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694Y1 - 이동식 커튼월 - Google Patents

이동식 커튼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694Y1
KR200413694Y1 KR2020060001603U KR20060001603U KR200413694Y1 KR 200413694 Y1 KR200413694 Y1 KR 200413694Y1 KR 2020060001603 U KR2020060001603 U KR 2020060001603U KR 20060001603 U KR20060001603 U KR 20060001603U KR 200413694 Y1 KR200413694 Y1 KR 200413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wall
gear
pair
wall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2020060001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694Y1/ko
Priority to JP2008551182A priority patent/JP2009523936A/ja
Priority to PCT/KR2007/000283 priority patent/WO200708392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7Partitions constituted of slid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커튼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서로 평행한 한쌍의 벽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그 양단이 인접되게 위치되는 커튼월과, 상기 커튼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벽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커튼월의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랙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적어도 한쌍의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피니언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랙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피니언에 전달하는 구동력전달수단, 그리고 상기 커튼월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이 상기 랙을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커튼월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커튼월에 의하여 공간을 가변적으로 구획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커튼월, 랙, 피니언, 구동수단

Description

이동식 커튼월{Moving type curtain wall}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커튼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부분절결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커튼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절결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커튼월 F: 프레임
10B: 부재 11,11': 기어
12,12': 기어축 13,13': 주동풀리
15,15': 회전축 17,17': 종동풀리
19: 이동롤러 P,P': 피니언
W,W': 벽체 R,R': 랙
본 고안은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평행한 벽을 따라서 이동하여 공간을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는 이동식 커튼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월이란 하중을 지지하지 않고 단지 공간을 구획하는 비내력벽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커튼월은 내력벽 또는/및 비내력 사이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커튼월은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건축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을 가변적으로 구획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자유로운 공간의 분할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을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동식 커튼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서로 평행한 한쌍의 벽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그 양단이 인접되게 위치되는 커튼월과, 상기 커튼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벽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커튼월의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랙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기어결합되는 적어도 한쌍의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피니언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랙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피니언에 전달하는 구동력전달수단, 그리고 상기 커튼월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이 상기 랙을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커튼월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은 상기 커튼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하로 길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회전축 상하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랙은 상기 피니언에 대응하는 상기 벽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상하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기어와, 상기 기어의 회전력을 각각 전달받아서 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한쌍의 주동풀리,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주동풀리와 각각 벨트연결됨으로써 주동풀리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한쌍의 종동풀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기어와, 상기 기어의 회전력을 각각 전달받아서 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한쌍의 주동벨트기어,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주동벨트기어와 각각 체인연결됨으로써 주동벨트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한쌍의 종동벨트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는,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직접 전달받아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기어결합되어 제1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튼월의 일측에는 그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기어가 결합되는 구동축이 구비되는 구동모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커튼월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키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제1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쌍의 베벨기어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서로 평행한 한쌍의 벽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그 양단이 인접되게 위치되는 커튼월과, 상기 커튼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벽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커튼월의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랙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적어도 한쌍의 피니언, 그리고 상기 커튼월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이 상기 랙을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커튼월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튼월을 상기 벽체의 길이방향으로 밀면 상기 피니언이 랙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커튼월이 이동되어 벽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가변적으로 구획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커튼월을 벽체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므로 커튼월에 의하여 공간을 가변적으로 구획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커튼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커튼월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내부에는 한쌍의 벽체(W)(W')가 구비된다. 상기 벽체(W)(W')는 내력벽 또는 비내력벽이 될 수 있고, 반드시 실내에 위치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상기 벽체(W)(W')는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벽체(W)(W')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랙(R)(R')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랙(R)(R')은 아래에서 설명할 커튼월(10)의 이동을 위한 것으로, 상기 벽체(W)(W')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상하단에 서로 동일한 높이로 벽체(W)(W')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벽체(W)(W')의 사이에서 벽체(W)(W')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커튼월(10)이 설치된다. 상기 커튼월(10)은 상기 벽체(W)(W')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가변적으로 구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튼월(1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양단부가 상기 벽체(W)(W')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인접되게 위치된다.
상기 커튼월(10)을 구성하는 프레임(F)에는 상기 커튼월(10)의 이동을 위한 각종 구성부품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F)의 외측에는 상기 커튼월(10)의 실질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튼월(10)의 일측에는 개구부, 예를 들면, 문이나 창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이나 창문은 상기 프레임(F)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커튼월(1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M)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 터(M)는 상기 커튼월(1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M)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커튼월(10)이 상기 벽체(W)(W') 사이에서 벽체(W)(W')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M)에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Ma)이 상하로 구비된다.
상기 구동축(Ma)에는 제1기어(11)가 결합된다. 상기 제1기어(11)는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구동축(Ma)을 중심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11)에는 제2기어(11')가 기어결합된다. 상기 제2기어(11')는 상기 구동축(Ma)과 평행하게 상하로 길게 구비되는 기어축(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기어(11')는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제1기어(11)의 회전에 의하여 제1기어(1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기어(11)와 제2기어(11')의 일면에는 각각 제1주동풀리(13)와 제2주동풀리(13')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주동풀리(13)와 제2주동풀리(13')는 상기 제1 및 제2기어(11)(11')의 회전력을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축(15)(15')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제1기어(11) 또는 제2기어(11')와 일체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주동풀리(13)(13')는 각각 상기 제1기어(11) 또는 제2기어(1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튼월(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회전축(15)(15')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5)(15')은 상기 커튼월(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하로 길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상 우측의 회전축을 제1회전축(15), 좌측의 회전축을 제2회전축(15')이라 칭한다.
상기 제1회전축(15)과 제2회전축(15')에는 제1종동풀리(17)와 제2종동풀리(17')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종동풀리(17)(17')는 상기 제1 및 제2주동풀리(13)(13')에 벨트(B)(B')로 각각 연결되어 제1주동풀리(13) 또는 제2주동풀리(13')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15)(15')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종동풀리(17)(17')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15)(15')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15)(15')에는 한쌍의 피니언(P)(P')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피니언(P)(P')은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15)(15')의 상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랙(R)(R')에 맞물려서 랙(R)(R')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피니언(P)(P')은 실질적으로 상기 커튼월(10)의 양측으로 돌출된다. 편의상 상기 제1회전축(15)에 구비되는 피니언을 제1피니언(P), 상기 제2회전축(15')에 구비되는 피니언(P)(P')을 제2피니언(P')이라 칭한다.
또한 상기 커튼월(1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이동롤러(19)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롤러(19)는 상기 커튼월(10)을 상기 벽체(W)(W')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롤러(19)의 개수는 상기 커튼월(10)의 길이에 따라서 결정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커튼월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튼월이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M)가 정방향, 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축(Ma)에 결합된 상기 제1기어(1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기어(11)에 기어결합된 상기 제2기어(1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11)에 구비되는 상기 제1주동풀리(13)는 제1기어(11)와 동일하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기어(11')에 구비되는 상기 제2주동풀리(13')는 제2기어(11')와 동일하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1주동풀리(13)와 제2주동풀리(13')에 벨트(B)(B')에 의하여 각각 연결된 상기 제1종동풀리(17) 및 제1회전축(15)과 상기 제2종동풀리(17') 및 제2회전축(15')도 각각 제1주동풀리(13) 또는 제2주동풀리(13')와 동일하게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축(15)에 구비되는 상기 제1피니언(P)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벽체(W)(W') 중 도면상 우측의 벽체(W)에 구비되는 상기 랙(R)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15')에 구비되는 상기 제2피니언(P')은 상기 벽체(W)(W') 중 도면상 좌측의 벽체(W')에 구비되는 상기 랙(R')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제1피니언(P)과 제2피니언(P')이 상기 벽체(W)(W')에 구비되는 랙(R)(R')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커튼월(10)이 도면상 우측을 향하여 상향경사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튼월(10)의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이동롤러(19)가 상기 커튼월(10)이 이동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튼월(10)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을 필요에 따라서 가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커튼월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평행한 한쌍의 벽체(W)(W') 사이에 상기 벽체(W)(W')의 길이방향으로 커튼월(2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레버(31)와 한쌍의 베벨기어(35)(37)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31)는 상기 커튼월(2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본체부(32)와 상기 본체부(32)의 양단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교되게 각각 밴딩되는 기어연결부(33)와 손잡이부(34)로 형성된다.
상기 기어연결부(33)는 그 일부가 상기 커튼월(20)의 내부에 수평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31)의 회전중심이 된다. 즉 상기 레버(31)는 상기 기어연결부(33)의 일부가 상기 커튼월(20)의 내부에 수평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기어연결부(33)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32) 및 손잡이부(3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4)는 상기 레버(31)를 회동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기어연결부(33)에는 상기 베벨기어(35)(37) 중 제1베벨기어(35)가 결합된다. 상기 제1베벨기어(35)는 상기 커튼월(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기어(21)의 제1기어축(22) 상에 구비되는 제2베벨기어(37)와 기어결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레버(31)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및 제2베벨기어(35)(37)가 회전하고, 상기 제2베벨기어(37)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기어(21)가 제1기어축 (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21)에는 제2기어(21')가 기어결합된다. 상기 제2기어(21')는 상기 제1기어(21)의 회전에 의하여 제1기어(21)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2기어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기어(21')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기어(21)와 제2기어(21')의 일면에는 제1주동벨트기어(23)와 제1주동벨트기어(23)와 제2주동벨트기어(23')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주동벨트기어(23)와 제2주동벨트기어(23')는 각각 상기 제1기어(21) 또는 제2기어(21')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커튼월(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제1회전축(25)과 제2회전축(25')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25)과 제2회전축(25')의 상하단부에는 상기 벽체(W)(W')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벽체(W)(W')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랙(R)(R')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랙(R)(R')을 따라서 이동하는 제1피니언(P)과 제2피니언(P')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회전축(25)과 제2회전축(25')에 제1종동벨트기어(27)와 제2종동벨트기어(27')가 구비된다. 상기 제1종동벨트기어(27)와 제2종동벨트기어(27')는 각각 상기 제1주동벨트기어(23)와 제2주동벨트기어(23')에 벨트(B)(B')로 연결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는 각각 프레임과 부재, 그리고 이동롤러이다. 도 1에 도 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프레임(F)과 외관부재(20B)는 상기 커튼월(20)을 구성하는 것이고, 상기 이동롤러(29)는 상기 커튼월(20)을 상기 벽체(W)(W')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4)를 잡고 상기 레버(31)를 회전시키면, 상기 기어연결부(33)에 결합된 상기 제1베벨기어(35) 및 상기 제1베벨기어(35)에 기어결합된 상기 제1베벨기어(35)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베벨기어(35)(37)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기어(21) 및 상기 제1기어(21)에 기어연결된 상기 제2기어(21')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1기어(21)와 제2기어(2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주동벨트기어(23)와 제2주동벨트기어(23')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주동벨트기어(23)와 제2주동벨트기어(23')의 회전에 의하여 이에 상기 벨트(B)(B')로 각각 연결된 상기 제2종동벨트기어(27')와 제2종동벨트기어(27')가 각각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종동벨트기어(27)와 제2종동벨트기어(27')가 구비되는 상기 제1회전축(25)과 제2회전축(25')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피니언(P)과 제2피니언(P')이 상기 벽체(W)(W')에 구비되는 상기 랙(R)(R')을 따라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커튼월(20)이 상기 벽체(W)(W')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튼월이 별도의 구동수단 및 구동 력전달수단이 삭제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커튼월을 상기 벽체의 길이방향으로 밀면, 상기 피니언이 상기 랙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커튼월이 이동하여 상기 벽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가변적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커튼월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커튼월이 서로 나란한 벽체 사이에 벽체를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커튼월에 의하여 건축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을 가변적으로 구획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건축물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서로 평행한 한쌍의 벽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그 양단이 인접되게 위치되는 커튼월과,
    상기 커튼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벽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커튼월의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랙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적어도 한쌍의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피니언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랙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피니언에 전달하는 구동력전달수단, 그리고
    상기 커튼월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이 상기 랙을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커튼월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커튼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은 상기 커튼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하로 길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회전축 상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벽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상하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각각 구비되는 상기 랙을 따라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커튼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기어와,
    상기 기어의 회전력을 각각 전달받아서 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한쌍의 주동풀리,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주동풀리와 각각 벨트연결됨으로써 주동풀리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한쌍의 종동풀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커튼월.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기어와,
    상기 기어의 회전력을 각각 전달받아서 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한쌍의 주동벨트기어,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주동벨트기어와 각각 체인연결됨으로써 주동벨트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한쌍의 종동벨트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커튼월.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직접 전달받아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기어결합되어 제1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커튼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월의 일측에는 그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커튼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기어가 결합되는 구동축이 구비되는 구동모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커튼월.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커튼월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키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제1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쌍의 베벨기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커튼월.
  9.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서로 평행한 한쌍의 벽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그 양단이 인접되게 위치되는 커튼월과,
    상기 커튼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벽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커튼월의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랙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적어도 한쌍의 피니언, 그리고
    상기 커튼월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이 상기 랙을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커튼월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튼월을 상기 벽체의 길이방향으로 밀면 상기 피니언이 랙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커튼월이 이동되어 벽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가변적으로 구획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커튼월.
KR2020060001603U 2006-01-18 2006-01-18 이동식 커튼월 KR200413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603U KR200413694Y1 (ko) 2006-01-18 2006-01-18 이동식 커튼월
JP2008551182A JP2009523936A (ja) 2006-01-18 2007-01-17 空間仕切り装置
PCT/KR2007/000283 WO2007083922A1 (en) 2006-01-18 2007-01-17 A space parti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603U KR200413694Y1 (ko) 2006-01-18 2006-01-18 이동식 커튼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694Y1 true KR200413694Y1 (ko) 2006-04-10

Family

ID=4176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603U KR200413694Y1 (ko) 2006-01-18 2006-01-18 이동식 커튼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6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659B1 (ko) 2006-04-25 2007-09-13 김성철 이동식 커튼월
KR100887436B1 (ko) * 2007-05-25 2009-03-10 김성철 회전식 커튼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659B1 (ko) 2006-04-25 2007-09-13 김성철 이동식 커튼월
KR100887436B1 (ko) * 2007-05-25 2009-03-10 김성철 회전식 커튼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2534B2 (ja) 冷蔵庫
KR101285257B1 (ko) 미닫이 도어를 갖는 냉장고
CN102007260B (zh) 气窗旋转机构
CN101133227A (zh) 操纵屏帘如窗帘的操纵装置
JP6697933B2 (ja) プラグドア装置
KR200413694Y1 (ko) 이동식 커튼월
KR100805366B1 (ko)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CN113876173A (zh) 一种电动窗帘装置
EP3091315B1 (en) Refrigerator
KR100828924B1 (ko) 덮개체 및 그 구동구조
KR100758659B1 (ko) 이동식 커튼월
KR200435551Y1 (ko) 이동식 커튼월
JP2009523936A (ja) 空間仕切り装置
CN212465430U (zh) 滑动装置
KR101606533B1 (ko)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JP2012188858A5 (ko)
KR100639666B1 (ko) 전동식 창호 작동장치
US20090049751A1 (en) Anti-tilting, pivotable, sliding panels
NO319463B1 (no) Skyveport med motordrevet portdel som kan forskyves horisontalt for a stenge og frilegge en apning.
KR200453010Y1 (ko) 레일조립체
JP4782534B2 (ja) 自動扉開閉装置
KR200446454Y1 (ko)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KR101124207B1 (ko) 자전거 수납부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JP5147005B2 (ja) 自動ドア
KR920008927Y1 (ko) 원반 마찰차를 이용한 무단변속 및 역전 전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