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203Y1 -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 - Google Patents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203Y1
KR200422203Y1 KR2020060011348U KR20060011348U KR200422203Y1 KR 200422203 Y1 KR200422203 Y1 KR 200422203Y1 KR 2020060011348 U KR2020060011348 U KR 2020060011348U KR 20060011348 U KR20060011348 U KR 20060011348U KR 200422203 Y1 KR200422203 Y1 KR 200422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oymilk
soy milk
centrifugal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천
Original Assignee
(주)유티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티피전자 filed Critical (주)유티피전자
Priority to KR2020060011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2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2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Abstract

본 고안은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원심 분리통 및 두유 수납통 덮개가 두유 수납통과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단백질 즙과 비지를 분리하는 작업이 간편하도록 할 수 있는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는, 두유를 수용할 수 있는 두유 수납통과, 상기 두유 수납통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두유 수납통을 가열하는 가열부재와, 상기 두유 수납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소정 속도로 회전하여 콩 등을 절단할 수 있는 칼날을 포함하는 두유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두유 수납통의 내부에 위치하여, 측면에는 다수개의 걸름망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콩 등의 재료 및 상기 칼날을 내부에 수용하는 원심 분리통의 구조로서, 상기 원심 분리통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중심부를 따라 소정 폭의 빈 공간이 형성되며, 소정 각도 만곡된 만곡부를 구비하는 분리통 손잡이가 더 구비되어, 원심 분리통이 두유 수납통과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CENTRIFUGAL SEPARATOR STRUCTURE OF SOYMILK MAKER}
도 1은 종래의 두유 제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두유 제조기에서 두유 수납통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두유 제조기의 두유 수납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두유 제조기의 두유 수납통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두유 제조기의 분리통 손잡이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캡 1a : 스위치
1b : 상부캡 지지판 1c : 고정부
2 : 하층부 2a : 가열부재
3 : 홀더 10 : 원심 분리통
12 : 분리통 손잡이 12a : 빈 공간
12b : 만곡부 14 : 걸이부재
16 : 걸름망 17 : 개구부
20 : 두유 수납통 덮개 21 : 고정홈
22 : 손잡이 홈 24 : 관통공
26 : 동력전달부재 30 : 회전축
35 : 칼날 40 : 두유 수납통
42 : 수납통 손잡이 44 : 개구부
46 : 상부 모서리
본 고안은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원심 분리통 및 두유 수납통 덮개가 두유 수납통과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단백질 즙과 비지를 분리하는 작업이 간편하도록 할 수 있는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유 및 두부를 제조하는 재래식 방법은 다음과 같다. 깨끗이 세척된 콩을 일정시간 불린 후, 불린 콩을 맷돌 등을 이용하여 분쇄시키고, 이를 여과기구로 여과하여 비지와 단백질 즙으로 분리한 후 단백질 즙을 별도의 용기에 담아 가열한다. 이와 같이 단백질 즙이 가열되는 도중에 설탕이나 소금 등의 첨가물을 넣어 잘 저어주게 되면 두유가 만들어지고, 응고제를 첨가하여 잘 저어준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응고 상태의 순두부가 만들어지며, 이 순두부를 별도의 성형기구에 투입한 후 압착시키면 일반 두부가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에 주로 시행되었던 두유 및 두부의 재래식 제조공정에 따르면, 콩을 불리고 분쇄한 후 가열시키는 과정이 각각의 기구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되므로, 작업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제조될 두유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고, 단백질 즙을 각 기구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청결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 2005-0023676, 한국 공개특허 10-2005-0032271 및 등록실용신안 제339443호 등에 기재된 두유 제조기 관련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도 1 및 도 2는 등록실용신안 제339443호에 따르는 종래의 두유 제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들을 참고하여, 이러한 종래의 두유 제조기의 구조 및 원리를 간단히 살펴보면, 우선 가열판(2a)으로부터 가해진 열에 의하여두유 수납통(140)에 수납된 콩과 물 등이 가열된다. 그리고 콩이 일정 시간 불려진 후, 두유 제조기에서 상부캡(1)의 지지판(1b) 내에 일체로 내장된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이 고정부(1c) 및 구동모터 회전축(130)을 통하여칼날(135)로 전달되어, 이 칼날(135)의 회전에 의하여 두유의 재료인 콩이 분쇄된다.
그러나 도 2를 참고하면, 종래의 두유 제조기에서는 원심 분리통(110)이 맞춤부(104)에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원심 분리통(110)에 잔류한 단백질 즙을 두유 수납통(140) 내부로 흘려보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그릇 위에 원심 분리통(110)을 올려놓기도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이 때 두유 제조기 내의 온도가 약 100°C 정도의 고온이므로, 두유 수납통 덮개(120)의 온도 또한 고온이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하지 않았다. 그리고 원심 분리통(110)을 두유 수납통(14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증기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원심 분리통(110)이 맞춤부(104)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회전축(130) 및 칼날(135)의 회전에 의하여 원심 분리통(110)이 두유 수납통(140) 내에서 이탈되거나 혹은 진동 및 소음을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심 분리통에 분리통 손잡이 및 걸이부재의 구성을 부가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원심 분리통 및 두유 수납통 덮개가 두유 수납통과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단백질 즙과 비지를 분리하는 작업이 간편하도록 할 수 있는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두유를 수용할 수 있는 두유 수납통과, 상기 두유 수납통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두유 수납통을 가열하는 가열부재와, 상기 두유 수납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소정 속도로 회전하여 콩 등을 절단할 수 있는 칼날을 포함하는 두유 제조기의, 상기 두유 수납통의 내부에 위치하여, 측면에는 다수개의 걸름망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콩 등의 재료 및 상기 칼날을 내부에 수용하는 원심 분리통의 구조로서, 상기 원심 분리통의 개구부의 소정 위치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자 형상의 만곡부 를 구비하는 분리통 손잡이가 더 구비되어, 원심 분리통이 두유 수납통과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분리통 손잡이에는 중심부를 따라 소정 폭을 가지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빈 공간의 폭은, 상기 두유 수납통의 수납통 손잡이의 폭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상기 수납통 손잡이가 상기 빈 공간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심 분리통의 일측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곡된 걸이부재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단백질 즙과 비지를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원심 분리통의 측면에서 동일한 높이에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두 개 구비되어, 상기 원심 분리통이 상기 두유 수납통의 상부 모서리에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두유 수납통 상부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두유 수납통을 밀폐할 수 있으며, 일측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원주 중심 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곡된 형상의 고정홈이 구비된 두유 수납통 덮개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홈에 상기 분리통 손잡이의 만곡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두유를 수용할 수 있는 두유 수납통과, 상기 두유 수납통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두유 수납통을 가열하는 가열부재와, 상기 두유 수납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소정 속도로 회전하여 콩 등을 절단할 수 있는 칼날을 포함하는 두유 제조기의, 상기 두유 수납통의 내부에 위치하여, 측면에는 다수개의 걸름망이 구비되 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콩 등의 재료 및 상기 칼날을 내부에 수용하는 원심 분리통의 구조로서, 상기 원심 분리통의 일측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곡된 걸이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두유 제조기의 두유 수납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두유 제조기의 두유 수납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두유 제조기에는 두유 수납통(40), 원심 분리통(10), 두유 수납통 덮개(20) 및 회전축(30) 등이 포함된다.
두유 수납통(40)은 제조된 두유가 수납되는 구성으로서, 상부에 개구부(44)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용자가 두유 제조기로부터 두유 수납통(40)을 착탈시키기 용이하도록 두유 수납통(40)의 일측에는 수납통 손잡이(42)가 구비된다.
원심 분리통(10)은 두유 수납통(40)의 내부에 안착되어, 콩과 물 등 재료로부터 단백질 즙과 비지를 분리하기 위한 걸름망(16)을 측면 및 하부면에 다수 개 구비하며, 원심 분리통(10)의 하부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덮개(111)를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원심 분리통(10)의 상부에는, 회전축(30) 및 칼날(35)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17)가 구비된다.
원심 분리통(10)의 개구부(17) 일측에는 사용자가 원심 분리통(10)을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분리통 손잡이(12)가 구비된다. 상기 분리통 손잡이(12)는 원심 분리통(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며, 분리통 손잡이(12)에는 중심부를 따라 소정 폭의 빈 공간(12a)이 형성되고, 분리통 손잡이(12) 중 원심 분리통(10) 측에 인접한 부근에는 대략 '∩'자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부(12b)가 형성된다. 말하자면, 분리통 손잡이(12)는 가는 철사와 같은 부재를 양 측에 만곡부(12b)를 가지도록 휘어서 중심부에 빈 공간(12a)을 형성하면서 제조한 구성이다. 상기 빈 공간(12a)의 폭은 두유 수납통(40)에 형성된 손잡이(42)의 폭과 동일하거나 소정 길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폭의 차이는 1 내지 5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빈 공간(12a)의 폭과 손잡이(42)의 폭의 차이가 5 mm를 초과하면 원심 분리통(10)이 손잡이(42)에 안정하게 고정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폭의 차이가 1 mm 이하이면 손잡이(42)가 빈 공간(12a)에 삽입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불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만곡부(12b)의 곡률도 소정 곡률 이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빈 공간(12a)으로 두유 수납통(40)의 손잡이(42)가 삽입되어 어느 정도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심 분리통(10)의 측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곡된 걸이부재(14)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재(14) 역시 원심 분리통(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며, 그 만곡된 곡률은 두유 수납통(40)의 상부 모서리(46)를 적절하게 감쌀 수 있을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걸이부재(14)가 하나만 구비되어 있으나, 원심 분리통(10)의 측면에서 동일한 높이에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생산 가격은 다소 상승할 수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재(14)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통(10)을 두유 수납통(40)의 상부 모서리(46)에 걸어 위치시킬 때, 두 개의 걸이부재(14)가 원심 분리통(10)을 더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원심 분리통(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두유 수납통 덮개(20)와 회전축(30) 및 칼날(35)이 구비된다. 두유 수납통 덮개(20)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서, 두유 수납통(4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44)에 결합되어, 두유 수납통(40)을 밀폐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두유 수납통 덮개(20)의 상부면 중심측에는 관통공(24)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24) 내에는 클러치 등과 같이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26)가 구비된다.
동력전달부재(26)는 회전축(30)을 통하여 칼날(35)까지 서로 연결 고정되어 있고, 두유 제조기의 상부캡(1; 도 1 참조)의 내부측에 구비된 모터(미도시) 및 클러치 등과 같은 동력전달부재(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두유 수납통 덮개(20)의 일측 단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원주 중심 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곡된 형상의 두 개의 고정홈(21)이 형성된다. 상기 두 고정홈(21)이 형성된 간격은 원심 분리통(10)의 분리통 손잡이(12)의 두 만곡부(12b)의 간격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홈(21)의 폭 또한 분리통 손잡이(12)의 만곡부(12b)가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유 수납통 덮개(20)의 관통공(24) 주위에는 소정 깊이 함몰된 형상의 손잡이 홈(22) 두 개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홈(22)에 손가락을 넣어 집음으로써, 두유 수납통 덮개(20)를 두유 수납통(40)으로부터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두유 제조기의 분리통 손잡이 및 걸이부재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두유 제조를 위한 원재료로서, 콩을 원심 분리통(10)의 내부에 공급하고, 물과 설탕이나 소금 등의 첨가물은 두유 수납통(40) 내부에 공급한다. 그 다음으로 우선 두유 수납통(40) 내부에 원심 분리통(10)을 위치시키되, 분리통 손잡이(12)의 빈 공간(12a)으로 두유 수납통(40)의 수납통 손잡이(42)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두유 수납통 덮개(20)를 두유 수납통(40)의 개구부(44)에 결합시키며, 동시에 원심 분리통(10)의 분리통 손잡이(12)의 만곡부(12b)가 두유 수납통 덮개(20)에 형성된 고정홈(21)에 삽입되록 한다. 이 때, 두유 수납통 덮개(20)에는 회전축(30) 및 칼날(35)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축(30) 및 칼날(35)은 원심 분리통(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상부캡(1; 도 1 참조) 내측에 설치된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전달부재(26)와 회전축(30)을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어 칼날(35)이 회전하고, 이 칼날(35)이 콩을 분쇄한다. 이 경우 원심 분리통(10)의 분리통 손잡이(12)에 의하여 원심 분리통(10)은 두유 수납통(40)의 수납통 손잡이(42)에 고정된 상태이고, 동시에 두유 수납통 덮개(20) 또한 그 고정홈(21)에 분리통 손잡이(12)가 삽입된 상태이므로, 서로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회전축(35)이 과도하게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원심 분리통(10) 및 두유 수납통 덮개(20)가 두유 수납통(40)에 대하여 회전하여 헛도는 현 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두유 수납통(40)과 원심 분리통(10) 및 두유 수납통 덮개(20)가 서로 고정된 상태로 회전축(30) 및 칼날(35)만이 안정된 상태로 회전하여 콩을 분쇄할 수 있다.
분쇄된 콩은 여과되면서 단백질 즙과 비지로 분리되는데, 이 때 원심 분리통(10) 내부에 잔류한 비지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두유 수납통 덮개(20)를 제거한 후 원심 분리통(10)을 두유 수납통(40)의 위로 소정 높이 든 상태로 소정 시간동안 유지하거나 별도의 그릇 위에 올려놓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때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두유 수납통(40)을 들고 있을 필요 없이, 원심 분리통(10)의 측면에 구비된 걸이부재(14)를 두유 수납통(40)의 상부 모서리(46) 위에 안착시키면, 원심 분리통(10)이 두유 수납통(40)에 대하여 소정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원심 분리통(10) 내부에 잔류한 단백질 즙은 두유 수납통(40) 내부로 흘러내리게 되고, 비지만이 남게 되어 사용자가 비지를 단백질 즙과 분리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는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원심 분리통 및 두유 수납통 덮개가 두유 수납통과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단백질 즙과 비지를 분리하는 작업이 간편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 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두유를 수용할 수 있는 두유 수납통과, 상기 두유 수납통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두유 수납통을 가열하는 가열부재와, 상기 두유 수납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소정 속도로 회전하여 콩 등을 절단할 수 있는 칼날을 포함하는 두유 제조기의, 상기 두유 수납통의 내부에 위치하여, 측면에는 다수개의 걸름망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콩 등의 재료 및 상기 칼날을 내부에 수용하는 원심 분리통의 구조로서,
    상기 원심 분리통의 개구부의 소정 위치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자 형상의 만곡부를 구비하는 분리통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 손잡이에는 중심부를 따라 소정 폭을 가지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빈 공간의 폭은, 상기 두유 수납통의 수납통 손잡이의 폭보다 1 내지 5 mm 넓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분리통의 일측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곡된 걸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원심 분리통의 측면에서 동일한 높이에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두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유 수납통 상부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두유 수납통을 밀폐할 수 있으며, 일측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원주 중심 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곡된 형상의 고정홈이 구비된 두유 수납통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
  6. 두유를 수용할 수 있는 두유 수납통과, 상기 두유 수납통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두유 수납통을 가열하는 가열부재와, 상기 두유 수납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소정 속도로 회전하여 콩 등을 절단할 수 있는 칼날을 포함하는 두유 제조기의, 상기 두유 수납통의 내부에 위치하여, 측면에는 다수개의 걸름망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콩 등의 재료 및 상기 칼날을 내부에 수용하는 원심 분리통의 구조로서,
    상기 원심 분리통의 일측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곡된 걸이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
KR2020060011348U 2006-04-27 2006-04-27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 KR200422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48U KR200422203Y1 (ko) 2006-04-27 2006-04-27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48U KR200422203Y1 (ko) 2006-04-27 2006-04-27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203Y1 true KR200422203Y1 (ko) 2006-07-25

Family

ID=4177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348U KR200422203Y1 (ko) 2006-04-27 2006-04-27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20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152A (zh) * 2015-06-05 2017-01-0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豆浆机
CN106264124A (zh) * 2015-06-05 2017-01-0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豆浆机
CN106264150A (zh) * 2015-06-05 2017-01-0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豆浆机
CN106264151A (zh) * 2015-06-05 2017-01-0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豆浆机的粉碎组件及具有其的豆浆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152A (zh) * 2015-06-05 2017-01-0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豆浆机
CN106264124A (zh) * 2015-06-05 2017-01-0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豆浆机
CN106264150A (zh) * 2015-06-05 2017-01-0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豆浆机
CN106264151A (zh) * 2015-06-05 2017-01-0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豆浆机的粉碎组件及具有其的豆浆机
CN106264151B (zh) * 2015-06-05 2019-07-26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豆浆机的粉碎组件及具有其的豆浆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0767Y1 (ko) 자동 두부제조장치
JP4378544B2 (ja) 洗浄容易な多機能豆乳機
CA2779055C (en) Single cup beverage ingredient filter basket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422203Y1 (ko) 두유 제조기의 원심 분리통 구조
WO2012172434A2 (en) Single cup beverage ingredient filter basket and method of using same
TW201311195A (zh) 豆奶製造機
JP2008245786A (ja) 電動式食材おろし器
JP2007116969A (ja) 豆乳製造器
JP4811296B2 (ja) 家庭用精米機
CN204995269U (zh) 下压式渣汁分离装置及其搅拌器与刀具模组
KR200423876Y1 (ko) 두유 제조기 구조
CN105167603A (zh) 一种多功能豆浆机
CN201640308U (zh) 一种带滤网结构的豆浆机
CN204995166U (zh) 上抛式渣汁分离装置及其搅拌器与刀具模组
JP2004105155A (ja) 家庭用豆乳・豆腐製造機
CN106539506A (zh) 下压式渣汁分离装置及其搅拌器与刀具模组
KR200376472Y1 (ko) 두유 제조기
TWI622372B (zh) 渣汁分離裝置及其攪拌器與刀具模組
JPH0632035Y2 (ja) 飲料製造機
JP4619846B2 (ja) 調理器用濾し器及び調理器
KR200339443Y1 (ko) 두유제조기
KR200163632Y1 (ko) 간이 두부 제조기(Handy bean curd maker)
CN212089151U (zh) 一种榨汁机
KR20040054964A (ko)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54392Y1 (ko) 힌지 캡 두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