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7529A -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 Google Patents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7529A
KR20050037529A KR1020050021099A KR20050021099A KR20050037529A KR 20050037529 A KR20050037529 A KR 20050037529A KR 1020050021099 A KR1020050021099 A KR 1020050021099A KR 20050021099 A KR20050021099 A KR 20050021099A KR 20050037529 A KR20050037529 A KR 20050037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sh
urethane
chip
mesh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9840B1 (ko
Inventor
박성윤
Original Assignee
(주)자연과사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연과사람 filed Critical (주)자연과사람
Priority to KR102005002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840B1/ko
Publication of KR2005003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2011/1046Miscellaneous features of trea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048Miscellaneous features of trea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ligh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21W2111/02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for indicating kerbs, steps or st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도, 운동장, 공원, 체육시설 등의 근린생활공간에 형성된 기반층 상부에 형성되는 탄성바닥재에 있어서, 바인더와 혼합된 수지칩을 상기 기반층 상부에 균일하게 도포 가압하여 형성된 하부수지층과; 수지유리섬유로 형성되며, 메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지층 상부에 형성되는 메쉬층과; 바인더와 혼합된 우레탄칩을 상기 메쉬층 상부에 균일하게 도포 가압하여 형성된 상부우레탄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고장력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되어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고탄력성에 의해 인체에 미치는 충격이 완화되어 운동효과가 뛰어나며, 투수성을 가지므로 미끄럽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elastic mat contained mesh layer}
본 발명은 인도, 운동장, 공원, 체육시설 등의 근린생활공간에 형성된 기반층 상부에 형성되는 탄성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수지유리섬유로 형성된 메쉬층에 의해 고장력, 고탄력성을 제공하는 탄성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시나 구청 등에서, 시간이 없는 시민들에게 집에서 가까운 곳에 체육시설, 공원, 산책로 등의 근린생활공간을 조성하여 시민들에게 건강을 지키고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근린생활공간에는 운동장이나 조깅로, 자전거도로 등이 주로 형성되는데, 시민들의 부상방지 및 인체 관절에의 충격완화, 비나 눈이 올 경우 투수, 도심미관 등을 고려하여 종래 시멘트나 콘크리트, 쇄석층으로 형성된 기반층 상부에 별도의 바닥재를 더 형성시키고 있다.
이러한 바닥재는 도심의 미관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색깔이나 문양을 형성시키거나 시민들의 안정을 고려하여 탄성력이 어느 정도 있으며, 비가 눈이 올 경우 미끄럽지 않은 바닥재를 상기 기반층 상부에 포설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바닥재는 콘크리트, 아스콘 또는 쇄석 등으로 형성된 기반층 상부에 폐타이어로 형성된 폐고무 또는 우레탄칩 등을 바인더와 혼합하여 포설시키는 형태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바닥재는 인장력이 약해서 시간이 지날수록 일부가 점차로 가라앉아, 불균일한 부분이나 균열이 형성되어 내구연한이 짧거나 사용자에게 불측의 부상을 발생시킬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지유리섬유로 형성된 메쉬층에 의해 고장력, 고탄력성, 투수성을 가지는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인도, 운동장, 공원, 체육시설 등의 근린생활공간에 형성된 기반층 상부에 형성되는 탄성바닥재에 있어서, 바인더와 혼합된 우레탄칩을 상기 기반층 상부에 균일하게 도포 가압하여 형성된 하부수지층과; 수지유리섬유로 형성되며, 메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지층 상부에 형성되는 메쉬층과; 바인더와 혼합된 우레탄칩을 상기 메쉬층 상부에 균일하게 도포 가압하여 형성된 상부우레탄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수지층은, 상기 수지칩이 우레탄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바닥재의 높이가 1m2 당 12mm~15mm인 경우에는, 우레탄칩 9kg~12.5kg에 바인더를 상기 우레탄칩에 대한 부피비 20%~30%로 혼합하여 상기 기반층 상부에 상기 하부수지층을 6mm~8mm가 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하부수지층 상부에 메쉬의 크기가 25.4mm인 메쉬층을 깔고, 상기 메쉬층 상부에 상기 하부수지층과 동일하게 상부우레탄층을 포설하고 20kg~30kg의 핸드롤러에 의해 가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수지층은, 상기 수지칩이 재활용고무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바닥재의 높이가 1m2 당 40mm~60mm인 경우에는, 재활용고무칩 21k~37.5kg에 바인더를 상기 재활용고무칩에 대한 부피비 20%~30%로 혼합하여 상기 기반층 상부에 상기 하부수지층을 28mm~48mm가 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하부수지층 상부에 메쉬의 크기가 25.4mm인 메쉬층을 깔고, 상기 메쉬층 상부에 우레탄칩 9kg~12.5kg에 바인더를 상기 우레탄칩에 대한 부피비 20%~30%로 혼합한 상부우레탄층을 12mm~15mm가 되도록 포설하고, 20kg~30kg의 핸드롤러에 의해 가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쉬층은, 상기 수지유리섬유가 유리섬유 대비 수지함침중량이 2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장력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되어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고탄력성에 의해 인체에 미치는 충격이 완화되어 운동효과가 뛰어나며, 투수성을 가지므로 미끄럽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의 제1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의 제2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의 메쉬층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는 하부수지층(200), 메쉬층(300), 상부우레탄층(400)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탄성바닥재는 인도, 운동장, 공원, 체육시설 등의 근린생활공간에 형성된 기반층(100)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여기서, 기반층(100)이라 함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모든 재료가 포함된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콘크리트, 아스콘, 쇄석 등의 재료로 기반층(100)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기반층(100) 상부에는 상기 하부수지층(20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하부수지층(200)은 적정량의 수지칩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상기 기반층(100) 상부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평편하게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수지층(200) 상부에는 메쉬층(300)이 형성된다.
상기 메쉬층(300)은 수지유리섬유(Coated Glass fiber)로 형성되며, 가로, 세로 균일한 크기의 메쉬가 판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상기 하부수지층(200) 상부에 깐다.
일반적으로 유리섬유는 용융한 유리를 섬유형태로 형성시킨 것을 말하며, 내구성과 내열성을 보강하기 위해 수지조성물을 첨가한 것이 수지유리섬유이다. 상기 수지유리섬유는 일반적으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첨가하며, 이에 의해 내구성 및 인장강도, 내충격성이 더욱더 보강되게 된다.
상기 수지의 량을 더욱더 증가시키면 인장강도는 점점 커지게 되나, 제조단가 및 일정 정도의 탄성력도 제공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유리섬유 대비 수지함침중량을 20% 내지 30%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표는 상기 메쉬층(300)의 재료인 수지유리섬유의 물성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메쉬층(300)의 재료인 수지유리섬유의 물성을 시공 여건 및 습도, 온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층(300) 상부에는 상부우레탄층(40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우레탄층(400)은 적정량의 우레탄칩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상기 메쉬층(300) 상부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평편하게 형성시킨다.
여기에서 우레탄은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출발 원료로 하여 디아소시안염, 산화물, 황 등을 가교제로서 가하면 망상구조가 형성되는 합성고무제이며, 상기 우레탄칩은 입자 크기가 1.4m~13mm정도로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우레탄은 이중결합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내후성, 내산화성이 뛰어나고, 우레탄결합이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충격성 등에서 우수한 재질이다.
상기 우레탄칩 입자간을 결합시키는 바인더는 고강도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우레탄칩간의 결합력이 뛰어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우레탄칩은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이 되므로 여러가지 문양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수지층(200)과 기반층(100) 사이에는 기반층(100)의 종류 및 시공여건에 따라 접착제(600) 및 프라이머(500)를 더 도포하여 기반층(100)과 하부수지층(200)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제1실시예>
상기 탄성바닥재의 높이가 1m2 당 12mm~15mm인 경우, 일반적으로 상기 기반층(100)이 콘크리트나 아스콘 등인 경우이다. 상기 기반층(100)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수지층(200)은 우레탄칩과 바인더를 적정량 혼합시킨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기반층(100)과 상기 하부수지층(200)과의 접착력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기반층(100) 상부에 프라이머(500)를 도포하고, 그 상부에 접착제(600)를 도포시키며, 그 위에 상기 하부수지층(200)이 도포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수지층(200)은 우레탄칩 9kg~12.5kg에 바인더를 상기 우레탄칩에 대한 부피비 20%~30%로 혼합하여 상기 기반층(100) 상부에 상기 하부수지층(200)을 6mm~8mm가 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하부수지층(200) 상부에 메쉬의 크기가 25.4mm인 메쉬층(300)을 깔고, 상기 메쉬층(300) 상부에 상기 하부우레탄과 동일하게 상부우레탄층(400)을 포설하고 20kg~30kg의 핸드롤러에 의해 3회~6회 전압되어 소정 두께로 형성시킨다. 그 후 12시간~36시간 동안 양생시킨다.
<제2실시예>
상기 탄성바닥재의 높이가 1m2 당 40mm~60mm인 경우, 일반적으로 상기 기반층(100)이 자갈이나 쇄석 등인 경우이다. 상기 기반층(100)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수지층(200)은 재활용고무칩과 바인더를 적정량 혼합시킨 것이다.
상기 재활용고무칩 21kg~37.5kg에 바인더를 상기 재활용고무칩에 대한 부피비 20%~30%로 혼합하여 상기 기반층(100) 상부에 상기 하부수지층(200)을 28mm~48mm가 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하부수지층(200) 상부에 메쉬의 크기가 25.4mm인 메쉬층(300)을 깔고, 상기 메쉬층(300) 상부에 우레탄칩 9kg~12.5kg에 바인더를 상기 우레탄칩에 대한 부피비 20%~30%로 혼합한 상부우레탄층을 12mm~15mm가 되도록 포설하고, 20kg~30kg의 핸드롤러에 의해 3회~6회 전압되어 소정 두께로 형성시킨다. 그 후 12시간~36시간 동안 양생시킨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상기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는 상기 하부수지층(200) 및 상부우레탄층(400) 사이에 메쉬층(300)이 형성되어 일정 정도 탄성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의 개선으로 내구성이 향상되어, 오랜시간 동안 많은 사용자가 상기 탄성바닥재 위에서 보행, 운동, 자전거 타기, 인라인스케이트 타기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고장력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되어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고탄력성에 의해 인체에 미치는 충격이 완화되어 운동효과가 뛰어나며 인체를 보호하고, 고투수성을 가지므로 미끄럽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반층 상부에 직접 시공할 수 있으므로 통기성이 향상되어 토양이 숨을 쉴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의 제1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의 제2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의 메쉬층에 대한 정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기반층 200 : 하부수지층
300 : 메쉬층 400 : 상부우레탄층
500 : 프라이머 600 : 접착제

Claims (6)

  1. 인도, 운동장, 공원, 체육시설 등의 근린생활공간에 형성된 기반층 상부에 형성되는 탄성바닥재에 있어서,
    바인더와 혼합된 수지칩을 상기 기반층 상부에 균일하게 도포 가압하여 형성된 하부수지층과;
    수지유리섬유로 형성되며, 메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지층 상부에 형성되는 메쉬층과;
    바인더와 혼합된 우레탄칩을 상기 메쉬층 상부에 균일하게 도포 가압하여 형성된 상부우레탄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지층은,
    상기 수지칩이 우레탄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닥재의 높이가 1m2 당 12mm~15mm인 경우에는, 우레탄칩 9kg~12.5kg에 바인더를 상기 우레탄칩에 대한 부피비 20%~30%로 혼합하여 상기 기반층 상부에 상기 하부수지층을 6mm~8mm가 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하부수지층 상부에 메쉬의 크기가 25.4mm인 메쉬층을 깔고, 상기 메쉬층 상부에 상기 하부수지층과 동일하게 상부우레탄층을 포설하고 20kg~30kg의 핸드롤러에 의해 가압되어 소정두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지층은,
    상기 수지칩이 재활용고무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닥재의 높이가 1m2 당 40mm~60mm인 경우에는,
    재활용고무칩 21k~37.5kg에 바인더를 상기 재활용고무칩에 대한 부피비 20%~30%로 혼합하여 상기 기반층 상부에 상기 하부수지층을 28mm~48mm가 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하부수지층 상부에 메쉬의 크기가 25.4mm인 메쉬층을 깔고, 상기 메쉬층 상부에 우레탄칩 9kg~12.5kg에 바인더를 상기 우레탄칩에 대한 부피비 20%~30%로 혼합한 상부우레탄층을 12mm~15mm가 되도록 포설하고, 20kg~30kg의 핸드롤러에 의해 가압되어 소정두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층은,
    상기 수지유리섬유가 유리섬유 대비 수지함침중량이 2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KR1020050021099A 2005-03-14 2005-03-14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KR100599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099A KR100599840B1 (ko) 2005-03-14 2005-03-14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099A KR100599840B1 (ko) 2005-03-14 2005-03-14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529A true KR20050037529A (ko) 2005-04-22
KR100599840B1 KR100599840B1 (ko) 2006-07-12

Family

ID=3724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099A KR100599840B1 (ko) 2005-03-14 2005-03-14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770B1 (ko) 2007-07-23 2008-01-17 남궁선 투수형 탄성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795771B1 (ko) 2007-07-31 2008-01-17 남궁선 3단 투수형 탄성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170750B1 (ko) 2019-02-08 2020-10-27 지수건설산업(주) 전천후 멀티 하드코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9840B1 (ko)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449B1 (ko) 어린이 놀이시설 및 체육시설용 코르크 탄성바닥재, 그 제조방법 및 코르크 탄성바닥재를 이용한 탄성바닥 시공방법
KR100932422B1 (ko) 친환경 바이오 바닥재
KR101575124B1 (ko)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KR100784455B1 (ko) 다양한 용도의 바닥부재 및 그 제조방법
CN108424067A (zh) 一种性能优良的复合人造石的制备方法
KR100599840B1 (ko)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KR102096061B1 (ko) 다중 코팅막으로 투수 성능을 향상한 도로포장용 코르크 칩의 제조방법과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로포장용 코르크 칩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0591668B1 (ko) 고 투수탄성포장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659465B1 (ko) 탄성 투수 포장재
KR100938212B1 (ko) 보행로 포장재 조성물
KR102186680B1 (ko) 어린이 놀이시설용 현장 포설형 탄성포장재
JP4382966B2 (ja) 弾性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3722093B2 (ja) 歩行路用舗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26488B1 (ko) 충격흡수 및 크랙방지기능을 갖는 다목적 스포츠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0170A (ko) 광석을 이용한 투수성 탄성 포장재
CN107604784A (zh) 一种复合型砖
KR100983874B1 (ko) 조면현무암 석분을 이용한 기능성 포장재 조성물
KR102012704B1 (ko) 코르크칩-함유 친환경 탄성포장재 조성물
KR101145812B1 (ko) 재귀반사형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JP2655387B2 (ja) 舗装用弾性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法
KR101033662B1 (ko) 칼라문양이 형성된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413094B1 (ko) 스포츠용 바닥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3611A (ko) 충격흡수 탄성고무바닥재의 시공방법
JP3983594B2 (ja) 弾性ブロック
KR100964795B1 (ko) 향상된 내구성 및 투수성을 갖는 탄성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