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679Y1 - 열충격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열충격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679Y1
KR200412679Y1 KR2020050031648U KR20050031648U KR200412679Y1 KR 200412679 Y1 KR200412679 Y1 KR 200412679Y1 KR 2020050031648 U KR2020050031648 U KR 2020050031648U KR 20050031648 U KR20050031648 U KR 20050031648U KR 200412679 Y1 KR200412679 Y1 KR 200412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temperature
humidity
low temperature
thermal shock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정미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1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6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6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2Therm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6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e.g. refractory materials, to rapid heat ch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22Temperature
    • G01N2203/0226High temperature; He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22Temperature
    • G01N2203/0228Low temperature; Cool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고온실, 저온실 및 습도실로 구분하고 엘리베이터를 승강하여 시험데이터의 편차등을 방지할 수 있는 열충격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는 고온실과 저온실을 포함하여 고온과 저온을 가하여 엘리베이터상에 놓여진 시료를 고온실과 저온실로 이동시키면서 열충격을 시험하는 열충격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충격기의 내부공간은 고온을 발생시키고 유지하는 고온실, 습도를 발생시켜 유지하는 습도실 및 저온을 발생시켜 유지하는 저온실의 3 영역으로 구분된 일체형 내부공간이며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내부공간내의 3 영역을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시료이동 중 발생하는 열손실 등으로 인한 시험 데이터의 편차등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시험을 통해 신뢰도를 향상시켜 고객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개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열충격, 고온실, 저온실, 습도실

Description

열충격 시험장치{HEATING IMPACT TEST APPARATUS}
도 1 및 도 2는 종래 열충격 시험장치의 사시도 및 개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의 엘리베이터와 승강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의 내부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열충격 시험장치 21 : 몸체
22 : 고온실 24 : 습도실
25 : 엘리베이터 26 : 저온실
본 고안은 열충격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공간을 고 온실, 저온실 및 습도실로 구분하고 엘리베이터를 승강하여 시험데이터의 편차등을 방지할 수 있는 열충격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열충격 시험장치의 사시도 및 개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열충격 시험장치(10)는 고온실(12)과 저온실(16)을 기준으로 각각의 내부공간인 테스트룸(test room)의 각각의 온도를 가장 빠른 시간안에 변화시켜 급격한 열변화 냉열 충격을 준다. 참조부호 14는 고온실 및 저온실간에 시료가 이송될 수 있도록 장착된 엘리베이터를 나타낸다. 상기 고온실 및 저온실마다 지정된 온도가 준비되어 있어 5분이내에 엘리베이터상에 안착된 시료가 이동되어 열충격을 받게 된다.
특별한 시험기준에 근거하여 온도 습도 시험 4사이클을 최대 계류시간 5분이내에 시험하는 시험항목이 있다. 즉, 고온에서 저온으로 그리고 저온에서 고온으로 5분이내에 이동하는 시험은 보통 열충격기에서 행해지나, 상기한 기존의 열충격기(10)에서는 온습기능이 존재하지 않아, 시험기준(스펙)에 정확한 시험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통 두대의 항온항습기(고온용,저온용)를 이용하여 한 사이클의 시험이 끝나면 5분이내에 다른 온도의 항온항습기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하였다. 이 때문에 하나의 시험동안 두개의 장비를 이용함으로서 장비의 활용도가 떨어져 다른 시험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한 싸이클이 끝날 때마다 시험자가 투입되는 등 인력의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챔버를 열어 시료를 이송하는 동안 열 손실 등이 발생되어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얻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고온실,저온실 및 습도실을 하나의 내부공간에 위치시키고 그 내부공간에서 시료가 안착된 엘리베이터를 승하강시킴으로서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열충격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온실과 저온실을 포함하여 고온과 저온을 가하여 엘리베이터상에 놓여진 시료를 고온실과 저온실로 이동시키면서 열충격을 시험하는 열충격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충격 시험장치의 내부공간은 고온을 발생시키고 유지하도록 일측에 구비된 고온실과, 상기 고온실과 이격되어 저온을 발생시키고 유지하도록 상기 열충격 시험장치의 내부공간 타측에 구비된 저온실과, 상기 저온실과 고온실 사이에 구비되어 습도를 발생시키고 유지하도록 하는 습도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열충격 시험장치의 내부공간에서 시료의 온도 습도시험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고온실, 습도실, 저온실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사용자의 입력조작신호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승강작용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엘리베이터 구동부와, 상기 습도실의 습도를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한 습도발생부, 상기 고온실에 고온을 발생시키는 고온발 생부 및 상기 저온실에 저온을 발생시키는 저온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습도실에 설치된 습도센서를 통해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발생부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의 엘리베이터와 승강기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의 내부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열충격 시험장치(20)는 그 외부몸체(21)내의 내부공간이 고온실(22), 저온실(26) 및 습도실(24)로 구분되어 한 공간내에 위치하고 있다.
참조부호 25는 시료가 안착되고 승강작용하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낸다.
상기 엘리베이터(25)는 일측면에 승강기구(체인)(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기구(32)는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열충격 시험장치(20) 몸체(21) 일측 내면에 내장설치된다.
상기 체인(32)의 일측면에는 상기 엘리베이터(25)의 일측면상에 연장된 연장축이 고정된다.
상기 체인(32)은 제어부(110)의 구동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M)의 모터축에 의해 회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열충격 시험장치(20)는 그 내부회로가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와, 사용자의 입력조작신호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128)와, 상기 입력부(128)의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25)를 승강작용 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엘리베이터 구동부(129)와, 상기 습도실의 습도를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한 습도발생부(122), 상기 고온실에 고온을 발생시키는 고온발생부(124) 및 상기 저온실에 저온을 발생시키는 저온발생부(1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부공간의 습도실(24)에 설치된 습도센서(125)를 통해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발생부(122)를 구동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열충격 시험장치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시험샘플을 시료 이송 엘리베이터(25)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시험조건을 장비에 세팅한다(고온, 저온, 습도조건). 이후 세팅 조건에 따라 시료이송 엘리베이터가 고온실, 습도실, 저온실로 이동한다(최대 계류시간 5분이내).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적정온도에서 습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료이송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면서 각 시험 사이클마다 알맞은 조건의 시험을 할 수 있다. 습도 조절이 필요없는 고온의 경우에는 고온실에서 시험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에 의하면, 열충격기에 습도실을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항온항습기가 2대를 사용하여 시험할 때, 시험 샘플을 고온에서 저온, 또는 저온에서 고온으로 이동시키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을 제거하 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충격기 하나로 시험이 가능하기에 장비(항온합습기, 열충격기 모두)를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시료이동 중 발생하는 열손실 등으로 인한 시험 데이터의 편차등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시험을 통해 신뢰도를 향상시켜 고객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개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고온실과 저온실을 포함하여 고온과 저온을 가하여 엘리베이터상에 놓여진 시료를 고온실과 저온실로 이동시키면서 열충격을 시험하는 열충격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충격 시험장치의 내부공간은 고온을 발생시키고 유지하도록 일측에 구비된 고온실과, 상기 고온실과 이격되어 저온을 발생시키고 유지하도록 상기 열충격 시험장치의 내부공간 타측에 구비된 저온실과, 상기 저온실과 고온실 사이에 구비되어 습도를 발생시키고 유지하도록 하는 습도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열충격 시험장치의 내부공간에서 시료의 온도 습도시험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고온실, 습도실, 저온실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와, 사용자의 입력조작신호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128)와, 상기 입력부(128)의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25)를 승강작용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엘리베이터 구동부(129)와, 상기 습도실의 습도를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한 습도발생부(122), 상기 고온실에 고온을 발생시키는 고온발생부(124) 및 상기 저온실에 저온을 발생시키는 저온발생부(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부공간의 습도실(24)에 설치된 습도센서(125)를 통해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발생부(122)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장치.
KR2020050031648U 2005-11-08 2005-11-08 열충격 시험장치 KR200412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648U KR200412679Y1 (ko) 2005-11-08 2005-11-08 열충격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648U KR200412679Y1 (ko) 2005-11-08 2005-11-08 열충격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679Y1 true KR200412679Y1 (ko) 2006-03-29

Family

ID=4176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648U KR200412679Y1 (ko) 2005-11-08 2005-11-08 열충격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6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567A (ko)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다행 회전식 열충격 시험 장치
WO2022098149A1 (ko) * 2020-11-06 2022-05-12 한국화학연구원 복합 가속 열화 시험을 위한 자동화 시험 장치 및 시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567A (ko)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다행 회전식 열충격 시험 장치
WO2022098149A1 (ko) * 2020-11-06 2022-05-12 한국화학연구원 복합 가속 열화 시험을 위한 자동화 시험 장치 및 시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50915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erature control of a device during testing
KR100862223B1 (ko) 열피로 시험장치 및 방법
ITMO20040193A1 (it) Sistema e sonda per la rivealzione di un parametro
IL196483A (en) Dental kil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ocation of a related closure plate
EP3799111B1 (en) Inspection device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TW200720681A (en) Electronic component test apparatus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in electronic component test apparatus
EP3521790B1 (en) Automation of testing of cooling holes of an airfoil
JP2006115798A5 (ko)
CA2450619A1 (en) Diagnostic apparatus and diagnostic method for fuel cell
KR200412679Y1 (ko) 열충격 시험장치
KR20070011675A (ko) 고온 저온용 테스트 챔버 장치
ATE507977T1 (de) Thermodruckvorrichtung und druckverfahren
EP1614986A3 (en) Refrigerator door with a carbonator installed therein
WO2009020320A3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0314692A (ja) 恒温槽
WO2005052995A3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 situ substrate temperature monitoring
JPH06349909A (ja) プローブ検査装置
CN108226209A (zh) 冷热疲劳测试装置及方法
JPH11145218A (ja) 高低温プローバおよびウエハ測定方法
EP1783502A1 (en) System and method to carry out hot and/or cold tests on electronic components and relative test chamber
KR100421057B1 (ko) 열전도를 이용한 온도환경실험기와 그 제어방법 및 온도특성 측정방법
KR101217694B1 (ko)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KR100789699B1 (ko) 고온 및 저온의 테스트 가능한 웨이퍼 프로버 장치
CN206387641U (zh) 一种具有加热装置的万能测试仪
JP2016176897A (ja) 電子部品搬送装置および電子部品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