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028B1 -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028B1
KR101639028B1 KR1020140075506A KR20140075506A KR101639028B1 KR 101639028 B1 KR101639028 B1 KR 101639028B1 KR 1020140075506 A KR1020140075506 A KR 1020140075506A KR 20140075506 A KR20140075506 A KR 20140075506A KR 101639028 B1 KR101639028 B1 KR 101639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otor shaft
motor
packing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519A (ko
Inventor
신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75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02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모터의 축을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켜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환기시설을 개폐할 수 있게 한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of green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이 단전되었을 때 수동으로 구동시켜 비닐하우스를 개폐시킬 수 있게 한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모터의 축을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켜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환기시설을 개폐할 수 있게 한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의 속성재배나 동절기 재배를 위한 보온 시설로 비닐하우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고,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그 규모에 따라 다르나 다수의 종횡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골조를 형성하고 그 골조 위에 비닐 필름을 덮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비닐하우스는 재배되는 작물의 특성에 따라 내부의 온도 조절은 물론 환기를 위해 양측 또는 천장에 환기 또는 보온 시설(이하, "환기시설"이라 통칭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환기시설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에 일부에 덥힌 비닐이나 천(이하, "비닐"이라 통칭함)과, 이들을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 양측의 일부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개방시켜 창을 형성하고, 이 창에 개폐용 비닐을 설치하여 구동수단(10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파이프(200)에 개폐용 비닐이 권취되거나 풀리게 하여 창이 개폐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권취파이프를 회전시키는 수단이 귄취파이프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권취파이프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는 수동으로 구성된 것이 있으나 창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최근에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를 비롯한 온실의 환기장치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및 2가 있다.
이러한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권취용 모터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00)의 모터축(100s)에 권취용 파이프(200)를 직접 연결하여 비닐을 권취하거나, 모터의 일측에 감속기(100g)를 일체로 구비하고 이 감속기에 의해 감속된 출력을 이용하여 권취파이프를 회전시켜 비닐을 개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닐하우스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모터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단전(斷電)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권취파이프를 회전시킬 수 환기시설을 개폐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70193호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8997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술로서,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권취파이프를 회전시켜 환기장치를 개폐할 수 있게 한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모터축을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켜 수동공구를 이용하여 모터축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모터축을 회전시켜 권취파이프를 작동시킴에 의해 환기장치를 개폐할 수 있게 한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는 비닐이나 견인줄이 권취되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출력축이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모터축을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켜 수동회전부를 형성하여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동회전부의 바깥쪽에는 탈착가능하게 커버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동회전부 안쪽의 모터축과 하우징 사이에는 누수방지용 패킹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동회전부는 드라이버의 팁이 끼워지는 홈이거나, 렌치에 의해 물리는 다각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는 모터축이 외부로 노출되어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도 권취파이프를 회전시켜 환기장치를 개폐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고나 여타의 원인에 의해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모터축으로부터 연장된 수동회전부를 회전시킴에 의해 권취파이프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권취파이프를 모터의 출력축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권취파이프를 회전시켜 환기장치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의 일예의 부분 단면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의 일부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의 일부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다른 일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에서 모터축을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일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에서 모터축을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다른 일예의 사시도
도 6은 종래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의 일예의 사시도
도 7은 통상의 비닐하우스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환기장치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는 모터의 모터축을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켜 형성된 수동회전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개폐장치에 구비된 것과 같이, 모터(100)의 일측에 기어조립체(100g)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기어조립체(100g)로부터 출력축(200)이 인출되어 있으며, 이 출력축(200)에 권취파이프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일측에는 조절수단(300)이 설치되어 있어 권취파이프의 회전수나 속도 즉, 권취파이프의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의 모터축(100s)은 일단을 상기 기어조립체(100g)와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수동회전부(10)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수동회전부(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축(100s)을 수동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권취파이프를 회전시켜 환기장치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으로 회전시킬 경우 모터축의 회전속도에 비해 귄취파이프의 회전속도가 너무 늦어 권취파이프를 보다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동공구(4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기어조립체(100g)를 통해 모터축(100s)의 회전수가 감속되어 출력축(200)으로 전달되므로 모터축을 고속으로 회전시켜야 권취파이프의 회전속도가 개폐장치를 개폐하기에 충분한 속도가 될 수 있으므로 수동공구(40)를 수동회전부(10)에 연결하여 모터축(100s)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동회전부(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일부를 모터축의 길이 방향으로 원통형으로 연장시켜 베어링삽입부(100b)와 패킹삽입부(100p)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삽입부(100b)와 모터축 사이에는 베어링(10b)을 설치하여 길어진 모터축이 흔들리지 않게 하고, 상기 패킹삽입부(100p)에는 패킹(10p)이 설치되어 모터축과 패킹상입부 내벽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어링삽입부(100b)가 패킹삽입부(100p)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게 형성하여 베어링삽입부(100b)에 설치된 베어링(10b)이 바깥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패킹삽입부(100p)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 끼워져 고정되는 커버(20)를 탈착가능하게 설치하였다.
이렇게 수동공구(4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동회전부(10)는 드라이버의 팁이 끼워지는 홈의 형태를 형성하거나, 육각렌치 등의 렌치를 물리는 다각봉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동공구(40)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 드라이버 팁이나 렌치홈이 형성된 연결팁(30)을 갖는 수동 핸들을 사용하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회전부(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의 하우징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가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지만 수동공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을 개방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렇게 모터 하우징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거나 수동회전부(1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모터축이 회전할 경우 수동회전부(10)에 끈이나 비닐이 감길 수 있으므로 상기 수동회전부의 바깥쪽에는 탈착가능하게 커버(20)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커버(20)는 수동회전부(10)의 노출 여부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내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일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부분으로 수동회전부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으로 물이 침투하여 모터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과 모터축(100s) 사이에 누수방지용 패킹(10p)을 설치하여 모터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동회전부(10)가 형성되는 모터축(100s)의 단부에 누수방지용 패킹(10p)를 설치하여 수분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였고, 누수방지용 패킹의 안쪽에는 베어링(10b)을 설치하여 모터축(100s)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였다.
10: 수동회전부 10p: 패킹
10b: 베어링
20: 커버
30: 연결팁
40: 수동공구

Claims (5)

  1. 비닐이나 견인줄이 권취되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출력축(200)이 연결된 모터(100)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모터축을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켜 수동회전부(10)를 형성하여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한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동회전부(10)는 하우징의 일부를 모터축의 길이 방향으로 원통형으로 연장시켜 베어링삽입부(100b)와 패킹삽입부(100p)를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삽입부(100b)와 모터축 사이에는 베어링(10b)을 설치하여 길어진 모터축이 흔들리지 않게 하고, 상기 패킹삽입부(100p)에는 패킹(10p)을 설치하여 모터축과 패킹상입부 내벽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였으며,
    상기 베어링삽입부(100b)가 패킹삽입부(100p)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게 형성하여 베어링삽입부(100b)에 설치된 베어링(10b)이 바깥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패킹삽입부(100p)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 끼워져 고정되는 커버(20)를 탈착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회전부(10)는 드라이버의 팁이 끼워지는 홈이나. 렌치에 의해 물리는 다각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5. 삭제
KR1020140075506A 2014-06-20 2014-06-20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KR101639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506A KR101639028B1 (ko) 2014-06-20 2014-06-20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506A KR101639028B1 (ko) 2014-06-20 2014-06-20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19A KR20150145519A (ko) 2015-12-30
KR101639028B1 true KR101639028B1 (ko) 2016-07-22

Family

ID=5508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506A KR101639028B1 (ko) 2014-06-20 2014-06-20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0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585B1 (ko) 2016-10-05 2017-03-06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유리온실 및 비닐하우스 정밀제어 개폐장치
KR101841711B1 (ko) 2017-12-18 2018-05-04 최성남 비닐하우스 개폐모터용 연결구
KR101922033B1 (ko) 2018-06-13 2018-11-26 송욱 비닐하우스 측창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형 이중 비닐하우스 고정장치
KR20210097329A (ko) 2020-01-30 2021-08-09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KR102333368B1 (ko) 2021-07-29 2021-12-02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농업용 경량 고강도 모터하우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198B1 (ko) 2020-11-26 2024-02-14 대한민국 온실 골조 환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057A (ja) * 2001-03-07 2002-09-20 Tsubakimoto Chain Co 手動操作軸付ギヤードモータ
KR200412559Y1 (ko) 2006-01-19 2006-03-28 심찬보 양방향 온실용 개폐기
KR101014836B1 (ko) * 2010-05-25 2011-02-15 박외순 개량된 엑츄에이터를 갖는 보온덮개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292Y1 (ko) * 1992-12-10 1995-10-06 지상철 수동식 개폐기가 부설된 비닐하우스 개폐기
KR100889971B1 (ko) 2007-09-18 2009-03-24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비닐하우스 비닐 개폐기용 권취모터
KR100870193B1 (ko) 2008-05-30 2008-11-24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온실용 자동 개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057A (ja) * 2001-03-07 2002-09-20 Tsubakimoto Chain Co 手動操作軸付ギヤードモータ
KR200412559Y1 (ko) 2006-01-19 2006-03-28 심찬보 양방향 온실용 개폐기
KR101014836B1 (ko) * 2010-05-25 2011-02-15 박외순 개량된 엑츄에이터를 갖는 보온덮개 개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585B1 (ko) 2016-10-05 2017-03-06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유리온실 및 비닐하우스 정밀제어 개폐장치
KR101841711B1 (ko) 2017-12-18 2018-05-04 최성남 비닐하우스 개폐모터용 연결구
KR101922033B1 (ko) 2018-06-13 2018-11-26 송욱 비닐하우스 측창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형 이중 비닐하우스 고정장치
KR20210097329A (ko) 2020-01-30 2021-08-09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KR102333368B1 (ko) 2021-07-29 2021-12-02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농업용 경량 고강도 모터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19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028B1 (ko)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KR101485146B1 (ko) 비닐하우스 환기장치
KR101561738B1 (ko) 하우스 환풍기
KR20160142605A (ko) 창문에 설치되는 실내공기 환풍장치
KR20210097329A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용 개폐기
KR200391548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CN201774869U (zh) 塑料大棚自动调温器
KR102113704B1 (ko) 온실용 일체형 창호 개폐장치
KR20140064001A (ko) 천정형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KR200467670Y1 (ko) 비닐하우스용 커튼개폐기
KR102636198B1 (ko) 온실 골조 환기 시스템
CN214789297U (zh) 一种深埋式阀门
KR101529719B1 (ko) 비닐하우스
KR101684570B1 (ko) 비닐하우스의 개폐 제어 장치
KR101586463B1 (ko) 보온덮개 개폐시스템용 구동장치
CN203251728U (zh) 塑料大棚卷膜器
CN214508349U (zh) 种植大棚
KR101841711B1 (ko) 비닐하우스 개폐모터용 연결구
CN215819594U (zh) 一种便于安装的鸭舍通风管
KR100959705B1 (ko) 공기조화기용 댐퍼
KR101503898B1 (ko) 통풍과 채광 기능을 갖는 계사
KR960010450Y1 (ko) 온실의 천정 시이트 개폐장치
KR0130354Y1 (ko) 농업용 개폐기의 감속장치
KR20180000690U (ko) 비닐하우수 개방 및 개페
CN208380464U (zh) 一种蜂巢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