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460Y1 -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460Y1
KR200406460Y1 KR2020050029536U KR20050029536U KR200406460Y1 KR 200406460 Y1 KR200406460 Y1 KR 200406460Y1 KR 2020050029536 U KR2020050029536 U KR 2020050029536U KR 20050029536 U KR20050029536 U KR 20050029536U KR 200406460 Y1 KR200406460 Y1 KR 200406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ing
rod
trolley
bog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학용
Original Assignee
문학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학용 filed Critical 문학용
Priority to KR2020050029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4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화물차의 적재함 후방에 설치되는 리프트의 플레이트(20)와 대차(1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는 자유단측으로 몸체 일부가 절개되어 안착부(70)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안착부(70)에 대차(10)가 안착되되, 플레이트(20)의 배면에는 봉 형태의 탈착로드(30)가 마련되어 대차(10)를 플레이트(2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대차를 리프트의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켜줌에 따라 대차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해지고, 적재함에 실린 화물을 대차에 곧바로 실어서 운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탈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 리프트, 플레이트, 대차.

Description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구조{A STRUCTURE FOR COUPLING A LIFT PLATE AND CARRYING CART}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리프트의 플레이트와 대차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리프트의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상태 배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리프트의 플레이트와 대차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적용된 결합로드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과정도,
도 5 는 본 고안이 적용된 트럭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차 12 : 결합홈
20 : 플레이트 22 : 안착판
24 : 지지판 30 : 결합로드
40 : 안내봉 42 : 안내돌기
50 : 연결봉 60 : 안내부재
62 : 안내홈 70 : 안착부
본 고안은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물운반용 차량에 설치된 리프트 플레이트에 대차를 결합 가능하게 체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운반 차량에는 짐을 싣고 내리기 용이하도록 리프트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리프트 장치는 실용신안 등록 제273284호 "트럭 적재함용 리프트 게이트" 및 제303269호 "가스통 운반차의 적재함 구조"등을 통해 제안된 바 있으며, 현재 실제 화물운반 차량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리프트 장치에서 볼 수 있듯이 리프트 장치는 유압장치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승과 하강을 하여 짐을 싣고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화물 적재함의 뒷문 기능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플레이트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화물차에 싣고 있던 화물을 운반하거나 또는 화물차로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서 대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대차는 실용신안등록 제384438호 및 제333531호의 명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공지된 일반적인 구성을 보면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판이 마련되고 상기 적재판의 아랫면에 다수개의 바퀴가 고정되어 화물을 적재판에 적재한 다음 밀어서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대차는 독립된 개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화물차의 적재함에 싣고 다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사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대차를 적재함에 적재하여 두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빈번하여 필요할 때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는 것이었으며, 특히 화물 적재에 사용한 다음 적재함에 화물이 가득 적재될 경우에는 상기 대차를 적재할 공간이 부족하여 휴대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대차의 적재에 따른 어려움 때문에 대차를 리프트 플레이트 상부에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사용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차량의 이동시 차량의 충격에 의하여 리프트 플레이트에서 대차가 흔들리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게 되었고, 심한 경우에는 리프트 플레이트에서 대차가 떨어지게 되어 대차의 파손은 물론, 적재함에 적재된 물건의 파손이 일어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대차를 화물차의 리프트 플레이트에 결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여 대차의 운반 및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구조를 얻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리프트의 플레이트와 대차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리프트의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상태 배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리프트의 플레이트와 대차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적용된 결합로드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과정도, 도 5 는 본 고안이 적용된 트럭의 예시도이다.
먼저, 고안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화물차의 적재함 후방에 설치되는 리프트의 플레이트(20)와 대차(10)를 결합 가능하게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대차(10)는 측면에 결합홈(12)이 형성되어서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20)는 자유단측으로 몸체 일부가 절개되되, 절개면에 상기 결합홈(12)과 일치되는 위치에 슬라이딩공(23)이 천공된 안착판(22)이 고정되어 상기 대차(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착부(70)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플레이트(20)의 배면에는 상기 슬라이딩공(23)과 수평을 이루되 일정 간격이 떨어진 위치에 슬라이딩공(25)이 천공된 지지판(24)이 세워져 설치되고, 일정 길이를 가진 단면 호형의 안내부재(60)가 경사진 안내홈(62)이 마련되어 상기 안착판(22)과 지지판(24)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 끝단이 상기 대차(10)의 결합홈(12)에 끼워지는 봉 형태의 결합로드(30)가 마련되어 상기 두 슬라이딩공(23)(25)에 끼워져 지지 되되 상기 결합로드(30)는 상기 안내홈(6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안내돌기(42)가 돌출된 안내봉(40)과 결합되어서, 상기 안내봉(40)이 결합로드(30)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것에 의해 결합로드(30)가 진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물차의 적재함 후방에 설치되는 리프트의 플레이트(20)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20)와 대차(10)가 일체로 되도록 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기본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플레이트(20)의 자유단측으로 몸체 일부가 절개되고, 절개면 바른 위치에 슬라이딩공(23)이 천공된 단면 "L"자 형의 안착판(22)이 고정되어 안착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지의 대차(10)가 마련되어 상기 안착부(70)에 안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대차(10)의 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공(23)과 일치되는 위치에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안착부(70)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고로 하여 대차(10)를 상기 플레이트(20)의 안착부(70)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살펴보면, 상기 플레이트(20)의 배면에는 상기 슬라이딩공(23)과 수평을 이루되 일정 간격이 떨어진 위치에 슬라이딩공(25)이 천공된 지지판(24)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으며, 더불어 일정 길이를 가진 단면 호형의 안내부재(60)가 경사진 안내홈(62)이 마련되어 상기 안착판(22)과 지지판(24) 사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24)은 금속판을 성형하여 구성하며, 바람직하게는 금속판을 "L"자 형상으로 형성한 다음 용접고정하여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하며, 상기 안내부재(60) 또한 금속판을 호형으로 성형한 다음 플레이트(20)의 배면에 용접고정하여서 흡사 터널을 이루도록 하여 준다.
상기 두 슬라이딩공(23)(25)에는 일측 끝단이 상기 대차(10)의 결합홈(12)에 끼워지는 봉 형태의 결합로드(30)가 마련되어 끼워져 지지 되는데, 상기 결합로드(30)는 상기 안내부재(60)에 형성된 안내홈(62)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돌기(42)가 돌출된 안내봉(40)과 연결봉(5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로 하여 상기 결합로드의 작동과정을 살펴본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0)가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는 안내봉(40)이 자중에 의해 쳐져 안내부재(60)의 정점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 이는 결합로드(30)가 후진한 상태이며, 안착부(70)에 대차(10)를 안착시켜 플레이트(10)와 대차(10)의 체결을 준비하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이동을 위해 플레이트(20)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안내봉(40)이 자중에 의해 쳐져 안내부재(60)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 이는 안내봉(40)이 결합로드(30)을 축으로 하여 안내부재(60)의 외주면을 타고 회동하는 것에 의해 결합로드(30)가 대차(10)측으로 전진되어 있는 상태로서, 결합로드(30)의 끝단이 대차(1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2)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며,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대차(10)가 플레이트(20)에 고정되어 차량의 이동시 흔들림이 없이 대차(10)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결합로드(30)의 전진 및 후진은 상기 안내홈(62)을 구성을 통해 이룰 수 있는 바, 상기 안내홈(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60)의 몸체 저면으로 부터 정점에 이르는 위치까지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이 안내돌기(42)가 안내홈(62)를 따라 슬라이딩 될 경우 결합로드(30)가 전진과 후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적재함에 적재된 물건 등을 내리기 위해 플레이트(20)를 열게 되면, 플레이트(20)가 지면과 수평이 되면서, 수평된 상태의 안내부재(60)에서 안내봉(40)이 자중에 의해 쳐지게 되어 안내부재(60)의 윗쪽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
이는 안내봉(40)이 결합로드(30)을 축으로 하여 안내부재(60)의 외주면을 타고 회동하는 것에 의해 결합로드(30)가 후진되면서 대차(10)와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고, 고정이 해제되어 자유스러운 상태의 대차(10)를 이용하여 화물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플레이트(20)에 대차(1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화물차의 리프트 장치에 적용하면 보다 편리하게 대차를 휴대할 수 있게 되는 등 여러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은 대차(10)의 결합을 본 고안에서는 플레이트(20)에 결합됨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꼭 리프트 플레이트(20)에 적용되는 것뿐만 아니라, 대차(10)를 사용하는 어떤 장치에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대차를 리프트의 플레이트에 결합 가능하게 결합시켜줌에 따라 대차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해지고, 적재함에 실린 화물을 대차에 곧바로 실어서 운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화물차의 적재함 후방에 설치되는 리프트의 플레이트(20)와 대차(10)를 결합 가능하게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대차(10)는 측면에 결합홈(12)이 형성되어서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20)는 자유단측으로 몸체 일부가 절개되되, 절개면에 상기 결합홈(12)과 일치되는 위치에 슬라이딩공(23)이 천공된 안착판(22)이 고정되어 상기 대차(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착부(70)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플레이트(20)의 배면에는 상기 슬라이딩공(23)과 수평을 이루되 일정 간격이 떨어진 위치에 슬라이딩공(25)이 천공된 지지판(24)이 세워져 설치되고, 일정 길이를 가진 단면 호형의 안내부재(60)가 경사진 안내홈(62)이 마련되어 상기 안착판(22)과 지지판(24)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 끝단이 상기 대차(10)의 결합홈(12)에 끼워지는 봉 형태의 결합로드(30)가 마련되어 상기 두 슬라이딩공(23)(25)에 끼워져 지지 되되 상기 결합로드(30)는 상기 안내홈(6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안내돌기(42)가 돌출된 안내봉(40)과 결합되어서, 상기 안내봉(40)이 결합로드(30)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것에 의해 결합로드(30)가 진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구조.
KR2020050029536U 2005-10-18 2005-10-18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구조 KR200406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36U KR200406460Y1 (ko) 2005-10-18 2005-10-18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36U KR200406460Y1 (ko) 2005-10-18 2005-10-18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460Y1 true KR200406460Y1 (ko) 2006-01-23

Family

ID=4175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536U KR200406460Y1 (ko) 2005-10-18 2005-10-18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4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04B1 (ko) 2018-02-08 2018-05-24 주식회사 창원레이저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
KR102533482B1 (ko) * 2023-02-17 2023-05-17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운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04B1 (ko) 2018-02-08 2018-05-24 주식회사 창원레이저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
KR102533482B1 (ko) * 2023-02-17 2023-05-17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운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77294A1 (en) Portable and stowable ramp and equipment storage system for pickup trucks
CN201300870Y (zh) 物流笼车
JP2009120202A (ja) 貨物用上段ラックおよび貨物用下段ラック
US6447051B1 (en) Extended cab pickup truck with cab load container
JPH06316236A (ja) 貨物運搬用トラック
KR200406460Y1 (ko)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구조
CN205668569U (zh) 铁路驮背运输车及其托盘
JP3370042B2 (ja) 作業用車両
US8783754B1 (en) Vehicle having utility bed and retractable seat
JP2011020737A (ja) 脱着式輸送用コンテナ
US6814396B2 (en) Compartmentalized dump body for a dump truck
KR100429030B1 (ko) 화물차, 덤프차의 덤핑장치
JP2002283906A (ja) 貨物車における傾斜駆動式荷台の仕切り装置
JP2009208632A (ja) 車両用収納装置
JP2008074143A (ja) 伸縮可能なコンテナシャシ
KR100424976B1 (ko) 적재함의 화물 이동장치
KR101663218B1 (ko) 난간대가 구비된 카고트럭용 적재함
JP5599416B2 (ja) 円環形状物品等の大型貨物の輸送用トレーラ
KR20140016551A (ko) 화차 겸용 암롤박스
CN109263530A (zh) 平推侧翻自卸车的车体的车厢盖篷
JP2014128996A (ja) 荷台付き車輌
CN210852540U (zh) 设备转运装置
KR200476662Y1 (ko) 트럭 적재함용 이동식 펜스 장치
PL71801Y1 (pl) Pojazd z urządzeniem do przewozu wózków widłowych
CN211196191U (zh) 翻转式活动过渡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