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804B1 -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 - Google Patents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804B1
KR101860804B1 KR1020180015711A KR20180015711A KR101860804B1 KR 101860804 B1 KR101860804 B1 KR 101860804B1 KR 1020180015711 A KR1020180015711 A KR 1020180015711A KR 20180015711 A KR20180015711 A KR 20180015711A KR 101860804 B1 KR101860804 B1 KR 10186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tailgate
cargo
tail gat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원레이저
황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원레이저, 황순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원레이저
Priority to KR102018001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대차가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특히 화물차량에 있어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함에 있어 화물을 별도의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운반하여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전방에 운전실(D)이 있고 후방에는 물품 등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칸(C)이 사이드게이트(S)와 테일게이트(10)로 둘러쌓여있는 상태를 포함하되,
세로방향 양측에 구비된 세로대(100)와 상기 세로대(100)의 하측에 일체로 구비된 가로대(110)로 이루어져 상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세로대(1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힌지(1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로대(100)의 내측에는 가이드 홈(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대(110) 양측에는 체결부재(111)가 구비되어 있는 테일게이트(10)와,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게이트(S) 후방 양측에 결합되어 있는 유압 실린더(20)와,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세로대(100)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인입출토록 세로 양측에는 가이드 돌기(300)가 형성되어 있고 가로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힌지(301)가 구비되어 전방판재(310)와 후방판재(320)로 나눠지며 상기 전방판재(310) 상면 양측에는 상기 체결부재(111)에 대응되는 결합부재(311)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311)와 근접된 안쪽으로 각각 제1 삽입공(31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삽입공(312)의 후방 소정의 위치 하면에는 제1 캐스터(3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후방판재(320)의 하면 후방 양측에는 제2 캐스터(3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캐스터(321)의 전방 소정의 위치 상면 양측에는 제2 삽입공(322)이 각각 천공되어 있으며 최후방 끝단면 중앙에는 회동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재(330)를 축으로 양측으로 손잡이(340)가 회동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이동대차(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테일게이트 자체에 이동대차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별도의 이동대차가 필요없고 또한 테일게이트로 부터 이동대차의 착탈이 간편하고 편리하게 되어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 {Vehicles with movable trucks detachable from the tailgate.}
본 발명은 이동대차가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특히 화물차량에 있어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함에 있어 화물을 별도의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운반하여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이라 함은 전방에 운전실이 있고, 후방에는 물품 등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칸이 사이드게이트와 테일게이트로 둘러쌓여 수용부를 이루어 다양한 물품 즉, 짐을 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화물차량에서 상기한 화물칸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지면에서 화물을 올려주는 사람과, 화물칸위에 올라 화물을 받아 적재하는 사람이 필요하며 역으로 화물의 하역시는 역할만 바뀔 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게 된다.
즉, 화물의 적재와 하역작업을 살펴보면, 통상 이동대차 등을 사용하여 창고로부터 화물을 트럭까지 옮긴 후, 작업자가 상기 이동대차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수작업으로 화물차량의 화물칸으로 다시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하역 작업도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화물적재작업은 화물이 가볍거나 화물차량이 비교적 소형일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화물이 무겁고, 화물차량이 대형이며 적재하고자하는 화물이 상당 수에 이를 때 그 적재 및 하역작업은 여간 번거로운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화물차량에 있어 적재 및 하역작업을 위한 인원이 두명 이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성이 떨어지고, 아울러 연속된 작업이 어려워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화물의 적재 및 하역시 화물차량까지 화물을 운반하여야 하고 하역시는 화물을 특정 장소까지 운반해야 하는데 이때 마다 별도의 이동대차를 이용하여야 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는 특허공개 제10-1999-0052274호 발명의 명칭 '이송대차가 구비된 화물차량'이 출원되어 있고 그 기술적 요지는,
"화물차량의 화물칸에 이송대차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화물칸 저면에는 상기 이송대차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수단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이송대차의 밑면에는 분리된 이송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화물이 적재된 이송대차를 화물칸에 바로 적재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이송대차가 구비된 화물차량"을 구성적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종래기술은 구조 자체가 복잡하고 화물칸 바닥에 이송대차가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되는 구조나 이송대차가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공개 제10-1999-005227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화물차량의 테일게이트 자체에 이동대차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별도의 이동대차가 필요없고 또한 테일게이트로 부터 이동대차의 착탈이 간편하고 편리하게 되어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해결적 수단은,
"전방에 운전실(D)이 있고 후방에는 물품 등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칸(C)이 사이드게이트(S)와 테일게이트(10)로 둘러쌓여있는 상태를 포함하되,
세로방향 양측에 구비된 세로대(100)와 상기 세로대(100)의 하측에 일체로 구비된 가로대(110)로 이루어져 상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세로대(1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힌지(1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로대(100)의 내측에는 가이드 홈(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대(110) 양측에는 체결부재(111)가 구비되어 있는 테일게이트(10)와,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게이트(S) 후방 양측에 결합되어 있는 유압 실린더(20)와,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세로대(100)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인입출토록 세로 양측에는 가이드 돌기(300)가 형성되어 있고 가로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힌지(301)가 구비되어 전방판재(310)와 후방판재(320)로 나눠지며 상기 전방판재(310) 상면 양측에는 상기 체결부재(111)에 대응되는 결합부재(311)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311)와 근접된 안쪽으로 각각 제1 삽입공(31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삽입공(312)의 후방 소정의 위치 하면에는 제1 캐스터(3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후방판재(320)의 하면 후방 양측에는 제2 캐스터(3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캐스터(321)의 전방 소정의 위치 상면 양측에는 제2 삽입공(322)이 각각 천공되어 있으며 최후방 끝단면 중앙에는 회동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재(330)를 축으로 양측으로 손잡이(340)가 회동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이동대차(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테일게이트 자체에 이동대차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별도의 이동대차가 필요없고 또한 테일게이트로 부터 이동대차의 착탈이 간편하고 편리하게 되어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이동대차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테일게이트의 사시도 및 요부 작동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로 부터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테일게이트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테일게이트가 지면으로 하강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도 6에서 이동대차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도 7의 측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이동대차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테일게이트의 사시도 및 요부 작동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어서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로 부터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테일게이트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테일게이트가 지면으로 하강한 상태의 사시도이고,도 7은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도 6에서 이동대차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도 7의 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운전실(D)이 있고 후방에는 물품 등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칸(C)이 사이드게이트(S)와 테일게이트(10)이며,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을 크게 나누어보면,
테일게이트(10), 유압 실린더(20), 이동대차(30)로 나눌 수 있고,
상기 테일게이트(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 양측에 구비된 세로대(100)와 상기 세로대(100)의 하측에 일체로 구비된 가로대(110)로 이루어져 상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세로대(1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힌지(1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로대(100)의 내측에는 가이드 홈(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대(110) 양측에는 체결부재(11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20)을 기준으로 절첩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유압실린더(20)은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게이트(S) 후방 양측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 실린더(20)의 실린더 로드가 절곡되어 상기 테일게이트(10)의 가로대(110)에 결합되어 상기 테일게이트(10)을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이동대차(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세로대(100)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인입출토록 세로 양측에는 가이드 돌기(300)가 형성되어 있고 가로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힌지(301)가 구비되어 전방판재(310)와 후방판재(320)로 나눠지며 상기 전방판재(310) 상면 양측에는 상기 체결부재(111)에 대응되는 결합부재(311)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311)와 근접된 안쪽으로 각각 제1 삽입공(31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삽입공(312)의 후방 소정의 위치 하면에는 제1 캐스터(3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후방판재(320)의 하면 후방 양측에는 제2 캐스터(3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캐스터(321)의 전방 소정의 위치 상면 양측에는 제2 삽입공(322)이 각각 천공되어 있으며 최후방 끝단면 중앙에는 회동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재(330)를 축으로 양측으로 손잡이(340)가 회동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차(30)은 상기 테일게이트(10)와 마찬가지로 힌지(301)을 기준으로 절첩된 상태로서 상기 전방판재(310)의 하면에 구비된 제1 캐스터(313)은 상기 후방판재(320)에 천공된 제2 삽입공(322)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후반판재(320)의 제2 캐스터(321)은 상기 전방판재(310)의 제1 삽입공(312)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인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칸(C)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 또는 적재하고자 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테일게이트(10)의 가이드 홈(101)을 따라 사익 이동대차(30)의 가이드 돌기(300)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되고 이때 이동대차(30)가 상기 테일게이트(10)로 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테일게이트(10)의 체결부재(111)이 이동대차(30)의 결합부재(31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각의 힌지(120, 301)에 의해 절첩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화물칸(C)에 적재된 화물 또는 적재하고자 하는 화물이 있을 경우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상기 절첩된 테일게이트(10)와 이에 결합된 이동대차(30)를 지면과 수평되게 개방한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 상태를 해지하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화물칸(C)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대차(30)의 전방판재(310) 및 후방판재(320)에 하역하고자 하는 화물을 적재한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테일게이트(10)와 이에 결합된 이동대차(30)를 지면과 맞닿도록 하강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10)의 체결부재(111)을 이동대차(30)의 결합부재(311)로 부터 해지하고 회동부재(330)을 이용하여 손잡이(340)을 직각으로 회동하여 세운 다음 이동대차(30)를 작업자 몸쪽으로 당기면 가이드 돌기(300)이 상기 테일게이트(10)의 가이드 홈(101)으로 부터 슬라이딩되면서 이탈되고 결국 테일게이트(10)로 부터 이동대차(30)가 분리되는 것이다.
그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차(30)의 하면에 구비된 제1 캐스터(313), 제2 캐스터(321)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하역된 화물을 원하는 위치까지 운반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화물칸(C)에 화물을 적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테일게이트(10)로 부터 이동대차(30)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탈하여 화물칸(C)에 적재하고자 하는 화물이 있는 장소까지 이동대차(30)를 이동하여 이동대차(30)의 전방판재(310) 및 후방판재(320) 상면에 화물을 적재한 다음 화물차량이 있는 곳까지 운반후 상기 이동대차(30)의 가이드 돌기(300)를 테일게이트(10)의 가이드 홈(101)에 슬라이딩 삽입하고 상기 체결부재(111)과 결합부재(311)을 결합한 다음 유압 실린더(20)를 작동 승강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테일게이트 자체에 이동대차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별도의 이동대차가 필요없고 또한 테일게이트로 부터 이동대차의 착탈이 간편하고 편리하게 되어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테일게이트 20 : 유압 실린더
30 : 이동대차 100 : 세로대
101 : 가이드 홈 110 : 가로대
111 : 체결부재 120 : 힌지
300 : 가이드 돌기 301 : 힌지
310 : 전방부재 311 : 결합부재
312 : 제1 삽입공 313 : 제1 캐스터
320 : 후방판재 321 : 제2 캐스터
322 : 제2 삽입공 330 : 회동부재
340 : 손잡이 C : 화물칸
D : 테일게이트 S : 사이드게이트

Claims (1)

  1. 전방에 운전실(D)이 있고 후방에는 물품 등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칸(C)이 사이드게이트(S)와 테일게이트(10)로 둘러쌓여있는 상태를 포함하되,
    세로방향 양측에 구비된 세로대(100)와 상기 세로대(100)의 하측에 일체로 구비된 가로대(110)로 이루어져 상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세로대(1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힌지(1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로대(100)의 내측에는 가이드 홈(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대(110) 양측에는 체결부재(111)가 구비되어 있는 테일게이트(10)와,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게이트(S) 후방 양측에 결합되어 있는 유압 실린더(20)와,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세로대(100)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인입출토록 세로 양측에는 가이드 돌기(300)가 형성되어 있고 가로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힌지(301)가 구비되어 전방판재(310)와 후방판재(320)로 나눠지며 상기 전방판재(310) 상면 양측에는 상기 체결부재(111)에 대응되는 결합부재(311)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311)와 근접된 안쪽으로 각각 제1 삽입공(31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삽입공(312)의 후방 소정의 위치 하면에는 제1 캐스터(3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후방판재(320)의 하면 후방 양측에는 제2 캐스터(3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캐스터(321)의 전방 소정의 위치 상면 양측에는 제2 삽입공(322)이 각각 천공되어 있으며 최후방 끝단면 중앙에는 회동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재(330)를 축으로 양측으로 손잡이(340)가 회동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이동대차(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
KR1020180015711A 2018-02-08 2018-02-08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 KR10186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711A KR101860804B1 (ko) 2018-02-08 2018-02-08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711A KR101860804B1 (ko) 2018-02-08 2018-02-08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804B1 true KR101860804B1 (ko) 2018-05-24

Family

ID=6229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711A KR101860804B1 (ko) 2018-02-08 2018-02-08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8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460Y1 (ko) 2005-10-18 2006-01-23 문학용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460Y1 (ko) 2005-10-18 2006-01-23 문학용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7024A (en) Cargo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trucks
US7128357B1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a truck having a bed
US7524156B2 (en) Portable and stowable ramp and equipment storage system for pickup trucks
US4302044A (en) Transport truck with multiple access cargo carrying body
US6481773B1 (en) Removable storage unit for a motor vehicle
US5211437A (en) Combination tailgate and ramp assembly
US6120075A (en) Portable extendable cargo deck
US3155419A (en) Convertible trailer
US4087007A (en) Cargo platform system
US4126357A (en) Demountable tilting container assemblies for light vans and trucks
US9713977B1 (en) Cargo handling device for a vehicle
US20060284439A1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a truck having a bed
JP2000500096A (ja) 可動性の補助床を付与する道路車両用の構造装置
US3791541A (en) Cargo platform
US20140305977A1 (en) Cargo Box and Table Extension for a Truck Bed
CN104875660A (zh) 具有快速装载/卸载的货物舱的卡车车体
US2606786A (en) Panel type truck body with hinged panels forming platforms
US20090202328A1 (en) Low profile hook hoist
DE10017570A1 (de) Kraftfahrzeug mit einer Ladefläche, insbesondere Pickup-Fahrzeug
US3288522A (en) Dock board assembly for a vehicle
KR101860804B1 (ko) 이동대차가 테일게이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
US5181760A (en) Motor vehicle trailer with counterbalancing weights
JP4633917B2 (ja) 荷台傾斜車両の後部突入防止装置
US2686060A (en) Motor truck with rear door convertible to trailer or dolly
US3804276A (en) Cargo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