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882Y1 -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 Google Patents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882Y1
KR200405882Y1 KR2020050030024U KR20050030024U KR200405882Y1 KR 200405882 Y1 KR200405882 Y1 KR 200405882Y1 KR 2020050030024 U KR2020050030024 U KR 2020050030024U KR 20050030024 U KR20050030024 U KR 20050030024U KR 200405882 Y1 KR200405882 Y1 KR 200405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mobile phone
introduction
side wall
adhesion prom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김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영 filed Critical 김대영
Priority to KR2020050030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8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882Y1/ko
Priority to PCT/KR2006/004247 priority patent/WO2007046637A1/en
Priority to US11/913,593 priority patent/US20080193720A1/en
Priority to JP2008527858A priority patent/JP2009505606A/ja
Priority to CNA2006800392321A priority patent/CN101292434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21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with component conforming to contour of nonplanar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로서, 보호 필름(10)의 측벽(11)에서 일정 길이만큼 보호필름의 내측으로 함입 구성되기 시작하는 도입부(21,31,41,51,61); 상기 도입부(21,31,41,51,61)로부터 보호필름(10)의 내측으로 연장되되 연장이 될 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내측연장부(22,32,42,52,62); 상기 내측연장부(22,32,42,52,62)의 종단에서 곡률지게 형성되어 있는 첨단부(23,33,43,53,63);를 구비한 접착 촉진 수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에 따르면 핸드폰 보호 케이스 케이스가 사양화되고 박막의 보호필름의 각광받고 있는 추세에서 평탄하게만 이루어지지 않은 핸드폰의 표면 부착 부위에서 보호필름이 부요되거나 쉽사리 이탈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핸드폰의 다양한 부착 부위에 상응하여 밀착력을 강화함으로써 특정 휴대폰의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STRUCTURE OF SAFEGUARD FILM FOR CELLULAR PHON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 필름이 핸드폰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 필름이 구비한 접착 촉진 수단에 대한 다양한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착 촉진 수단을 구비한 보호 필름 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착 촉진 수단을 구비한 보호 필름 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착 촉진 수단을 구비한 보호 필름 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필름에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찢김 방지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호 필름 12: 개구부
11: 측벽 24: 펠렛부
20, 30,40,50,60: 접착 촉진 수단 42a: 연장측벽
21,31,41,51: 도입부 42b, 52b: 절곡부
22,32,42,52: 내측연장부 62b: 분할내측연장부
23,33,43,53: 첨단부 70: 찢김방지부
본 고안은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핸드폰의 디스플레이부, 키패드부 등을 보호하는 박막 구조의 필름이 장시간동안 핸드폰 표면에서 부유되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필름 모서리 주변에 접착 촉진 수단을 형성한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핸드폰이라 흔히 지칭되는 무선통신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서 키패드부 등이 장착되어 있는 인터페이스의 사용 방법에 따라 폴더형, 슬라이딩형, 비폴더형으로 구분이 된다. 이러한 형태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핸드폰의 상면은 금속재, 합성수지재 내지 합성수지재가 코팅되어 있는 재료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생활 스크래치에 취약하여 잦은 스크래치가 발생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일반 전자기기에 비해 값비싼 핸드폰의 사용감을 저해하거나 특히, LCD 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의 경우 손때나 터치 후의 기름기나 잔류하여 그 화면이 뿌옇게 되는 경향이 있어 휴지 등으로 자주 닦아 내는 불편함을 감수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국내 기성품 또는 실용신안에서는 핸드폰을 보호하기 위한 가죽,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는데 현재에는 이러한 케이스는 그 부피 및 두께가 크거나 두껍고 또한 핸드폰이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패드부를 입력하기 불편할 뿐 아니라 그 디자인이 수려하지 못해 그 활용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등장한 박막 형태의 핸드폰 보호 필름은 핸드폰의 디스플레이부 등을 덮어 핸드폰 본연의 기능 내지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그 표면을 충분히 보호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 부각되어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본 출원인 역시 이러한 핸드폰 보호 필름에 대해 실용신안을 출원한 바가 있다.
그런데, 보호 필름이 아무리 박막 형태를 가지고 있다하더라도 접착제를 일 면에 도포하지 않는 이상 주로 정전기에 의존하여 핸드폰의 상면에 부착되는 방식을 취하다보니 일정 시간 사용 후에 보호 필름이 쉽사리 핸드폰의 상면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이를 방지한다하여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은 미관에도 좋지 않고 추후 보호 필름을 핸드폰에서 벗겨 낼 필요가 있을 때 핸드폰의 표면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더불어, 핸드폰의 표면이 대개 평판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 있지 않고 약간 볼록하거나 곡률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를 가진 핸드폰의 표면에 보호 필름을 부착하게 되면 특히 보호 필름의 일정 부위, 특히 모서리 부위부터 핸드폰에서 부유가 되거나 아예 핸드폰에 밀착되지 않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불필요한 간극이 발생하여 결국 이러한 간극으로 인해 보호 필름이 제대로 핸드폰에 부착되어 있지 못하고 덜렁거리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핸드폰의 평판 내지 곡률진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핸드폰의 표면에서 적절한 밀착력을 보유할 수 있는 접착 촉진 수단을 구비한 보호 필름을 제공하여 보다 장시간동안 휴대폰의 특정 부위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접착 촉진 수단의 형상에 각각 그 기능적 의미를 가진 다양성을 부가하여 접착력을 유지하는 방식의 다양성을 보유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상을 가진 접착 촉진 수단이 보호 필름에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출시 모델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핸드폰의 특성에 구애받지 않고 원활하게 호환되거나 접착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는 보호 필름(10)의 측벽(11)에서 일정 길이만큼 보호필름의 내측으로 함입 구성되기 시작하는 도입부(21,31,41,51,61); 상기 도입부(21,31,41,51,61)로부터 보호필름(10)의 내측으로 연장되되 연장이 될 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내측연장부(22,32,42,52,62); 상기 내측연장부(22,32,42,52,62)의 종단에서 곡률지게 형성되어 있는 첨단부(23,33,43,53,63);를 구비한 접착 촉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입부(41)는 보호필름(10)의 모서리 부위에서 내측으로 30 내지 45도의 각을 가지고 함입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연장부(42)는, 일측에는 작은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도입부(41)와 근접 연결되어 곡선 연장 처리된 연장 측벽(42a)과, 그 연장 방향의 일 부위에서 일 방향으로 일정 각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절곡부(42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첨단부(43)는 상기 절곡부(42b)의 종단에서 곡률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첨단부(23,33,43,53,63)의 외주면을 따라 찢김 방지부(70);가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 보호 필름(10)이 핸드폰(100)의 표면에 부착되는 상태를 예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보호 필름(10)은 핸드폰(100)의 특정 부착 부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키패드부, 배터리부, 또는 핸드폰의 상면 전체, 디스플레이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면 전체 등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특히 도 1은 보호필름(10)이 핸드폰(100)의 전체 부위에 부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보호 필름(10)은 핸드폰(100)의 부착 부위가 평면인지 곡면인지 여부에 구애받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정 부위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보호 필름(10)이 추구하는 제 기능을 더욱 발휘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 보호 필름(10)이 구비한 접착 촉진 수단(20,30,40,50)의 다양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부분확대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접착 촉진 수단(20,30,40,50,60)은 기본적으로 보호 필름(10)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가지고 일정 길이만큼 함입 형성된 홈 내지 틈새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크게 도입부(21,31,41,51,61)와 내측연장부(22,32,42,52,62), 첨단부(23,33,43,53,63)로 이루어져 있다.
도입부(21,31,41,51,61)는 보호 필름(10)의 측벽(11), 즉 보호 필름(10)의 외각 면 일정 부위의 변에서 일정 폭을 가지고 보호 필름(10)의 내측으로 함입되는 시작(도입 내지 인입) 공간을 의미하는데 후술하겠지만 도입부(21,31,41,51,61)의 폭이 내측연장부(22,32,42,52,62)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호 필름(10)의 측변을 기준으로 도입부(21,31,41,51,61)가 보호필름(10)의 내측으로 함입되는 각은 특정 각도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나, 대략 보호필름(10)의 측벽(11)으로부터 수직에 가까운 각을 형성하며 보호필름(10)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며 그 진입각도에 따라 다양한 도입부(21,31,41,51,61)의 구조가 도출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한다.
내측 연장부(22,32,42,52,62)는 도입부(21,31,41,51,61)로부터 형성된 함입 공간이 보호 필름(10)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서, 그 종단, 즉 첨단부(23,33,43,53,63)로 연장이 될 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대신, 직선(linear)으로 좁아지기 보다는 일정 곡률을 두면서 유선형 내지 반타원의 호와 같이 매끄럽게 내측 방향으로 뻗으며 좁아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측 연장부(22,32,42,52,62)의 폭은 도입부(21,31,41,51,61)의 폭보다 좁아 결국 도입부(21,31,41,51,61)와 내측 연장부(22,32,42,52,62)의 전체 형상은 통계그래프에서 일반적인 정규분포도와 같은 곡선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첨단부(23,33,43,53,63)는 내측 연장부(22,32,42,52,62)의 단부로서 그 형상이 뾰족한 첨단을 이루기보다는 그 끝이 조금은 둔하고 밋밋한 형상, 즉 필렛(fillet)처리된 형상과 유사하게 곡률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는, 일정 충격으로부터 첨단부(23,33,43,53,63)가 쉽사리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착 촉진 수단(20,30,40,50,60)은 보호 필름(10)이 핸드폰(100)의 접착 부위에서 효과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예를 들어 핸드폰(100)의 부착 부위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수학에서 2차 이상의 곡선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변곡점 내지 최대값, 최소값을 2개 이상 가진 다중, 즉 2차 이상의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일반적으로 편평한 상태로 된 보호 필름(10)을 이에 부착하면 보호 필름(10)이 완전히 핸드폰(100)의 부착 부위에 밀착되지 않고 일정 부분 부유될 것이 분명하고 또한 억지로 부착을 시키다보면 보호 필름(10)이 일그러지거나 쭈그러들어 결국 오랜 시간동안 보호 필름(10)이 핸드폰(100)의 표면에서 안착하지 못하게 되어 보호 필름(10)의 본연 기능을 수 행하지 못하는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바, 핸드폰(100)의 부착 부위 중 곡선 형상에 해당하는 부위에 상응하는 보호 필름(10)의 측벽(11) 부위에 일정 틈을 가지도록 형성하되 그 구조가 도입부(21,31,41,51,61), 내측연장부(22,32,42,52,62), 첨단부(23,33,43,53,63)로 구성된 접착 촉진 수단(20,30,40,50,60)을 형성하여 보호 필름(10)이 핸드폰(100) 표면의 곡선 부위에 따라 유동적으로 최대한 밀착이 되는 것을 지향하도록 접촉면을 형성하여 결론적으로 보호 필름(10)이 구겨지거나 일정 부위가 부유되는 등 제대로 핸드폰 부착 부위에서 밀착 접촉하지 못하고 불필요한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착 촉진 수단(20,30,40,50,60)이 상기 언급한 것처럼 통계그래프의 정규분포곡선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각이 진 사각 형상 등의 각진 구조체와 같은 것보다 핸드폰(100)의 곡선 접착 부위에 보다 탄력적으로 보호 필름을 유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이러한 접착 촉진 수단(20,30,40,50,6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먼저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로서 '도입부 곡률형 접착 촉진 수단'(20)으로 명명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도입부(21)와 보호필름(10)의 측벽(11)의 경계 부위에 각을 깎아 곡률 처리된 필렛부(24)를 포함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도입부와 보호필름 측벽(11)의 경계 부위의 각을 밋밋하게 곡선 처리한 필렛부(24)로 인하여 도입부(21)와 보호필름 측벽(11)의 경계 부위에 작용되는 외부의 하중 압력을 줄일 수가 있어 도입부(21)와 보호필름 측벽(11)의 경계 부위 가 쉽사리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로서 본 고안에서 '도입부 수직형 접착 촉진 수단'(30)으로 명칭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입부(31)와 보호필름 측벽의 경계 부위에 도입부 곡률형 접착 촉진 수단(20)의 필렛부(24) 대신 수직부(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직부(34)는 가령 미세한 돌출수단 내지 구성요소를 가진 휴대폰(10)의 접착 부위가 도입부(31)와 보호필름 측벽(11)의 경계 부위에 상응하는 부위라면 도입부(31)와 보호필름 측벽(11)의 경계 부위가 그 돌출수단 등의 형상에 꼭 알맞게 밀착되어야 하는데, 이 때 만일 곡률처리된 필렛부(24)가 이용되면 이 부위 주변에 간극이 형성되거나 제대로 보호 필름(10)이 해당 핸드폰(100) 접착 부위를 덮지 못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부(31)에서 내측연장부(32)로 연장되기 시작한 부위를 대략 90도의 각으로 형성한 수직부(34)로 구비하여 미세한 돌출수단 등이 형성된 특정 핸드폰(100) 접착 부위에서 밀착 접촉을 이루는 용도로 사용되도록 한 것이다.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는 일명 '모서리용 접착 촉진 수단'(40)에 관한 것으로, 주로 보호 필름(10)의 모서리부에 장착이 되어 휴대폰(10)의 곡선 처리된 모서리 접착 부위에 보다 효과적으로 부착되기 위한 것으로서, 도입부(41)는 보호필름(10)의 모서리부를 대략적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 사각형에 상당하는 면적만큼 깎아 형성하되 곧바로 내측연장부(42)와 직접 연결이 되어 있다.
내측연장부(42)는, 도입부(41)로부터 직접 연결되어 대략 곡선 처리되어 있 되 곡선의 기울기가 미미하여 대략적으로 편평한 형태로 보여지는 연장 측벽(42a)을 가지는 상태에서 보호필름의 모서리 내지 도입부(41)와의 상측 경계지점(도면 기준)에서 대략적으로 30 내지 45도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며 또한 내측연장부(42)의 연장선상에서 약간 일 방향, 즉 상측 내지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42b)를 가지고, 이 절곡부(42b)의 종단부에 첨단부(43)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내측 연장부(42)가 도입부(41) 내지 보호필름(10)의 모서리와 일정 각을 가지는 이유는 보호필름(10)의 구조 상 모서리각을 가지므로 내측 연장부(42)의 상단에 위치한 보호 필름(10) 부위가 핸드폰(100)과의 접착에 있어서 탄력적인 유동성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내측 연장부(42)가 모서리각과 평행하여 연장되거나 미세각으로 경사지게 연장이 되면 내측 연장부(42)의 상단에 보호필름(10) 부위가 아예 형성이 되지 않거나 미세하게 형성되어 쉽사리 찢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에 일정 각을 가진 다음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그 상단의 보호필름(10) 부위의 적절한 면적을 보장하게 하고 보호필름(10)의 모서리부가 핸드폰(100)의 모서리 접착 부위에서 일정한 유동성을 갖게 하기 위한 최적 모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더불어, 절곡부(42b)는 상기 설명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내측방향으로만 내측 연장부(42)가 연장되면 그 상단의 보호필름(10) 부위가 제대로 된 돌출 형상을 가지기 어려워 핸드폰(100) 모서리 부위와 부착을 할 때 탄력적인 유동성을 갖지 못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 절곡부(42b)에 의하여 그 상단의 보호필름(10) 부위가 돌출 형상을 가지게 됨으로 보호필름(10) 부위의 핸드폰 부착 활용도를 높일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절곡부(42b)의 종단에는 역시 너무 뾰족하지 않도록 곡률 처리된 첨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2(d)는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는 일명 '보강용 접착 촉진 수단'(50)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즉 2차 이상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핸드폰(100)의 표면 부위 내지 특별한 부착력이 필요로 하는 가령 핸드폰(100) 모서리 부위에서 추가적인 틈을 확보하여 보호필름(10) 자체가 보다 유동적으로 핸드폰(100)에 부착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강용 접착 촉진 수단(50)은 보호 필름(10)의 일 측벽에서부터 도입부(51)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용 접착 촉진 수단(40)의 연장 측벽(42a)으로부터 형성되기 시작할 수 있고 기타 필요에 따라 다른 접착 촉진 수단(20,30)의 도입부(21,31) 주변으로부터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만일, 보강용 접착 촉진 수단(50)이 모서리용 접착 촉진 수단(40)의 연장 측벽(42a)으로부터 형성이 될 때에는 일반적으로 보호필름(10)이 핸드폰(100)의 모서리부위부터 이탈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작용을 방지하는 기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2차 이상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핸드폰의 표면 접착 부위가 입체적이라 박막의 보호필름(10)이 밀착하기 어렵다는 상황에서 이러한 복잡한 핸드폰(100)의 표면 부위에 상응하도록 보호필름(10)의 틈새 내지 홈을 다중, 복수 개로 형성하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보강용 접착 촉진 수단(50) 역시 상술한 도입부(51)와, 내측 연장부(52)를 가지며 추가적으로 절곡부(52b)를 더 가질 수 있고 절곡부(52b)가 형성된 경우에는 그 종단에 첨단부(53)가 형성되어 있는데, 특히 도입부(51)는 보호필름(10)의 측벽 (11)내지 연장 측벽(42a)으로부터 수직이 아닌 경사진 방향으로 내측 방향으로 형성이 되어 있다. 이는 각 핸드폰(100)의 표면 구조에 따라 얼마든지 그 표면 구조에 알맞게 경사진 방향으로 도입부(51) 및 이로부터 연장된 내측 연장부(52)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e)는 본 고안에 따른 제 5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 5 실시예는 일명 '추가 모서리용 접착 촉진 수단'(60)에 관한 것으로, 제 3실시예와 같이 핸드폰의 모서리 접착 부위에 적용되는 용도로 활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보호필름 측벽(11)에서 필름(10)의 내측 방향으로 도입부(61)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입부(60)의 폭이 기타 도입부(60)보다 넓게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다시 내측연장부(62)가 형성되어 필름(10) 내측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연장되어 있는데, 내측연장부(62)는 양 방향으로 갈려 진행되는 분할내측연장부(62b)를 2개 구비하고 있다. 즉, 내측연장부(62)의 종단 지점이 양 방향으로 분할되어 각각 필름(10) 내측으로 더 진행되어 형성된 것이 바로 분할내측연장부(62b)인 것이다.
이 분할내측연장부(62b)의 종단에는 역시 각각 첨단부(63)가 곡률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추가 모서리용 접착 촉진 수단(60)은 핸드폰의 접착 부위중 모서리 부위가 가장 취약하다는 점을 본 고안자가 다시 인식하여 고안한 형상으로 도입부(60)의 폭이 넓되 내측연장부(62)를 양 갈래로 필름(10) 내측으로 더욱 진행하게 함으로 형성된 분할내측연장부(62b)에 의하여 필름(10) 모서리 부위 주변의 돌출 부위를 2군데 형성하게 됨으로 이러한 2개의 돌출부위로 인하여 핸드폰에 부착될 수 있는 개연성을 더욱 증강한 구조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 보호필름(10)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보호필름(10)은 중앙 부위에 복수 개의 개구부(12)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선택적인 요소로서 이러한 개구부(12)가 없어도 상관이 없으며 만일 이러한 개구부(12)가 구비된 경우는 디스플레이부와 같은 평탄한 핸드폰(100) 부위에는 별도의 보호 필름을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에서는 보호필름(10)의 측벽(11)에 예시적으로 도입부 곡률형 접착 촉진 수단(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불어 보호필름 측벽(11)의 각 위치에 따라 등 간격 내지 요망하는 간격에 따라 복수 개의 접착 촉진 수단(20,30,40,50,60)을 형성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 보호 필름(10)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접착 촉진 수단(20,30,40,50)은 하나의 보호필름(10)에서도 각 측벽(11)의 위치에 따라 대칭적 내지 비대칭적으로 복수 개로 구성이 될 수 있다. 특히, 도 4에서 모서리용 접착 촉진 수단(40) 내에 보강용 접착 촉진 수단(5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보아 알 수 있 듯이, 보강용 접착 수단(50)은 다른 접착 촉진 수단(20,30,40)을 보강하는 용도로 활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착 촉진 수단 중, 특히 추가 모서리용 접촉 촉진 수단(60)이 형성된 보호필름(10)이 핸드폰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필름(10) 모서리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 5실시예의 접착 촉진 수단(60)이 형성되어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필름(10)이 핸드폰 모서리에서 보다 잘 접착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접착 촉진 수단(20,30,40,50,60)에 추가 구성되는 찢김 방지부(70)를 도시한 부분확대 정면도이다.
접착 촉진 수단(20,30,40,50,60)은 그 형상의 측면에서 고찰할 때 보호필름(10)의 측벽(11)에서 내측으로 틈 내지 홈을 파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그 종단인 첨단부(23,33,43,53,63)가 즉 다른 부위보다 폭이 좁아 하중 압력치가 높아져 쉽사리 찢어질 우려를 배제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첨단부(23,33,43,53,63)의 외벽 주변에는 첨단부(23,33,43,53,63)의 외각 형상, 외주면을 따라 기타 부위보다 두껍거나 내구력이 강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찢김 방지부(70)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서, 접착 촉진 수단(20,30,40,50,60)은 자칫 사소한 외부 충격에 대해 보호필름(10) 내측으로 찢겨지는 단점을 극복하여 보다 장기적으로 보호필름(10)을 핸드폰(100)에 적절히 부착한 상태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에 따르면 핸드폰 보호 케이스 케이스가 사양화되고 박막의 보호필름의 각광받고 있는 추세에서 평탄하게만 이루어지지 않은 핸드폰의 표면 부착 부위에서 보호필름이 부요되거나 쉽사리 이탈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핸드폰의 다양한 부착 부위에 상응하여 밀착력을 강화함으로써 특정 휴대폰의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로서,
    보호 필름(10)의 측벽(11)에서 일정 길이만큼 보호필름의 내측으로 함입 구성되기 시작하는 도입부(21,31,41,51,61);
    상기 도입부(21,31,41,51,61)로부터 보호필름(10)의 내측으로 연장되되 연장이 될 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내측연장부(22,32,42,52,62);
    상기 내측연장부(22,32,42,52,62)의 종단에서 곡률지게 형성되어 있는 첨단부(23,33,43,53,63);를 구비한 접착 촉진 수단(20,30,40,50,60);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21)와 상기 보호필름 측벽(11)의 경계 부위에는 그 경계부위의 각을 깎아 곡률지게 처리한 필렛부(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41)는 보호필름(10)의 모서리 부위에서 내측으로 30 내지 45도의 각을 가지고 함입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연장부(42)는, 일측에는 작은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도입부(41)와 근접 연결되어 곡선 연장 처리된 연장 측벽(42a)과, 그 연장 방향의 일 부위에서 일 방향으로 일정 각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절곡부(42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첨단부(43)는 상기 절곡부(42b)의 종단에서 곡률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51)는 보호필름(10)의 측벽(11) 내지 상기 연장 측벽(42a)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각만큼 경사지게 함입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장부(62)는 상기 필름(10) 내측으로의 진행 방향에서 양 갈래로 나뉘어 진행되는 2개의 분할내측연장부(62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부(23,33,43,53)의 외주면을 따라 찢김 방지부(60);가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KR2020050030024U 2005-10-21 2005-10-21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KR200405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024U KR200405882Y1 (ko) 2005-10-21 2005-10-21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PCT/KR2006/004247 WO2007046637A1 (en) 2005-10-21 2006-10-19 Structure of safeguard film for cellular phone
US11/913,593 US20080193720A1 (en) 2005-10-21 2006-10-19 Structure of Safeguard Film for Cellular Phone
JP2008527858A JP2009505606A (ja) 2005-10-21 2006-10-19 携帯電話の保護フィルム構造
CNA2006800392321A CN101292434A (zh) 2005-10-21 2006-10-19 手机保护膜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024U KR200405882Y1 (ko) 2005-10-21 2005-10-21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785A Division KR100784501B1 (ko) 2006-11-17 2006-11-17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882Y1 true KR200405882Y1 (ko) 2006-01-11

Family

ID=3796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024U KR200405882Y1 (ko) 2005-10-21 2005-10-21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93720A1 (ko)
JP (1) JP2009505606A (ko)
KR (1) KR200405882Y1 (ko)
CN (1) CN101292434A (ko)
WO (1) WO2007046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6415A1 (en) 2003-11-21 2005-08-25 Mccormick Chris E. Protective laminate for windshields
US7957524B2 (en) 2006-03-02 2011-06-07 Zagg Incorporated Protective covering for an electronic device
US8567596B1 (en) 2006-04-01 2013-10-29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Electronic device protective film application kit and method
CN101650623B (zh) * 2009-08-25 2012-07-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电阻触摸屏、具有电阻触摸屏的手机
US11134580B2 (en) 2010-07-08 2021-09-28 Zagg Inc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218024B2 (en) 2011-06-23 2015-12-22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Accessory and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s, system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JP5622822B2 (ja) * 2012-10-10 2014-11-12 エレコム株式会社 電子機器用保護具
KR101583766B1 (ko) * 2014-10-23 2016-01-11 이화정 지문인식이 추가된 전기 충격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8975A (en) * 1963-09-11 1965-02-09 Kvp Sutherland Paper Co Carton having tear strip in cover flaps
US3960315A (en) * 1975-03-27 1976-06-01 American Can Company Carton with inspection flap and blank therefor
JPH047001Y2 (ko) * 1986-10-15 1992-02-25
JP2663018B2 (ja) * 1989-06-30 1997-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静電像現像剤および静電像現像方法
US5017999A (en) * 1989-06-30 1991-05-21 Honeywell Inc. Method for forming variable width isolation structures
JPH0337580A (ja) * 1989-07-04 1991-02-18 Toshiba Corp 三相変圧器巻線の部分放電検出方法
US4965466A (en) * 1989-07-19 1990-10-23 Motorola, Inc. Substrate injection clamp
US5213141A (en) * 1990-10-26 1993-05-25 Dorman Ira S Debris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and method
JP2000231333A (ja) * 1999-02-09 2000-08-22 Rasutabanana:Kk 装飾用シールの製造方法
JP2001145655A (ja) * 1999-11-22 2001-05-29 Johnson & Johnson Kk 絆創膏
JP2002297041A (ja) * 2001-03-29 2002-10-09 Toshiba Corp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を保護するための保護シート、及びこの保護シートを利用した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2003093128A (ja) * 2001-09-20 2003-04-02 Can:Kk 携帯電話端末機用カバー
US20050022924A1 (en) * 2002-12-27 2005-02-03 Blackburn James B. Adhesive article for and method of applying a decorative finish to a phone
JP2004320310A (ja) * 2003-04-15 2004-11-11 Yoshio Nakamachi 携帯型電子機器
KR20050093046A (ko) * 2004-03-18 2005-09-23 한종석 액정보호필름
KR200368656Y1 (ko) * 2004-09-08 2004-11-26 박은진 휴대 전화용 투명창
KR200374264Y1 (ko) * 2004-11-05 2005-01-27 김대영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93720A1 (en) 2008-08-14
WO2007046637A1 (en) 2007-04-26
JP2009505606A (ja) 2009-02-05
CN101292434A (zh)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882Y1 (ko)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US8941544B2 (en) Vehicle roof mount antenna
JP5007327B2 (ja) ウィンドウモールの取付け車体構造
KR100784501B1 (ko)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WO2005086263A3 (en) Fuel cell gasket having an integrated sensor
CN202488513U (zh) 一种手机保护壳
JP2009196435A (ja) リヤスポイラー構造
US4575147A (en) Vehicle door
CN103227070B (zh) 按钮装置及保护罩
JP2010128609A (ja) 表示パネルおよび携帯端末装置
CN205611040U (zh) 一种防止边缘撕裂的fpc电路板
JP5616756B2 (ja) 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
KR200374264Y1 (ko)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CN106965656B (zh) 一种汽车天窗pc玻璃卡接结构
JP5208050B2 (ja) ガラス取り付け構造
CN209704376U (zh) 一种门板
KR101474960B1 (ko) 핸드폰 케이스
CN219124504U (zh) 壳体组件及电子设备
CN214205638U (zh) 一种外壳与保护膜一体式手机保护膜
CN211892239U (zh) 复合膜的手机保护膜
CN211509109U (zh) 一种抗摔型手机外壳
JP6351208B2 (ja) 携帯端末
JP2011204598A (ja) 搭載物固定構造
CN211868437U (zh) 一种玻璃包边结构
CN210342499U (zh) 一种高强度轻质木塑板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