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533Y1 -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533Y1
KR200418533Y1 KR2020060007875U KR20060007875U KR200418533Y1 KR 200418533 Y1 KR200418533 Y1 KR 200418533Y1 KR 2020060007875 U KR2020060007875 U KR 2020060007875U KR 20060007875 U KR20060007875 U KR 20060007875U KR 200418533 Y1 KR200418533 Y1 KR 200418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lass wall
blower
pipe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혁
Original Assignee
(주)세기
주식회사 이지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기, 주식회사 이지홈테크 filed Critical (주)세기
Priority to KR2020060007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5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5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온도 차이에 의해 유리벽에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원격 조절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실외 공기를 공기 도입 파이프에 의해 실내로 불어넣을 수 있는 송풍기 ;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이송시키며, 프레임 또는 벽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고정,지지되어 있고, 공기를 유리벽으로 하향, 분사시키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기 분사부가 그것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는 공기 파이프 ; 상기 송풍기에서 공기 파이프로 이송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부 ; 로 이루어진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여름철에 실내가 냉방되어 실내외의 유리벽 간의 온도 차이가 발생되어 응결수가 유리벽에 생성되거나 또는 겨울철에 실내가 난방되어 실내외의 유리벽 간의 온도 차이가 발생되어 응결수가 유리벽에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축물 유리벽의 조망 또는 전망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유리, 응결, 건축, 주택, 인테리어, 전망, 성에, 제거

Description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Frost From Generating On Glass Wall}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1의 공기 파이프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d는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에 구비되는 히터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3a는 다른 실시예의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유리벽에 공기 파이프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파이프 행거에 의해 지지된 공기 파이프와 노즐을 확대하여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4c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파이프에 구비된 공기 분사부에 의해 유리벽에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리벽
2 ; 프레임
6 ; 공기 도입 파이프
7 ; 파이프 행거
8 ; 고정 나사
9 ; 행거 지지부
10 ; 송풍기
14 ; 덕트
15 ; 히터
20 ; 공기 파이프
20a, ; 개구, 20b ; 공기 분사공
21 ; 파지부
22 ; 노즐 고정부
25 ; 노즐
26 ; 노즐구
본 고안은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냉방 또는 난방시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 차이로 인해서 유리벽에서 발생되는 응결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서, 전망 또는 조망을 위해서 건축물, 주택 등에 구축되는 유리벽 등의 사용 비율이 높아지고 크기가 커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건축물, 주택 등에 구축되는 유리벽은 전열 계수가 높아서 이를 통해 실외 또는 실내 로의 열전달이 크게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서 여름에는 냉방 되는 실내의 공기와 실외 공기의 온도 차이에 의해 유리벽에 응결수가 생성되어, 외부 조망을 위해 건축된 유리벽으로 실외 전경을 볼 수가 없게 된다. 또한, 겨울에도 난방되는 실내 공기와 차가운 실외 공기의 온도 차이로 인해서 유리벽에 응결수가 생성되어 역시 유리벽을 통해 실외 전경을 볼 수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전망 또는 조망을 위해 건축한 유리벽의 본래의 기능을 잃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름 또는 겨울에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온도 차이에 의해 유리벽에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에 있어서,
원격 조절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실외 공기를 공기 도입 파이프에 의 해 실내로 불어넣을 수 있는 송풍기 ;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이송시키며, 프레임 또는 벽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고정,지지되어 있고, 공기를 유리벽으로 하향, 분사시키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기 분사부가 그것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는 공기 파이프 ; 상기 송풍기에서 공기 파이프로 이송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부 ; 로 이루어진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 조절부가 상기 송풍기와 공기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외부 전원의 공급에 따라 공기 파이프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는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파이프에 구비된 공기 분사부가 공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 분사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분사부가 상기 공기 파이프에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노즐이 조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갖춘 파이프 행거와 프레임 또는 벽체에 고정되는 행거 지지부에 의해 공기 파이프가 프레임 또는 벽체에 고정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파이프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송풍기에서 멀어질수록 그것의 내경이 줄어들 수도 있으며, 상기 공기 파이프는 공기 이송 방향을 따라 내경이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에는 상기 송풍 기 대신에 오일레스 에어콤프레셔(Oilless Air Compressor)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1의 공기 파이프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d는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에 구비되는 히터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3a는 다른 실시예의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유리벽(1)은 프레임(2)에 의해 건축물 등의 벽체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 파이프(20)가 파이프 행거(7)에 의해 상기 프레임(2) 상에 고정,지지되어 유리창(1)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온도 조절을 위한 유닛이 공기 파이프(20)의 상류 측에 배치되며, 상기 온도 조절 유닛은 냉각기 또는 히터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히터(15)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히터(15)는 덕트(14)에 의해 송풍기(10)에 연결되며, 상기 송풍기(10)는 공기 도입 파이프(6)에 의해 건축물의 실외 공기를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송풍기(10)는 오일레스 에어콤프레셔(미도시)로 대체되어질 수 있다. 상기 오일레스 에어콤프레셔는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미세 오일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용된다.
상기 송풍기(10)는 또한 원격 조절 유닛에 의해 조절가능하여, 유리벽(1)에서 떨어져 있는 거리에서도 상기 송풍기(10)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2a, 도 2b,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리벽 응결수 장치의 송풍기(10)와 공기 파이프(20)는 동일한 높이 또는 수준에서 덕트(14) 및 히터(1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히터(15)는 외부 전원(9)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전원이 제공되어 송풍기(1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게 된다. 상기 히터(15)는 선택적으로 외부 전원(13)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2b 또는 제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파이프(20)는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된 공기 이동 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노즐(25)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노즐(25)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고정부(22)에 의해 공기 파이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거리를 두고 그것의 대응 개구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노즐(25)이 장착되지 않고 공기 파이프(20)에 소정의 복수개의 개구(미도시)를 형성하여 공기 파이프(20)에서 이송되는 공기를 유리벽(1)에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화살표로 표시된 공기 이동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경을 달리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기(10)에서 거리가 벗어날수록 길이가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파이프(20)는 길이 방향으로 내경을 달리하도록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송풍기(10)에 의해 상기 공기 파이프(20)로 유입되는 공기 압력을 상기 송풍기(10)에서 이격된 거리에 있는 공기 파이프(20)의 끝단까지 고르게 유지하게 한다.
도 3a에 예시된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와는 달리, 공기 파이프(20)가 "ㄱ" 자 형태로 꺽여져 있다. 이밖에, 송풍기(10), 덕트(14), 히터(15)의 배치 순서는 동일하다. 송풍기(10)가 유리벽(1)과 프레임(2)의 측면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기(10)는 공기 도입 파이프(6)에 의해 외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공기 필터 등을 구비한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a는 유리벽에 공기 파이프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파이프 행거에 의해 지지된 공기 파이프와 노즐을 확대하여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4c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파이프에 구비된 공기 분사부에 의해 유리벽에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공기 파이프(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1)의 상단에 배치되며,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파이프 파지부(21)에 개재되어 이것에 연결된 파이프 행거(7)와 행거 지지부(9)가 고정나사(8)에 의해 프레임(2)에 고정되어 유리벽(1)의 상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구(26)가 유리벽(1)을 향해, 상부에서 하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노즐(25)이 공기 파이프(20)의 측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설치될 수도 있지만, 노즐(25) 또는 노즐구(26)의 배치방향이 수평한 것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송풍기(10)에 의해 공기 도입 파이프(6)를 통해 도입된 실외 공기가 필요에 따라 히터(15)가 작동됨에 의해 가열되거나 또는 가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 파이프(20)를 따라 이송되면서, 복수개의 개구(20a)을 통해 노즐(25)의 노즐구(26)로 분사된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파이프(20)에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 형태의 공기 분사공(20b)에 의해 공기가 유리벽(1)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 형태의 공기 분사공(20b)은 α의 각도 범위내에 배치되어 유리벽(1)에 분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도 α는 설치시 임의로 배치가능하다.
여름철에 실내가 냉방 되어 유리벽(1)을 사이에 두고 저온으로 유지되며, 실외는 더운 외기로 인해서, 실내와 실외 공기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리벽(1) 사이에서 발생되는 온도 차이를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실외의 공기를 유리벽(1)에 집중적으로 도입하여, 냉방으로 인해 온도가 내려가 있던 유리벽(1)의 온도를 실외 공기의 온도와 맞추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히터(15)는 작동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송풍기(10)가 작동되면서 공기 도입 파이프(6)를 통해서 실외의 더운 공기가 상기 송풍기(10), 덕트(14)를 거쳐서, 공기 파이프(20)로 이송된 다음 실외 더운 공기를 노즐(25)의 노즐구(26)에서 유리벽(1)으로 하향되도록 분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내 냉방으로 차가워져 있던 유리벽(1)의 온도와 실외의 유리벽의 온도 차이를 없애거나 또는 줄여서 유리벽에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겨울철에는 실내가 난방되면서, 유리벽(1)의 사이에 두고 더운 실내 공기와 차가운 외부 공기와의 온도차이로 인해서, 실내측의 유리벽(1)에 응결수가 생성된다. 이러한 유리벽(1) 사이에서 발생되는 온도 차이를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뜨거운 공기를 유리벽(1)에 집중적으로 도입하여, 열전달로 인해서 온도가 내려가 있는 실내측 유리벽(1)의 온도를 실외 유리벽(1)의 온도와 맞추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송풍기(10)가 작동되면서, 공기 도입 파이프(6)를 통해서 실외의 찬 공기가 송풍기(10)까지 유입된다. 이어서, 이러한 찬 공기는 덕트(14)를 거쳐서 히터(15)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열된 공기가 공기 파이프(20)로 이송된 다음 노즐(25)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되어 분사된다.
이에 따라, 겨울철에 외부에서의 열전달로 낮은 온도로 유지되던 유리벽 내측에 가열된 공기가 분사되면서 유리벽 면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이것에서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여름철에 실내가 냉방되어 실내외의 유리벽 간의 온도 차이가 발생되어 응결수가 유리벽에 생성되거나 또는 겨울철에 실내가 난방되어 실내외의 유리벽 간의 온도 차이가 발생되어 응결수가 유리벽에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축물 유리벽의 조망 또는 전망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편의상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8)

  1.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에 있어서,
    원격 조절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실외 공기를 공기 도입 파이프에 의해 실내로 불어넣을 수 있는 송풍기 ;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이송시키며, 프레임 또는 벽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고정,지지되어 있고, 공기를 유리벽으로 하향, 분사시키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기 분사부가 그것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는 공기 파이프 ;
    상기 송풍기에서 공기 파이프로 이송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부 ;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가 상기 송풍기와 공기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외부 전원의 공급에 따라 공기 파이프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는 히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파이프에 구비된 공기 분사부가 공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 분사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 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부가 상기 공기 파이프에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파이프는 이 공기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갖춘 파이프 행거와 프레임 또는 벽체에 고정되는 행거 지지부에 의해 프레임 또는 벽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파이프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송풍기에서 멀어질수록 그것의 내경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파이프는 공기 이송 방향을 따라 내경이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
  8.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에 있어서,
    원격 조절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실외 공기를 공기 도입 파이프에 의해 실내로 불어넣을 수 있는 오일레스 에어콤프레셔 ;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이송시키며, 프레임 또는 벽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고정,지지되어 있고, 공기를 유리벽으로 하향, 분사시키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기 분사부가 그것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는 공기 파이프 ;
    상기 송풍기에서 공기 파이프로 이송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부 ;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
KR2020060007875U 2006-03-24 2006-03-24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 KR200418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875U KR200418533Y1 (ko) 2006-03-24 2006-03-24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875U KR200418533Y1 (ko) 2006-03-24 2006-03-24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533Y1 true KR200418533Y1 (ko) 2006-06-09

Family

ID=4176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875U KR200418533Y1 (ko) 2006-03-24 2006-03-24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5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388B1 (ko) * 2013-08-27 2015-09-30 (주)대우건설 여닫이 복합창호
KR101745922B1 (ko) * 2017-02-14 2017-06-13 고정찬 냉난방 에어커튼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388B1 (ko) * 2013-08-27 2015-09-30 (주)대우건설 여닫이 복합창호
KR101745922B1 (ko) * 2017-02-14 2017-06-13 고정찬 냉난방 에어커튼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95170U (zh) 一种高压空气对流循环加热装置
CN107084423A (zh) 送风式节能型电暖器
CN201406374Y (zh) 对流加热钢化炉内的等压供风系统
KR101338651B1 (ko)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200418533Y1 (ko) 유리벽 응결수 생성 방지 장치
CN201605229U (zh) 一种用于玻璃钢化炉的整体对流系统
CN209493477U (zh) 一种用于调整平板玻璃厚度高点的装置
JP2014001892A (ja) 温度成層型空調システム
CN106885354B (zh) 一种冰壶场馆热湿环境控制系统及方法
CN205987769U (zh) 双层膜自动控温温室
CN204254800U (zh) 建筑物中庭用蒸发冷却喷雾降温装置
CN206215237U (zh) 高低温交变湿热试验箱
KR100729569B1 (ko) 전기 온풍기
CN208323999U (zh) 无机防火聚苯保温板养护装置
JP4257593B2 (ja) ミスト発生機能付き暖房装置
JP2005225103A (ja) 木材乾燥装置
CN208148155U (zh) 具有自动控温功能的无机防火聚苯保温板养护装置
CN203518085U (zh) 一种直热型两步式空气高焓加热器
CN204027245U (zh) 节能型烘干装置
JP5177254B2 (ja) 冷却システム
CN208323946U (zh) 具有可拆卸行走滑轨的无机防火聚苯保温板养护装置
CN106322469A (zh) 油烟机及其调温送风系统
CN110671764A (zh) 一种集成喷雾功能的空调机组
CN208323956U (zh) 具有自动升降门的无机防火聚苯保温板养护装置
CN205561429U (zh) 一种新型烘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