자가 시동 끈을 잡아당겨서 태엽에 힘을 저장하였을 때 태엽에 저장된 힘이 해제되지 않고 전부가 시동에 소요되도록 하기 위한 스톱파로 외부케이스에 별도의 래칫을 설치하고 그 래칫이 태엽이 수납되는 드럼을 잡아주도록 드럼의 외주 면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필수적으로 시동 장치의 외경이 커지고 별도의 래칫과 이를 지지하는 텐션스프링과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드럼덮개를 구성하여야 하는 등 복잡한 구성으로 제작원가가 상승함은 물론, 복잡한 구성에 따른 고장발생이 많아 실사용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시동끈을 설치하는 하우징의 중심샤프트를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릴스프링의 텐션을 자유로이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동 끈의 텐션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등 조립의 용이함과 시동장치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함에 그 첫째의 목적이 있다고 할 것이며, 태엽에 축적된 동력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래칫을 드럼의 덮개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시동 장치의 외경을 알맞게 함은 물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원가를 줄이고 고장발생률을 최소화하는 등 생산 작업이 용이하고 사용에 편리함을 부여하고자 함이 그 두 번째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도3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동끈(20)을 인출하기 위한 끈인출공(11)이 형성되며 엔진(90)에 장착하도록 구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설치 되어서 끝단에 손잡이(25)를 결속한 시동끈(20)이 하우징(10)의 끈인출공(11)을 통하여 들어와서 결속되고 감겨진 시동끈(20)이 풀렸다가 다시 원위치로 감기도록 릴스프링(35)의 외부 끝단에 탄지하며 중심부에 클러치수납공(31)을 형성한 릴(30)과, 상기 릴(30)의 클러치수납공(31)에 스프링(45)에 탄지 되어서 출몰하도록 결합되는 일 방향동력전달 클러치(40)와, 상기 일 방향동력전달 클러치(40)에 외부면에 형성한 톱니형 걸림돌기(52)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태엽수납실(51)을 형성한 드럼(50)과, 상기 드럼(50)의 내부에 수납되어 외측 끝단이 드럼(50)에 고정되고 내부 끝단에는 결합부(61)를 형성한 동력축적용 태엽(60)과, 상기 동력축적용 태엽(60)의 내측 끝단의 결합부(61)에 결합되는 결합홈(71)을 형성하고 반대측에는 걸림돌기(72)를 형성하여 태엽(60)에 축적된 회전동력을 엔진(90)의 회전축(91)에 축착된 회전자(92)에 전달하는 커플링(70)으로 구성되어 시동끈(20)을 당겨서 태엽(60)을 감아 축적한 힘이 태엽(60)이 풀리면서 엔진(90)의 회전축(91)을 구동하여 시동을 걸도록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중심부에 축공(110)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릴스프링결합부(101)를 형성하며 그 끝단에 커플링축(102)을 형성한 별도의 조정축(100)을 구성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축공(110)에 릴스프링(35)의 내부끝단이 상기 릴스프링결 합부(101)에 결합되게 조정축(100)을 결합하여 조정축(100)의 회동으로 릴스프링(35)의 텐션을 조정하여 세트스크류(105)로 하우징(10)에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드럼(50)을 역회전하지 못하고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속하여 태엽(60)의 감김이 풀어지지 못하도록 하여서 태엽(60)에 축적된 힘이 엔진(90)을 시동하는 것에 다 쓰이도록 구성함에 있어서는 상기 드럼(50)의 입구 주연에 래칫홈(150)을 형성하고 탄성래칫(121)을 일체로 형성한 드럼(50)의 입구를 막아주는 덮개(120)를 하우징(10)에 고정하여 상기 탄성래칫(121)이 드럼(50)의 래칫홈(150)에 결합되어 드럼(50)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시동끈(20)을 인출하기위한 끈인출공(11)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축공(110)을 형성하여 엔진(90)에 장착하도록 구성한 하우징(10)의 내부 가장 안쪽에, 끝단에 시동손잡이(25)를 결속한 시동끈(20)이 하우징(10)의 끈인출공(11)을 통과하여 결속되고 감겨진 시동끈(20)이 풀렸다가 다시 원위치로 감기도록 릴스프링(35)의 끝단에 탄지 하도록 릴(30)을 설치하고 상기 릴(30)의 중심부에 형성한 클러치수납공(31)에 스프링(45)에 탄지 되어 출몰하도록 결합되는 일 방향동력전달 클러치(40)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외측 끝단이 드럼(50)과 일체로 고정되도록 태엽수납실(51)에 태엽(60)을 설치한 드럼(50)을 상기 클러치(40)와 결합하도록 설치하여서 상기 드럼(50)의 입구를 막아주는 덮개(120)를 하우징(10)에 결합하여 덮개(120)와 일체로 형성된 탄성래칫(121)이 드럼(50)의 입구 주연에 형성된 래칫홈(150)에 결합되어 드럼(50)이 역회전 하지 못하도록 구성하고, 외주면에 릴스프링결합부(101)를 형성하며 그 끝단에 커플링축(102)을 형성한 별도의 조정축(100)을 상기 하우징(10)의 축공(110)에 결합하되, 이때 릴스프링(35)의 내부끝단이 상기 릴스프링결합부(101)에 결합되게 하여 조정축(100)의 회동으로 릴스프링(35)의 텐션을 조정한 다음, 상기 조정축(100)을 세트스크류(105)로 고정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조정축(100)의 끝단에 형성된 커플링축(102)에 커플링(70)을 결합하여 커플링(70)의 결합홈(71)에 태엽(60)의 내단부에 형성한 결합부(61)가 결합 되도록 하면 본 고안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본 고안을 엔진에 장착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커플링(70)이 엔진(90)의 회전축(91)에 결합된 회전자(92)에 동력을 전달하여 돌려주도록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엔진(90)에 장착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시동끈(20)의 끝단에 연결된 손잡이(25)를 당기면 릴(30)이 회전하면서 릴스프링(35)을 압축함과 동시에 릴(30)과 클러치(40)로 연결된 드럼(50)을 돌려서 태엽(60)을 감아서 힘을 축적한다.
이와 같이 태엽(60)이 감기면 드럼(50)은 덮개(120)에 형성된 탄성래칫(121)이 래칫홈(150)에 걸려서 풀려지지 않게 되고 태엽(60)에 저장된 힘은 순전히 커플링(70)을 돌려주는 데로만 전달되어서 커플링(70)을 돌려주면 커플링(70)과 연결되고 엔진(90)의 회전축(91)에 결합된 회전자(92)가 회동하면서 엔진(90)을 시동을 하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은 시동끈을 설치하는 하우징의 중심샤프트를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릴스프링의 텐션을 자유로이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동 끈의 텐션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등 조립의 용이함과 시동장치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였고, 태엽에 축적된 동력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래칫을 드럼의 덮개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시동 장치의 외경을 알맞게 함은 물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원가를 줄이고 고장발생률을 최소화 하는 등 생산 작업이 용이하고 사용에 편리함을 부여함으로써 예초기, 엔진톱, 비료살포기, 잔디깍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엔진의 시동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동장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시동 끈을 조립함에 있어서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한 신규하고도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시동끈(20)을 인출하기위한 끈인출공(11)이 형성되며 엔진(90)에 장착하도록 구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설치 되어서 끝단에 손잡이(25)를 결속한 시동끈(20)이 하우징(10)의 끈인출공(11)을 통하여 들어와서 결속되고 감겨진 시동끈(20)이 풀렸다가 다시 원위치로 감기도록 릴스프링(35)의 외부 끝단에 탄지 하며 중심부에 클러치수납공(31)을 형성한 릴(30)과, 상기 릴(30)의 클러치수납공(31)에 스프링(45)에 탄지 되어서 출몰하도록 결합되는 일 방향동력전달 클러치(40)와, 상기 일 방향동력전달 클러치(40)에 외부면에 형성한 톱니형 걸림돌기(52)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태엽수납실(51)을 형성한 드럼(50)과, 상기 드럼(50)의 내부에 수납되어 외측 끝단이 드럼(50)에 고정되고 내부 끝단에는 결합부(61)를 형성한 동력축적용 태엽(60)과, 상기 동력축적용 태엽(60)의 내측 끝단의 결합부(61)에 결합되는 결합홈(71)을 형성하고 반대측에는 걸림돌기(72)를 형성하여 태엽(60)에 축적된 회전동력을 엔진(90)의 회전축(91)에 축착된 회전자(92)에 전달하는 커플링(70)으로 구성되어 시동끈(20)을 당겨서 태엽(60)을 감아 축적한 힘이 태엽(60)이 풀리면서 엔진(90)의 회전축(91)을 구동하여 시동을 걸도록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중심부에 축공(110)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릴스프링결합부(101)를 형성하며 그 끝단에 커플링축(102)을 형성한 별도의 조정축(100)을 구성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축공(110)에 릴스프링(35)의 내부끝단이 상기 릴스프링결 합부(101)에 결합되게 조정축(100)을 결합하여 조정축(100)의 회동으로 릴스프링(35)의 텐션을 조정하여 세트스크류(105)로 하우징(10)에 고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엔진 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드럼(50)을 역회전하지 못하고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속하여 태엽(60)의 감김이 풀어지지 못하도록 하여서 태엽(60)에 축적된 힘이 엔진(90)을 시동하는 것에 다 쓰이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드럼(50)의 입구 주연에 래칫홈(150)을 형성하고 탄성래칫(121)을 일체로 형성한 드럼(50)의 입구를 막아주는 덮개(120)를 하우징(10)에 고정하여 상기 탄성래칫(121)이 드럼(50)의 래칫홈(150)에 결합되어 드럼(50)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엔진 시동장치.
KR2020060012300U 2006-05-09 2006-05-09 소형엔진 시동장치 KR200423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300U KR200423850Y1 (ko) 2006-05-09 2006-05-09 소형엔진 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300U KR200423850Y1 (ko) 2006-05-09 2006-05-09 소형엔진 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850Y1 true KR200423850Y1 (ko) 2006-08-11

Family

ID=4177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300U KR200423850Y1 (ko) 2006-05-09 2006-05-09 소형엔진 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8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425B1 (ko) * 2008-04-21 2009-12-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엔진용 시동장치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425B1 (ko) * 2008-04-21 2009-12-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엔진용 시동장치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2863B2 (en) Spring release starter
US7201130B2 (en) Recoil starter
US6679217B2 (en) Starter
US4019490A (en) Pull-rope recoil starter
US6758181B2 (en) Starter
JP4995563B2 (ja)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US20090255502A1 (en) Starter System for Engine
KR20040019983A (ko) 리코일 스타터
WO2006085473A1 (ja) エンジン始動装置とエンジンとの間の動力伝達機構
JP2501583B2 (ja) リコイル装置
KR200423850Y1 (ko) 소형엔진 시동장치
CN101189427B (zh) 发动机起动装置
KR200434661Y1 (ko) 스프링복원력을 이용한 소형엔진 시동장치
US6694941B2 (en) Starter
EP2053236B1 (en) Recoil starter
JP4098537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3239831A (ja) 蓄力式スタータ装置
JP3892771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4096292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3865299B2 (ja) 内燃機関始動用のリコイルスタータ
JP4009137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519295B2 (ja) 内燃機関始動装置
JP2004084641A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3343402A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3247477A (ja) リコイルスタ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