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383B1 -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383B1
KR102362383B1 KR1020200010882A KR20200010882A KR102362383B1 KR 102362383 B1 KR102362383 B1 KR 102362383B1 KR 1020200010882 A KR1020200010882 A KR 1020200010882A KR 20200010882 A KR20200010882 A KR 20200010882A KR 102362383 B1 KR102362383 B1 KR 102362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crew shaft
dog
motor
plastic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7329A (ko
Inventor
박수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10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3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7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천장에 설치되어 보온덮개를 개방하거나 닫는 와이어를 권취하는 개폐기에 설치된 제어기의 확인 및 조절을 편하게 할 수 있게 한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하나 이상의 소형하우스를 갖는 이중 비닐하우스 천정에 설치되어 두 개의 와이어를 교번적으로 당기거나 풀어줌에 의해 와이어가 내부 소형하우스의 보온덮개를 개폐 작동하는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귄취되는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저속 큰 구동력으로 감속하는 감속기; 상기 감속기를 구성하는 기어조립체에 치합되어 기어조립체의 구동을 하기 조절기에 연결하는 연결기어; 회전봉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기어와 치합되는 입력기어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감속기의 기어에 결합되는 출력기어가 일체화된 전달기어;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기어와 치합되는 나사축기어와, 상기 나사축기어의 일측에 연장된 도그나사축과, 상기 도그나사축에 설치되어 나사축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도그와, 상기 도그의 이동에 의해 작동하는 두 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파이프와 각을 이루어 전면이 아래 쪽 대각선을 향하도록 설치된 조절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winding motor for vinyl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천장에 설치되어 보온덮개를 개방하거나 닫는 와이어를 권취하는 개폐기에 설치된 제어기의 확인 및 조절을 편하게 할 수 있게 한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의 속성재배나 동절기 재배를 위한 보온 시설로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이 많이 이용되고 있고, 이러한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재배시설"이라 통칭함)은 그 규모에 따라 다르나 다수의 종횡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골조를 형성하고 그 골조 위에 비닐 필름이나 유리창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재배시설은 재배되는 작물의 특성에 따라 내부의 온도 조절은 물론 환기를 위해 양측 또는 천장에 환기 또는 보온 시설(이하, "환기시설"이라 통칭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환기시설의 일예는 비닐하우스에 일부에 덥힌 비닐이나 천(이하, "비닐"이라 통칭함)과, 이들을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 양측의 일부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개방시켜 창을 형성하고, 이 창에 개폐용 비닐을 설치하여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파이프에 개폐용 비닐이 권취되거나 풀리게 하여 창이 개폐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권취파이프를 회전시키는 수단이 귄취파이프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권취파이프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는 수동으로 구성된 것이 있으나 창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최근에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를 비롯한 온실의 환기장치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내부에 소형하우스를 갖는 비닐하우스 천정 중앙에서 구동수단의 정,역구동에 의해 비닐하우스 측벽 중앙의 가이드롤러에 안내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교대로 당김 및 풀림 작동하되, 제1,2와이어는 내부 소형하우스의 보온덮개 끝단에 연결되어 보온덮개를 개폐작동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비닐하우스의 측벽 하부에 가이드롤러와, 보온덮개의 끝단 및 상부에 다수의 고정클립을 설치하고, 다수의 고정클립과 가이드롤러를 차례로 통과하는 작동와이어의 일측 방향 단부와 타측 방향 단부가 제1와이어 끝단에 연결되어, 제1와이어의 당김과 풀림 작동에 의해 작동와이어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이 동시에 당김과 풀림작동하면서 보온덮개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의 개폐장치이고,
특허문헌 2는 비닐하우스의 상단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되, 일정간격으로 권취드럼이 설치되어 있으며, 끝단 외주면으로는 영구자석이 설치된 회전축과;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되, 타원형 통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베벨기어가 내재되어 회전축과 DC모터가 직교되도록 하여 DC모터의 동력을 회전축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기어박스와; 기어박스의 전면에 설치되되, 회전축에 설치된 영구자석의 자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회전축의 회전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자기센서와; 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DC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패널과; 기어박스에 설치되어 회전축을 정ㅇ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된 DC모터로 이루어진 것이고,
특허문헌 3은 비닐이나 견인줄이 권취되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출력축이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고, 모터의 모터축을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켜 수동회전부를 형성하여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한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비닐하우스 개폐장치를 구비한 비닐하우스의 일예를 도 10에 도시하였고, 도시한 바와 같이 큰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소형하우스에 보온덮개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였고, 이 보온덮개는 와이어와 개폐기의 구동에 의해 개폐동작한다.
이러한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에서 개폐기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큰 외부비닐하우스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렇게 설치된 개폐기의 제어기를 확인하거나 조절하기 위해서는 비닐하우스의 천장까지 올라가야하고, 제어기가 수평으로 설치되거나 위에 서리되었을 경우에는 작업자의 머리가 비닐하우스에 걸려 이를 확인하거나 조절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9-013271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884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90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비닐하우스의 천장에 설치되어 보온 덮개를 개방하거나 닫는 와이어를 권취하는 개폐기에 설치된 제어기의 확인 및 조절을 편하게 할 수 있게 한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소형하우스를 갖는 이중 비닐하우스 천정에 설치되어 두 개의 와이어를 교번적으로 당기거나 풀어줌에 의해 와이어가 내부 소형하우스의 보온덮개를 개폐 작동하는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귄취되는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저속 큰 구동력으로 감속하는 감속기; 상기 감속기를 구성하는 기어조립체에 치합되어 기어조립체의 구동을 하기 조절기에 연결하는 연결기어; 회전봉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기어와 치합되는 입력기어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감속기의 기어에 결합되는 출력기어가 일체화된 전달기어;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일측에 연장된 도그나사축과, 상기 도그나사축에 설치되어 종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도그와, 상기 도그의 이동에 의해 작동하는 두 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파이프와 각을 이루어 전면이 아래 쪽 대각선을 향하도록 설치된 조절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기어의 단부에는 지지단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조절기는 구성하는 리미트베이스의 지지단부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지지홈이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기어의 중심에는 나사축결합홀이 형성되되, 도그나사축을 향한 단부는 내주면이 다각으로 형성되어 다각으로 이루어진 나사축고정부를 형성하고, 그 안쪽에는 도그나사축의 외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자유공간부를 형성하였고, 상기 도그나사축의 일단에는 상기 나사축고정부에 결합되는 다각결합단부를 형성하여 도그나사축의 다각결합부가 자유공간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도그나사축을 회전시킴에 의해 도그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나사축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나사축의 일측 단부에는 나사축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나사축기어와 치합되는 조절기어와, 상기 조절기어를 회전시켜 스위치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의 스위치나사축의 일측에는 스위치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하는 가이드바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는 비닐하우스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어도 조절기의 확인 및 조절을 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조절기의 전면이 아래를 향하되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편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조절기를 조작하거나 확인할 때 작업자의 머리가 비닐하우스에 부딪히지 않고 쉽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의 일예의 상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를 구성하는 조절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를 구성하는 조절기의 일부만의 확대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를 구성하는 전달기어와 감속기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를 구성하는 종동기어와 도그나사축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를 구성하는 종동기어와 도그나사축의 단면도
도 9는 종래 개폐기를 구비한 비닐하우스의 정면도
도 10은 종래 개폐기의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어도 조절기의 확인 및 조절을 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소형하우스를 갖는 이중 비닐하우스 천정에 설치되어 두 개의 와이어를 교번적으로 당기거나 풀어줌에 의해 와이어가 내부 소형하우스의 보온덮개를 개폐 작동하는 개폐기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0), 감속기(20), 조절기(50)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의 회전력을 조절기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로 연결기어(30)와 전달기어(4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요지가 되는 기술은 도 1과 같이, 비닐하우스의 프레임에 설치되었을 때 조절기(50)가 아래쪽에 향하도록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었을 때 조절기의 전면이 권취파이프와 각을 이루어 아래 쪽 대각선을 향하여 작업자가 조절기를 볼 때 아래쪽에서 고개를 뒤로 젖히지 않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가 귄취되는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모터(10);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저속 큰 구동력으로 감속하는 감속기(20); 상기 감속기를 구성하는 기어조립체에 치합되어 기어조립체의 구동을 하기 조절기에 연결하는 연결기어(30); 회전봉(41)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기어와 치합되는 입력기어(42)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감속기의 기어에 결합되는 출력기어(43)가 일체화된 전달기어(40);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51)와, 상기 종동기어의 일측에 연장된 도그나사축(52)과, 상기 도그나사축에 설치되어 종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도그(53)와, 상기 도그의 이동에 의해 작동하는 두 개의 스위치(54o, 54c)로 이루어지고,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파이프와 각을 이루어 전면이 아래 쪽 대각선을 향하도록 설치된 조절기(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10)는 통상의 모터 중 하나이고, 감속기(20)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제10-08899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상기 연결기어(30)는 감속기에 연결된 출력축에 스위칭기어(23)를 설치하고, 이 스위칭기어(23)에 치합되도록 상기 연결기어(30)를 설치하여 출력축의 회전력이 조절기에 전달되어 조절기(50)의 도그(53)를 이동시킴에 의해 두 개의 스위치(54o, 54c)를 작동시킨다.
상기 전달기어(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기어(23)와 치합되는 입력기어(42)로부터 연장된 원기둥 형상의 회전봉(41)의 타단에 출력기어(43)를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출력기어가 조절기를 구성하는 종동기어(51)를 회전시킴에 의해 동동기어에 일체로 결합된 도그나사축(53)이 회전하고, 도그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그가 좌우로 왕복 운동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상기 전달기어(40)는 본 발명의 개폐기를 구성하는 조절기가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스위칭기어와 조절기 사이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봉의 단부에 각각 입력기어(42)와 출력기어(43)를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입력기어(42)는 평기어이고, 출력기어(43)는 베벨기어이다.
또한 상기 출력기어(43)의 단부에는 지지단부(43s)가 더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달기어(40)는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고, 스위칭기어(23)와 조절기 사이의 거리가 멀어 출력기어(43)가 형성된 단부가 흔들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기어의 단부에 지지단부(43s)를 형성하였고, 상기 조절기(50)는 구성하는 리미트베이스(55)의 지지단부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지지홈(55g)을 형성하였다.(도 7 참조)
본 발명의 개폐기는 도그(53)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보온덥개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동기어(51)와 도그나사축(52)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도그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도그나사축을 종동기어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하였다.
즉, 도 8 및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동기어(51)의 중심에는 나사축결합홀(51h)이 형성되되, 도그나사축을 향한 단부는 내주면이 다각으로 형성되어 다각으로 이루어진 나사축고정부(51f)를 형성하고, 그 안쪽에는 도그나사축의 외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자유공간부(51a)를 형성하였고, 상기 도그나사축의 일단에는 상기 나사축고정부에 결합되는 다각결합단부(52f)를 형성하여 도그나사축의 다각결합부가 자유공간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도그나사축을 회전시킴에 의해 도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이렇게 종동기어와 도그나사축을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하되, 도그의 위치 조절이 필요없을 때에는 항상 도그나사축이 종동기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스프링(5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56)은 종동기어와 도그나사축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된 종동기어에 대하여 도그나사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도그나사축의 일단에 형성된 다각결합단부(52f)가 종동기어에 형성된 나사축고정부(51f)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도그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도그나사축의 타단에 형성된 조절홈(52c)에 드라이버(screwdriver)를 끼운 후 눌러주면 다각결합단부(52f)가 자유공간부(51a)측으로 밀려나가 종동기어와 도그나사축이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면 도그의 위치가 변경된다.
보온덮개의 개폐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스위치(54o, 54c)들의 위치도 변경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위치(54o, 54c)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나사축(54s)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나사축의 일측 단부에는 나사축기어(54m)가 설치되고, 상기 나사축기어와 치합되는 조절기어(54d)와, 상기 조절기어를 회전시켜 스위치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레버(54l)를 구비하였다.
상기 조절레버(54l)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스위치의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 스위치(54o, 54c)를 스위치나사축만으로 지지할 경우 스위치가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54o, 54c)의 저면의 스위치나사축의 일측에는 스위치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하는 가이드바(54b)를 더 설치하였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나사축과 평행하게 가이드바(54b)를 설치하고, 스위치의 저면에는 스위치고정판(57)을 설치하되, 상기 스위치고정판(57)를 관통하여 나사홀(57s)과 가이드홀(57g)을 형성하였다.
상기 나사홀(57s)에는 상기 스위치나사축(54s)이 설치되고, 가이드홀(57g)에는 가이드바(54b)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10: 모터
11: 모터축
20: 감속기
21: 하우징 22: 커버 22s: 경사단부
23: 스위칭기어
30: 연결기어
40: 전달기어
41: 회전봉 42: 입력기어 43: 출력기어
43s: 지지단부
50: 조절기 50c: 커버
51: 종동기어 51h: 나사축결합홀 51f: 나사축고정부
51a: 자유공간부
52: 도그나사축 52f: 다각결합단부 52c: 조절홈
53: 도그
54o, 54c: 스위치 54s: 스위치나사축 54m: 나사축기어
54d: 조절기어 54l: 조절레버 54b: 가이드바
55: 리미트베이스 55g: 지지홈
56: 스프링
57: 스위치고정판 57s: 나사홀 57g: 가이드홀

Claims (5)

  1. 내부에 하나 이상의 소형하우스를 갖는 비닐하우스 천정에 설치되어 두 개의 와이어를 교번적으로 당기거나 풀어줌에 의해 와이어가 내부 소형하우스의 보온덮개를 개폐 작동하는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귄취되는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모터(10);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속도는 줄이고 큰 힘의 구동력으로 감속하는 감속기(20);
    상기 감속기를 구성하는 기어조립체에 치합되어 기어조립체의 구동을 하기 조절기에 연결하는 연결기어(30);
    회전봉(41)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기어와 치합되는 입력기어(42)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감속기의 기어에 결합되는 출력기어(43)가 일체화된 전달기어(40);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51)와, 상기 종동기어의 일측에 연장된 도그나사축(52)과, 상기 도그나사축에 설치되어 종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도그(53)와, 상기 도그의 이동에 의해 작동하는 두 개의 스위치(54o, 54c)로 이루어지고,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파이프와 각을 이루어 전면이 아래 쪽 대각선을 향하도록 설치된 조절기(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어(43)의 단부에는 지지단부(43s)가 더 형성되고,
    상기 조절기(50)는 구성하는 리미트베이스(55)의 지지단부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지지홈(55g)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51)의 중심에는 나사축결합홀(51h)이 형성되되, 도그나사축을 향한 단부는 내주면이 다각으로 형성되어 다각으로 이루어진 나사축고정부(51f)를 형성하고, 그 안쪽에는 도그나사축의 외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자유공간부(51a)를 형성하였고, 상기 도그나사축의 일단에는 상기 나사축고정부에 결합되는 다각결합단부(52f)를 형성하여 도그나사축의 다각결합부가 자유공간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도그나사축을 회전시킴에 의해 도그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4o, 54c)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나사축(54s)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나사축의 일측 단부에는 나사축기어(54m)가 설치되고, 상기 나사축기어와 치합되는 조절기어(54d)와, 상기 조절기어를 회전시켜 스위치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레버(54l)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4o, 54c)의 저면의 스위치나사축의 일측에는 스위치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하는 가이드바(54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KR1020200010882A 2020-01-30 2020-01-30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KR102362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882A KR102362383B1 (ko) 2020-01-30 2020-01-30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882A KR102362383B1 (ko) 2020-01-30 2020-01-30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329A KR20210097329A (ko) 2021-08-09
KR102362383B1 true KR102362383B1 (ko) 2022-02-14

Family

ID=7731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882A KR102362383B1 (ko) 2020-01-30 2020-01-30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3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633B1 (ko) * 2022-04-20 2023-03-06 주식회사 효신 비닐하우스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2523003B1 (ko) * 2022-02-21 2023-04-18 주식회사 효신 수분에 의한 고장을 방지한 비닐하우스 개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71B1 (ko) 2007-09-18 2009-03-24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비닐하우스 비닐 개폐기용 권취모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360B1 (ko) 2007-07-16 2009-03-11 김학민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32710A (ko) 2008-06-23 2009-12-31 이상수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의 개폐장치
KR20100067940A (ko) * 2008-12-12 2010-06-22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비닐하우스 보온 덮개 개폐용 스위칭 장치
KR101639028B1 (ko) 2014-06-20 2016-07-22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71B1 (ko) 2007-09-18 2009-03-24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비닐하우스 비닐 개폐기용 권취모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003B1 (ko) * 2022-02-21 2023-04-18 주식회사 효신 수분에 의한 고장을 방지한 비닐하우스 개폐기
KR102506633B1 (ko) * 2022-04-20 2023-03-06 주식회사 효신 비닐하우스의 자동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329A (ko)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383B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US6568131B1 (en) Motorized shutter assembly
US20080303686A1 (en) Remote blind opening and closing system
CA2726295C (en) Cross ventilation curtain system
GB2166480A (en) Roller apparatus
US7152653B1 (en) Roll-up curtain assembly
KR102068117B1 (ko) 루버 시스템
KR100859269B1 (ko) 브라인더형 커텐장치
KR101442135B1 (ko)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환기 시스템
CA2831949C (en) Winding apparatus for covering openings in wall portions
KR101513865B1 (ko) 천정형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KR200385952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1606533B1 (ko)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KR20010000268U (ko) 블라인더의 차단 각도 조절장치
KR102113704B1 (ko) 온실용 일체형 창호 개폐장치
KR101045050B1 (ko) 온실용 천창 개폐장치
KR101313504B1 (ko) 건물 외부 설치형 블라인드 장치
ES2216264T3 (es) Actuador con carrera ajustable.
KR20210067397A (ko)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JP4087268B2 (ja) 温室の簡易な電動式換気装置
KR20080013107A (ko) 비닐하우스 개폐기
KR100969129B1 (ko) 전동 블라인드 장치
EP4202176A1 (en) An improved driving device
KR101336958B1 (ko) 리미트 시스템이 정면에 위치한 온실용 자동 개폐기
EP4180615A1 (en) Motoriz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