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546Y1 - 잎담배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잎담배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546Y1
KR200413546Y1 KR2020060001385U KR20060001385U KR200413546Y1 KR 200413546 Y1 KR200413546 Y1 KR 200413546Y1 KR 2020060001385 U KR2020060001385 U KR 2020060001385U KR 20060001385 U KR20060001385 U KR 20060001385U KR 200413546 Y1 KR200413546 Y1 KR 200413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member
vowel
bound
block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남우
Original Assignee
정남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남우 filed Critical 정남우
Priority to KR2020060001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5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0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0Means for compressing or compacting bundles prior to bu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2Means for controlling tension of bi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잎담배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10)와, 가이드부재(20)를 따라 이동하면서 피결속물을 모아주는 1쌍의 모음블럭(30)과, 상기 하나의 모음블럭(30)을 왕복이동가능하게 작동시키는 링크기구, 상기 하나의 모음블럭(30)에 선회가능하게 피봇결합되는 선회부재(50), 상기 선회부재(50)가 피결속물의 상부를 지지하는 닫힘위치에서 선회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잠금기구(60), 상기 선회부재(50)가 모음블럭(30)들의 사이로 투입되는 피결속물을 안내하는 열림위치에서 그 선회부재를 정지시키는 스토퍼(70), 상기 선회부재(50)와 함께 피결속물을 안내하는 호퍼부재(80) 및, 상기 가이드부재(20)과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피결속물 지지대(90)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피결속물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고, 일회 결속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피결속물을 용이하게 결속할 수 있게 된다.
잎담배, 채소, 야채, 결속, 묶음

Description

잎담배 결속장치{A DEVICE FOR BINDING VEGETABLES}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잎담배 결속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잎담배 결속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잎담배 결속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잎담배 결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선회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선회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잎담배 결속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20 : 가이드부재
30,30',30" : 모음블럭 31,31',31" : 내측벽
35 : 플런저 41 : 링크부재
42 : 작동레버 50,50' : 선회부재
51 : 안착홈 60 : 잠금기구
70 : 스토퍼 80 : 호퍼부재
90 : 피결속물 지지대
본 고안은 각종 농작물을 소정량 단위로 묶음을 만드는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 잎담배를 묶는데 사용되는 잎담배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채소나 야채 등의 농작물은 수확한 상태 그대로 단을 묶거나 건조한 상태로 단을 묶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결속되는 농작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묶음작업이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결속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잎담배 결속장치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05-0074743호에 개시된 발명으로, 작동레버(2)의 작동에 따라 가동블럭(10)이 고정블럭(20)에 대하여 가이드봉(4)을 따라 이동하면서 피결속물을 모아 주게 된다.
상기의 잎담배 결속장치는 고정블럭(20)과 가동블럭(10) 사이의 간격이 투입구 면적이 되므로 가동블럭(10)의 이동거리를 크게 해야 피결속물을 쉽게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작업시 사용자의 움직임이 커지고 작업시간이 길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럭(20)과 가동블럭(10)의 사이에 놓인 피결속물이 위쪽으로 부풀어 올라 흩어지므로 제대로 모아 지지 않은 상태에서 결속이 되고, 결속 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결속물을 모으기 위해 이동하였던 가동블럭(10)이 잎담배의 복원력에 의해 밀려나 후퇴하게 되고, 그로 인해 후퇴하기 전에 신속하게 끈으로 묶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조 잎담배는 과도한 힘을 가하여 묶음작업을 할 경우 부스러지는 등 쉽게 손상되므로 결속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피결속물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일회 결속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피결속물을 용이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잎담배 결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피결속물을 모은 상태에서 결속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잎담배 결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이드부재를 따라 서로 마주보며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피결속물을 모아주는 1쌍의 모음블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블럭을 왕복이동가능하게 작동시키는 링크기구 및; 상기 모음블럭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피결속물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나의 모음블럭에 선회가능하게 피봇결합되는 선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회부재가 피결속물의 상부를 지지하는 닫힘위치에서 그 선회부재를 선회되지 않게 저지하는 잠금기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회부재의 일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음블럭의 일측에 상기 선회부재의 닫힘위치에서 안착홈에 출입하는 플런저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회부재가 모음블럭들의 사이로 투입되는 피결속물을 안내하는 열림위치에서 그 선회부재를 정지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모음블럭에 구비되고, 상기 선회부재와 함께 피결속물을 안내하는 호퍼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봉과 소정간격을 두고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모음블럭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피결속물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잎담배 결속장치는, 베이스(10)와, 가이드부재(20)를 따라 이동하면서 피결속물을 모아주는 1쌍의 모음블럭(30)과, 상기 하나의 모음블럭(30)을 왕복이동가능하게 작동시키는 링크기구, 상기 하나의 모음블럭(30)에 선회가능하게 피봇결합되는 선회부재(50), 상기 선회부재(50)가 피결속물의 상부를 지지하는 닫힘위치에서 선회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잠금기구(60), 상기 선회부재(50)가 모음블럭(30)들의 사이로 투입되는 피결속물을 안내하는 열림위치에서 그 선회부재를 정지시키는 스토퍼(70), 상기 선회부재(50)와 함께 피결속물을 안내하는 호퍼부재(80) 및, 상기 가이드부재(20)과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피결속물 지지대(90)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의 모음블럭(30)은 베이스(10)의 상부에 고정되고, 다른 모음블럭(30)은 가이드부재(20)를 따라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나의 모음블럭(30)이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모음블럭(30)이 가이드부재(20)를 따라 슬라이드 왕복이동하면서 그 사이에 놓여지는 피결속물을 피결속물들을 모아 물어 잡게 된다.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는 피결속물 지지대(90)가 상기 가이드부재(20)와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피결속물 지지대(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쌍의 모음블럭(30)을 관통하여 구비됨으로써 모음블럭(30)의 움직임과 무관하게 모음블럭(30)의 사이에 놓여 지는 피결속물을 가이드부재(20)와 함께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피결속물 지지대(90)와 가이드부재(20)를 가로 질러 피결속물이 놓여지고, 상기 피결속물 지지대(90)와 가이드부재(20)는 피결속물을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점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피결속물 지지대(90)와 가이드부재(20)는 상기 모음블럭(30)의 이동방향을 따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모음블럭(30)이 피결속물을 모으는 동작시 피결속물을 항상 지지하게 된다.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하나의 모음블럭(3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링크기구는 이동하는 모음블럭(30)에 피봇결합되는 링크부재(41)와, 상기 링크부재(41)에 연결된 작동레버(42)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레버(42)는 베이스(10)의 일측에 피봇결합되어 선회동작을 하면서 상기 링크부재(41)를 통해 상기 모음블럭(30)을 이동시킨다.
상기 하나의 모음블럭(30)의 일측에는 선회부재(50)가 결합되고, 다른 모음블럭(30)에는 호퍼부재(80)가 결합된다.
상기 선회부재(50)와 호퍼부재(80)는 각각 양쪽으로 벌어져 대략 'V'자 형상을 이룸으로써 1쌍의 모음블럭(30)으로 투입되는 피결속물을 안내하는 호퍼의 역할을 한다. 상기 선회부재(50)와 호퍼부재(80)는 모음블럭(30)과 함께 이동하면서 피결속물의 투입구 면적이 조절된다.
상기 선회부재(50)와 호퍼부재(80)는 각 모음블럭(30)의 일측에 선회가능하게 피봇결합됨으로써 호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선회부재(50)의 일단에는 스토퍼(70)가 구비되어 일정각도 이상으로 선회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회부재(50)은 소정의 선회각도에서 스토퍼(70)가 모음블럭(30)과 부딪힘으로써 선회가 저지되어 호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회부재(50)는 선회하면서 상기 모음블럭(30)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피결속물의 상부를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1쌍의 모음블럭(30) 사이에 다량의 피결속물이 놓여지거나 모음블럭(30)이 이동하면서 피결속물을 모음으로 인해 피결속물이 모음블럭(30)의 상부로 노출될 때 상기 선회부재(50)를 선회시켜 노출되는 피결속물을 눌러 지지하게 된다.
상기 잠금기구(60)는 상기 선회부재(50)가 피결속물을 눌러 지지하도록 선회한 상태에서 그 선회부재(50)가 복원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킨다.
즉, 상기 잠금기구(60)는 상기 모음블럭(30)의 일측에 상기 선회부재(50)의 선회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왕복이동하면서 선회부재(50)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게 된다.
상기 선회부재(50)의 일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안착홈(51)이 형성되고, 상기 모음블럭(30)의 일측에 그 안착홈(51)에 출입하는 플런저(35)가 구비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35)는 상기 선회부재(50)가 잠금기구(60)에 의해 잠기는 닫힘위치에서 상기 선회부재(50)의 안착홈(51)에 출입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모음블럭(30)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닫힘위치에서는 잠금기구(60)가 선회부재(50)를 선회하지 못하게 구속하므로 플런저(35)가 선회부재(50)의 안착홈(5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선회부재(50)는 이동하는 모음블럭(30)의 일측에 구비되어 그 모음블럭(30)과 일체로 이동하게 되고, 선회부재(50)가 플런저(35)에 의해 구속됨에 따라 상기 모음블럭(30)이 함께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하는 모음블럭(30)이 피결속물을 모으도록 전진한 상태에서 피결속물의 복원력에 의해 후퇴하지 않고 피결속물을 압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피결속물을 묶는 작업을 안정 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플런저(35)는 볼타입의 경우 일정치 이상의 외력이 선회부재(50)에 가해지게 되면 플런저(35)가 안착홈(51)으로부터 밀려 나면서 선회부재(5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선회부재(50)는 닫힘위치에서 그 길이방향(플런저의 출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플런저(35)의 지지력보다 큰 외력을 가할 경우 플런저(35)를 밀어 내면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때 가해지는 외력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로 가하는 것으로 피결속물의 복원력에 의해서는 플런저(35)가 밀려 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선회부재(50)는 피결속물을 모은 상태에서 전후진가능하게 되고, 그로 인해 결속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과도한 결속력으로 인해 피결속물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음블럭(30)은 피결속물과 접촉하는 내측벽(31)이 반원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됨으로써 피결속물을 둥근 형태로 결속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모음블럭(30')의 내측벽(31') 형상이 합쳐져 마름모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모음블럭(30")의 내측벽(31")과 같이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1쌍의 모음블럭(30)이 합쳐져 내측벽(31)(31')이 원이나 사각형상 처럼 폐쇄된 형상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선회부재(50)는 모음블럭(30)(30')이 후퇴하지 않도록 잠그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1쌍의 모음블럭 (30)(30')이 완전히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선회부재(50)가 피결속물의 상부를 눌러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모음블럭(30")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선회부재(50)가 개방부를 덮어 피결속물을 눌러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잎담배 결속장치에 의하면, 호퍼를 구비하여 피결속물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고, 피결속물을 눌러 줌으로써 일회 결속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피결속물이 복원되는 것을 저지하여 피결속물을 용이하게 결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결속물을 모은 상태에서 모음블럭을 전후진 시킬 수 있어 결속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피결속물이 과도한 결속력으로 인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가이드부재를 따라 서로 마주보며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피결속물을 모아주는 1쌍의 모음블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블럭을 왕복이동가능하게 작동시키는 링크기구 및;
    상기 모음블럭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피결속물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모음블럭에 선회가능하게 피봇결합되는 선회부재;를 포함하는 잎담배 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재가 피결속물의 상부를 지지하는 닫힘위치에서 그 선회부재의 선회를 저지하는 잠금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담배 결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재의 일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음블럭의 일측에 상기 선회부재의 닫힘위치에서 안착홈에 출입하는 플런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담배 결속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재가 모음블럭들의 사이로 투입되는 피결속물을 안내하는 열림위치에서 그 선회부재를 정지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모음블럭에 구비되고, 상기 선회부재와 함께 피결속물을 안내하는 호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담배 결속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과 소정간격을 두고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모음블럭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피결속물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담배 결속장치.
KR2020060001385U 2006-01-17 2006-01-17 잎담배 결속장치 KR200413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385U KR200413546Y1 (ko) 2006-01-17 2006-01-17 잎담배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385U KR200413546Y1 (ko) 2006-01-17 2006-01-17 잎담배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546Y1 true KR200413546Y1 (ko) 2006-04-07

Family

ID=4176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385U KR200413546Y1 (ko) 2006-01-17 2006-01-17 잎담배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5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33398T2 (de) Chirurgische vorrichtung zum klammernähen
EP2511056B1 (de) Sicherheits-Messer
EP1645232B1 (fr) Appareil de stockage, distribution et pose d'attaches chirurgicales
EP1494593B1 (fr) Appareil de stockage, de distribution et de pose d'attaches chirurgicales en "1" couche
DE69636421T2 (de) Gerät zum Anbringen von chirurgischen Klammern
US6607540B1 (en) Pre-clamping method
DE3802328C2 (ko)
DE60101654T2 (de) Schneider mit automatisch einziehbarer Klinge
AT502324B1 (de) Verriegelbare ausstossvorrichtung
NL8101945A (nl) Afbindinrichting.
FR2845266A1 (fr) Dispositif pour prelever un echantillon corporel
EP1032315A1 (de) Magazin für ein chirurgisches clipanlegegerät
DE2120447B2 (de) Chirurgisches Instrument zum Herumlegen von Klammern zum Abbinden rohrförmiger organischer Gebilde
EP2056415A2 (de) Abisolierzange
DE2800042C2 (de) Heftzange
DE102008022728A1 (de) Hefter, der zwischen mehreren Betriebsmodi umschalten kann und Umschalt-Verfahren davon
DE102017121596A1 (de) 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bewegbaren Möbelteils
KR200413546Y1 (ko) 잎담배 결속장치
EP1004402A2 (de) Einhändig betätigbare Spannzwinge
DE19504000A1 (de) Chirurgischer Klammerapplikator
DE60307021T2 (de) Vorrichtung zum Stopfen von Zigarettenhülsen mit verschiedener Länge
DE102012016280A1 (de) Vorrichtung für die Öffnungsbewegung eines an einem Möbelkorpus eines Möbels aufgenommenen Möbelteils insbesondere Möbelteilöffnungsvorrichtung
JP2016056669A (ja) クリップ装着装置
KR20070020632A (ko) 건조 잎담배 반자동 결속장치
DE69833263T2 (de) Platten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