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351Y1 -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351Y1
KR200407351Y1 KR2020050029775U KR20050029775U KR200407351Y1 KR 200407351 Y1 KR200407351 Y1 KR 200407351Y1 KR 2020050029775 U KR2020050029775 U KR 2020050029775U KR 20050029775 U KR20050029775 U KR 20050029775U KR 200407351 Y1 KR200407351 Y1 KR 200407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mobile phone
module
strob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섭
Original Assignee
에스엔티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엔티전자(주) filed Critical 에스엔티전자(주)
Priority to KR2020050029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3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3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80Lamps suitable only for intermittent operation, e.g. flash la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을 이용한 사진촬영시 작동되는 섬광장치의 작동을 제어해주기 위한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공급전압을 맥류의 전압으로 출력하여 주기 위한 정류수단과, 튜브(tube)체에 크세논(XE)가스를 충진하여서 된 섬광장치와, 섬광장치에 의한 섬광시 메인(main) 콘덴서 또는 서브(sub) 콘덴서를 선택하여 빛의 밝기를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표준화(일반화)된 모듈로 여하한 기종의 휴대폰의 메인보드에도 쉽게 탑재할 수 있어 휴대폰의 개발시 스트로보의 개발(설계)에 관련된 비용이나 시간의 낭비가 중복적으로 이루어지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로보 관련 기술을 보유하지 않은 후발기업에서도 관련기술을 십분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발에 참여하여 기업 간의 동반성장을 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휴대폰, 스트로보, 발진부, 검출부, 섬광장치

Description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strobo module for a mobile phone}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스트로보 모듈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스트로보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스트로보 모듈 20: 발진부
30: 정류부 40: 검출부
50: 축적부 60: 섬광장치
70: 선택부 80: 트리그부
본 고안은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이용한 사진촬영시 작동되는 섬광장치의 작동을 제어해주기 위한 구성요소를 단일의 기판상에 패키징(packaging)화 한 스트로보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mobile phone)은 상당수(국내의 경우 전인구의 70%)가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각 제조사는 통화 외적인 기능이 부가된 차별화된 성능의 휴대폰의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와 같이 개발된 휴대폰의 대표적인 예로 카메라(camera)를 탑재한 휴대폰이나 MP3 플레이어를 탑재한 휴대폰 등을 들 수 있는데, 카메라를 탑재한 휴대폰의 경우에는 탑재된 카메라가 디지탈 카메라(digital camera)와 맞먹는 성능을 구현하고 있는바, 휴대폰 촬영장치에도 일반 카메라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플래시(flash)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사진촬영에 사용되는 플래시 장치는 태양광과 같은 광질의 인공 광원으로서 통상적으로 색온도가 5500K에 맞춰져 있어 색보정 필터가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데, 이를 디지탈 플래시(digital flash) 또는 스피드 라이트(speed light)라고 명명하며 통칭하여 스트로보(strobo)라고 한다.
종래에는 휴대폰의 개발단계에서 메인보드의 설계시 스트로보(strobo)가 그 일부로 개발되고 있는데, 그와 같은 메인보드의 설계기술은 기업의 기밀기술로 취급되어 타업체와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에 있으며, 또한, 스트로보가 해당 휴대폰의 메인보드의 일부 구성요소로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휴대폰이 설계되면 스트로보에 대한 설계가 새로이 진행될 수밖에 없는 바, 이는 막대한 개발시간과 개발비용이 반복적으로 투입되어야 한다는 불합리한 폐단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기업은 물론 국가 경쟁력의 약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이루어지던 스트로보의 설계 및 운용체제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섬광장치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각 구성요소를 단일의 기판상에 패키징(packaging)화 함으로써 표준화(일반화)된 스트로보 모듈을 구현하고 이를 어떠한 기종의 휴대폰의 메인보드에도 쉽게 탑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로보의 개발(설계)에 관련된 비용이나 시간의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스트로보 관련 기술을 보유하지 않은 후발기업에서도 이미 구현된 스트로보 모듈을 십분활용하여 기업간의 동반성장이 가능하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급전압을 맥류의 전압으로 출력하여 주기 위한 정류수단과, 튜브(tube)체에 크세논(XE)가스를 충진하여서 된 섬광장치와, 섬광장치에 의한 섬광시 메인(main) 콘덴서 또는 서브(sub) 콘덴서를 선택하여 빛의 밝기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성수단 등을 구비하는바, 이하 예시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10)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발진부(20)와, 정류부(30) 및 검출부(40)와, 축적부(50)와, 발광장치(60) 및 선택부(70)와, 트리그(trig)부(80) 등으로 구성되어짐을 알 수 있으며, 상기의 각 구성요소를 단일의 기판상에 배열하여 패키징(packaging)화 함으로써 표준화된 스트로보 모듈(10)을 구성한다.
상기 발진부(20)는 DC-DC 컨버터로써 DC 배터리의 전압을 고압의 DC전압으로 변환하여 주기 위한 증폭수단으로, 증폭된 DC전압은 정류부(30)로 공급된다.
상기 정류부(30)는 발진부(20)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맥류의 전압으로 출력하여 주기 위한 정류수단으로, 정류부(30)에서 정류된 전압은 축적부(50)로 공급된다.
상기 검출부(40)는 정류부(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발광에 필요한 소정 전압에 이르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출수단으로, 정류부(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소정 전압에 이르지 않을 경우에는 발진부(20)에 필요(부족)한 전압의 출력을 지령하게 된다.
상기 축적부(50)는 빛의 섬광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한 에너지 축적수단으로, 메인(main) 콘덴서 또는 서브(sub) 콘덴서를 구비하며, 섬광 에너지를 축적하여서 필요한 양만큼의 에너지를 섬광을 발광하여 주게 된다.
상기 섬광장치(60)는 실제로 빛을 발산하여 주기 위한 인공광원으로, 튜브(tube)체에 크세논(XE)가스를 충진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선택부(70)는 섬광장치(60)에 의한 섬광시 축적부(50)의 메인(main) 콘덴서 또는 서브(sub) 콘덴서를 선택하여 빛의 밝기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 다.
상기 트리그부(80)는 섬광장치(60)에 고압의 충격을 가하여 튜브(tube)체에 충진된 크세논(XE) 가스를 이온화시킴으로써 섬광을 발생시켜 주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기판상에 배열되는 단일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으로 기존 휴대폰 등에 간단하게 장착하여 사진촬영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동영상 등의 촬영에 적합하게 구동하는 종래 플래시 장치에 비해 고휘도의 인공광원을 발산하므로 선명한 화질의 사진촬영이 가능해진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은 태양광과 같은 광질의 인공 광원을 발광하여 색보정 필터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섬광장치의 구동을 위한 각 구성요소를 패키징(packaging)화 함으로써 표준화(일반화)된 모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어떠한 기종의 휴대폰의 메인보드에도 쉽게 탑재할 수 있어 휴대폰의 개발시 스트로보의 개발(설계)에 관련된 비용이나 시간의 낭비가 중복적으로 이루어지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로보 관련 기술을 보유하지 않은 후발기업에서도 관련기술을 십분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발에 참여하여 기업 간의 동반성장을 꾀할 수 있는 등 본 고안은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고안이다.

Claims (1)

  1. DC 배터리의 전압을 고압의 DC전압으로 증폭·변환시켜 주기 위한 발진부(20)와;
    발진부(20)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맥류의 전압으로 출력하여 주기 위한 정류부(30)와;
    정류부(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출력되는 전압이 소정 전압에 이르지 않을 경우에는 발진부(20)에 필요한 전압의 출력을 지령해주기 위한 검출부(40)와;
    빛의 섬광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한 축적부(50)와;
    실제로 빛을 발산하여 주기 위한 인공광원으로, 튜브(tube)체에 크세논(XE)가스를 충진하여서 된 섬광장치(60)와;
    섬광장치(60)에 의한 섬광시 축적부(50)의 메인(main) 콘덴서 또는 서브(sub) 콘덴서를 선택하여 빛의 밝기를 변화시키기 위한 선택부(70)와;
    섬광장치(60)에 고압의 충격을 가하여 XE-튜브(tube)에 충진된 가스를 이온화시킴으로써 섬광을 발생시켜 주기 위한 트리그부(80)를 단일의 기판상에 배열하여 패키징(packaging)화 함으로써 표준화된 스트로보 모듈(10)을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
KR2020050029775U 2005-10-20 2005-10-20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 KR200407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775U KR200407351Y1 (ko) 2005-10-20 2005-10-20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775U KR200407351Y1 (ko) 2005-10-20 2005-10-20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933A Division KR100656729B1 (ko) 2005-10-20 2005-10-20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351Y1 true KR200407351Y1 (ko) 2006-01-31

Family

ID=4929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775U KR200407351Y1 (ko) 2005-10-20 2005-10-20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3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310571A (ja) カメラ機能付き携帯型電子機器
US2017028003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Timing of Extension Flash Module
WO2009041437A1 (ja) 調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JP4282910B2 (ja) 撮影用照明装置
KR200407351Y1 (ko)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
KR100656729B1 (ko) 휴대폰용 스트로보 모듈
KR100575784B1 (ko)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외장형 플래시와 그 제어방법
JP2002131810A (ja) 電子閃光装置およびカメラ
JP4851816B2 (ja) キャパシタ充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回路、制御方法、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121755A (ja) カメラの発光装置及びカメラ
JP4437874B2 (ja) 撮影用照明装置
JP2009276525A (ja) カメラ、閃光装置、撮像装置および閃光方法
JP2006010746A (ja) 撮影用照明装置およびカメラ
JP2018045191A (ja) 意匠パネル
JP2008009052A (ja) ストロボ装置及び撮影装置
CN100365500C (zh) 照相机的闪光灯装置
JP4385258B2 (ja) オートストロボ装置
EP1624734A3 (en) Flash device
JP2007121640A (ja) カメラの発光装置及びカメラ
US200400706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strobe charging
JP4154706B2 (ja) カメラに備えるモニタとフラッシュの給電装置
JP7278057B2 (ja) 照明装置
JP2004171820A (ja) カメラ付携帯電話機に内蔵する閃光発光器
JP2010262064A (ja) 電源装置
KR960005167Y1 (ko) 컴팩트카메라용 보조스트로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