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648Y1 -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648Y1
KR200410648Y1 KR2020050035263U KR20050035263U KR200410648Y1 KR 200410648 Y1 KR200410648 Y1 KR 200410648Y1 KR 2020050035263 U KR2020050035263 U KR 2020050035263U KR 20050035263 U KR20050035263 U KR 20050035263U KR 200410648 Y1 KR200410648 Y1 KR 200410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antenna
terminal
hin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훈
성원모
김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Priority to KR2020050035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6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08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말기 본체의 외곽 라인을 따라 형성한 루프 모양의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루프 프레임과; 상기 루프 프레임에 내장되며 양단이 각각 급전단 및 접지단에 접속된 방사체와; 상기 루프 프레임을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를 제공한다.
단말기, 루프 안테나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LOOP ANTENNA FOR CORDLESS TERMINA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 1, 2)
110 : 힌지 아암 120 : 힌지
130 : 루프 프레임 140 : 나선형 코일
(도 3, 4)
210 : 힌지 아암 220 : 힌지
230 : 루프 프레임 240 : 안테나 코일
본 고안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단말기는 통신 혹은 방송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핸드폰과 같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DMB폰과 같은 동영상이나 라디오 수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안테나를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로는 휩(Whip) 안테나, 헬리컬(Helical) 안테나, 리트랙터블(Retractable) 안테나, 탑-로딩(Top-loading) 안테나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는 대부분 단말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커 단말기를 소형화하는데 제한 사항으로 작용해 왔으며, 안테나 길이를 소형화할 경우에는 이득 및 대역폭과 같은 안테나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지상파 DMB는 VHF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파의 파장이 매우 길기 때문에 안테나의 길이도 매우 길어지며 단말기의 그라운드면 크기가 전파의 파장에 비해 매우 작아, 단말기에 내장될 수 있는 소형 안테나의 구현이 힘든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단말기 본체의 소형화에 유리하면서도 이득 및 대역폭 향상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계 자유도가 높고 안테나 성능 향상에 유리한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안테나의 지향성을 조절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단말기 본체의 외곽 라인을 따라 형성한 루프 모양의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루프 프레임과; 상기 루프 프레임에 내장되며 양단이 각각 급전단 및 접지단에 접속된 방사체와; 상기 루프 프레임을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를 제공한다.
상기 방사체는 나선형 코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사체는 상기 단말기 본체를 1회 이상 감싸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 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100)는 힌지 아암(110), 힌지(120), 루프 프레임(130) 및 나선형 코일(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1-1) 힌지 아암(Hinge Arm)
상기 힌지 아암(110)은 힌지(120) 및 루프 프레임(130)의 회전 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상기 힌지 아암(110)은 단말기 본체(M)의 일측에 형성하며, 단말기 본체(M)의 급전단(S) 및 접지단(G)과 각각 접속된 급전단자(112)와 접지단자(114)를 내장한다.
(1-2) 힌지(Hinge)
상기 힌지(120)는 힌지 아암(110)과 루프 프레임(130)을 연결하여 루프 프레임(13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루프 프레임(130) 내부의 나선형 코일(140)를 단말기 본체(M)의 급전단(S) 및 접지단(G)과 접속하게 하는 한 쌍의 도전성 부 재이다.
상기 힌지(120)는 힌지 아암(110)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급전단자(112) 및 접지단자(114)와 각각 접속된다.
(1-3) 루프 프레임(Loop Frame)
상기 루프 프레임(130)은 내장된 나선형 코일(140)을 보호함과 동시에 안테나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부재이다.
상기 루프 프레임(130)은 단말기 본체(M)의 외곽 라인을 따라 형성한 루프 모양의 유전체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상기 힌지(120)와 연결되어 힌지 아암(1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다.
상기 루프 프레임(130)을 형성하는 유전체의 재질은 합성수지, 세라믹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나, 안테나 특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설계시 원하는 안테나 특성에 맞게 선택한다.
상기 루프 프레임(130)의 형태는 단말기 본체(M)의 외곽 모양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되며, 예를 들면 사각 링, 타원 링, 원형 링 모양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프 프레임(130)의 단면 모양도 원형, 사각, 타원형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1-4) 나선형 코일(Helical Coil)
상기 나선형 코일(140)은 무선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방사체이다.
상기 나선형 코일(140)은 루프 프레임(130)에 내장되며, 양단이 각각 힌지(120)를 통해 급전단(S) 및 접지단(G)과 연결되어 루프 안테나로서 동작한다.
상기 나선형 코일(140)은 부도체인 안테나 코어(142)에 권선되어 안테나의 전기적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200)는 힌지 아암(210), 힌지(220), 루프 프레임(230) 및 안테나 코일(2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2-1) 힌지 아암(Hinge Arm)
상기 힌지 아암(210)은 힌지(220) 및 루프 프레임(230)의 회전 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상기 힌지 아암(210)은 단말기 본체(M)의 일측에 형성하며, 단말기 본체(M)의 급전단(S) 및 접지단(G)과 각각 접속된 급전단자(212)와 접지단자(214)를 내장한다.
(2-2) 힌지(Hinge)
상기 힌지(220)는 힌지 아암(210)과 루프 프레임(230)을 연결하여 루프 프레임(23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루프 프레임(230) 내부의 안테나 코일(240)의 양단을 단말기 본체(M)의 급전단(S) 및 접지단(G)과 접속하게 하는 한 쌍의 도전성 부재이다.
상기 힌지(220)는 관통홀(222)을 가진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220)는 힌지 아암(210)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급전단자(212) 및 접지단자(214)와 각각 접속된다.
(2-3) 루프 프레임(Loop Frame)
상기 루프 프레임(230)은 내장된 안테나 코일(240)를 보호함과 동시에 안테나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부재이다.
상기 루프 프레임(230)은 단말기 본체(M)의 외곽 라인을 따라 형성한 루프 모양의 유전체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상기 힌지(220)와 연결되어 힌지 아암(2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루프 프레임(230)을 형성하는 유전체의 재질은 합성수지, 세라믹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나, 안테나 특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설계시 원하는 안테나 특성에 맞게 선택한다.
상기 루프 프레임(230)의 형태는 단말기 본체(M)의 외곽 모양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되며, 예를 들면 사각 링, 타원 링, 원형 링 모양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프 프레임(230)의 단면 모양도 원형, 사각, 타원형 등 다양하게 구현 할 수 있다.
(2-4) 안테나 코일(Antenna Coil)
상기 안테나 코일(240)은 무선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방사체이다.
상기 안테나 코일(240)은 루프 프레임(230)에 내장되며, 상기 힌지(220)의 관통홀(222)을 통해 통과하고, 양단이 각각 힌지(220)를 통해 급전단(S) 및 접지단(G)과 연결되어, 루프 안테나로서 동작한다. 안테나 코일(240)이 힌지(220)의 관통홀(222)을 통과할 때, 통과하는 부분의 안테나 코일(240)은 힌지(220)와 접속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힌지(220)를 관통하는 안테나 코일(240)에 의해 안테나의 전기적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코일(240)은 실시예에 따라 루프 프레임(230) 내부에서 1회 이상 턴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코일(240)의 턴 수는 주파수 대역, 이득 및 대역폭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100, 200)는 루프 프레임(130, 230)을 힌지(120, 220)를 중심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다.
즉, 무선 송수신이 필요없을 때에는 루프 프레임(130, 230)을 단말기 본체(M) 일면에 접철시킨 상태를 유지하다가, 무선 송수신이 필요할 때에는 루프 프레 임(130, 230)을 힌지(120, 220)를 중심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상기 루프 프레임(130, 230)의 회전 여부 및 각도에 관계없이 급전단자(112, 212) 및 접지단자(114, 214)는 항상 힌지(120, 220)와 접속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는 전기적 길이가 길고, 이는 단말기 본체 외곽을 따라 설치되어 루프 프레임에 내장된 안테나의 특성을 변형할 수 있으므로 설계 자유도가 높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이득 및 대역폭 향상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는 사용 여부에 따라 접철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의 지향성을 조절하기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말기 본체의 외곽 라인을 따라 형성한 루프 모양의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루프 프레임과;
    상기 루프 프레임에 내장되며 양단이 각각 급전단 및 접지단에 접속된 방사체와;
    상기 루프 프레임을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는 나선형 코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는 상기 단말기 본체를 1회 이상 감싸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
KR2020050035263U 2005-12-15 2005-12-15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 KR200410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263U KR200410648Y1 (ko) 2005-12-15 2005-12-15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263U KR200410648Y1 (ko) 2005-12-15 2005-12-15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648Y1 true KR200410648Y1 (ko) 2006-03-09

Family

ID=4176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263U KR200410648Y1 (ko) 2005-12-15 2005-12-15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6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2158B2 (ja) 放送用受信機付き携帯電話
US7821463B2 (en) Mobile telephone with broadcast receiving element
EP1706917B1 (en) Multi-band antenna system
JP3266190B2 (ja) 折り畳み式移動電話
US7482986B2 (en) Multi-band antenna
US20070225052A1 (en) Portable Telephone with Broadcast Ceceiver
JP2002512463A (ja) アンテナシステムの接地手段に結合するための接地延長構造、アンテナシステム及び該接地構造を有する移動通信装置
US20080039043A1 (en) Mobile Telephone Device
JP2006025392A (ja) イヤホンケーブルアンテナ装置、接続ケーブル及び放送受信装置
US20090046014A1 (en) Multi-band antenna
JPH1168453A (ja) 複合アンテナ
KR20080012501A (ko) 휴대 단말기의 내 · 외장 겸용 안테나 장치
KR200410648Y1 (ko) 무선 단말기용 루프 안테나
JP4201696B2 (ja) 携帯無線機
US20130252678A1 (en) Antenn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059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핸드이펙트 저감형 내부 안테나 장치
KR100404324B1 (ko) 휴대폰용 고정형 모노폴 안테나
JP2006238176A (ja) 無線装置
JP2008219597A (ja) 携帯無線機
KR100575920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
JP2001230613A (ja)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JP2003249817A (ja) 2周波用共用スリーブアンテナ
WO2018003182A1 (ja) 通信端末
JP5105164B2 (ja) アンテナ構造及び携帯端末
KR100611908B1 (ko) 이중패치를 이용한 평면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