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533B1 -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533B1
KR101606533B1 KR1020140032437A KR20140032437A KR101606533B1 KR 101606533 B1 KR101606533 B1 KR 101606533B1 KR 1020140032437 A KR1020140032437 A KR 1020140032437A KR 20140032437 A KR20140032437 A KR 20140032437A KR 101606533 B1 KR101606533 B1 KR 101606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bevel
bevel ge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9558A (ko
Inventor
이인숙
Original Assignee
이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숙 filed Critical 이인숙
Priority to KR1020140032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53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기어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나의 랙 기어를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제1 기어와,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기어축이 상기 제1 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랙 기어에 이웃한 다른 랙 기어를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제2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기어로부터 상기 제2 기어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역회전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greenhouse}
본 발명은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개폐장치로 복수의 온실 천장용 환기창을 개폐할 수 있는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PE 필름 등과 같은 경질 필름이나 기타 온실 피복 재료를 사용해 제작되는 온실은 지붕이 용마루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거나 원형인 경우가 많다.
용마루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지붕이 형성된 경우 지붕의 일부에 환기용 창이 여러 개 설치되며, 한국특허등록 제10-104505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환기용 창을 개폐하는 개폐장치가 사용된다. 온실의 지붕이 원형인 경우에는 온실의 측면을 개폐하는 방식이 적용된 경우가 많다.
그런데 전술한 선행기술의 경우, 하나의 환기용 창에 각각 하나씩의 개폐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지지 골조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여 온실의 설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온실 시공 비용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하고 온실의 지지 골조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폐장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5050호(등록일: 2011년 06월 2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동력수단을 사용하는 개폐장치로 복수의 온실용 환기창을 개폐할 수 있어 설치 공간을 줄이고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기어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나의 랙 기어를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제1 기어와,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기어축이 상기 제1 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랙 기어에 이웃한 다른 랙 기어를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제2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기어로부터 상기 제2 기어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역회전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외부의 동력수단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되는 회전 기어와, 상기 회전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제1 기어의 기어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3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회전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 기어의 기어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제1 베벨 기어와, 상기 제1 베벨 기어에 치합되는 제2 베벨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의 기어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베벨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제2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3 베벨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회전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 및 제3 베벨 기어와 치합되되 상기 제2 베벨 기어와 대칭적으로 배치된 제4 베벨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회전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2 베벨 기어 또는 상기 제4 베벨 기어 또는 상기 제2 베벨 기어 및 제4 베벨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결합되는 지지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블럭은 관통 형성된 축지지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베벨 기어의 기어축은 상기 제3 베벨 기어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축지지보어에 삽입되고, 상기 제3 베벨 기어의 기어축은 상기 제1 베벨 기어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축지지보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블럭은 외부 일측에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축은 상기 지지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서로 다른 축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역회전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의해 상기 제1 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기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개폐장치로 복수의 환기창을 한꺼번에 개폐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개폐장치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온실의 지지 골조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동력수단으로 개폐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어 비용 절감의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의 제1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의 제2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의 제3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의 제4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의 제4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의 제5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의 제5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의 환기창 개폐 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의 환기창 개폐 시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편의상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온실(100)에는 수직 방향의 기본 골조인 기둥(110)과, 수평 방향의 골조를 이루는 수평 트러스(130), 지붕(170)을 지지하는 지붕 트러스(150)가 구비된다(도 6 참조). 본 발명의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300)는 온실(100)의 수평 트러스(130)에 설치되며, 환기창 힌지(17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의 환기구(172)를 개폐하는 복수의 환기창(174)을 작동시킨다. 온실의 환기창(174)은 동력원을 제공하는 동력수단(200)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장치(300, 400)와, 개폐장치(300, 400)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수단(500)에 의해 개폐된다. 동력수단(200)은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양방향 모터로써 개폐장치(300) 하나 당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며, 모터의 회전력이 개폐장치(300)의 회전축(312)으로 전달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개폐장치는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개폐장치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300)는 프레임(300a)과, 프레임(300a)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구성품들로 이루어진다.
프레임(300a)은 박스형으로 형성되며, 도면을 기준으로 프레임(300a)의 양측면과 평행하게 이격된 판상의 브래킷(300b)이 복수 개 구비된다. 브래킷(300b)은 회전 기어(310)의 길이만큼 프레임(300a)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다.
프레임(300a)에 수납되는 구성품들로는 프레임(300a) 상에 설치되며 기어축(332)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랙 기어(510)를 직선 운동시키는 제1 기어(330)와, 프레임(300a) 상에 설치되며 기어축(342)이 제1 기어(33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랙 기어(520)를 직선 운동시키는 제2 기어(340)와, 제1 기어(330)와 제2 기어(3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기어(330)로부터 제2 기어(340)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제1 기어(33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2 기어(340)를 회전시키는 역회전 동력전달수단(370)이 있다. 또한, 외부의 동력수단(20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축(312)이 회전되는 회전 기어(310)와, 회전 기어(310)에 치합되고 제1 기어(330)의 기어축(332)에 결합되어 제1 기어(330)를 회전시키는 제3 기어(350)가 있다. 여기서 제1 기어(330)와 제2 기어(340)는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래킷(300b)이 구비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브래킷(300b)을 없애고 회전 기어(310)의 회전축(312)을 연장해 프레임(300a) 상에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별도의 브래킷(300b) 없이 프레임(300a)의 형상을 변경해 구성품들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나 돌기 등을 추가할 수도 있다.
회전 기어(310)는 프레임(300a)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축(312)의 일단은 프레임(300a)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동력수단(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프레임(300a)의 일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된 브래킷(300b)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회전 기어(310)는 프레임(300a)의 일측면과 브래킷(300b)의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축(310)에 의해 프레임(300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기어(3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3 기어(35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3 기어(350)는 회전 기어(310)와 치합되며, 한 개 또는 2개로 구비되어 회전 기어(310)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된다. 제3 기어(350)는 제1 기어(330)의 기어축(332)에 결합되어 제1 기어(330)와 함께 회전한다.
제1 기어(330)는 제3 기어(350)와 함께 회전하며, 제1 기어(330)의 기어축(332)은 후술할 역회전 동력전달수단(370)과 연결된다. 제1 기어(330)는 일단이 프레임(300a)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브래킷(300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기어(330)는 후술할 작동수단(500)의 제1 랙 기어(510)와 치합되어 제1 랙 기어(510)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시킨다(도 9 참조). 즉, 제1 기어(330) 및 제1 랙 기어(510)에 의해 동력수단(200)으로부터 전달된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롤러(390)는 제1 기어(330) 및 후술할 제2 기어(340)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며, 프레임(300a) 또는 프레임(300a)과 브래킷(300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390)는 제1 랙 기어(51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 랙 기어(5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어(340)는 역회전 동력전달수단(370)에 의해 기어축(342)이 제1 기어(330)의 기어축(332)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기어(340)는 일단이 프레임(300)의 타측면에 회전 가능게 지지되고, 타단이 브래킷(3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기어(340)는 역회전 동력전달수단(370)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으므로 동력수단(200)과 별도로 연결될 필요는 없다. 제2 기어(340)는 후술할 작동수단(500)의 제2 랙 기어(520)와 치합되어 제2 랙 기어(520)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 시킨다(도 9 참조). 즉, 제2 기어(340) 및 제2 랙 기어(520)에 의해 동력수단(200)으로부터 전달된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제2 랙 기어(52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390) 역시 제2 기어(34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역회전 동력전달수단(370)은 제1 기어(330)의 기어축(332)에 결합되어 제1 기어(330)와 함께 회전되는 제1 베벨 기어(371)와, 제1 베벨 기어(371)에 치합되는 제2 베벨 기어(373)와, 제2 기어(340)의 기어축(342)에 결합되어 제2 베벨 기어(373)에 치합되고 제2 기어(340)와 함께 회전하는 제3 베벨 기어(3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베벨 기어(371)는 기어축(371a)의 일단이 제1 기어(330)의 기어축(332)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은 제3 베벨 기어(375)를 향해 연장된다. 제2 베벨 기어(373)는 기어축(미도시)이 제1 베벨 기어(371)의 기어축(371a)과 직각을 이루며, 제1 베벨 기어(371)에 의해 제1 베벨 기어(37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3 베벨 기어(375)는 기어축(375a)이 제2 베벨 기어(373)의 기어축과 직각을 이루며, 제2 베벨 기어(373)에 의해 제1 베벨 기어(371)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3 베벨 기어(375)는 기어축(375a)의 일단이 제2 기어(340)의 기어축(342)과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은 제1 베벨 기어(371)를 향해 연장된다. 제1 베벨 기어(371)와 제3 베벨 기어(375)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제1 랙 기어(510)와 제2 랙 기어(5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후술할 작동수단(500)의 제1 작동바(530)와 제2 작동바(550)의 작동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므로 제1 작동바(530)와 제2 작동바(550)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작동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30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역회전 동력전달수단(370)에 추가로 제4 베벨 기어(377)가 구비된 것이다. 제4 베벨 기어(377)는 제3 베벨 기어(375)의 기어축(375a)과 직각을 이루는 기어축(377a)을 가진다. 제4 베벨 기어(377)는 제1 및 제3 베벨 기어(371, 373)와 치합되고, 제2 베벨 기어(373)와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제4 베벨 기어(377)는 다른 구성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라기보다는 제1 및 제3 베벨 기어(371, 373)의 작동 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제1 및 제3 베벨 기어(371, 373)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거나 치합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도움을 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300)는 전술한 제2 실시 예의 역회전 동력전달수단(370)에 추가로 제2 베벨 기어(373) 및 제4 베벨 기어(37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프레임(300a)에 대해 결합되는 지지블럭(378)이 구비된 것이다. 지지블럭(378)은 제2 베벨 기어(373) 및 제4 베벨 기어(377)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역회전 동력전달수단(370)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즉, 지지블럭(378)에 의해 제2 베벨 기어(373) 및 제4 베벨 기어(377)가 프레임(300a)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외력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에도 영향을 적게 받으며 제1 베벨 기어(371) 및 제3 베벨 기어(375)와 치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300)는 전술한 제3 실시 예의 역회전 동력전달수단(370)에 추가로 축결합부(379)가 구비된 것으로, 제1 및 제3 베벨 기어(371, 375)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축결합부(379)는 전술한 제1 및 제3 베벨 기어(371, 375)의 연장된 기어축(371a, 375a)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연장된 기어축(371a, 375a)이 축결합부(379)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제1 및 제3 베벨 기어(371, 375)는 기어축(371a, 375a)의 양단이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3 베벨 기어(371, 375)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설치 장소가 협소한 경우 역회전 동력전달수단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개폐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그에 따른 개폐장치의 제5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예들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400)은 프레임(400a)의 크기를 줄이면서 브래킷(300b)을 없애고, 역회전 동력전달수단(470)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변경함으로써 개폐장치(400)의 크기를 줄인 것이다. 프레임(400a)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구성품은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즉, 프레임(400a) 상에 설치되며 기어축(432)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랙 기어(510)를 직선 운동시키는 제1 기어(330)와, 프레임(400a) 상에 설치되며 기어축(442)이 제1 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랙 기어(520)를 직선 운동시키는 제2 기어(440)와, 제1 기어(430)와 제2 기어(4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기어(430)로부터 제2 기어(440)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제1 기어(43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2 기어(440)를 회전시키는 역회전 동력전달수단(370)이 있다. 또한, 외부의 동력수단(20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축(412)이 회전되는 회전 기어(410)와, 회전 기어(410)에 치합되고 제1 기어(430)의 기어축(432)에 결합되어 제1 기어(430)를 회전시키는 한 개의 제3 기어(450)가 있다. 롤러(490)는 제1 기어(430) 및 제2 기어(440)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랙 기어(510) 및 제2 랙 기어(5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가 설치된다. 두 개의 롤러(490)가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어 각각의 일단은 프레임(40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프레임(400a)에 결합된 롤러 지지블럭(49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렇게 구성된 롤러(490)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회전 기어(410)는 제2 기어(440)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3 기어(450)에 치합될 수 있는 부분에만 기어 이(tooth)가 형성된다. 또한, 제1 기어(430)와 제2 기어(440)는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회전 동력전달수단(470)은 전술한 제4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베벨 기어(471), 제2 베벨 기어(473), 제3 베벨 기어(475), 제4 베벨 기어(477), 그리고 지지블럭(47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베벨 기어(471)와 제3 베벨 기어(475)는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고, 제2 베벨 기어(473)와 제4 베벨 기어(479)는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지지블럭(479)에는 제1 베벨 기어(471)와 제3 베벨 기어(475)의 중심 축선 방향을 따라 축지지보어(479a)가 관통 형성된다. 제1 베벨 기어(471)의 기어축(471a)은 제3 베벨 기어(475)를 향해 연장되고, 제3 베벨 기어(475)의 기어축(475a) 역시 제1 베벨 기어(471)를 향해 연장된다. 연장된 각각의 기어축(471a, 475a)은 축지지보어(479a)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제1 베벨 기어(471) 및 제3 베벨 기어(475)의 기어축(471a, 475a)은 양단이 각각 지지되므로 제1 베벨 기어(471) 및 제3 베벨 기어(475)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블럭(479)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제2 베벨 기어(473) 및 제4 베벨 기어(479)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블럭(479)은 별도로 고정되는 부분 없이 외부 일측이 회전 기어(410)의 회전축(412)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롤러 지지블럭(492)의 일측에 의해 지지된다. 이를 위해 지지블럭(479)의 외부 일측에는 회전축(41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홈(479b)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블럭(479)은 프레임(400a)이 조립된 후 회전축(412)에 의해 하향 가압되고, 롤러 지지부(472)에 의해 상향 가압되어 설치 위치가 유지된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역회전 동력전달수단(370, 470)이 4개의 베벨 기어로 구성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기어(330, 430)의 회전력을 제2 기어(340, 440)로 전달하고 제1 기어(330, 43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2 기어(340, 440)를 회전시킬 수만 있다면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기어(330, 430)과 제2 기어(340, 440)가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서로 다른 축선 상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430')와 제2 기어(440')가 서로 다른 축선 상에 배치되고, 제1 기어(430')와 제2 기어(440')의 사이에 역회전 동력전달수단(470')가 설치될 수 있다. 역회전 동력전달수단(470')은 제1 기어(430') 및 제2 기어(440')에 치합되고, 제1 기어(430')에 의해 제1 기어(43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개의 기어일 수 있다. 역회전 동력전달수단(470')은 제1 기어(430')의 회전력을 제2 기어(440')로 전달함과 동시에 제2 기어(440')를 제1 기어(430')와 반대로 회전시킨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수단(500)은 제1 기어(430)와 치합되는 제1 랙 기어(510)와, 제2 기어(440)와 치합되는 제2 랙 기어(520)와, 제1 랙 기어(510) 상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환기창(174)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 작동바(530)와, 제1 작동바(5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힌지(540)와, 제2 랙 기어(520) 상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환기창(174)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2 작동바(550)와, 제2 작동바(5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힌지(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작동바(530) 및 제2 작동바(550)는 제3 힌지(570) 및 제4 힌지(580)에 의해 환기창(17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편의상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함).
제1 작동바(530)는 제1 랙 기어(510) 상에 일렬로 배치되거나 한 쌍씩 짝을 지어 배치된다. 제1 작동바(530)는 일단이 제1 랙 기어(5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랙 기어(510)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고, 타단은 제1 랙 기어(510)의 움직임에 따라 환기창(174)을 밀거나 당겨 환기구(172)를 개폐한다.
제2 작동바(550)는 제2 랙 기어(520) 상에 일렬로 배치되거나 한 쌍씩 짝을 지어 배치된다. 제2 작동바(550)는 제1 작동바(530)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작동바(53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며 반대 방향의 환기창(174)을 개폐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작동바(530)와 제2 작동바(550)는 정면에서 보면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보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작동바(530)와 제2 작동바(5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랙 기어(510) 및 제2 랙 기어(520) 상에 결합될 수도 있고, 제1 랙 기어(510) 및 제2 랙 기어(520)에 결합되는 별도의 지지 구조물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 랙 기어(510) 및 제2 랙 기어(520)를 온실(100)의 수평 트러스(130) 길이에 대응하도록 길게 연장하여 그 위에 제1 작동바(530) 및 제2 작동바(550)를 결합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 랙 기어(510) 및 제2 랙 기어(520)를 개폐장치(400)의 프레임(400a) 외부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하고 바(bar) 형태를 갖는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결합시킨 후 그 위에 제1 작동바(530) 및 제2 작동바(55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개폐장치의 제어는 별도의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온실에는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 등이 설치되어 온습도 측정값이 컨트롤러로 입력되며, 입력된 온습도 측정값에 따라 개폐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온실의 환기창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컨트롤러의 조작을 통해 개폐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온실의 환기창을 개폐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 도 7,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의 환기창 개폐 시 작동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편의상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함).
먼저 환기창을 밀어 환기구를 개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동력수단(200)인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력이 개폐장치(400)에 구비된 회전기어(410)의 회전축(412)으로 전달된다. 회전 기어(4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 기어(412)에 치합된 제3 기어(4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기어(430)의 기어축(432)에 결합된 제3 기어(450)가 회전하면서 제1 기어(430)와 함께 회전하므로 제1 기어(4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기어(430)와 롤러(490)의 사이에는 제1 랙 기어(510)가 삽입되는데, 제1 랙 기어(510)는 제1 기어(430)에 치합되고 롤러(490) 위에 놓인 상태로 제1 기어(430)에 의해 A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제1 랙 기어(510) 상에는 복수의 제1 작동바(530)가 제1 힌지(5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랙 기어(510)가 A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때 제1 랙 기어(510)에 의해 움직여 환기창(174)을 밀어 환기구(172)를 개방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나의 제1 작동바(530)는 일단이 제1 랙 기어(510) 상에 결합되고 타단은 환기창(174)의 일측에 결합된다. 제1 작동바(530)는 한 쌍이 서로 이웃한 환기창(174)을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서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제1 랙 기어(510) 상에 결합된다. 이를 위에서 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작동바(530)가 서로 'V'자 형상을 이루며 배치된다.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작동바(530)는 제1 랙 기어(510) 상에 환기창(174)의 수만큼 배치되어 환기창(174)을 작동시킨다.
제1 작동바(530)는 제1 랙 기어(510)가 원래의 위치에서 정지해 있을 때 제1 작동바(530)의 제1 힌지(354)와 환기창(174)의 거리가 가장 멀다. 그런데 제1 랙 기어(510)가 A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작동바(530)의 제1 힌지(540) 쪽 단부가 환기창(174)과 점점 가까워지게 되고, 그에 따라 지붕(170)의 외측을 향해 환기창(174)을 밀어 올리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개폐장치(4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1 기어(430)의 기어축(43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기어축(432)에 결합된 제1 베벨 기어(47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 베벨 기어(471)의 회전에 따라 제1 베벨 기어(471)와 직각을 이루는 제2 베벨 기어(473)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베벨 기어(473)와 직각을 이루는 제3 베벨 기어(47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3 베벨 기어(475)는 제2 기어(440)의 기어축(442)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 기어(440)는 제3 베벨 기어(475)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제2 기어(44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 기어(440)와 롤러(490)의 사이에는 제2 랙 기어(520)가 삽입되는데, 제2 랙 기어(520)는 제2 기어(440)에 치합되고 롤러(490) 위에 놓인 상태로 제2 기어(440)에 의해 B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제2 랙 기어(520) 상에는 복수의 제2 작동바(550)가 제2 힌지(5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랙 기어(520)가 B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때 제2 랙 기어(520)에 의해 움직여 환기창(174)을 밀어 환기구(172)를 개방한다. 이때 제2 랙 기어(520)가 이동하는 방향이 제1 랙 기어(510)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이므로, 제2 작동바(550)는 제1 작동바(530)와 반대 방향에 있는 환기창(174)을 작동시켜 환기구(172)를 개방하게 된다.
제1 작동바(530) 및 제2 작동바(550)의 작동 반경은 제1 작동바(530) 및 제2 작동바(550)가 작동시키는 환기창(174)이 위치한 환기구(172)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다음으로 환기창을 끌어당겨 환기구를 폐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환기구의 폐쇄는 개방 과정과 반대로 이루어진다.
제1 기어(430)의 기어축(43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기어축(432)에 결합된 제1 베벨 기어(47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 베벨 기어(471)의 회전에 따라 제1 베벨 기어(471)와 직각을 이루는 제2 베벨 기어(473)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베벨 기어(473)와 직각을 이루는 제3 베벨 기어(47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3 베벨 기어(475)는 제2 기어(440)의 기어축(442)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 기어(440)는 제3 베벨 기어(475)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제2 기어(44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랙 기어(520)는 제2 기어(440)에 의해 A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며, 제2 랙 기어(520)에 의해 제2 작동바(550)가 환기창(174)을 당겨 환기구(172)를 폐쇄한다. 이때 제2 랙 기어(520)가 이동하는 방향이 제1 랙 기어(510)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이므로, 제2 작동바(550)는 제1 작동바(530)와 반대 방향에 있는 환기창(174)을 작동시켜 환기구(172)를 폐쇄하게 된다.
제1 작동바(530) 및 제2 작동바(550)의 작동 반경은 제1 작동바(530) 및 제2 작동바(550)가 작동시키는 환기창(174)이 위치한 환기구(172)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개폐장치가 두 개의 랙 기어를 작동시킬 수 있고, 하나의 랙 기어에 복수의 작동바가 결합되어 한꺼번에 여러 환기창을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함은 물론이고, 개폐장치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온실의 지지 골조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온실 130: 수평 트러스
150: 지붕 트러스 172: 환기구
174: 환기창 200: 동력수단
300, 400: 개폐장치 300a, 400a: 프레임
310, 410: 회전 기어 330, 430: 제1 기어
340, 440: 제2 기어 350, 450: 제3 기어
370, 470: 역회전 동력전달수단
500: 구동 수단

Claims (11)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기어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나의 랙 기어를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제1 기어와,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기어축이 상기 제1 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랙 기어에 이웃한 다른 랙 기어를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제2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기어로부터 상기 제2 기어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역회전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외부의 동력수단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되는 회전 기어와, 상기 회전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제1 기어의 기어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3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 기어의 기어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제1 베벨 기어와, 상기 제1 베벨 기어에 치합되는 제2 베벨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의 기어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베벨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제2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3 베벨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 및 제3 베벨 기어와 치합되되 상기 제2 베벨 기어와 대칭적으로 배치된 제4 베벨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2 베벨 기어 또는 상기 제4 베벨 기어 또는 상기 제2 베벨 기어 및 제4 베벨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결합되는 지지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은 관통 형성된 축지지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베벨 기어의 기어축은 상기 제3 베벨 기어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축지지보어에 삽입되고, 상기 제3 베벨 기어의 기어축은 상기 제1 베벨 기어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축지지보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은 외부 일측에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축은 상기 지지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서로 다른 축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의해 상기 제1 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KR1020140032437A 2014-03-20 2014-03-20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KR101606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437A KR101606533B1 (ko) 2014-03-20 2014-03-20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437A KR101606533B1 (ko) 2014-03-20 2014-03-20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558A KR20150109558A (ko) 2015-10-02
KR101606533B1 true KR101606533B1 (ko) 2016-03-25

Family

ID=5434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437A KR101606533B1 (ko) 2014-03-20 2014-03-20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704B1 (ko) 2019-03-18 2020-05-20 한국농어촌공사 온실용 일체형 창호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515B1 (ko) * 2016-11-14 2018-09-14 주식회사 탑이엔지 다지붕 연동 온실용 자동 수평예인권취식 다겹보온커튼 개폐장치
KR102204831B1 (ko) 2018-12-05 2021-01-19 (주)유비엔 스마트 팜용 모터 일체형 온실 환기창 개폐용 구동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456B1 (ko) 2006-01-24 2006-09-06 (유)코리아농업개발 더블 트러스트 레일 온실 천창 개폐장치
CN202722083U (zh) 2012-07-12 2013-02-13 庞志强 卧式食用菌培养料装袋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456B1 (ko) 2006-01-24 2006-09-06 (유)코리아농업개발 더블 트러스트 레일 온실 천창 개폐장치
CN202722083U (zh) 2012-07-12 2013-02-13 庞志强 卧式食用菌培养料装袋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704B1 (ko) 2019-03-18 2020-05-20 한국농어촌공사 온실용 일체형 창호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558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533B1 (ko)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KR100620456B1 (ko) 더블 트러스트 레일 온실 천창 개폐장치
EP3262266B1 (en) Actuating device for moving a barrier
JP2006266013A (ja) 上げ下げ窓
JP6487682B2 (ja) 窓サッシ
KR102362383B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JP5373646B2 (ja) 駆動装置、開閉装置、及び該開閉装置を備える開口部装置
KR101442135B1 (ko)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환기 시스템
JP5421801B2 (ja) 開口部装置
KR101124987B1 (ko) 전동식 갤러리 창호
KR102113704B1 (ko) 온실용 일체형 창호 개폐장치
KR101952353B1 (ko) 스마트 픽셀 블라인드
KR200417915Y1 (ko) 창호 반자동 개폐장치
KR100675347B1 (ko) 전동창문용 구동장치
JP2011169086A (ja) ブラインド
KR101259717B1 (ko) 블라인드
KR101162021B1 (ko) 천정형 버티칼 블라인드
JP2006241673A (ja) 建具
KR101763296B1 (ko)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인테리어 창문 개폐장치
CN215632682U (zh) 一种卷帘门侧板和支架板双联
JP5628592B2 (ja) 開閉装置
JP6783678B2 (ja) 回転操作装置
JP6320890B2 (ja) 電動建具
JP2011157681A (ja) 自然換気窓
KR20140143255A (ko) 하우스용 양축형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