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839Y1 -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839Y1
KR200420839Y1 KR2020060010793U KR20060010793U KR200420839Y1 KR 200420839 Y1 KR200420839 Y1 KR 200420839Y1 KR 2020060010793 U KR2020060010793 U KR 2020060010793U KR 20060010793 U KR20060010793 U KR 20060010793U KR 200420839 Y1 KR200420839 Y1 KR 200420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housing
fuel pump
molds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호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0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8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8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 B30B7/02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having several platens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재질의 연료펌프 하우징을 하나의 트랜스퍼 금형장치에서 완제품이 제조됨으로써 치수가 정확하고 정밀한 하우징의 제작이 가능함과 아울러 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된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하부금형(20)(30)에 각각 펀치(101)(201)(301)(401)와 다이(102)(202)(302)(402)를 갖는 복수의 금형이 일렬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각 금형에서 성형된 제품을 다음 금형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이송수단(50)이 설치되어 상기 펀치(101)(201)(301)(401)와 다이(102)(202)(302)(402)의 사이로 공급된 강판(5)이 각 금형을 거치면서 제품으로 성형되는 트랜스퍼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상기 강판(5)을 원형으로 따냄과 동시에 원형으로 따진 강판(5)을 여러단계로 설치된 복수의 드로잉금형(110)(120)(130)(140)을 통해 연료펌프의 하우징(11) 형상으로 성형하는 드로잉금형(100)과, 상기 드로잉금형(100)을 거친 하우징(11)을 최종 치수로 조정하는 리스트라이킹 금형(200)과, 상기 리스트라이킹 금형(200)을 거친 하우징(11)의 밀폐된 상단을 관통시켜 하우징(11)의 상단에 내측으로 밴딩된 컬링부(12)를 형성하는 피어싱금형(300)과, 상기 피어싱금형(300)을 거친 하우징(11)의 하단에 잔류하는 스크랩(13)을 제거하는 트리밍금형(4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드로잉금형(100)과 리스트라이킹 금형(200) 및 피어싱금형(300)에는 각각 하부금형(30)에 상기 하우징(11)의 성형 과정에서 다이(102)(202)(302)에 끼워진 하우징(11)을 취출할 수 있도록 취출수단(500)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부금형(20)의 펀치(101)(201)(301)에는 하우징(11)의 성형시 상기 취출수단(500)의 간섭방지를 위해 취출수단(500)을 하강시키는 누름핀(510)이 설치되어, 알루미늄 재질의 연료펌프 하우징(11)을 성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랜스퍼 금형장치, 연료펌프 하우징, 드로잉금형, 리스트라이킹 금형, 피어싱금형, 트리밍금형

Description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transfer molding device for forming housing of fuel pump}
도 1은 일반적인 연료펌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퍼 금형장치를 통해 연료펌프의 하우징이 성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퍼 금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퍼 금형장치에서 하부금형을 나타태는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퍼 금형장치에서 상부금형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 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5: 강판 10: 트랜스퍼 금형장치
11: 하우징 12: 컬링부
13: 스크랩 20: 상부금형
21: 스트리퍼 30: 하부금형
50: 이송수단
100: 드로잉금형
101,201,301,401: 펀치 102,202,302,402: 다이
110: 제 1 드로잉금형 120: 제 2 드로잉금형
130: 제 3 드로잉금형 140: 제 4 드로잉금형
200: 리스트라이킹 금형 300: 피어싱금형
400: 트리밍금형 500: 취출수단
501: 승하강블럭 501a: 관통공
502: 연결부 503: 실린더
510: 누름핀 520: 유동방지핀
530: 슬리브 531: 걸림턱
532: 연결핀 540: 가이드축
본 고안은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재질의 연료펌프 하우징을 하나의 트랜스퍼 금형장치에서 완제품이 제조됨으로써 치수가 정확하고 정밀한 하우징의 제작이 가능함과 아울러 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된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에는 연료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연료탱크내의 연료 를 엔진의 분사시스템에 공급하기 위해 연료펌프가 설치된다.
도 1 은 상기 연료펌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으로써, 상기 연료펌프(1)의 외주면은 통상적으로 하우징(2)에 의해 감싸여져 있다.
상기 하우징(2)은 스틸재질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으나, 최근에는 부식이 안되고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 알루미늄 재질의 하우징(2)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의 자체 성질 때문에 금형으로의 제작이 어려워 작업자가 직접 알루미늄 파이프를 절단한 후 일단부에 컬링부(3)를 형성하여 하우징(2)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제조공정이 복잡함과 아울러 생산성이 저하되고 작업자가 직접 가공하기 때문에 치수가 부정확하여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알루미늄 재질의 연료펌프 하우징을 하나의 트랜스퍼 금형장치에서 완제품이 제조됨으로써 치수가 정확하고 정밀한 하우징의 제작이 가능함과 아울러 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된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부금형에 각각 펀치와 다이를 갖는 복수의 금형이 일렬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각 금형에서 성형된 제품을 다음 금형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이송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펀치와 다이의 사이로 공급된 강판이 각 금형을 거치면서 제품으로 성형되는 트랜스퍼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상기 강판을 원형으로 따냄과 동시에 원형으로 따진 강판을 여러단계로 설치된 복수의 드로잉금형을 통해 연료펌프의 하우징 형상으로 성형하는 드로잉금형과, 상기 드로잉금형을 거친 하우징을 최종 치수로 조정하는 리스트라이킹 금형과, 상기 리스트라이킹 금형을 거친 하우징의 밀폐된 상단을 관통시켜 하우징의 상단에 내측으로 밴딩된 컬링부를 형성하는 피어싱금형과, 상기 피어싱금형을 거친 하우징의 하단에 잔류하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트리밍금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드로잉금형과 리스트라이킹 금형 및 피어싱금형에는 각각 하부금형에 상기 하우징의 성형 과정에서 다이에 끼워진 하우징을 취출할 수 있도록 취출수단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부금형의 펀치에는 하우징의 성형시 상기 취출수단의 간섭방지를 위해 취출수단을 하강시키는 누름핀이 설치되어, 알루미늄 재질의 연료펌프 하우징을 성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퍼 금형장치를 통해 연료펌프의 하우징이 성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퍼 금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퍼 금형장치에서 하부금형을 나타태는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퍼 금형장치에서 상부금형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 의 측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10)는, 상,하부금형(20)(30)에 각각 펀치(101,201,301,401)와 다이(102,202,302,402)를 갖 는 복수의 금형(100)(200)(300)(400)을 일렬로 설치하여 상기 펀치(101,201,301,401)와 다이(102,202,302,402)의 사이로 공급된 강판(5)을 각 금형(100)(200)(300)(400)을 거치면서 제품(하우징)(11)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하부금형(30)의 상측에는 상기 각 금형(100)(200)(300)(400)에서 성형된 하우징을 다음 금형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로보트팔과 같은 역할을 하는 이송수단(50)이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금형(100)(200)(300)(400)은, 강판(5)이 공급되는 측에서부터 드로잉금형(100), 리스트라이킹 금형(200), 피어싱금형(300), 트리밍금형(400)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하, 각 금형(100)(200)(300)(4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통상적인 금형구조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에 따른 특징부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드로잉금형(100)은 상기 강판(5)을 원형으로 따냄과 동시에 원형으로 따진 강판(5)을 여러단계로 설치된 복수의 드로잉금형(110)(120)(130)(140)을 통해 연료펌프의 하우징(11) 형상으로 성형하는 금형이다.
상기 드로잉금형(100)은 강판(5)이 공급되는 측에서부터 제 1,2,3,4 드로잉금형(110)(120)(130)(14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드로잉금형(100)을 복수개로 세분화 한 이유는, 상기 강판(5)을 한번에 하우징(11)의 최종형상으로 성형하게 되면 소재에 무리가 가게되어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금형(20)(30)에 각각 펀치(101) 와 다이(102)를 4단계로 세분화 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원형의 강판(5)이 제 1∼4 드로잉금형(110)(120)(130)(140)을 거치면서 무리없이 단계별로 점차 성형되어 드로잉금형을 통과한 후에는 하우징(11)의 최종형상으로 성형되게 된다.
물론, 도면에서는 상기 드로잉금형(100)을 제 1∼4 드로잉금형(110)(120)(130)(140)으로 세분화 하였지만, 그 개수는 설계목적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 1 드로잉금형(110)에는 상기 공급되는 강판(5)을 원형으로 따냄과 동시에 미완성된 하우징(11) 형상으로 성형하게 되는데, 이때 원형으로 따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강판(5) 소재는 절단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다이(102)의 상측면에는 절단홈(미도시)이 형성된 펀치(101)의 하측면에는 절단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스트라이킹 금형(200)은 상기 드로잉금형(100)을 거친 하우징(11)을 최종 치수로 정밀하게 조정하는 금형이다.
즉, 상기 드로잉금형(100)을 거치면서 강판(5)이 하우징(11)의 최종형상으로 성형되긴 하지만, 알루미늄 재질의 자체성질로 인해 뒤틀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스트라이킹 금형(200)의 펀치(201)와 다이(202)를 통해 상기 하우징(11)의 뒤틀린 부분을 다져줌과 동시에 치수를 정확하게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어싱금형(300)은 상기 리스트라이킹 금형(200)을 거친 하우징(11)의 밀폐된 상단을 관통시켜 하우징(11)의 상단에 내측으로 밴딩된 컬링부(12)를 형성하는 금형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금형(30)의 다이(302)에는 내측에 펀칭공(303)이 형성되고, 상부금형(20)에는 상기 다이(302)의 펀칭공(303)으로 삽입되면서 하우징(11)의 밀폐된 상단을 관통시키는 펀치(301)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펀칭공(303)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1)에 내측으로 밴딩된 컬링부(12)를 형성하기 위해 약간의 돌출부(303a)(도면에서는 잘 표시가 안됨)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트리밍금형(400)은 상기 피어싱금형(300)까지 거친 하우징(11)의 하단에 잔류하는 스크랩(13)을 제거하는 금형이다.
즉, 상기 드로잉금형(100), 리스트라이킹 금형(200), 피어싱금형(300)을 거친 하우징(11)은 최종형상으로 성형되면서 하단에는 불필요한 스크랩(13)이 생기게 되며, 이러한 스크랩(13)을 트리밍금형(400)에서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금형(30)에는 상기 하우징(11)의 하단부가 걸쳐지도록 다이(402)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금형(20)에는 상기 다이(402)의 외주면측으로 겹쳐지게 하강하도록 펀치(401)가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의 스크랩(13)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트리밍금형(400)의 상부금형(20)에는 상기 펀치(401)가 하우징(11)의 스크랩(13)을 제거할 때 하우징(11)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우징(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트리퍼(21)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드로잉금형(100), 리스트라이킹 금형(200), 피어싱금형(300)의 각 상부금형(20)에도 상기 하우징(11)이 성형과정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가압 고정 하여주는 스트리퍼(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드로잉금형(100)과 리스트라이킹 금형(200) 및 피어싱금형(300)에는 각각 하부금형(30)에 상기 하우징(11)의 성형 과정에서 다이(102)(202)(302)의 외주면에 끼워진 하우징(11)을 취출할 수 있도록 취출수단(500)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부금형(20)의 펀치(101)(201)(301)에는 하우징(11)의 성형시 상기 취출수단(500)의 간섭방지를 위해 취출수단(500)을 하강시키는 누름핀(510)이 설치된다.
상기 취출수단(500)은 상기 하부금형(30)의 내측에 설치되는 실린더(503)와, 상기 각 금형(100)(200)(300)의 다이(102)(202)(302)의 외주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블럭(501)과, 상기 실린더(503)와 승하강블럭(501)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50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502)는 핀 형태로만 형성될 수도 있고, 핀과 탄성부재를 결합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승하강블럭(501)은 상기 하부금형(30)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축(540)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비교적 높이가 작은 하우징(11)을 성형하는 금형(제 2,3 드로잉금형) 보다 비교적 높이가 큰 하우징(11)을 성형하는 금형(제 4 드로잉금형,리스트라이킹 금형,피어싱금형)은 하우징(11)의 성형 과정에서(펀치가 하강하여 하우징이 다이의 외주면을 따라 성형되는 과정) 상기 승하강블럭(501)이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승하강블럭(501)도 그 만큼 많이 하강해야 하는데, 이처럼 승하강블 럭(501)의 작동량이 커야 하는 금형은 상기 누름핀(510)이 승하강블럭(501)의 관통공(501a)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부(502)를 직접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핀(510)이 연결부(502)를 직접 누르게 되면 상기 승하강블럭(501)은 상측방향으로 밀어주던 연결부(502)의 지지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자유롭게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핀(510)의 길이도 승하강블럭(501)의 작동량이 커야 하는 금형(제 4 드로잉금형,리스트라이킹 금형,피어싱금형)이 더 길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비교적 높이가 작은 하우징(11)을 성형하는 금형(제 2,3 드로잉금형)은 상기 누름핀(510)이 승하강블럭(501)을 직접 눌러 하강시킴으로써 하우징(11)의 성형시 승하강블럭(501)으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참고로, 상기 승하강블럭(501)은 하우징(11)의 성형후 펀치(101)(201)(301)가 상승할때 상기 실린더(503)의 작동으로 함께 상승하면서 다이(102)(202)(302)의 외주면에 끼워진 하우징(11)을 취출하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11)의 성형 과정에서 승하강블럭(501)이 간섭을 주게 되면 알루미늄 재질의 하우징(11)이 쉽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503)는 항상 상측 방향으로 승하강블럭(501)을 밀도록 작용하게 되지만, 상기 상부금형(20)의 하강시 상기 누름핀(510)을 통해 승하강블럭(501)이나 연결부(502)를 누르는 힘이 더 크기 때문에 승하강블럭(501)이 하강하게 되며 상부금형(20)의 상승시에는 실린더(503)에 의해 승하강블럭(501)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제 2,3 드로잉금형(120)(130)은 누름핀(510)이 승하강블럭(501)을 직접 누르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4 드로잉금형(140), 리스트라이킹 금형(200), 피어싱금형(300)은 누름핀(510)이 연결부(502)를 직접 누르도록 구성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금형을 상기 누름핀(510)이 승하강블럭(501)을 직접 누르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제 1 드로잉금형(110)의 경우는 승하강블럭(501)의 상측면에 펀치(101)의 하측면이 접촉하면서 강판(5)이 원형으로 따지기 때문에 다른 금형들과는 달리 누름핀(510)이 설치되지 않고 펀치(101)가 직접 승하강블럭(501)을 누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로잉금형(100) 중 특정 드로잉금형(120)(130), 즉, 상기 제 2,3 드로인금형(120)(130)은 상기 다이(102) 보다 큰 직경의 하우징(11)이 전단계의 금형에서 이송되어 오기 때문에 하우징(11)의 중심을 정확히 잡아줄 수 있도록 상기 다이(102)와 승하강블럭(501)의 사이에 상기 실린더(503)와 연결핀(532)으로 연결된 슬리브(530)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드로잉금형(100)은 제 1 드로잉금형(110)에서 제 2 및 제 3 드로잉금형(120)(130)으로 갈수록 다이(102)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되므로, 상기 제 1 드로잉금형(110)에서 성형된 하우징(11)이 이송수단(50)에 의해 제 2 드로잉금형(120)의 다이(102) 상측으로 이송될 경우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하우징(11)이 직경이 작은 다이(102)의 중심에 정확히 위치하지 못하게 되어 하우징(11)의 성형시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드로잉금형(110)에서 성형된 하우징(11)의 직경과 거의 비슷한 직경의 슬리브(530)를 제 2 드로잉금형(120)의 다이(102)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하우징(11)의 중심을 정확히 잡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제 2 드로잉금형(120)에서 성형된 하우징(11)의 직경과 거의 비슷한 직경의 슬리브(530)를 제 3 드로잉금형(130)의 다이(102) 외주면에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게 된다.
한편, 제 3 드로잉금형(130)에 성형된 하우징(11)의 직경과 제 4 드로잉금형(140)의 다이(102) 직경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제 4 드로잉금형(140)의 다이에는 슬리브(530)를 생략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슬리브(530)도 앞서 설명한 승하강블럭(501)처럼 상기 하우징(11)의 성형시에는 간섭을 주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상부금형(20)의 하강시 펀치(101)도 함께 하강하게 되어 펀치(101)에 구비된 누름핀(510)이 승하강블럭(501)을 누르게 되므로 승하강블럭(501)이 먼저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펀치(101) 및 누름핀(510)이 계속 하강하면 상기 하강하는 승하강블럭(501)에 슬리브(530)의 걸림턱(531)이 걸리게 되어 슬리브(530)도 함께 하강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슬리브(530)가 하강하기 시작한 후 상기 하우징(11)의 성형이 시작되기 때문에 하우징(11)의 성형시 승하강블럭(501) 뿐만 아니라 슬리브(530)의 간섭도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로잉금형(100)과 리스트라이킹 금형(200) 및 피어싱금형(300)의 각 상부금형(20)에는 상기 펀치(101)(201)(301)가 하우징(11)을 성형하 기 전에 하우징(11)의 상단을 임시로 가압하여 유동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핀(520)이 턴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유동방지핀(520)은 상기 상부금형(20)이 하강할때, 상기 하우징(11)의 상단을 임시로 가압하여 하우징(11)의 중심이 틀어지지 않도록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수단(50)은 공지된 것으로써 본 출원인이 업체로부터 구입하여 상기 하부금형(30)의 상측에 설치한 것이며, 즉, 상기 이송수단(50)은 상기 상부금형(20)이 상승한 상태일 때, 각 금형(100)(200)(300)(400)에서 성형된 하우징(11)을 파지하여 다음 금형의 다이(102)(202)(302)(402)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이송수단(50)은 공지된 것이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10)는 상기 제 1 드로잉금형(110)의 상,하부금형(20)(30)의 사이로 강판(5)이 공급되면,
먼저, 상기 제 1 드로잉금형(110)에서 강판(5)이 원형으로 따짐과 동시에 하우징(11)의 형상으로 성형이 시작되며, 제 1,2,3,4 드로잉금형(110)(120)(130)(140)을 거치면서 하우징(11)의 최종형상으로 성형된다.
이후, 상기 리스트라이킹 금형(200)에서 하우징(11)의 최종치수로 조정된다.
계속해서, 상기 리스트라이킹 금형(200)에서 최종치수로 조정된 하우징(11) 은 상기 피어싱금형(300)에서 상단이 관통됨과 동시에 하우징(11)의 상단에 내측으로 밴딩된 컬링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피어싱금형(300)을 거친 하우징(11)은 상기 트리밍금형(400)에서 하단에 잔류하는 스크랩(13)을 제거함으로써 완제품이 완성된다.
참고로, 상기 펀치(101)(201)(301)가 하강하여 하우징(11)이 성형될 때 상기 취출수단(500)인 승하강블럭(501)이 간섭을 주지 않도록 상기 펀치(101)(201)(301)에 구비된 누름핀(510)이 승하강블럭(501)이나 연결부(502)를 누르게 되며, 따라서 상기 승하강블럭(501)이 하강하게 됨과 아울러 제 2,3 드로잉금형의 경우 다이(102) 외주면에 설치된 슬리브(530)도 하강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펀치(101)(201)(301)가 하우징(11)의 성형을 완료하고 상부금형(20)과 함게 상승할 때에는 상기 누름핀(510)의 가압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취출수단(500)의 실린더(503)의 힘에 의해 상기 승하강블럭(501)이 상승하게 되어 상기 다이(102)(202)(302)의 외주면에 끼워져 있는 하우징(11)을 다이(102)(202)(302)의 상단까지 밀어올려 취출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각 금형(100)(200)(300)에서 성형 완료되어 취출수단(500)에 의해 하우징(11)이 다이(102)(202)(302)의 상단으로 취출되면 상기 이송수단(50)에 의해 파지되어 다음 금형으로 이송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하우징(11)이 각 금형(100)(200)(300)(400)을 연속적으로 거치면서 성형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르면, 알루미늄 재질의 연료펌프 하우징을 하나의 트랜 스퍼 금형장치에서 완제품이 제조됨으로써 치수가 정확하고 정밀한 하우징의 제작이 가능함과 아울러 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Claims (4)

  1. 상,하부금형(20)(30)에 각각 펀치(101)(201)(301)(401)와 다이(102)(202)(302)(402)를 갖는 복수의 금형이 일렬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각 금형에서 성형된 제품을 다음 금형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이송수단(50)이 설치되어 상기 펀치(101)(201)(301)(401)와 다이(102)(202)(302)(402)의 사이로 공급된 강판(5)이 각 금형을 거치면서 제품으로 성형되는 트랜스퍼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상기 강판(5)을 원형으로 따냄과 동시에 원형으로 따진 강판(5)을 여러단계로 설치된 복수의 드로잉금형(110)(120)(130)(140)을 통해 연료펌프의 하우징(11) 형상으로 성형하는 드로잉금형(100)과,
    상기 드로잉금형(100)을 거친 하우징(11)을 최종 치수로 조정하는 리스트라이킹 금형(200)과,
    상기 리스트라이킹 금형(200)을 거친 하우징(11)의 밀폐된 상단을 관통시켜 하우징(11)의 상단에 내측으로 밴딩된 컬링부(12)를 형성하는 피어싱금형(300)과,
    상기 피어싱금형(300)을 거친 하우징(11)의 하단에 잔류하는 스크랩(13)을 제거하는 트리밍금형(4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드로잉금형(100)과 리스트라이킹 금형(200) 및 피어싱금형(300)에는 각각 하부금형(30)에 상기 하우징(11)의 성형 과정에서 다이(102)(202)(302)에 끼워진 하우징(11)을 취출할 수 있도록 취출수단(500)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부 금형(20)의 펀치(101)(201)(301)에는 하우징(11)의 성형시 상기 취출수단(500)의 간섭방지를 위해 취출수단(500)을 하강시키는 누름핀(510)이 설치되어, 알루미늄 재질의 연료펌프 하우징(11)을 성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수단(500)은 상기 하부금형(30)의 내측에 설치되는 실린더(503)와,
    상기 각 금형(100)(200)(300)의 다이(102)(202)(302)의 외주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블럭(501)과,
    상기 실린더(503)와 승하강블럭(501)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50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드로잉금형(110)(120)(130)(140) 중 특정 드로잉금형(120)(130)은 상기 다이(102) 보다 큰 직경의 하우징(11)이 전단계의 금형에서 이송되어 올 경우 중심을 정확히 잡아줄 수 있도록 상기 다이(102)와 승하강블럭(501)의 사이에 상기 실린더(503)와 연결핀(532)으로 연결된 슬리브(5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금형(100)과 리스트라이킹 금형(200) 및 피어싱금형(300)의 각 상부금형(20)에는 상기 펀치(101)(201)(301)가 하우징(11)을 성형하기 전에 하우징(11)의 상단을 가압하여 유동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핀(520)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
KR2020060010793U 2006-04-21 2006-04-21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 KR200420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793U KR200420839Y1 (ko) 2006-04-21 2006-04-21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793U KR200420839Y1 (ko) 2006-04-21 2006-04-21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839Y1 true KR200420839Y1 (ko) 2006-07-06

Family

ID=4176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793U KR200420839Y1 (ko) 2006-04-21 2006-04-21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8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909B1 (ko) 2011-03-15 2011-10-05 주식회사 코아텍 머플러 플랜지용 자동 금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909B1 (ko) 2011-03-15 2011-10-05 주식회사 코아텍 머플러 플랜지용 자동 금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07416C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duction of stampings
KR101241446B1 (ko) 다이 및 패드 동시 작동형 자동차 시트벨트 어깨금구 블랭킹 방법
KR200420839Y1 (ko) 연료펌프의 하우징 성형용 트랜스퍼 금형장치
KR20080102033A (ko) 후방가압형 냉간성형장치를 이용한 압출단조품 제조방법
JP3555982B2 (ja) ゴム製環状品製造用加硫シート、ゴム製環状品の製造方法およびゴム製環状品の製造装置
CN206286415U (zh) 用于加工带凸缘圆筒类零件的拉伸级进模
CN102218485A (zh) 一种电梯用绳头锥套生产工艺
KR101811963B1 (ko) 컴파운드금형의 제품취출방법 및 그 장치
KR200167461Y1 (ko) 프레스 성형용 금형장치
CN203494986U (zh) 一种适用于冲床的冲压模
CN103418676B (zh) 车门板冲压翻孔的方法
JP2007152408A (ja) 順送加工による絞り加工品製造方法と絞り加工品製造装置
CN205519231U (zh) 一种能随连接件厚度自动调整的连接件冲压切边模具
KR102078599B1 (ko) 와셔 제조장치
JP2000042794A (ja) プレスライン
CN111589927B (zh) 起动机静铁芯的冲压成型系统
JP7063074B2 (ja) プレス加工装置
CN209849716U (zh) 一种用于管件扩口的模具
JP4033289B2 (ja) 鍛造装置
JP5237027B2 (ja) 筒部材の製造方法
CN220329714U (zh) 一种呼吸阀生产加工用压型机
CN106077263B (zh) 一种薄壁环状工件的自动冲压模具
KR20140051634A (ko) 자동 제품 취출 기능을 갖는 트리밍 금형
CN205393304U (zh) 一种汽车音响冲压件自动生产线
KR102282098B1 (ko) 안전벨트고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