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730Y1 -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 - Google Patents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730Y1
KR200401730Y1 KR20-2005-0025939U KR20050025939U KR200401730Y1 KR 200401730 Y1 KR200401730 Y1 KR 200401730Y1 KR 20050025939 U KR20050025939 U KR 20050025939U KR 200401730 Y1 KR200401730 Y1 KR 200401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older
bolt
nut hold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두섭
홍여화
Original Assignee
윤두섭
홍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두섭, 홍여화 filed Critical 윤두섭
Priority to KR20-2005-0025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7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7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4Nut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재의 볼트구멍에 이면에 너트를 수용하여 유지 결합할 수 있는 너트홀더를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하여, 상기 너트홀더에 너트가 끼워맞춤되어 수용되도록 하면서, 또한 너트홀더에 수용된 너트가 스플라인핀에 의하여 유지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소재에 볼트, 너트를 체결함에 있어서의 너트를 별도의 스패너로 유지할 필요 없이 체결하여 작업속도를 높여 조립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소재에 볼트, 너트가 유지 고정되면서 마모로 인하여 너트가 훼손되어 교체시에도 신속하게 너트를 교체할 수 있는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소재의 볼트구멍에 볼트가 관통되어, 볼트의 나사부에 너트가 체결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소재(200)의 이면에 너트(3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410)를 가지는 너트홀더(400)와; 상기 너트홀더(400)의 수용부(410)에 형성된 경사접촉면(420)에 한쪽이 유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스플라인핀(500)에 의하여 상기 너트홀더(400)에 유지 고정되는 너트(300);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너트홀더(400)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쪽에 경사접촉면(420)과 다른 한쪽에 핀구멍(430)이 대향하게 뚫려 있고, 상기 너트(300)는 상기 너트홀더(400)의 경사접촉면(420)과 접촉 유지되는 경사면(310)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홀더(400)의 핀구멍(430)과 스플라인핀(500)으로 유지되는 핀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Structure of nut and nut holder}
본 고안은 소재에 체결되는 볼트, 너트에 있어서의 너트를 유지 고정할 수 있는 너트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재의 볼트구멍에 이면에 너트를 수용하여 유지 결합할 수 있는 너트홀더를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하여, 상기 너트홀더에 너트가 끼워맞춤되어 수용되도록 하면서, 또한 너트홀더에 수용된 너트가 스플라인핀에 의하여 유지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소재에 볼트, 너트를 체결함에 있어서의 너트를 별도의 스패너로 유지할 필요 없이 체결하여 작업속도를 높여 조립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소재에 볼트, 너트가 유지 고정되면서 마모로 인하여 너트가 훼손되어 교체시에도 신속하게 너트를 교체할 수 있는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재에 체결 유지되는 볼트, 너트는, 소재의 볼트구멍에 볼트가 관통되도록 하여 볼트의 나사부에 너트가 체결되도록 하는데, 상기 소재의 볼트구멍에 관통된 볼트의 나사부에 너트를 스패너 등의 유지부재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한 후, 볼트의 머리를 또 다른 스패너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게 된다.
상기 너트는 유지부재에 의하여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여야 만이 볼트의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너트가 소재의 이면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가 스패너 등의 유지부재에 의하여 제대로 유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면서 체결하여야 하는 관계로 볼트, 너트의 체결이 용이하지 못하여 체결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소재에 볼트, 너트가 유지 고정되면서 마모로 인하여 너트가 훼손되어 교체시에도 상기 너트에 스패너 등의 유지부재에 의하여 유지 고정하여야 하는 관계로 역시 너트의 교체가 용이하지 못한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소재의 볼트구멍에 이면에 너트를 수용하여 유지 결합할 수 있는 너트홀더를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너트홀더에 너트가 수용되어 스플라인핀에 의하여 유지 고정되어 너트를 너트 홀더로부터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너트홀더에 너트가 한쪽은 경사면에 의하여 유지 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너트홀더에 너트가 스플라인핀에 의하여 유지 고정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소재의 볼트구멍에 볼트가 관통되어, 볼트의 나사부에 너트가 체결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소재의 이면에 너트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는 너트홀더와; 상기 너트홀더의 수용부에 형성된 경사접촉면에 한쪽이 유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스플라인핀에 의하여 상기 너트홀더에 유지 고정되는 너트;로 구성됨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너트홀더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쪽에 경사접촉면과 다른 한쪽에 핀구멍이 대향하게 뚫려 있고, 상기 너트는 상기 너트홀더의 경사접촉면과 접촉 유지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홀더의 핀구멍과 스플라인핀으로 유지되는 핀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너트와 너트 홀더의 분리 사시도이고, 또한 도 2 는 본 고안의 너트와 너트 홀더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의 결합사시도이며, 또한 도 3 은 본 고안의 너트와 너트 홀더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의 결합단면도이고, 또한 도 4 는 본 고안의 너트와 너트 홀더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의 결합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100), 소재(200), 너트(300), 너트홀더(400) 및 스플라인핀(50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재(200)의 볼트구멍(210)에 볼트(100)가 관통되어, 볼트(100)의 나사부(110)에 너트(300)가 체결된다.
특히, 본 고안은 너트(300)와 너트홀더(400)의 구조에 특징이 있는데,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너트홀더(400)는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재(200)의 이면에 설치되어서 너트(3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410)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너트홀더(400)는 한쪽에 경사접촉면(420)과 다른 한쪽에 핀구멍(430)이 대향하게 뚫려 있다.
또한, 상기 너트(30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너트홀더(400)의 경사접촉면(420)과 접촉 유지되는 경사면(31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너트홀더(400)의 핀구멍(430)과 스플라인핀(500)으로 유지되는 핀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300)의 경사면(310)은 상기 너트홀더(400)의 수용부(410)에 형성된 경사접촉면(420)에 한쪽이 유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스플라인핀(500)에 의하여 상기 너트홀더(400)에 유지 고정되게 된다.
상기 너트홀더(4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재(200)의 이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소재(200)의 이면에 너트홀더(400)의 고정은 소재(200)의 볼트구멍(210)을 관통하는 볼트(100)의 나사부(110)에 체결되는 너트(300)의 셋팅 위치의 주위에 고정된다.
상기 소재(200)의 이면에 고정된 너트홀더(400)의 수용부(410)에 너트(300)의 경사면(310)이 너트홀더(400)의 경사접촉면(420)에 접촉되도록 하고, 또한 너트(300)의 핀홈(320)이 상기 너트홀더(400)의 핀구멍(430)들과 연결되어 통하는 위치로 셋팅되도록 한 후, 상기 너트홀더(400)의 핀구멍(430)들과 상기 너트(300)의 핀홈(320)에 스플라인핀(500)을 관통시키어 스플라인핀(500)의 끝단을 도 2 와 같이 절곡함에 따라서 너트홀더(400)의 수용부(410)에 너트(300)가 유지 고정된다.
상기 상태에서 볼트(100)를 소재(200)에 관통시키어 볼트머리를 스패너 등으로 조이면 너트(300)에 볼트(100)의 나사부(110)가 체결된다. 이때 너트(300)는 너트홀더(400)의 수용부(410)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300)를 별도의 스패너 등의 고정부재로 유지할 필요 없이 바로 볼트(100)를 너트(300)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너트(300)는 너트홀더(400)의 경사접촉면(420)에 경사면(310)이 접촉되어 있고, 또한 너트(300)의 핀홈(320)이 스플라인핀(500)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300)가 너트홀더(400)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은 너트홀더(400)로부터 너트(300)의 분리에 있어서도 볼트(100)를 너트로부터 풀은 후, 스플라인핀(500)을 핀구멍(430) 및 핀홈(320)에서 빼내는 것으로 바로 너트홀더(400)로부터 너트(3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소재의 볼트구멍에 이면에 너트를 수용하여 유지 결합할 수 있는 너트홀더를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하여, 상기 너트홀더에 너트가 끼워맞춤되어 수용되도록 하면서, 또한 너트홀더에 수용된 너트가 스플라인핀에 의하여 유지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소재에 볼트, 너트를 체결함에 있어서의 너트를 별도의 스패너로 유지할 필요 없이 체결하여 작업속도를 높여 조립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소재에 볼트, 너트가 유지 고정되면서 마모로 인하여 너트가 훼손되어 교체시에도 신속하게 너트를 교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너트와 너트 홀더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너트와 너트 홀더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의 결합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너트와 너트 홀더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의 결합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너트와 너트 홀더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의 결합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볼트 110 : 나사부
200 : 소재 210 : 볼트구멍
300 : 너트 310 : 경사면
320 : 핀홈 400 : 너트홀더
410 : 수용부 420 : 경사접촉면
430 : 핀구멍 500 : 스플라인핀

Claims (2)

  1. 소재의 볼트구멍에 볼트가 관통되어, 볼트의 나사부에 너트가 체결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소재(200)의 이면에 너트(3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410)를 가지는 너트홀더(400)와; 상기 너트홀더(400)의 수용부(410)에 형성된 경사접촉면(420)에 한쪽이 유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스플라인핀(500)에 의하여 상기 너트홀더(400)에 유지 고정되는 너트(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홀더(400)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쪽에 경사접촉면(420)과 다른 한쪽에 핀구멍(430)이 대향하게 뚫려 있고, 상기 너트(300)는 상기 너트홀더(400)의 경사접촉면(420)과 접촉 유지되는 경사면(310)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홀더(400)의 핀구멍(430)과 스플라인핀(500)으로 유지되는 핀홈(3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
KR20-2005-0025939U 2005-09-08 2005-09-08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 KR200401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939U KR200401730Y1 (ko) 2005-09-08 2005-09-08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939U KR200401730Y1 (ko) 2005-09-08 2005-09-08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730Y1 true KR200401730Y1 (ko) 2005-11-21

Family

ID=4370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939U KR200401730Y1 (ko) 2005-09-08 2005-09-08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7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697Y1 (ko) 2007-12-31 2009-1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너트설치구조
KR101097223B1 (ko) 2009-12-18 2011-12-2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697Y1 (ko) 2007-12-31 2009-1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너트설치구조
KR101097223B1 (ko) 2009-12-18 2011-12-2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8415047B2 (en) 2009-12-18 2013-04-09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a portion of a coupling unit free of any screw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2626B2 (ja) 携帯作業機
RU2008129141A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компонентов конструкции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KR20050041447A (ko) 자동차용 볼트 및 클램프의 체결구조
KR20100027066A (ko)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 연결체
KR200401730Y1 (ko)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
KR101226008B1 (ko) 로크 너트
US8850736B2 (en) Stock mounting device for a small arm
KR100967083B1 (ko) 편측 조임용 볼트넛
KR20210076650A (ko) 단차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부품체결 구조
JP2006292048A (ja) 物品の締付け装置
JP4967683B2 (ja) エレベータ据付治工具用締結ピン
KR20200089525A (ko) 파이프용 클램프
KR200406101Y1 (ko) 원터치 텐션볼트,너트의 고정구조
KR200320391Y1 (ko) 체결이 쉽고 풀림 방지되는 체결장치
KR20100119736A (ko) 소켓렌치용 어댑터
KR101227148B1 (ko) 볼트와 너트의 체결 또는 분리시 사용되는 보조 고정공구
JP3138891U (ja) スチールワイヤロープ用挟持具
KR20000014980U (ko) 나사 지지 기능을 구비한 드라이버
KR200391996Y1 (ko) 다이스공을 일체로 한 산업용 클램프
KR950005803Y1 (ko) 지그 고정장치
JP4894022B2 (ja) 部材連結装置
KR0116402Y1 (ko) 다양한 공구를 사용하는 보울트
KR20080008005A (ko) 볼트 구조
KR20060012132A (ko) 볼트
KR19980026635U (ko) 볼트 풀림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