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590Y1 -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 Google Patents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590Y1
KR200418590Y1 KR2020060007822U KR20060007822U KR200418590Y1 KR 200418590 Y1 KR200418590 Y1 KR 200418590Y1 KR 2020060007822 U KR2020060007822 U KR 2020060007822U KR 20060007822 U KR20060007822 U KR 20060007822U KR 200418590 Y1 KR200418590 Y1 KR 200418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parts
weight
urethane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지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지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지이엔씨
Priority to KR2020060007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5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5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수성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재의 구성재료에 폐목재 칩을 첨가하여 투수성은 물론이고 인장력을 향상하여 도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표면을 매끄럽게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구비한 투수성 탄성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지반을 소정의 깊이로 절토하여 평탄화한 절토지 위에 형성되는 투수성 탄성바닥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토지의 상부에 입경이 5~50mm의 잔골재가 바이더로 접합되어 형성하되 상기 잔골재70~90중량부와 바인더 5~10중량부로 구성되는 하층부와, 상기 하층부의 상부에 입경 3~5mmm 우레탄칩과 입경 2~3mmm 목재칩이 바이더로 결합되여 형성하되 상기 우레탄칩 60~65중량부와 목재칩 20~30중량부 및 바인더 15~20중량부로 구성되는 표층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탄성바닥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하층부와 표층부에 사용하는 바인더는 우레탄 바인더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하층부, 표층부, 잔골재, 우레탄 칩, 목재칩, 바인더

Description

투수성 탄성바닥구조{elasticity floor construction for permeability}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투수성 탄성바닥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투수성 탄성바닥구조의 포장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하층부 210 : 잔골재
300 : 표층부 310 : 우레탄칩
320 : 목재칩
본 고안은 투수성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재의 구성재료에 폐목재 칩을 첨가하여 투수성은 물론이고 인장력을 향상하여 도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표면을 매끄럽게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구비한 투수성 탄성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국민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시나 구청 등에서, 주거지에 가까운 곳에 체육시설, 공원, 산책로 등의 실내 및 실외 근린생활공간을 조성하여 시민들에게 편리하게 운동을 통하여 건강를 지키도록 하고있다.
이러한 근린생활공간에는 운동장, 조깅로, 자전거 도로 등이 주로 형성되는데, 이용하는 시민의 부상방지 및 운동에 따른 신체의 충격완화와 비나 눈이 올 경우 투수성 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시멘트나 콘크리트, 쇄석층으로 형성된 기반층 상부에 별도의 탄성바닥재를 더 형성시키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바닥재는 콘크리트, 아스콘 또는 쇄석 등으로 형성된 기반층 상부에 합성수지재료 즉, 폐타이어로 형성된 폐고무 또는 우레탄칩 등을 바인더와혼합하여 포설시키는 형태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바닥재는 시공초기단계에서 어느기간까지는 투수기능도 우수하고 외부충격 및 하중에 잘 견디나 시간이 경과하면 합성수지칩간의 접착력이 약하고 투수용 공극이 형성되어있어서 인장력이 약하며, 그로인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일부가 점차로 가라앉아, 불균일한 부분이나 균열이 형성되어 내구연한이 짧거나, 사용자가 넘어질 경우 일반도로 표면(비투수성)에 비하여 부상(찰과상)이 크게 유발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폐목재 칩을 첨가하여 투수성은 물론이고 결합력을 향상하여 도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안전성을 위하여 표면을 매끄럽게한 투수성 탄성바닥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반을 소정의 깊이로 절토하여 평탄화한 절토지 위에 형성되는 투수성 탄성바닥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토지의 상 부에 입경이 5~50mm의 잔골재가 바이더로 접합되어 형성하되 상기 잔골재70~90중량부와 바인더 5~10중량부로 구성되는 하층부와, 상기 하층부의 상부에 입경 3~5mmm 우레탄칩과 입경 2~3mmm 목재칩이 바이더로 결합되여 형성하되 상기 우레탄칩 60~65중량부와 목재칩 20~30중량부 및 바인더 15~20중량부로 구성되는 표층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탄성바닥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하층부와 표층부에 사용하는 바인더는 우레탄 바인더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올바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2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투수성 탄성바닥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투수성 탄성바닥구조의 포장 공정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절토지(100)의 상부에 도포되는 잔골재(210)가 바인더에 의하여 접합되므로서 형성되는 하층부(200)와, 상기 하층부(200)의 상부에 도포되는 우레탄칩(310)과 목재칩(320)이 바인더에 의하여 접합되므로서 형성되는 표층부(300)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절토지(100)의 상부에는 모래(110)층이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여, 절토지(100) 상부가 평평하고 견고하며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위에 상기 하층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하층부(200)는 입경 5~50mm의 잔골재(210) 70~90중량부와 바인더 5~10 중량부로 구성되고, 상기 잔골재(210)는 잔자갈이나 폐건축자재 칩을 사용하며, 폐건축자재 칩은 주로 폐콘크리트를 분쇄하여 사용하고, 바인더는 우레탄 바이더를 사용한다. 입도가 큰 골재를 사용함으로 하지층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표층부(300)는 입경 3~4mm의 우레탄칩(310) 60~65중량부와 입경 2~3mm의 목재칩(320) 20~30중량부와 바이더 15~20중량부로 구성되고, 상기 우레탄칩(310)은 우레탄 수지로 형성되며 폐타이어 등의 고무칩을 우레탄 수지와 혼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목재칩(320)은 원목재 칩으로 형성되며 폐목재칩(320) 등 혼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부식 및 흡수성을 고려하여 코팅된 목재칩(320)의 사용을 삼가한다.
상기 바인더는 우레탄 바이더를 사용한다.
상기 잔골재(210) 및 목재칩(320)들을 접합시키는 바인더는 우레탄계, 에폭시계, 아크릴계 등 다양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우레탄 칩들을 접합시키는 경우 우레탄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잔골재(210) 및 목재칩(320)들을 접합시키는 바인더도 우레탄계를 사용하여 바인더의 종류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층부(200)와 표층부(300)에 동일한 바이더를 사용하므로써, 하층부(200)와 표층부(300)가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설치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반을 소정의 깊이로 절토하여 지층을 형성하고, 절토지(100)를 평탄화한 후 모래(110)를 일정두께 살포 및 다진다.
이와같이 모래(110)가 살포된 절토지(100)의 상부에 잔골재(210)와 바이더를 혼합하여 소정의 두께로 포설한다.
이때, 혼합되는 잔골재(210)는 잔자갈이나 분쇄한 폐콘크리트를 먼저 50mm체로 걸러 50mm이하의 잔골재(210)만을 선별하고, 걸러진 50mm 이하의 잔골재(210)를 40,30,20,10mm체에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각 입도 별로 잔골재(210)를 선별하며, 10mm체를 통과한 잔골재(210)를 5mm체롤 다시 걸러 5mm이상의 잔골재(210) 만을 선별한다.
5~50mm의 크기로 선별된 잔골재(210)를 입도별로 구분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불순물이 제거되고 건조된 잔골재(210)를 5-10mm,10-20mm,20-30mm,30-40mm,40-5-mm의 입도별로 함량을 달리하여 제 1 혼합조에 투입하고 우레탄 바인더를 소정의 배합비로 함께 투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혼합한다.
잔골재(210)와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설한 후에는 평탄화작업을 하고, 롤러를 이용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하면서 표면을 압축한다.
평탄화된 잔골재(210)와 바인더의 혼합층 즉, 하층부(200)의 위에 우렌탄칩과 목재칩(320)을 바인더와 혼합하여 포설한다.
우레탄칩(310)은 3-4mm로 분쇄하고, 목재칩(320)은 2-3mm로 분쇄하여, 분순물을 제거하여 제 2 혼합조에 소정의 비율로 배합하여 투입하고, 우레탄 바인더를 소정의 배합비로 함께 투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혼합하면, 시공현장의 온도, 습도 등 기후 및 여건에 맞추어 경화촉진제나 희석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도 바람직 하다.
이와같이 우레탄칩(310), 목재칩(320)과 바인더의 혼합물을 하층부(200)의 위에 포설한 후에는 평탄화하고, 항온롤러를 사용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하면서 표면을 압축한 후 양생을 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표층부(300)의 목재칩(320)을 통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흡수되여 표층부(300)를 통과하게되며, 이후, 하층부(200)의 잔골재(210) 사이의 공극을 통과하여 지표로 흡수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노면을 탄력성있는 바닥으로 포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재칩의 흡수성에 의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천천히 토양으로 흡수되여 지반의 토사유출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우레탄칩과 바이더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표층부에 비하여 그 표면이 매끄러워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목재칩에 의하여 그 결합구조가 견고하여 수명이 향상되며, 이후 목재칩이 오랜기간을 두고 부식되면서 지표로 흡수되여 토양을 기름지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지반을 소정의 깊이로 절토하여 평탄화한 절토지(100) 위에 형성되는 투수성 탄성바닥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토지(100)의 상부에 입경이 5~50mm의 잔골재(210)가 바이더로 접합되어 형성하되 상기 잔골재(210)70~90중량부와 바인더 5~10중량부로 구성되는 하층부(200)와,
    상기 하층부(200)의 상부에 입경 3~5mmm 우레탄칩(310)과 입경 2~3mmm 목재칩(320)이 바이더로 결합되여 형성하되 상기 우레탄칩(310) 60~65중량부와 목재칩(320) 20~30중량부 및 바인더 15~20중량부로 구성되는 표층부(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부(200)와 표층부(300)에 사용하는 바인더는 우레탄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탄성 바닥구조.
KR2020060007822U 2006-03-23 2006-03-23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KR200418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822U KR200418590Y1 (ko) 2006-03-23 2006-03-23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822U KR200418590Y1 (ko) 2006-03-23 2006-03-23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590Y1 true KR200418590Y1 (ko) 2006-06-14

Family

ID=4176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822U KR200418590Y1 (ko) 2006-03-23 2006-03-23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5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993A (ko) * 2019-06-20 2020-12-30 박인전 친환경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993A (ko) * 2019-06-20 2020-12-30 박인전 친환경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22686B1 (ko) * 2019-06-20 2021-03-03 박인전 친환경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0588C2 (ru) Водопроницаемое покрытие для грунт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крытия для грунта
KR100591668B1 (ko) 고 투수탄성포장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034990B1 (ko) 전면 투수성 탄성포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34177B1 (ko) 격자망을 가지는 탄성포장 구조체
KR100614439B1 (ko) 투수형 3단 탄성포장재
KR200414447Y1 (ko) 인조잔디구장의 투수형 탄성포장바닥
KR100984775B1 (ko) 저수형 투수성 보도 공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보도블록
KR200418590Y1 (ko)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KR100497567B1 (ko) 친환경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497565B1 (ko) 친환경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및 그 포장방법
KR100764811B1 (ko) 폐목모 섬유를 이용한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214366B1 (ko) 세립형 우드칩을 이용한 투수성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151050B1 (ko) 광발광성 에코칩을 이용한 스타패스포장 시공방법 및 스타패스포장
CN107604784A (zh) 一种复合型砖
JPS5929726B2 (ja) 柔軟性を有する透水性舗装体
KR101084364B1 (ko) 투수성 탄성바닥재의 시공방법
KR20120103234A (ko) 우드 칩을 이용한 보도 및 그 포장 방법
KR101209896B1 (ko) 롤매트 투수트랙과 이의 시공방법
KR20050037529A (ko)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KR100722239B1 (ko) 소형 유공관이 포함된 투수형 탄성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JP2006169830A (ja) 弾性舗道の施工方法
KR100449186B1 (ko) 잔골재와 우레탄을 이용한 바닥블록
KR101132727B1 (ko) 탄성포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515439B1 (ko) 섬유가 혼합된 탄성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181935B1 (ko) 탄성 포장재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