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101Y1 -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101Y1
KR200406101Y1 KR2020050030771U KR20050030771U KR200406101Y1 KR 200406101 Y1 KR200406101 Y1 KR 200406101Y1 KR 2020050030771 U KR2020050030771 U KR 2020050030771U KR 20050030771 U KR20050030771 U KR 20050030771U KR 200406101 Y1 KR200406101 Y1 KR 200406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older
cap
fixe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두섭
홍여화
Original Assignee
윤두섭
홍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두섭, 홍여화 filed Critical 윤두섭
Priority to KR2020050030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1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6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using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4Nut cages

Abstract

본 고안은 2개의 소재에 관통되는 텐션볼트에 너트들이 체결되어 소재들을 유지 고정함에 있어서의 소재들에 너트 및 너트형캡이 결합 유지될 수 있는 너트홀더를 용접 고정하면서, 상기 위쪽 소재의 너트홀더에 결합 유지되는 너트형캡에 볼트의 고정턱이 유지고정되는 구속캡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동시에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고정링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소재로부터 볼트,너트가 마모로 인하여 교환 및 보수 등으로 분리 결합함에 있어서, 너트는 너트홀더로부터 바로 분리하고, 또한 상기 위쪽 소재의 너트형캡의 구속캡부에 고정된 고정링을 분리하는 것으로, 볼트를 소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환 및 보수할 수 있는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2개의 소재에 관통되어 스프링에 유지되는 텐션볼트에 너트가 체결되어 소재들을 유지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위,아래쪽 소재(10,10)들의 너트(200)와 너트형캡(200)이 너트홀더(300)에 유지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위쪽 소재의 너트형캡(200)은 텐션볼트(100)의 고정턱(101)이 유지고정되는 구속캡부(2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위쪽 소재(10)의 너트형캡(200)에 텐션볼트(100)의 볼트머리부와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스프링(120)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아래쪽 소재(10)에는 수용부(310)를 가지는 너트홀더(300)와; 상기 너트홀더(300)의 수용부(310)에 형성된 경사접촉면(320)에 한쪽이 유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스플라인핀(400)에 의하여 상기 너트홀더(300)에 유지 고정되는 너트(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위쪽 의 소재(10)에는 수용부(310)를 가지는 너트홀더(300)와; 상기 너트홀더(300)의 수용부(310)에 형성된 경사접촉면(320)에 한쪽이 유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스플라인핀(400)에 의하여 상기 너트홀더(300)에 유지 고정되며, 텐션볼트(100)의 고정턱(101)이 유지고정되는 구속캡부(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분할 결합가능하도록 된 너트형캡(200);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너트홀더(300)들은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쪽에 경사접촉면(320)과 다른 한쪽에 핀구멍(330)이 대향하게 뚫려 있고, 상기 너트(200)와 너트형캡(200)은 상기 너트홀더(300)의 경사접촉면(320)과 접촉 유지되는 경사면(210)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홀더(300)의 핀구멍(330)과 스플라인핀(400)으로 유지되는 핀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소재, 텐션볼트, 너트, 너트형캡, 경사면, 구속캡부, 고무링, 홀더, 스플라인핀

Description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Fixed structure of one touch torsion bolt and nut}
도 1 은 본 고안의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의 결합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의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에서 구속캡부가 형성된 너트형캡을 홀더에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도 5a,b 는 본 고안의 원터치 텐션볼트, 너트의 고정구조의 실시예시도,
도 6 은 종래의 텐션볼트, 소재 및 너트가 결합된 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소재 100 : 텐션볼트
101 : 고정턱 200,200 : 너트, 너트형캡
210 : 경사면 220 : 핀홈
230 : 구속캡부 231 : 구속턱
240 : 고무링장착홈 250 : 고무링
300 : 홀더 310 : 수용부
320 : 경사접촉면 330 : 핀구멍
400 : 스플라인핀
본 고안은 2개의 소재를 볼트,너트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유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소재에 관통되는 텐션볼트에 너트가 체결되어 소재들을 유지 고정함에 있어서의 소재들에 너트 및 너트형캡이 결합 유지될 수 있는 너트홀더를 용접 고정하면서, 상기 위쪽 소재의 너트홀더에 결합 유지되는 너트형캡에 볼트의 고정턱이 유지고정되는 구속캡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동시에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고정링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소재로부터 볼트,너트가 마모로 인하여 교환 및 보수 등으로 분리 결합함에 있어서, 너트는 너트홀더로부터 바로 분리하고, 또한 상기 위쪽 소재의 너트형캡의 구속캡부에 고정된 고정링을 분리하는 것으로, 볼트를 소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환 및 보수할 수 있는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개의 소재(10,10) 예를 들면 파일, 전주 및 몰드(형틀)를 서로 연결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20), 와셔(30), 스프링(40), 스프링시트(50), 브라켓(60) 및 너트(70)들이 사용되고 있다.
소재(10,10)에 너트(70)가 용접 고정되고, 볼트(20)가 스프링시트(50)내에 삽입되어 볼트(20)의 고정턱(21)이 걸림 유지되도록 하며 볼트의 머리부쪽에 와셔를 삽입하고, 상기 와셔(30)와 스프링시트(50)의 사이에 스프링(40)이 장착되도록 하여서, 소재(10,10)들에 볼트(20)의 나사부가 너트(70)와 함께 체결되어 스프링(40)의 부세하는 힘에 의하여 볼트(20)와 소재(10,10) 및 너트(70)들의 나선결합을 탄력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너트(70)는 소재(10,10)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소재(10,10)들에 용접하여 고정된다.
위와 같이 볼트(20)와 너트(70)의 체결은 위,아래 소재(10,10)의 결합을 유지하게 되고, 또한 소재(10,10)의 분리시에 볼트(20)를 풀면, 아래 소재(10)의 너트(70)로부터 나선이동에 따라서 볼트(20)와 너트(70)가 분리되어 소재(10,10)들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소재(10,10)들의 분리 결합에 의하여 볼트(20),너트(70)의 조임과 풀림작동의 반복은 나사 마모되게 되며, 마모로 인하여 너트(70)의 교환시는 너트(70)들의 용접부위를 산소로 불어서 소재(10,10)로부터 너트(70)를 떼어내어 새로운 너트(70)를 용접하는 등의 교환 및 보수 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볼트(20)의 교환에 있어서도 볼트(20)의 고정턱(21)이 스프링시트(50)에 걸려 유지되어 있는 형태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20)를 소재(10,10)의 너트(70)로부터 분리하여도 스프링시트(50), 브라켓(60)에 스프링(40)과 와셔(30) 및 볼트(20)가 결합되어 볼트(20)를 상기 부품들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브라켓 (60)에 스냅링(80)으로 유지된 스프링시트(50)를 볼트(20)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데, 상기 공구를 이용하여 스냅링(80)을 분리하여 브라켓(60)과 스프링시트(50)를 분리함으로서 볼트(20)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이어서 볼트(20)의 교환이 용이하지 못하여 현장에서 볼트(20)와 함께 스프링시트(50), 브라켓(60)에 스프링(40)과 와셔(30) 등의 부속품을 폐기하게 되었고, 이것은 소재의 유지 보수비용 등이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또한 근본적으로 볼트(20)의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소재에 관통되는 텐션볼트에 너트가 체결되어 소재들을 유지 고정함에 있어서의 소재들에 고정되는 너트 및 너트형캡이 너트홀더에 의하여 유지 고정되도록 하여 너트를 너트홀더로부터 바로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환할 수 있고, 또한 위쪽 소재의 너트홀더에는 볼트의 고정턱을 유지할 수 있는 구속캡부가 일체로 형성된 너트형캡이 분할 결합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구속캡부가 형성된 너트홀더를 분리함에 따라서 텐션볼트를 너트형캡의 구속캡부로부터 분리하여 바로 텐션볼트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2개의 소재에 관통되어 스프링에 유지되는 텐션볼트에 너트가 체결되어 소재들을 유지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위,아래쪽 소재들의 너트형캡과 너트가 너트홀더에 유지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위쪽 소재의 너트형캡은 텐션볼트의 고정턱이 유지고정되는 구속캡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위쪽 소재의 너트 형캡에 볼트머리부와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스프링이 장착되도록 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아래쪽 소재에는 수용부를 가지는 너트홀더와; 상기 너트홀더의 수용부에 형성된 경사접촉면에 한쪽이 유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스플라인핀에 의하여 상기 너트홀더에 유지 고정되는 너트;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위쪽의 소재에는 수용부를 가지는 너트홀더와; 상기 너트홀더의 수용부에 형성된 경사접촉면에 한쪽이 유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스플라인핀에 의하여 상기 너트홀더에 유지 고정되며, 텐션볼트의 고정턱이 유지고정되는 구속캡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분할 결합가능하도록 된 너트형캡;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너트홀더들은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쪽에 경사접촉면과 다른 한쪽에 핀구멍이 대향하게 뚫려 있고, 상기 너트형캡과 너트는 상기 너트홀더의 경사접촉면과 접촉 유지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홀더의 핀구멍과 스플라인핀으로 유지되는 핀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의 분리 사시도이고, 또한 도 2 는 본 고안의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의 결합 사시도이며, 또한 도 3 은 본 고안의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의 종단면도이고, 또한 도 4 는 본 고안의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에서 구속캡부가 형성된 너트형캡을 홀더에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또한 도 5 는 종래의 텐션볼트, 소재 및 너트가 결합된 예의 종단면도이다.
2개의 소재에 관통되어 스프링에 유지되는 텐션볼트에 너트가 체결되어 소재들을 유지 고정함에 있어서의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아래의 소재(10,10)들을 체결하기 위하여, 텐션볼트(100), 와셔(110), 스프링(120), 위쪽 소재(10)에 설치되는 구속캡부(230)가 형성된 너트형캡(200), 아래쪽의 소재(10)에 설치되는 너트(200) 및 상기 너트형캡(200)들을 유지 고정하는 홀더(300)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재(10,10)들은 예를 들면 파일, 전주 및 몰드(형틀)를 서로 연결고정하기 위한 수단들이다.
또한, 텐션볼트(100)는 일정길이의 나사부가 형성되고 중간에 고정턱(101)이 형성되어, 이 고정턱(101)은 후술하는 너트형캡(200)의 구속캡부(230)에 구속되어 텐션볼트(100)에 장착되어 부세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120)의 부세력에 의하여 텐션볼트(100)가 소재(10,10)들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120)은 텐션볼트(100)의 머리부에 장착되는 와셔(110)에 한쪽이 유지되고, 또한 다른 한쪽은 후술하는 위쪽 소재(10)의 너트형캡(200)의 위에 설치되어 텐션볼트(100)가 도 3에서 볼트의 위쪽으로 부세하는 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텐션볼트(100)가 관통되는 너트형캡(200)와 텐션볼트(100)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200)는 위, 아래쪽 소재(10,10)들의 너트홀더(300)들에 유지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위쪽 소재의 너트형캡(200)은 텐션볼트(100)의 고정턱 (101)이 유지고정되는 구속캡부(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형캡(200), 너트(200), 너트홀더(300)들 및 스플라인핀(40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상기 위쪽의 소재(10)에는 너트형캡(200)을 수용 유지할 수 있는 수용부(310)를 가지는 너트홀더(300)와; 상기 너트홀더(300)의 수용부(310)에 형성된 경사접촉면(320)에 한쪽이 유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스플라인핀(400)에 의하여 상기 너트홀더(300)에 유지 고정되며, 텐션볼트(100)의 고정턱(101)이 유지고정되는 구속캡부(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분할 결합가능하도록 된 너트형캡(20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위쪽 소재(10)의 너트형캡(200)은 너트형캡(200)의 몸체의 중앙에 원통형상의 구속캡부(230)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이 구속캡부(230)는 안쪽에 구속턱(231)이 형성되어 텐션볼트(100)의 고정턱(101)이 도 3 과 같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위쪽 소재(10)의 구속캡부(230)의 바깥둘레에는 고무링(250)을 억지맞춤으로 결합할 수 있는 고무링장착홈(2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위쪽 소재(10)의 너트형캡(200)은 도 1 과 같이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링(250)을 상기 고무링장착홈(240)에 끼워넣음으로서 분할 결합가능하다. 상기 고무링(250)은 분할된 너트형캡(200)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되며, 또한 상기 너트형캡(200)의 분할 결합은 텐션볼트(100)의 고정턱(101)을 유지 또는 텐션볼트(100)를 너트형캡(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너트와 너트형캡에 대하여 설명되는 구조는 위, 아래쪽 소재(10,10)들의 너트(200)와 너트형캡(200)들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소재(10,10)들의 구멍(29)에 텐션볼트(100)가 관통되어, 텐션볼트(100)의 나사부에 너트(200)가 체결된다.
특히, 본 고안은 너트(200)와 너트형캡(200)과 너트홀더(300)들의 구조에 특징이 있는데,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너트홀더(300)는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재(10,10)들의 이면에 설치되어서 너트(200)와 너트형캡(200)들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310)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너트홀더(300)들은 한쪽에 경사접촉면(320)과 다른 한쪽에 핀구멍(330)이 대향하게 뚫려 있다.
상기 위,아래의 너트홀더(300)의 경사접촉면(320)들은 서로 대향된 형태로 조립된다. 위쪽의 경사접촉면(320)은 하향으로 경사지고, 아래쪽의 경사접촉면(320)은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상기 너트(200)와 너트형캡(200)들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너트홀더(300)의 경사접촉면(320)과 접촉 유지되는 경사면(21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너트홀더(300)의 핀구멍(330)과 스플라인핀(400)으로 유지되는 핀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200)와 너트형캡(200)들의 경사면(210)들은 상기 너트홀더(300)의 수용부(310)에 형성된 경사접촉면(320)에 한쪽이 유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스플라인핀(400)에 의하여 상기 너트홀더(300)에 유지 고정되게 된다.
너트홀더(300)들의 위쪽의 경사접촉면(320)이 하향으로 경사지고, 아래쪽의 경사접촉면(320)은 상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너트형캡(200)와 너트(200)가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너트(200)는 내경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너트형캡(200)은 나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너트홀더(300)들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재(10,10)들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소재(10,10)의 너트홀더(300)의 고정은 소재(10,10)들의 텐션볼트(100)가 관통되는 구멍(20)의 주위에 고정된다.
상기 소재(10,10)들의 이면에 고정된 너트홀더(300)의 수용부(310)에 너트(200)와 너트형캡(200)의 경사면(210)이 너트홀더(300)의 경사접촉면(320)에 접촉되도록 하고, 또한 너트(200)와 너트형캡(200)의 핀홈(220)이 상기 너트홀더(300)들의 핀구멍(330)들과 연결되어 통하는 위치로 셋팅되도록 한 후, 상기 너트홀더(300)의 핀구멍(330)들과 상기 너트(200)와 너트형캡(200)의 핀홈(220)에 스플라인핀(400)을 관통시키어 스플라인핀(400)의 끝단을 도 2 와 같이 절곡함에 따라서 너트홀더(300)의 수용부(310)에 너트(200)와 너트형캡(200)이 유지 고정된다.
상기 상태에서 텐션볼트(100)를 소재(10,10)들에 관통시키어 볼트머리를 스패너 등으로 조이면 너트(200)에 텐션볼트(100)의 나사부가 체결된다. 이때 너트(200,200)은 너트홀더(300)의 수용부(310)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200)와 너트형캡(200)을 별도의 스패너 등의 고정부재로 유지할 필요 없이 바로 텐션볼트(100)를 너트(200)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너트(200)와 너트형캡(200)은 너트홀더(300)의 경사접촉면(320)에 경사 면(210)이 접촉되어 있고, 또한 너트(200)와 너트형캡(200)의 핀홈(220)이 스플라인핀(400)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200)와 너트형캡(200)이 너트홀더(300)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은 너트홀더(300)로부터 너트(200)와 너트형캡(200)들의 분리에 있어서도 텐션볼트(100)를 아래쪽 소재(10)의 너트(200)로부터 풀은 후, 스플라인핀(400)을 핀구멍(330) 및 핀홈(220)에서 빼내는 것으로 바로 너트홀더(300)로부터 너트(2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위쪽 소재(10)의 너트형캡(200)은 고무링(250)을 고무링장착홈(240)으로부터 분리하면, 도 1 과 같이 너트형캡(200)을 바로 분할 할 수 있음에 따라서, 상기 너트형캡(200)의 구속캡부(230)의 구속턱(231)에 유지되어 있던 텐션볼트(100)를 소재(10,10)들 및 너트(200)와 너트형캡(2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간편하게 텐션볼트(100)를 교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스프링, 와셔 등의 부품들까지 폐기하는 일이 없이 신속히 텐션볼트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는 도 5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 전주 및 몰드(형틀)를 서로 연결고정하기 위한 소재(10,10)들에 장착하여 소재들을 유지 및 분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2개의 소재에 관통되는 텐션볼트에 너트가 체결되어 소재들을 유지 고정함에 있어서의 소재들에 너트 및 너트형캡이 결합 유지될 수 있 는 너트홀더를 용접 고정하면서, 상기 위쪽 소재의 너트홀더에 결합 유지되는 너트형캡에 볼트의 고정턱이 유지고정되는 구속캡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동시에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고정링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소재로부터 볼트,너트가 마모로 인하여 교환 및 보수 등으로 분리 결합함에 있어서, 너트는 너트홀더로부터 바로 분리하고, 또한 상기 위쪽 소재의 너트형캡의 구속캡부에 고정된 고정링을 분리하는 것으로, 볼트를 소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환 및 보수할 수 있다.

Claims (4)

  1. 2개의 소재에 관통되어 스프링에 유지되는 텐션볼트에 너트가 체결되어 소재들을 유지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위,아래쪽 소재(10,10)들의 너트(200)와 너트형캡(200)이 너트홀더(300)에 유지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위쪽 소재(10)의 너트형캡(200)은 텐션볼트(100)의 고정턱(101)이 유지고정되는 구속캡부(2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위쪽 소재(10)의 너트형캡(200)에 텐션볼트(100)의 볼트머리부와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스프링(120)이 장착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래쪽 소재(10,10)에는 수용부(310)를 가지는 너트홀더(300)와; 상기 너트홀더(300)의 수용부(310)에 형성된 경사접촉면(320)에 한쪽이 유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스플라인핀(400)에 의하여 상기 너트홀더(300)에 유지 고정되는 너트(200)와 너트형캡(20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쪽의 소재(10)에는 수용부(310)를 가지는 너트홀더(300)와; 상기 너트홀더(300)의 수용부(310)에 형성된 경사접촉면(320)에 한쪽이 유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스플라인핀(400)에 의하여 상기 너트홀더(300)에 유지 고정되며, 텐션볼트(100)의 고정턱(101)이 유지고정되는 구속캡부(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분할 결합가능하도록 된 너트형캡(20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홀더(300)들은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쪽에 경사접촉면(320)과 다른 한쪽에 핀구멍(330)이 대향하게 뚫려 있고, 상기 너트(200)와 너트형캡(200)들은 상기 너트홀더(300)의 경사접촉면(320)과 접촉 유지되는 경사면(210)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홀더(300)의 핀구멍(330)과 스플라인핀(400)으로 유지되는 핀홈(2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
KR2020050030771U 2005-10-31 2005-10-31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 KR200406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771U KR200406101Y1 (ko) 2005-10-31 2005-10-31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771U KR200406101Y1 (ko) 2005-10-31 2005-10-31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101Y1 true KR200406101Y1 (ko) 2006-01-20

Family

ID=4175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771U KR200406101Y1 (ko) 2005-10-31 2005-10-31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1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3538A (zh) * 2018-02-09 2018-06-29 嘉兴欣创混凝土制品有限公司 弹簧螺丝组件及拆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3538A (zh) * 2018-02-09 2018-06-29 嘉兴欣创混凝土制品有限公司 弹簧螺丝组件及拆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701Y1 (ko)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KR200406101Y1 (ko)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
US20070189850A1 (en) Pipe joint
KR101043438B1 (ko)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US20120034029A1 (en) Quick release device for a pedal
JP2013234731A (ja) 押し込みナット
US20100098484A1 (en) Quick release device for a pedal
JPH09141607A (ja) ルータコレットアセンブリ
KR200401730Y1 (ko)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
US20020166406A1 (en) Bicycle stem
US20190031274A1 (en) Tightening and adjusting assembly for steering system of a bicycle
JP5282402B2 (ja) ドラムのラグ構造
JP2011002059A (ja) ワイヤー張設具
US496844A (en) Halsey h
JP2006167894A (ja) ダブルナット締付工具
ES2845183T3 (es) Elemento de soporte de cojinete
BR102016018789A2 (pt) estrutura de montagem de contrapeso de guidão de veículo do tipo para montar
CN102200164B (zh) 螺纹固定结构
FR2597935A1 (fr) Element d'assemblage filete, tel qu'une vis, dont la tete est munie d'un recouvrement isolant
JP2009006429A (ja) ボックスレンチ
US20040026586A1 (en) Holder
JP5255688B2 (ja) ナット及びナット締め付け具
KR200288677Y1 (ko) 내구성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용 인장봉
JPH10183578A (ja) 防舷材フレーム用受衝パッドの固定構造
KR200478182Y1 (ko) 나사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