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805Y1 -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 - Google Patents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805Y1
KR200405805Y1 KR2020050028693U KR20050028693U KR200405805Y1 KR 200405805 Y1 KR200405805 Y1 KR 200405805Y1 KR 2020050028693 U KR2020050028693 U KR 2020050028693U KR 20050028693 U KR20050028693 U KR 20050028693U KR 200405805 Y1 KR200405805 Y1 KR 200405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eleration
display means
speed
entering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만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Priority to KR2020050028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8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8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에 관한 것으로, IC 진입시 적합한 속도로 주행하도록 유도하고 IC 진입로에 접근할수록 감속을 유도하면서 진입로의 방향을 안내하여 운전자가 안전한 운전을 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IC(Interchange) 진입시 자동차의 감속을 유도하는 구조에 있어서, IC 진입로의 노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감속을 유도하는 바닥표시수단(100); 및 IC 진입로의 측부에 상기 바닥표시수단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자동차의 감속을 유도하는 측부표시수단(2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 {SIGN STRUCTURE OF SLOWDOWN GUIDANCE FOR INTERCHANGE ENTR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의 바닥표시수단의 구성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의 측부표시수단의 구성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의 속도표시판의 구성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의 제어부의 연결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바닥표시수단 120. 고휘도반사층
121. 엠보싱부 200. 측부표시수단
203. 속도표시판 205. 접근센서
206. 일몰센서 209a. 면발광체
210. 발광소자 215. 제어부
본 고안은 IC(Interchange) 진입시 자동차의 감속을 유도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간격으로 진입로의 바닥에 형성된 바닥표시수단과 진입로의 측부에 설치된 측부표시수단을 통해 운전자가 IC(Interchange) 진입시 감속을 유도하는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급증하는 현시대에 있어서 자동차 사고로 인해 연간 수천면의 인명이 희생되거나 장애자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주요원인으로는 과속과 안전거리의 미확보 등이 그 대표적 예라 할 수 있으며, 특히 과속에 따른 안전거리의 미확보는 생명을 앗아가는 큰 재해로 이어지게 된다.
물론, 자동차를 계속 운전하다 보면 과속에 대해서 무감각해지고, 그때마다의 속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선을 돌려 계기판의 속도계를 응시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전방시야를 잃어 사고의 위험이 따르게 되고, 이로 인해 운전자가 속도계를 보고 속도를 파악하는 경우는 드물게 된다. 그러므로 속도의 무감각과 안전거리의 불인식으로 인한 자동차의 사고는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IC 진입로를 진입하는 경우 감각적으로 속도를 줄이며 운전하여 운전의 위험성이 잠재되며, 커브길의 경우에는 속도를 제대로 줄이지 못하고 운행하다 가 원심력을 받은 자동차가 그대로 직진하여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운전자는 IC 진입로의 진입시 적합한 속도로 주행하지 못하여 주행의 불쾌감을 느끼고 자동차는 적합한 속도 이상의 속도를 주행하여 소음이 발생한다.
야간의 경우 운전자는 시각적 인식능력이 저하되어 IC 진입로를 진입할 때 원활한 주행을 하지 못하고, 불의의 사고가 언제 발생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불안전한 운전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정한 간격으로 노면 바닥과 측부에 속도표시수단을 형성하여 IC 진입시 적합한 속도로 주행하도록 유도하고 IC 진입로에 접근할수록 감속을 유도하면서 진입로의 방향을 안내하여 운전자가 안전한 운전을 하도록 하는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바닥표시수단은 자동차의 광원에 반사되도록 형성하고 측부표시수단은 자체 광을 발하게 하여 야간운전시에도 IC 진입로에 접근할수록 감속을 유도하면서 진입로의 방향을 안내하여 운전자가 안전한 운전을 하도록 하는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 조는, IC(Interchange) 진입시 자동차의 감속을 유도하는 구조에 있어서, IC 진입로의 노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감속을 유도하는 바닥표시수단(100); 및 IC 진입로의 측부에 상기 바닥표시수단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자동차의 감속을 유도하는 측부표시수단(2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표시수단은, 노면에 접착되는 접착시트(110);와 상기 접착시트에 접착되고 표면상으로 엠보싱부(121)가 형성되는 고휘도반사층(120);와 상기 고휘도반사층(120) 표면에 형성되는 투명수지부(130);와 상기 투명수지부의 외표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코팅층(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측부표시수단은, 지지대(202)에 의해 IC 진입로의 측부에 설치되는 속도표시판(207);와 상기 속도표시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일몰 상태를 감지하는 일몰센서(206);와 상기 속도표시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자동차가 일정한 위치에 접근함을 감지하는 접근센서(205);와 상기 속도표시판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일몰센서의 감지에 따라 점멸되는 발광소자(210);와 상기 속도표시판에 속도표시문자로 형성되어 상기 접근센서의 감지에 따라 점멸되는 면발광체(209a,209b);와 상기 속도표시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받아 충전되는 태양광전지(204);와 상기 태양광전지와 연결되고, 상기 일몰센서가 상기 발광소자와 함께 연결되며, 상기 근접센서가 상기 면발광체와 함께 연결되는 제어부(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한다.
엠보싱부는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산란을 위해 이루어지는 돔형상(121a)과, 산란각을 더욱 확산시키기 위해 예각을 이루면서 불규칙한 배열 및 높이로 형성되는 산모양의 형상(121b) 중 어느 것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진입 시 감속유도 표시구조를 제공한다.
속도표시판은 표면이 고휘도반사판(2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는 IC(Interchange) 진입시 자동차의 감속을 유도하는 구조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진입로의 바닥에 형성된 바닥표시수단과 진입로의 측부에 설치된 측부표시수단을 통해 운전자가 IC(Interchange) 진입시 감속을 유도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의 바닥표시수단의 구성상태를 나타낸다.
바닥표시수단(10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IC 진입로의 노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감속을 유도한다.
바닥표시수단은 진입로의 노면에 접착시트(110)가 접착되고, 상기 접착시트에 고휘도반사층(120)이 접착된다. 고휘도반사층(120)은 표면상으로 엠보싱부(121)가 형성되고, 고휘도반사층(120) 표면에는 투명수지부(130)가 형성된다. 투명수지부의 외표면에는 코팅층(140)이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엠보싱부는 돔형상(121a)으로 형성되어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산란시켜 야간운전 중인 운전자가 용이하게 바닥표시수단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엠보싱부는 산모양의 형상(121b)으로 형성되되 예각을 이루면서 불규칙한 배열 및 높이로 형성되어 산란각을 더욱 확산시킬 수 있다. 엠보싱부(121b)는 양변이 각각 테이퍼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어, 차량 헤드라이트나 차폭 또는 자연햇빛 등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다시 반사시킬 때 난반사 현상이 발생된다.
한편, 측부표시수단(20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IC 진입로의 측부에 바닥표시수단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자동차의 감속을 유도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의 측부표시수단의 구성상태를 나타낸다.
측부표시수단은 IC 진입로의 측부에 지지대(202)에 의해 속도표시판(203)이 설치된다. 속도표시판에는 자동차의 속도를 유도하는 속도표시문자가 형성된다.
속도표시판의 일측에 일몰센서(206)가 형성되어 일몰 상태를 감지한다. 속도표시판의 일측에 접근센서(205)가 형성되어 자동차가 일정한 위치에 접근함을 감지한다.
속도표시판의 외주연에 발광소자(210)가 형성되어 일몰센서의 감지에 따라 점멸된다. 속도표시판에 면발광체(209a)가 속도표시문자로 형성되어 접근센서의 감지에 따라 점멸된다. 속도표시판의 속도표시문자의 테두리원에도 면발광체(209b)가 형성된다. 속도표시판의 일측에 태양광전지(204)가 형성되어 태양광을 받아 충전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의 속도표시판의 구성상태를 나타낸다.
속도표시판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대에 알루미늄(aluminium)판(207)이 직접 고정된다. 알루미늄판의 표면에는 유연재로 이루어지는 쿠션시트(208)가 부착된다. 쿠션시트의 표면에는 면발광체가 속도표시문자와 속도표시문자의 테두리로 형성된다. 면발광체는 EL램프를 사용한다.
면발광체의 표면에는 투명아크릴판(211)이 부착되고, 투명아크릴판의 표면에는 반사기판(212)이 부착된다. 반사기판은 초 내후성 유백색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다.
반사기판의 표면에는 고휘도반사판(213)으로 이루어져 야간운전시 운전자가 자동차의 점등에 반사되는 속도표시판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알루미늄판, 쿠션시트, 면발광체, 발광소자, 투명아크릴판, 반사기판 그리고 고휘도반사판을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외주용트림(214)이 일체화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의 제어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다.
속도표시판의 후부에 설치되는 제어부(215)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양광전지와 연결되고, 상기 일몰센서가 상기 발광소자와 함께 연결되며, 상기 근접센서가 상기 면발광체와 함께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정한 간격으로 진입로의 바닥에 형성된 바닥표시수단과, 진입로의 측부에 설치된 측부표시수단을 통해 운전자가 IC(Interchange) 진입시 감속을 유도한다.
주간의 경우 운전자가 IC 진입로로 진입시 노면의 바닥과 측부를 주시하며 운전할 때 속도표시문자(바닥표시수단과 측부표시수단)가 일정한 간격으로 점차 낮은 속도로 표시되어 있어 이를 인식하는 운전자는 속도를 자연스럽게 줄이면서 IC 진입로를 진입한다.
야간의 경우 바닥표시수단을 보면, 운전자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등의 광원을 바닥표시수단에 조사한다. 운전자는 고휘도반사층에 의해 반사된 빛을 통해 속도의 표시를 인식하여 주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점차 줄어드는 속도의 표시를 통해 감속을 유도 받는다.
구면형상을 갖는 규칙적인 엠보싱부(121a)의 경우, 헤드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반사광원이 비교적 규칙적인 반사각을 이루며 반사되어 운전자는 이를 통해 바닥표시수단의 속도표시문자로부터 속도를 점차 줄이도록 유도된다.
경우에 따라, 즉 주행 차량 속도 및 시계에 따라 부분적으로 관시야각이 확보되지 못하여 그 식별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산모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엠보싱부(121b)에 의해서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사되는 빛이 엠 보싱부(121b) 사이에서의 반사 및 재반사 등의 난반사 과정과 빛의 산란 과정을 거쳐 관시야각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야간의 경우 측부표시수단을 보면, 일몰상태가 되고 일몰센서가 일몰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발광소자를 발광시킨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IC 진입시 표지가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자동차가 속도표지판에 접근하고 접근센서가 이를 감지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면발광체를 발광시킨다. 면발광체의 발광에 의해 속도표시문자와 그 테두리가 발광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문자가 돌연 표시되기 때문에 다소 놀라움을 갖고 그 문자를 보게 되어 속도표시문자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주간과 마찬가지로 야간의 경우에도 점차 줄어드는 속도의 표시를 인식함으로써 운전자는 감속을 유도받는다.
또한 일출상태가 되고 일몰센서가 일출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발광소자를 소등시키고 접근센서로부터 자동차의 접근이 감지되더라도 면발광체를 발광시키지 않는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는 일정한 간격으로 노면 바닥과 측부에 속도표시수단을 형성함으로써, IC 진입시 적합한 속도로 주행하도록 유도하고 IC 진입로에 접근할수록 감속을 유도하면서 진입로의 방향을 안내하여 운전자가 안전한 운전을 하도록 한다.
바닥표시수단은 자동차의 광원에 반사되도록 형성하고 측부표시수단은 자체 광을 발하게 함으로써, 야간운전시에도 IC 진입로에 접근할수록 감속을 유도하면서 진입로의 방향을 안내하여 운전자가 안전한 운전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일몰센서에 의해 발광소자가 점등되어 야간운전시 진입로에 대한 안내를 받으면서 진입로를 인식할 수 있고, 접근센서에 의해 차량의 접근시에만 면발광체가 점등되어 면발광체의 점멸에 따른 상황에 의해 운전자는 속도에 대한 인식을 확실히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진입로에서의 감속을 유도할 수 있다.
IC 진입시 속도 감속을 유도함으로써 IC 내에서 주행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교통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분기점의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IC(Interchange) 진입시 자동차의 감속을 유도하는 구조에 있어서,
    IC 진입로의 노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감속을 유도하는 바닥표시수단(100); 및
    IC 진입로의 측부에 상기 바닥표시수단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자동차의 감속을 유도하는 측부표시수단(2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표시수단은,
    노면에 접착되는 접착시트(110);
    상기 접착시트에 접착되고 표면상으로 엠보싱부(121)가 형성되는 고휘도반사층(120);
    상기 고휘도반사층(120) 표면에 형성되는 투명수지부(130); 및
    상기 투명수지부의 외표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코팅층(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측부표시수단은,
    지지대(202)에 의해 IC 진입로의 측부에 설치되는 속도표시판(207);
    상기 속도표시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일몰 상태를 감지하는 일몰센서(206);
    상기 속도표시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자동차가 일정한 위치에 접근함을 감지하는 접근센서(205);
    상기 속도표시판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일몰센서의 감지에 따라 점멸되 는 발광소자(210);
    상기 속도표시판에 속도표시문자로 형성되어 상기 접근센서의 감지에 따라 점멸되는 면발광체(209a,209b);
    상기 속도표시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받아 충전되는 태양광전지(204); 및
    상기 태양광전지와 연결되고, 상기 일몰센서가 상기 발광소자와 함께 연결되며, 상기 근접센서가 상기 면발광체와 함께 연결되는 제어부(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산란을 위해 이루어지는 돔형상(121a)과, 산란각을 더욱 확산시키기 위해 예각을 이루면서 불규칙한 배열 및 높이로 형성되는 산모양의 형상(121b) 중 어느 것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도표시판은 표면이 고휘도반사판(2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
KR2020050028693U 2005-10-07 2005-10-07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 KR200405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693U KR200405805Y1 (ko) 2005-10-07 2005-10-07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693U KR200405805Y1 (ko) 2005-10-07 2005-10-07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805Y1 true KR200405805Y1 (ko) 2006-01-11

Family

ID=4175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693U KR200405805Y1 (ko) 2005-10-07 2005-10-07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80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84B1 (ko) 2010-06-11 2011-04-19 주식회사 하이로드 속도제한 지역용 유도표시 장치
KR200455218Y1 (ko) * 2010-06-24 2011-08-25 주식회사 지로드 반딧불이 도로표지
KR101065631B1 (ko) 2010-04-09 2011-09-26 주식회사 웨텍 스마트 하이웨이 진출입로의 스마트 튜브 구조물
KR101483046B1 (ko) 2013-12-31 2015-01-19 한울타리뉴아트휀스주식회사 회전 액자가 구비된 도로용 울타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631B1 (ko) 2010-04-09 2011-09-26 주식회사 웨텍 스마트 하이웨이 진출입로의 스마트 튜브 구조물
KR101030284B1 (ko) 2010-06-11 2011-04-19 주식회사 하이로드 속도제한 지역용 유도표시 장치
KR200455218Y1 (ko) * 2010-06-24 2011-08-25 주식회사 지로드 반딧불이 도로표지
KR101483046B1 (ko) 2013-12-31 2015-01-19 한울타리뉴아트휀스주식회사 회전 액자가 구비된 도로용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66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08441B1 (ko)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KR101768590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556702B1 (ko) Led와 레이저빔을 결합한 교통 프린팅 표지판
KR200405805Y1 (ko)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
CN111386213B (zh) 移动体用显示装置
US9718396B2 (en) Illuminated running board for vehicle
KR20090028878A (ko) 어린이보호구역 다기능 통합표지판
JP200626598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JP5890158B2 (ja) 自発光式交通標識板
JPH1143908A (ja) 視線誘導灯
RU133478U1 (ru) Световое информ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водителей о появлении пешехода (варианты)
KR20120103190A (ko) 반사판을 이용한 도로 표시 장치
KR200405804Y1 (ko)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
KR200461262Y1 (ko)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JP3872582B2 (ja) 交通標識器
CN211956732U (zh) 一种高速公路弯道诱导系统
JP3453725B2 (ja) 出会い頭事故防止装置
CN216817589U (zh) 一种用于智能交通系统的交通标识装置
JP4726847B2 (ja) 自発光照明装置
JP2003119732A (ja) 車両進入防止システム
KR102103495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080107021A (ko) 차선 유도장치
KR20220170524A (ko) 전동차량에 장착된 안전삼각표지판
KR20230118315A (ko) 인체를 감지하여 조명이 점멸되는 난간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