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130Y1 -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 - Google Patents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130Y1
KR200406130Y1 KR2020050031398U KR20050031398U KR200406130Y1 KR 200406130 Y1 KR200406130 Y1 KR 200406130Y1 KR 2020050031398 U KR2020050031398 U KR 2020050031398U KR 20050031398 U KR20050031398 U KR 20050031398U KR 200406130 Y1 KR200406130 Y1 KR 200406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mold
expanded
expansion
out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치호
박창주
한광수
이창호
Original Assignee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1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1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1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7/00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or closing; Apparatus therefor, e.g. collapsible mandrels
    • B29C57/02Belling or enlarging, e.g. combined with forming a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005Hoses, i.e. 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호스(H)가 끼워져 확관될 수 있도록 최초 압출 상태의 호스 내경 및 확관 상태의 호스 내경을 가지고 있는 내부 금형(10)과, 상기 호스(H)가 상기 내부 금형(10)에서 확장될 때 호스 두께의 편심을 방지하기 위한 외부 금형(2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내부 금형(10)은, 최초 압출 상태의 호스(H)가 끼워지는 소직경부(12)와, 상기 호스(H)의 확관이 이루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확관부(14)와, 상기 확관부(14)에서 확관된 호스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대직경부(16)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외부 금형(20)은, 상기 확관된 호스가 도입되는 도입부(22)와, 상기 확관된 호스를 압박하여 두께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금형(10)의 대직경부(16)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둘레에 마련되는 성형부(2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호스, 확관, 금형, 외부 금형, 내부 금형, 성형부

Description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metallic pattern for manufacturing hose of enlarging pipe}
도 1은 종래의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의 결합 사시도.
본 고안은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는 예컨대, 파이프대 파이프의 2점간을 연결하여 액체 또는 기체 등을 유통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호스의 재질로는 고무, 플라스틱, 금속재 등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쓰임새 또한 생활, 산업 등 구분됨이 없이 전 분야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호스는 양단이 각각의 파이프에 끼워져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호스가 조립되는 환경 및 주변 간섭물에 따라 직호스나 곡호스 등으로 그 형상이 결정된다.
또한 호스가 끼워질 양단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다르면, 호스의 직경도 파이프에 끼워질 수 있게 맞추어 설정된다.
이와 같이 양단 파이프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는 통상 호스의 연결을 위해 호스의 한쪽 지름을 파이프에 끼워질 수 있게 확장하여 사용한다.
도 1에는 종래의 확장 호스의 제조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확관 호스는 직경이 작은측을 기준으로 호스(H)를 압출하고 이 호스를 금형(1)에 삽입하여 직경을 확장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하지만, 종래의 확관 호스는 확관 과정에서 확관 부분이 동일한 비율로 확장되지 못하므로 인하여 일측 두께가 얇아지거나 두꺼워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장기적인 압력 및 외부 환경(온도, 진동, 마모 등)이 편심으로 인해 두께가 얇아진 호스의 확관 부분에 지속적으로 가해질 경우, 호스의 확관 부분이 파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호스의 확관시 두께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는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안출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호스가 끼워져 확관될 수 있도록 최초 압출 상태의 호스 내경 및 확관 상태의 호스 내경을 가지고 있는 내부 금형과, 상기 호스가 상기 내부 금형에서 확장될 때 호스 두께의 편심을 방지하기 위한 외부 금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내부 금형은, 최초 압출 상태의 호스가 끼워지는 소직경부와, 상기 호스의 확관이 이루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에서 확관된 호스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대직경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외부 금형은, 상기 확관된 호스가 도입되는 도입부와, 상기 확관된 호스를 압박하여 두께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금형의 대직경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둘레에 마련되는 성형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은, 호스(H)가 끼워져 확관될 수 있도록 최초 압출 상태의 호스 내경 및 확관 상태의 호스 내경을 가지고 있는 내부 금형(10)과, 호스(H)의 확장시 호스 두께의 편심을 방지하기 위한 외부 금형(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부 금형(10)은 압출 상태의 호스(H)가 끼워지는 소직경부(12)와, 호스(H)의 확관이 이루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확관부(14)와, 확관된 호스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대직경부(16)와, 내부 금형(10)을 상기 외부 금형(2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1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부 금형(10)은 호스가 끼워질 수 있도록 원형 봉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부 금형(10)의 소직경부(12)에는 최초 압출된 상태의 호스, 즉, 확관되기 전의 호스가 끼워진다.
상기 확관부(14)는 소직경부(12)에 끼워진 호스(H)가 경사부를 따라 전진하면서 확관될 수 있도록 상기 소직경부(12)의 말단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14)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대직경부(16)에는 상기 확관부(14)에서 직경이 커진 호스(H)가 끼워져 확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외부 금형(20)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18)는 대직경부(16)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부 금형(20)은,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사지게 형성된 상단의 도입부(22)와, 상기 도입부(22)로부터 아래로 뻗어 있으며 호스(H) 두께의 편심을 방지하는 성형부(24)와, 상기 내부 금형(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6)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입부(22)는 호스가 확관부(14)를 거쳐 대직경부(16)에 끼워질 때 외부 금형(20)의 상단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성형부(24)로 유도하기 위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 금형(20)의 성형부(24)는 상기 대직경부(16)에 호스(H)가 끼워질 때 두께의 편심이 일어나지 않도록 호스를 조여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대직경부(16)의 외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대직경부(16)의 둘레에 배치된다.
상기 외부 금형(20)의 성형부(24)는 호스(H)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작게 경사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성형부(24)가 경사지게 형섬됨으로써, 설정된 직경보다 더 크게 압출된 호스도 용이하게 대직경부(16)에 끼워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호스가 대직경부(16)에 끼워지며 성형부(24)에 의해 조여져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조여질 때, 그 호스 두께의 남은 부분은 상기 경사져 있는 성형부(24)를 따라 뒤로 밀리면서 골고루 퍼지게 된다.
물론, 상기 성형부(24)는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음도 자명한 일이다.
한편, 상기 외부 금형(20)의 고정부(26)는 상기 내부 금형(10)의 결합부(1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저면이 관통 형성된 결합구멍(27)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부 금형(20)에 결합된 상기 내부 금형(10)의 고정은 상기 결합부(18)를 조일 수 있도록 상기 외부 금형(20)에 방사상으로 관통 결합되어 있는 나사(28)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부 금형(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금형(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결합이 이루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금형(10)의 대직경부(16)는 상기 외부 금형(20)의 성형부(24)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 금형(10)의 대직경부(16)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상기 외부 금형(20)에 의해 상기 호스는 대직경부(16)에 조여지면서 끼워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외부 금형(20)의 성형부(24)가 호스(H)를 조여줌으로써 상기 확관부(14)를 거쳐 확관되는 과정에서 일부분에 힘이 집중되어 일어날 수 있는 호스 두께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에 의하면, 내부 금형에 끼워진 호스의 확관가 확관될 때 외부 금형이 호스를 조여줌으로써 호스 두께의 편심이 일어나지 않는 일정한 두께의 호스를 성형할 수 있다.

Claims (4)

  1. 호스(H)가 끼워져 확관될 수 있도록 최초 압출 상태의 호스 내경 및 확관 상태의 호스 내경을 가지고 있는 내부 금형(10)과,
    상기 호스(H)가 상기 내부 금형(10)에서 확장될 때 호스 두께의 편심을 방지하기 위한 외부 금형(2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금형(10)은, 최초 압출 상태의 호스(H)가 끼워지는 소직경부(12)와, 상기 호스(H)의 확관이 이루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확관부(14)와, 상기 확관부(14)에서 확관된 호스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대직경부(16)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외부 금형(20)은, 상기 확관된 호스가 도입되는 도입부(22)와, 상기 확관된 호스를 압박하여 두께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금형(10)의 대직경부(16)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둘레에 마련되는 성형부(2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금형(10)은 상기 외부 금형(20)에 결합되기 위해 대직경부(16)로 부터 연장되어 있는 결합부(18)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부 금형(20)은 상기 내부 금형(10)의 결합부(18)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구멍(27)으로 이루어진 고정부(26)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내부 금형(10)은 상기 결합부(18)가 상기 외부 금형(20)에 방사상으로 관통 결합되어 있는 나사(28)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상기 외부 금형(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금형(20)의 성형부(24)는 호스(H)의 삽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측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
KR2020050031398U 2005-11-05 2005-11-05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 KR200406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398U KR200406130Y1 (ko) 2005-11-05 2005-11-05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398U KR200406130Y1 (ko) 2005-11-05 2005-11-05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130Y1 true KR200406130Y1 (ko) 2006-01-20

Family

ID=4175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398U KR200406130Y1 (ko) 2005-11-05 2005-11-05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1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350A (ko) * 2017-12-14 2019-06-24 이제권 고무 튜브를 이용한 다수 캐비티 금형의 인서트 사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350A (ko) * 2017-12-14 2019-06-24 이제권 고무 튜브를 이용한 다수 캐비티 금형의 인서트 사출 방법
KR102085407B1 (ko) 2017-12-14 2020-03-05 이제권 고무 튜브를 이용한 다수 캐비티 금형의 인서트 사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9412A (en) Production of socket ends in thermoplastic pipes
US4288112A (en) Connecting piece for supply lines carrying gaseous or fluid media
US4053275A (en) Apparatus for making flexible corrugated rubber tubing
JP2006527092A5 (ko)
US20230058887A1 (en) Sealed Connection For Fluid Conduit Parts
CA1147670A (en) Plastic pipe part provided with a groove
KR200406130Y1 (ko) 확관 호스 제조용 금형
EP0427461A1 (en) Tubular member for sealing a reciprocating rod
KR920700883A (ko) 리브 파이프 제작 방법 및 장치
JP2004291072A (ja) 配管の端部の加工方法及びフランジ付配管継手の製造方法
US39868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a normally rigid plastic pipe
US20150074976A1 (en) Joint member manufactured using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00046953A (ko) 리시버드라이어탱크용 압출파이프의 제조 방법
KR200255542Y1 (ko) 인서트를 가진 파이프 연결장치
CN107503403B (zh) 一种用于水龙头安装的锁紧装置
JP3121659B2 (ja) 中子支持方法
KR200243289Y1 (ko) 나선형곡면돌기로된파이프의제조장치
KR100493651B1 (ko) 관연결장치
CN217121513U (zh) 一种生产复合管用冷扩模头
JP2519168B2 (ja) 管継手の製造方法
CN106671385B (zh) 组合式气塞
JPH0854088A (ja) リブ付管の接続構造
JPH05301286A (ja) 先端拡径部をもつホースの製造方法
KR200235874Y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압호스와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168774Y1 (ko) 흄관 패킹성형용 압출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