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804Y1 -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 - Google Patents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804Y1
KR200405804Y1 KR2020050028692U KR20050028692U KR200405804Y1 KR 200405804 Y1 KR200405804 Y1 KR 200405804Y1 KR 2020050028692 U KR2020050028692 U KR 2020050028692U KR 20050028692 U KR20050028692 U KR 20050028692U KR 200405804 Y1 KR200405804 Y1 KR 200405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vehicle
distance
layer
roa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만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Priority to KR2020050028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8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8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구형상으로 되는 다수개의 표지부(제1표지부, 제2표지부, 제3표지부)를 한조로 하여 각각의 저면으로 노면과 접착되는 접착시트가 형성되되 상기 접착시트 상으로 우레탄폼부를 형성하고, 일측으로 경사지며 접합되는 접착층에 표면상으로 엠보싱부가 형성된 고휘도반사층이 접착되고, 상기 고휘도반사층 표면층으로 투명수지부가 형성되고, 전체적인 외표면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엠보싱부는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산란을 위해 돔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산란각을 더욱 확산시키기 위한 예각을 갖는 산모양의 형상을 갖으며 불규칙한 배열 및 높이를 갖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고,
아울러, 상기 제1,2,3표지부는 노면으로 부터 최상면까지의 높이를 각각 달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공하여,
도로의 노면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되 차량의 광원이나 햇빛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다시 재반사하게 되는 노면표지부에 의해, 그 식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간 사이에 의한 노면표지부의 개수 파악이 용이하고, 이와같이 시시각각 확인되는 노면표지부의 개수에 따라 차량간 이격거리 산출이 용이하여, 고속도로나 국도 등에서의 운전시 속도 무감각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앞차와의 거리 유지를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자신의 주행 속도 등을 확인하기 위해 수시로 속도계기판 등을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및 이로인한 안전사고나, 또는 과속에 따른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와,
야간 주행시 특히 국도 등과 같이 도로상을 비추는 조명수단이 없는 구간내를 운행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도로의 노면 안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국도 등에서 간혹 발생되는 차선이탈로 인한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간거리, 노면표지부, 고휘도반사층, 엠보싱부

Description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An auto mobile safe distance load sign}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도로 노면상에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노면상에 설치된 본 고안의 확대 단면도로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주행중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에 의한, 반사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노면표시부를 더욱 확대한 것으로, 고휘도반사층의 엠보싱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도면이다.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노면표지부 101; 제1표지부
102; 제2표지부 103; 제3표지부
110; 우레탄폼부 120; 접착층
130; 고휘도반사층 131; 엠보싱부
140; 코팅층 150; 투명수지부
200; 접착시트
D1; 노면과 제1표지부 상면과의 높이
D2; 노면과 제2표지부 상면과의 높이
D3; 노면과 제3표지부 상면과의 높이
L; 노면표지부와 노면표지부간 이격 거리
본 고안은 차량 주행 중, 운전자로 하여금 앞차와의 차간거리를 육안으로 쉽게 판별하여, 차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사되는 빛에 의해 반사되는 엠보싱부를 갖는 고휘도반사층이 형성되는 노면표지부를 제1 ~3 표지부로 나누어 이격되도록 하되 각각의 표지부의 높이를 노면으로부터 달리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야에 노면표지부가 용이하게 확보되도록 하고, 아울러 야간 운행시 헤드라이트 또는 차폭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고휘도반사지에 의해 난반사되어 차간거리유지는 물론, 야간운행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급증하는 현시대에 있어서 자동차 사고로 인해 연간 수천면의 인명이 희생되거나 장애자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주요원인으로는 과속과 안전거리 의 미확보등이 그 대표적 예라 할 수 있으며, 특히 과속에 따른 안전거리의 미확보는 생명을 앗아가는 큰 재해로 이어지게 된다. 물론, 자동차를 계속 운전하다 보면 과속에 대해서 무감각해지고, 그때마다의 속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선을 돌려 계기판의 속도계를 응시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전방시야를 잃어 사고의 위험이 따르게 되고, 이로 인해 운전자가 속도계를 보고 속도를 파악하는 경우는 드물게 된다. 그러므로, 속도의 무감각과 안전거리의 불인식으로 인한 자동차의 사고는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주행 중 속도의 무감각 현상 및 안전거리의 불인식으로 인한 과속차량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 및 장치 등이 고안되고 있는바, 차량의 주행중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제동등의 점등과 함께, 후방으로 초음파를 발사하여 규정속도 이상으로 뒤따라오는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간거리 확보장치에 관한 것이 실용신안 등록공고 20-0129531에 의해 개시되고 있다.
이외에도,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설치된 후방 차량이 주행 도중에, 일정 속도 이상에서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작동되어 전방 차량의 후방부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레이저 빔을 발사함으로써, 앞차와의 차간거리를 계산하고, 후방 차량은 차간거리를 바탕으로 앞차와의 거리가 너무 가까운 경우에는 경고등과 경고음 발생기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보하는 구조를 갖는 것 등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차간거리 감지장치는 주로 차량 내부에 탑재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초음파 조사에 의한 신호를 후방차량이 인지하여야 그 후방차량내에 경보음 또는 경고등 등의 신호를 주게 되는데, 후방차량에 이와 같은 구성이 탑재되어 있지 못할 경우에는 전방 차량의 감속상태를 확실하게 감지할 수 없어, 후방차량 운전자는 전방차량과의 차간거리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조절하여야 하는 문제는 물론 특히 야간운행시에는 충분한 시계(視界)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와,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장치 등을 차량 내부에 장착하는데에는 가격이 고가인 단점을 지닌다.
또한 이외에, 도로 측면상에 입설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운행차량 운전자에게 차간거리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스탠드형 안내표지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스탠드형 안내표지판은 경고성 문구 또는 차간거리의 충분한 확보를 유도하기 위한 내용 등의 문구가 기재되는 것이 보통인데, 이러한 안내표지판의 경우 고속도로 노면 측면을 따라 충분한 간격을 두며 설치 시공되어지지만, 설치 장소 및 공사비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운전자가 그 안내표지판을 보면서 운행하는 경우 또한 흔치 않아, 주목적을 달성하기 보다는, 안전거리 확보에 대한 주의성 문구만을 전달하는 기능 외에는 별 효과를 거두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아울러, 야간 운행시에는 이러한 표지판 또한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앞차와의 거리를 육안으로 식별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인 문제점이 있다.
즉, 야간 운행시 앞차량과의 거리 식별 기준은 전방차량 후미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후방차량이 인지하여 그 차간거리를 조절 하여야 되는데, 주행중인 차량 속도 등을 감안하였을 때 정확한 차간 거리 확보 여부를 운전자가 육안에 의해 판단하기에는 사실상 무리가 있음은 잘 알려진 문제점으로 꼽힌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도로 노면상에 일정간격으로 표시되는 노면표지부를 설치하여, 차량 운행시 앞차와의 거리를 육안으로 충분히 식별 가능하도록 하여, 차간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야간 운전시에도 상기 노면표지부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앞차와의 거리 확보 가이드 역할은 물론, 경우에 따라 조명시설이 설치되지 않는 국도와 같이 구간의 운전시 도로의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로 노면상으로 부착되는 도로표지구조에 있어서, 단면상 반구형상으로 되며 갈매기 형상을 갖으며 저면으로 노면과 접착되는 접착시트(200)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표지부(제1표지부;101, 제2표지부;102, 제3표지부; 103)가 노면으로 부터 최상면까지의 높이를 각각 달리하며 한조로 이루어지는 노면표지부(100)로 구성되고, 상기 각 제1,2,3표지부(101,102,103)는 상기 접착시트(200) 상으로 우레탄폼부(110)를 형성하고, 일측으로 경사지며 접합되는 접착층(120)에 표면상으로 엠보싱부(131)가 형성된 고휘도반사층(130)이 접착되고, 상기 고휘도반사층(130) 표면층 으로 투명수지부(150)가 형성되고, 전체적인 외표면으로 코팅층(14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엠보싱부(131)는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산란을 위해 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엠보싱부(131)는 산란각을 더욱 확산시키기 위한 예각을 이루는 산모양의 형상을 갖으며 불규칙한 배열 및 높이를 갖는 엠보싱부(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도로 노면상에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노면상에 설치된 본 고안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주행중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에 의한, 반사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노면표시부를 더욱 확대한 것으로, 고휘도반사층의 엠보싱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도면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고안은 도로면을 따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간 거리의 충분한 확보 유도가 가능하기 위해 노면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노면표지부(100)를 그 설정된 일정 간격마다 설치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노면표지부(100)는 도면에서 보듯이 갈매기 형상을 갖으며 설치되는 것 이 바람직한데, 즉 차량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형상으로 노면상에 부착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노면표지부(100)는 도 2 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면으로 노면 표면과 접착되기 위한 공지수단인 접착시트(200)를 이루고, 그 접착시트(200) 상면측으로 탄력성이 우수한 우레탄폼부(110)와 상기 우레탄폼부(100) 외표면으로 코팅처리되는 코팅층(140)을 형성한다.
이러한 노면표지부(100)는 도면에서 보듯이 주로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코팅층(140)은 그 전체를 고휘도반사지로 코팅 처리할 수 있으나, 설치 후 오랜기간 경과하게 되면, 기후나 통행차량 타이어와의 마찰, 마모 등으로 인하여 그 사용수명이 현저하게 저하 될 우려가 있어, 본 고안에서는 고휘도반사지(130)를 도면에서 보는것처럼 우레탄폼부(110) 중앙 상면으로부터 일측방으로 사선방향으로 절개되도록 한 후 그 절개되는 표면으로 접착층(120)을 부착한 후, 고휘도반사층(130)을 부착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휘도반사층(130)을 커버링할 수 있되, 노면표시부(100)의 전체적 형상을 반구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기 위해 반원체의 투명수지부(150)를 형성한다.
상기 투명수지부(150)의 구성에 따라 제1,2,3표지부로 되는 노면표시부(100; 101,102,103)의 전체적 형상을 반구형체로 구성한 후, 그 외주면 표면층을 상기한 바와 같이 투명한 코팅층(140)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고휘도반사층(130)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진행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차량의 광원이나 기타 자연 햇빛 등의 광원으로부터 재귀반사되는 반사광원에 의해 그 식별이 용이하되, 반대차선방향으로부터 마주 오게 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그 반사광원이 비추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호 쌍방향 차량 운전자에게는 자신의 주행노면상에 설치되는 노면표시부(100)로부터 재귀반사되는 반사 광원에 의한 노면표시부(100)만을 확인하며 운행 가능하므로 각각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보듯이 고휘도반사층(130) 표면으로 엠보싱부(13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휘도반사층(130)은 평면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차량의 헤드라이트나 차폭 또는 자연햇빛 등과 같은 광원으로부터의 빛 조사시, 그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게 되는데, 조사되는 빛의 입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재반사되는 특성상 일정 속도를 가지며 주행중에 있는 차량 운전자에게 선명한 반사빛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오랜 기간 경과 후에는 노면표지부(100)의 외표면측 코팅층(140)으로 먼지나 모래 또는 미세한 입자 등이 고착될 수 있어, 선명한 반사빛을 얻지 못할 경우에는 장시간 경과에 따라 그 선명도가 저하되어 차량운전자에게 특히, 야간운전자에게 노면표지부(100)의 식별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 4에서 보듯이 고휘도반사층(130) 표면으로 엠보싱부(131)를 형성하였다.
상기 엠보싱부(131)는 도 4의 "C"에서 보는바와 같이 무수한 둥근형태의 엠보싱부(131)와 도 4의 "B"에서 보는바와 같은 불규칙한 예각을 이루는 산모양을 갖는 엠보싱부(131')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면형상을 갖는 규칙적인 엠보싱부(131)의 경우, 헤드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반사광원이 비교적 규칙적인 반사각을 이루며 반사되는데 경우에 따라, 즉 주행 차량 속도 및 시계에 따라 부분적으로 관시야각이 확보되지 못하여 그 식별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위해, 필요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B"와 같이 비교적 예각에 의한 산모양을 이루며 불규칙한 모양을 갖으며 그 크기 또한 다양한 형태를 갖는 엠보싱부(13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엠보싱부(131')는 양변이 각각 테이퍼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어, 차량 헤드라이트나 차폭 또는 자연햇빛 등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다시 반사시킬 때 난반사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크기나 높이등을 달리하면서도 상호 단락되는 엠보싱부(131')에 조사되는 빛이 엠보싱부(131') 사이에서의 반사 및 재반사 등의 난반사 과정과 빛의 산란 과정을 거쳐, 관시야각의 확보가 용이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 주행 속도나 거리 등에 상관없이 차량 주행과정에서 운전자는 항상 전방측에 적정간격으로 위치되어 있는 노면표지부(100)를 확인할 수 있으 며, 상기 노면표지부(100)간 이격거리(L) 인식에 따라 전방차량이 주행하고 있을 경우, 상기 전방차량과 자신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산출하여 운행중인 차량의 속도 가감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노면표지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3표지부(101,102,103) 등 다수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2,3표지부(101,102,103)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행 방향 측으로부터 점차 그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성하여 (D3<D2<D1) 차량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반대편측으로 그림자가 형성되더라도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높이에 의해 각각의 고휘도반사층(130)으로 조사되는 빛에 의한 반사작용이 충분히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각 제1,2,3표지부(101,102,103)의 높이를 달리하는 또다른 이유는 예컨대, 동일 높이일 경우에는 충분한 반사광 및 관시야각 확보를 위해 제1,2,3표지부(101,102,103)간 거리를 충분히 이격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어, 하나의 단위셋트 즉 하나의 단일 작업단위조로의 기능 및 구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아울러, 근접하여 제1,2,3표지부(101,102,103)를 붙여 작업하더라도 차량 운전자에게 충분한 반사광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이 제1,2,3표지부(101,102,103)의 높이를 점차 높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의 미설명부호 "λ"는 차량의 헤드라이트나 차폭등과 같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영역을 표시한 것이다.
도 2 및 각 도면에서는 제3표지부(103)로부터 제1표지부(101)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아지도록 도시하고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 방향은 제3표지부(103)로 부터 제1표지부(101) 방향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단위셋트로 구성되는 제1,2,3표지부(101,102,103)에 의한 노면표지부(100)를 적정간격, 예컨데 40 m 나 50 m 또는 100 m 등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 설치하게 되는데, 단위구간당 거리에 의해 전방차량과 자신 차량과의 사이에 운전자의 시야에 확보되는 개수를 파악하게 되면, 차간거리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충분한 차간거리 확보를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도로의 노면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되 차량의 광원이나 햇빛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다시 재반사하게 되는 노면표지부에 의해, 그 식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간 사이에 의한 노면표지부의 개수 파악이 용이하고, 이와 같이 시시각각 확인되는 노면표지부의 개수에 따라 차량간 거리 산출이 용이하여, 고속도로나 국도 등에서의 운전시 속도 무감각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앞차와의 거리 유지를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자신의 주행 속도 등을 확인하기 위해 수시로 속도계기판 등을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및 이로 인한 안전사고나, 또는 과속에 따른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노면표지부는 야간 주행시 특히 국도 등과 같이 도로상을 비추는 조명수단이 없는 구간내를 운행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도로의 노면 안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국도 등에서 간혹 발생되는 차선이탈로 인한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도로 노면상으로 부착되는 도로표지구조에 있어서,
    단면상 반구형상으로 되며 갈매기 형상을 갖으며 저면으로 노면과 접착되는 접착시트(200)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표지부(제1표지부;101, 제2표지부;102, 제3표지부; 103)가 노면으로 부터 최상면까지의 높이를 각각 달리하며 한조로 이루어지는 노면표지부(100)로 구성되고,
    상기 각 제1,2,3표지부(101,102,103)는 상기 접착시트(200) 상으로 우레탄폼부(110)를 형성하고, 일측으로 경사지며 접합되는 접착층(120)에 표면상으로 엠보싱부(131)가 형성된 고휘도반사층(130)이 접착되고, 상기 고휘도반사층(130) 표면층으로 투명수지부(150)가 형성되고, 전체적인 외표면으로 코팅층(14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131)는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산란을 위해 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103)는 산란각을 더욱 확산시키기 위한 예각을 이루는 산모양의 형상을 갖으며 불규칙한 배열 및 높이를 갖는 엠보싱부(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
KR2020050028692U 2005-10-07 2005-10-07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 KR200405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692U KR200405804Y1 (ko) 2005-10-07 2005-10-07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692U KR200405804Y1 (ko) 2005-10-07 2005-10-07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804Y1 true KR200405804Y1 (ko) 2006-01-11

Family

ID=4175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692U KR200405804Y1 (ko) 2005-10-07 2005-10-07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8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157B1 (ko) * 2012-11-23 2014-08-29 광주광역시 광산구 가상 과속방지턱 시공용 시트
KR102683136B1 (ko) 2024-03-19 2024-07-10 대한로드라인 페인트 주식회사 시인성 및 배수성이 향상된 돌출차선 마커 배열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157B1 (ko) * 2012-11-23 2014-08-29 광주광역시 광산구 가상 과속방지턱 시공용 시트
KR102683136B1 (ko) 2024-03-19 2024-07-10 대한로드라인 페인트 주식회사 시인성 및 배수성이 향상된 돌출차선 마커 배열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9455A (en) Traffic sign marker
WO2008139470A1 (en) An intersection-located driver alert system
CN111785089A (zh) 一种基于压电路面的人行道人车自感知预警系统
KR20090028878A (ko) 어린이보호구역 다기능 통합표지판
JP3499817B2 (ja) 右折運転支援装置
US10202072B2 (en) Brake warning lamp system
KR200208098Y1 (ko) 도로표시구
KR200405804Y1 (ko) 차간거리 인식을 위한 노면 표지구조
KR200405805Y1 (ko) Ic 진입시 감속유도 표시구조
KR102549464B1 (ko) 차량 및 보행자 상호인지를 위한 레이더감지 기반의 감응형 볼라드 장치
KR200492018Y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안전 표지판
US7905611B1 (en) Vehicle having underside reflector
KR20170125285A (ko) 도로 표지 장치
JP3872582B2 (ja) 交通標識器
CN210104614U (zh) 一种主动式隧道轮廓标及隧道交通诱导系统
RU116422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индикации дви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JP3453725B2 (ja) 出会い頭事故防止装置
KR100806861B1 (ko) 교통안내 경계석
CN218508271U (zh) 一种增加雨雾天气司驾可视距离的诱导装置
KR102528312B1 (ko) 아나모픽 기법을 이용한 안전운전 유도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662709B1 (ko)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JP2536186Y2 (ja) 発光面を有する車止
JP2011242913A (ja) 走行支援装置
CN210502470U (zh) 一种具有报警和测距功能的三角警示牌
KR102173780B1 (ko) 진입 금지 표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