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018Y1 - 전복 보양 돌솥구조 - Google Patents

전복 보양 돌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018Y1
KR200422018Y1 KR2020060006981U KR20060006981U KR200422018Y1 KR 200422018 Y1 KR200422018 Y1 KR 200422018Y1 KR 2020060006981 U KR2020060006981 U KR 2020060006981U KR 20060006981 U KR20060006981 U KR 20060006981U KR 200422018 Y1 KR200422018 Y1 KR 200422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alone
stone
rice
metal film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일영
Original Assignee
용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일영 filed Critical 용일영
Priority to KR2020060006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0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복 보양 돌솥구조에 있어서, 특히 돌솥의 내주면에 금속피막층을 형성하고 아울러 덮개에도 금속피막층을 형성하여, 전복을 통째로 밥이 끓을때 집어넣어 전복의 향이 밥에 고르게 퍼지도록 하여 영양이 높고 품질이 뛰어난 전복이 포함된 돌솥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보양 돌솥구조에 관한 것으로,
돌솥 내부로 열기를 잘 전달하기 위해, 돌솥의 내주면에 2 - 3mm 두께의 금속피막층을 형성하고, 돌솥 상부의 열기를 내부로 잘 전달하기 위해, 돌솥의 덮개의 하부 바닥면에 2 - 3mm 두께의 금속피막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며;
돌솥의 내주면과 덮개에 금속피막층을 형성하여 상기 금속피막층이 열기를 내뿜도록 함으로서 전복의 익힘이 원할히 이루어지고, 아울러 전복의 향이 밥속에 원할히 침투되도록 하여 전복향이 깃들인 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복, 돌솥, 금속피막층

Description

전복 보양 돌솥구조{A Stone Rice Pot Using Abalone}
도 1은 본 고안의 공정순서도.
도 2는 본 고안의 돌솥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돌솥
11: 돌솥 금속피막층
20: 덮개
21: 덮개 금속피막층
30: 밥층
40: 전복
본 고안은 전복 보양 돌솥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돌솥의 내주면에 금속피막층을 형성하고 아울러 덮개에도 금속피막층을 형성하여, 전복을 통째로 밥이 끓을때 집어넣어 전복의 향이 밥에 고르게 퍼지도록 하여 영양이 높고 품질이 뛰어난 전복이 포함된 돌솥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보양 돌솥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복은 수명이 약 12년으로 수온이 10 - 23℃의 열대 및 온대의 해역연안에 주로 서식하며, 얕은 바다나 암초나 작은 바위에 붙어서 서식하며 주로 부착성 규조류 따위의 해초류를 먹고 산다.
전복은 날 것을 먹으면 오돌오돌 씹는 맛을 느낄 수 있으며, 감칠맛을 느끼려면 익혀 먹으면 된다.
전복은 글루타민산(뇌에 공급되는 두 가지 영양소중 하나로 포도장과 지방을 대사 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중앙신경계로부터 암모니아를 제거하여 신장으로 운반하여 준다), 글린신 등의 성분이 있어 감칠맛과 달콤한 맛이 나며 지방질이 다른 생선보다 아주 적고 단백질이 많기 때문에 중년 이상의 건강식으로 추천되고 있다.
또한, 전복은 바위에 붙어서 갈색조류를 먹이로 하기 대문에 창자에서 해조류의 독특한 냄새가 나고 맛도 별나다. 따라서 전복의 내장은 영양성분이 풍부하고 독특한 풍미로 인해 흔히 정력제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전복에는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하여 옛부터 고급 수산물로 취급되었는데, 피부미용, 자양강장, 산후조리, 허약체질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어 식용뿐만아니라 약용을 목적으로 많이 복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개류는 피로해진 신경을 회복시키는 작용에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전복은 시신경의 피로에 뛰어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의 요리법을 살펴보면 주로 전복죽으로 많이 이용되었으며, 전복죽 을 끓여 먹으면 기운이 나며, 소변이 잘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복을 통째로 밥에 얹어서 제작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즉, 전복을 잘개 썰거나 분말 형태로 만들어서 식재료로 사용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으나 전복을 통째로 밥에 올려서 제작하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는바, 이는 전복을 곧바로 밥에 얹어서 전복밥을 제작할 경우 전복자체의 비릿한 냄새가 밥에 스며들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전복의 비릿한 냄새를 없애고 밥과의 조화가 이루어진 전복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윗면이 개방된 자연석 돌솥과, 상기 돌솥을 덮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돌솥구조에 있어서,
상기 돌솥 내부로 열기를 잘 전달하기 위해, 돌솥의 내주면에 2 - 3mm 두께의 금속피막층을 형성하고, 돌솥 상부의 열기를 내부로 잘 전달하기 위해, 돌솥의 덮개의 하부 바닥면에 2 - 3mm 두께의 금속피막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공정순서도로서,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돌솥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제작과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4단계로 이루어진다.
첫번째, 전복을 해감시키기 위한 1분간 소금물에 담근다.
두번째, 전복의 비릿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레몬즙에 30초간 담근다.
세번째, 전복의 육질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소주에 1분간 담근다.
네번째, 밥에 전복의 향이 전달되도록 밥이 끊을때 껍질을 까고 알맹이 상태의 전복을 밥에 얹고 5 내지 7분간 가열한다.
이하에서 본원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첫번째 공정 단계는 해감단계로서 본 고안은 전복을 해감시키기 위해 1분간 소금물에 불리는바, 이는 전복을 통째로 밥에 찌기 때문이며, 전복죽등을 만들때 전복살과 전복내장등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즉, 종래 전복죽 형태의 제품은 내장을 제거하고 전복살을 일정한 크기로 자른후 세척하기 때문에 소금물에 불려 해감할 필요가 없으나, 본 고안은 전복 한마리를 통째로 밥에 얹기 때문에 전복의 내장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며 따라서 살아있는 전복을 소금물에 1분 정도 담가서 전복을 해감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이 실험해본 결과 1분정도 소금물에 전복을 담가두면 전복내부의 이물질이 거의 배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더 많은 시간동안 담그게 되면 전복이 상할수 있으므로 1분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두번째 공정 단계는 냄새제거단계로서 본 고안은 전복의 비릿한 냄새를 없애기 위해 레몬즙을 이용하는바, 비릿한 냄새의 원인은 전복에 존재하는 산화트리메틸아민이 분해되어서 트릴메틸아민((CH3)3N), 혹은 피페리딘 등의 질소화합물로 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염기설 물질이며, 레몬에는 구연산(Citric acid, [HOC(CO2H)(CH2CO2H)2]라는 산성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위의 두 화합물이 중화반등에 의해 제거되어 비릿함을 없애준다.
즉, 전복을 해감만 한 상태에서 곧바로 찜형태로 제작하게 되면 생선 비릿내와 마찬가지로 전복 고유의 비릿한 냄새가 발생하며, 따라서 냄새를 제거하지 않으면 상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레몬즙의 온도는 0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담그는 시간이 30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레몬즙에 전복을 30초 정도만 담구어주면 전복자체에서 발생하는 비릿 한 냄새가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세번째 공정단계는 육질개선 단계로서, 본 고안은 전복의 육질개선을 위하여 소주를 이용하는바, 상기 소주는 육질을 부드럽게 유지시키는 특성이 있어 1분정도 전복을 소주에 담그게 되면 딱딱한 전복의 육질이 개선된다. 또한, 알콜도수가 다양한 소주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최적의 소주 알콜 도수는 25°가 이상적이다.
상기 소주는 일반 육고기를 숙성시킬 때에도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판매하는 소주를 이용하였으며, 1분 정도만 담그게 되면 전복의 육질이 부드러워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네번째 공정단계는 끊는 밥위에 껍질을 제거한 전복살을 얹고 5분 내지 7분간 더 가열한 다음 시식한다. 상기에서 끊는 밥위에 전복을 얹은 이유는 전복의 향이 밥에 빠른속도로 스며들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끊는 밥위에 전복을 올려놓으면 전복 본연의 향이 증기를 타고 밥 속으로 스며들어 전복향이 베인 밥이 만들어진다.
상기 밥은 일반쌀로만 지을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찹쌀과, 맵쌀과 검정콩과 대추와 밤과 은행과 잦과 호두와 고구마등 다양한 식품류를 적절한 비율로 첨가하면 다양한 맛을 제공함은 물론 영양이 높은 밥을 제공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쌀을 포함한 다양한 식품류를 배합하여 밥을 짓고, 밥이 끓는 시점에서 전복을 얹어 더 가열시킴으로서 전복을 익힘과 동시에 전복향이 가득 베인 밥을 생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전복의 익힘 과정에서 전복에 열기가 충분히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 돌솥(10)과 덮개(20)에 각각 금속피막층(11, 21)을 형성토록 하였는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솥(10)의 내주면에 금속피막층(11)을 형성하고 아울러 덮개(20)에도 금속 피막층(21)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피막층(11, 21)은 2 - 3mm 정도 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돌솥(10)에 열을 가하여 데워질때 금속피막층(11)이 적절하게 데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돌솥(10)에 형성한 금속피막층(11)은 열을 고루 발산하여 밥ㅊ층(30)위에 놓이는 전복(40)을 적절히 가열토록 함으로서 짧은 시간내에 전복(40)을 익히면서 동시에 전복(40)의 향이 밥층(30)속에 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덮개(20)에도 금속피막층(21)을 형성한 이유는 돌솥(10) 내부에서 발생한 열기가 덮개(20)의 금속피막층(21)을 통해 난반사되도록 하여 전복(40)의 익힘이 보다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금물을 이용하여 전복을 해감시키고 레몬즙을 이용하여 전복의 비릿한 냄새를 제거하며 소주를 이용하여 전복의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밥이 끊는 시점에서 전복을 얹어서 전복찜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아울러 전복향이 베인 영양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솥의 내주면과 덮개에 금속피막층을 형성하여 상기 금속피막층이 열기를 내뿜도록 함으로서 전복의 익힘이 원할히 이루어지고, 아울러 전복의 향이 밥속에 원할히 침투되도록 하여 전복향이 깃들인 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1)

  1. 윗면이 개방된 자연석 돌솥과, 상기 돌솥을 덮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돌솥구조에 있어서,
    상기 돌솥 내부로 열기를 잘 전달하기 위해, 돌솥의 내주면에 2 - 3mm 두께의 금속피막층을 형성하고,
    돌솥 상부의 열기를 내부로 잘 전달하기 위해, 돌솥의 덮개의 하부 바닥면에 2 - 3mm 두께의 금속피막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보양 돌솥구조.
KR2020060006981U 2006-03-15 2006-03-15 전복 보양 돌솥구조 KR200422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981U KR200422018Y1 (ko) 2006-03-15 2006-03-15 전복 보양 돌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981U KR200422018Y1 (ko) 2006-03-15 2006-03-15 전복 보양 돌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018Y1 true KR200422018Y1 (ko) 2006-07-20

Family

ID=4177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981U KR200422018Y1 (ko) 2006-03-15 2006-03-15 전복 보양 돌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0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042B1 (ko) * 2012-02-27 2014-01-29 (주)더본코리아 돌솥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042B1 (ko) * 2012-02-27 2014-01-29 (주)더본코리아 돌솥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872B1 (ko) 오징어 및 피조개를 이용한 어묵 및 영양 어묵제조방법
KR100883639B1 (ko) 닭두루치기 또는 닭도리탕용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것을이용한 닭두루치기의 조리방법
KR100687912B1 (ko) 전복 보양 돌솥밥 제조방법
KR101802181B1 (ko) 미꾸라지 튀김이 들어있는 쌈의 제조방법
KR101232471B1 (ko) 한방 오리 백숙 및 누룽지탕의 조리방법
KR101002766B1 (ko) 된장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된장소스
KR200422018Y1 (ko) 전복 보양 돌솥구조
JP7213327B2 (ja) みりん類、みりん類の製造方法、並びに、加工食品の製造方法
CN104305318A (zh) 一种泡菜风味猪肉鱼丸烹饪菜式
KR100630477B1 (ko) 부대찌개 및 그 제조방법
KR102379239B1 (ko) 솔잎을 이용한 닭가슴살 식품의 제조방법
KR101921699B1 (ko) 즉석섭취용 죽순전복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KR101585409B1 (ko) 전통 약포의 제조 방법
JP2008011749A (ja) チリメン加工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403144A (zh) 一种蓝莓肉松的制作方法
KR102355098B1 (ko) 송이버섯액이 가미된 명태순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27497B1 (ko) 족발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족발
KR102271724B1 (ko) 전복내장 젓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82885A (ko) 오리고기요리 제조방법
CN106036585A (zh) 朝天椒舒经活络膨化鱼片干及其制备方法
KR101977907B1 (ko) 민어 마리네이드를 이용한 민어구이 제조방법
KR20080103236A (ko) 간장홍게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9899A (ko) 치즈치킨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치즈치킨
KR20170012624A (ko) 굴크로켓 및 그 제조방법
CN105851939A (zh) 一种芥末风味保健墨鱼滑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