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169Y1 -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169Y1
KR200405169Y1 KR2020050030314U KR20050030314U KR200405169Y1 KR 200405169 Y1 KR200405169 Y1 KR 200405169Y1 KR 2020050030314 U KR2020050030314 U KR 2020050030314U KR 20050030314 U KR20050030314 U KR 20050030314U KR 200405169 Y1 KR200405169 Y1 KR 200405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ens
lens module
driv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호균
Original Assignee
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0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1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1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52Mounting of connectors; Switching; Reinforcing of back panels
    • H05K7/1454Alignment mechanisms; Drawout ca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인쇄회로기판(pcb)의 이미지 센서에 렌즈홀더(lens holder)가 장착된 센서모듈에 대해 접착제가 도포처리된 렌즈모듈(lens module)을 회전시켜 나사결합하는 일련의 작업공정을 반자동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는, 이미지 센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는 센서모듈에 대해 렌즈가 장착된 렌즈모듈을 결합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에 있어서,
렌즈모듈 상면을 진공흡착하는 흡착구가 형성된 회전편과, 회전편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수단과, 회전편이 장착된 테이블을 180도 방향전환 및 승강시키는 제2,3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렌즈모듈 고정수단과,
흡착구에 고정된 렌즈모듈 결합부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수용하는 접착제 용기와, 접착제 용기가 고정된 클램프를 렌즈모듈쪽으로 슬라이딩이송하는 이송수단, 승강수단 및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접착제 도포수단과,
센서모듈이 안착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보조테이블과, 접착제가 도포되고 제2구동수단 구동으로 180도 방향전환된 렌즈모듈이 제1구동수단 구동으로 센서모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센서모듈의 하우징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포지셔너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고정수단과,
렌즈모듈 고정수단, 센서모듈 고정수단 및 접착제 도포수단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휴대폰, 카메라 모듈, 렌즈모듈, 렌즈홀더, 이미지 센서

Description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assembling device of cellular phone camera module}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전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에서 접착제 도포수단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접착제 도포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에서 센서모듈 고정수단의 정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센서모듈 고정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작업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12; 렌즈홀더(lens holder)
14; 렌즈모듈(lens module)
16; 회전편
18; 테이블
20; 진공호스
22; 와이어
24; 무게추
26; 접착제 용기
28; 몸체
30; 기둥
32; 승강편
34; 고정편
36; 마이크로 노브(micro knob)
38; 구동수단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pcb)의 이미지 센서에 렌즈홀더(lens holder)가 장착된 센서모듈에 대해 렌즈가 장착된 렌즈모듈(lens module)을 결합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의 이미지 센서에 렌즈홀더가 장착된 센서모듈의 하우징에 대해 접착제가 도포처리된 렌즈모듈을 회전시켜 나사결합하는 일련의 작업공정을 반자동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핸드폰, PDA 등에 장착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은 디지털 이미지의 저장과 전송기술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와 이에 부수적인 광학기술이 적용되어 실시간으로 그림의 전송 및 이미지 데이터의 피드백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 디지털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카메라 제품군은 복합화, 다기능화, 소형화됨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 모듈 또한 점점 더 소형화,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이다.
또한, 고해상도의 이미지 센서가 제품화되어가는 추세에서, 이에 대응하는 렌즈의 초소형화 및 고정밀화 경향으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렌즈 어셈블리도 소형화되고 있다. 전술한 이미지 센서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로 대별된다.
이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렌즈 어셈블리가 소형화되어 렌즈 또는 렌즈군의 조립성, 이들을 조립시 렌즈가 이탈되지않고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도록 요구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렌즈홀더와 인쇄회로기판을 조립방식은 스크류 체결방식과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접착제 도포방식이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반사광을 입사받는 렌즈(1)가 장착되고 나사부(2)가 외주연에 형성된 렌즈모듈(3)(일예로서, 알루미늄재(Al) 또는 플라스틱재가 사용됨)과, 피사체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5)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4)에 장착되고 나사부(6)가 형성된 하우징(7)이 상면에 형성되는 렌즈홀더(8)를 포함하는 센서모듈(9)으로 이루어지고, 렌즈모듈(3)의 나사부(2)에 본드 등의 접착제를 도포처리한 후 하우징(7)의 나사부(6)와 나사결합시킨다.
종래 기술에 카메라 모듈을 조립함에 있어서, 렌즈모듈(3)에 본드 등의 접착제를 도포처리한 후 하우징(7)에 나사결합하는 작업을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일일이 조립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손가락에 본드 등이 반복적으로 묻어 지문 일부가 훼손되는 문제점과, 작업자 피로도를 가중시키며, 소형부품을 수동으로 조립하는 작업으로 인해 작업능률이 떨어져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므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작업자 개인의 조립경험, 기능에 따라 하우징(7)에 렌즈모듈(3)의 조립위치가 균일하지 못해 후속공정에서 미세조정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의 이미지 센서에 렌즈홀더가 장착된 센서모듈에 대해 렌즈가 장착된 렌즈모듈에 접착제를 도포처리하여 나사결합하는 조립작업을 반자동화하여 대량생산으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센서모듈에 대해 렌즈모듈이 조립되는 위치가 항시균일하므로 후속공정에서 조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작업자 업무를 단순화하여 피로도를 줄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작업자 인원을 대폭 줄여 높은 인건비로 인한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미지 센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는 센서모듈에 대해 렌즈가 장착된 렌즈모듈을 결합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에 있어서,
렌즈모듈 상면을 진공흡착하는 흡착구가 형성된 회전편과, 회전편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수단과, 회전편이 장착된 테이블을 180도 방향전환 및 승강시키는 제2,3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렌즈모듈 고정수단과,
흡착구에 고정된 렌즈모듈 결합부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수용하는 접착제 용기와, 접착제 용기가 고정된 클램프를 렌즈모듈쪽으로 슬라이딩이송하는 이송수단, 승강수단 및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접착제 도포수단과,
센서모듈이 안착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보조테이블과, 접착제가 도포되고 제2구동수단 구동으로 180도 방향전환된 렌즈모듈이 제1구동수단 구동으로 센서모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센서모듈의 하우징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포지셔너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고정수단과,
렌즈모듈 고정수단, 센서모듈 고정수단 및 접착제 도포수단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접착제 도포수단은 클램프에 장착되고, 외부의 압축공기공급원으로 부터 토출되는 공기압을 흡착구에 고정된 렌즈모듈에 분사시켜 렌즈모듈 결합부에 묻은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압 분사구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렌즈모듈 고정수단은 외부의 진공펌프 또는 진공발생기에 연결되고, 흡착구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호스가 회전편 회전시 꼬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편의 흡착구에 결합되는 진공호스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렌즈모듈 고정수단의 제1구동수단으로 스텝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렌즈모듈 고정수단은 제2구동수단 구동으로 테이블이 180도 방향전환후 테이블의 하강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제2구동수단이 내설된 케이싱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카운터밸런서를 더 포함한다. 이때 카운터밸런서는 휴대폰용 카메라에 장착되는 렌즈모듈 및 센서모듈의 사양에 따라 테이블의 하강충격을 감쇠시키도록 카운터밸런서의 중량을 조절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접착제 도포수단은 흡착구에 고정된 렌즈모듈과 접착제 용기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렌즈모듈쪽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몸체에 대해 슬라이더의 미세한 이동을 조정하는 마이크로노브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렌즈모듈 고정수단은 테이블에 대하여 회전편의 X축,Y축방향으로 이동량을 조정하여 포지셔너의 결합공 중심과 일치되도록 흡착구 중심을 보정하는 위치보정구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피사체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10)와, 이미지 센서(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처리하는 다수의 칩소자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P)(pcb)과, 인쇄회로기판(P)에 설치된 렌즈홀더(12)(lens holder)를 포함하는 센서모듈(13)(sensor module)에 대해, 피사체의 반사광을 입사받는 렌즈가 장착된 렌즈모듈(14)(lens module)을 결합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에 적용되며, 이들은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는, 전술한 렌즈모듈(14) 상면을 진공흡착하는 흡착구(15)가 형성된 회전편(16)과, 회전편(16)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수단(17)(스텝모터(step motor)가 사용됨)과, 회전편(16)이 장착된 테이블(18)을 180도 방향전환 및 승강시키는 제2구동수단 및 제3구동수단(41)을 포함하는 렌즈모듈 고정수단(19)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1구동수단(17)으로 흡착구(1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렌즈모듈(14)을 설정된 각도(90도, 180도, 270도, 360도를 말함)별로 정확하게 회전시켜 후속공정에서의 조정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항시 일정한 위치까지 조립되도록 스텝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렌즈모듈 고정수단(19)은 외부의 진공펌프 또는 진공발생기(미도시됨)에 연결되고, 흡착구(15)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호스(20)가 회전편(16) 회전시 꼬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편(16)의 흡착구(15)에 결합되는 진공호스(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1)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렌즈모듈 고정수단(19)은 제2구동수단 구동으로 인해 테이블(18)이 180도 방향전환후, 테이블(18)이 자중에 의해 하강시 테이블(18)의 하강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제2구동수단이 내설된 케이싱(45)에 와이어(22)를 통해 연결되는 카운터밸런서(23)(counter balancer)를 더 포함한다. 이때 카운터밸런서(23)는 휴대폰용 카메라에 장착되는 렌즈모듈(14) 및 센서모듈(13)의 사양에 따라 테이블(18)의 하강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카운터밸런서(23)의 중량을 조절하는 무게추(24)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렌즈모듈 고정수단(19)은 테이블(18)에 대하여 회전편(16)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량을 조정하여 포지셔너(11)(positioner)의 결합공(39) 중심과 일치되도록 흡착구(15)의 중심을 보정하는 위치보정구(25)(일예로서, XY스테이지(stage)가 사용됨)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제3구동수단(41)은 테이블(18)을 180도 방향전환하는 제2구동수단이 내설되고 기판(43)의 가이드(44)를 따라 슬라이딩이동되어 승강되는 케이싱(45)과, 케이싱(45) 상면에 고정된 연결플레이트(46)에 로드부가 고정되고 헤드부가 기판(43)에 고정되며 공기압 공급에 따라 케이싱(45)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테이블(18)을 승강시키는 승강용 실린더(47)(일예로서, 에어 실린더가 사용됨)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흡착구(15)에 고정된 렌즈모듈(14)의 결합부(14a)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수용하는 접착제 용기(26)와, 접착제 용기(26)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클램프(27)를 렌즈모듈(14)쪽으로 슬라이딩이송하는 이송수단, 승강수단 및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접착제 도포수단(31)을 포함한다.
전술한 이송수단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28)와, 몸체(28)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클램프(27)(clamp)가 장착된 슬라이더(29)(slider)를 포함한다.
전술한 승강수단은 봉형상의 기둥(30)과, 기둥(3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편(32)과, 승강편(32)에 고정되고 몸체(28)가 상단에 장착된 연결편(33)을 포함한다.
전술한 회전수단은 슬라이더(29) 상면에 장착된 고정편(34)과, 고정편(34)의 고정핀(34a)에 스윙(swing)가능하게 결합되고 클램프(27)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회전핀(27a)에 의해 클램프(27)가 Y축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35)를 포함한다.
접착제 도포수단(31)은 흡착구(1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렌즈모듈(14)과 접착제 용기(26)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렌즈모듈(14)쪽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몸체(28)에 대해 슬라이더(29)의 미세한 이동을 조정하는 마이크로노브(36)(micro knob)를 더 포함한다.
접착제 도포수단(31)은 클램프(27)에 장착되고, 외부의 압축공기공급원(미도시된 에어콤퓨레셔 등이 사용됨)으로 부터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을 흡착구(15)에 고정된 렌즈모듈(14)의 결합부(14a)에 분사시켜 결합부(14a)에 묻은 먼지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압 분사구(37)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센서모듈(13)이 안착되며 구동수단(38)(에어 실린더가 사용됨) 에 의해 승강되는 보조테이블(42)과, 접착제가 도포되고 제2구동수단 구동으로 180도 방향전환된 렌즈모듈(14)이 제1구동수단(17) 구동으로 인해 센서모듈(13)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센서모듈(13)의 하우징(13a)이 결합되는 결합공(39)이 형성된 포지셔너(11)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고정수단(40)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렌즈모듈 고정수단(19), 센서모듈 고정수단(40) 및 접착제 도포수단(31)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50은 제1구동수단(17)(스텝모터를 말함)에 연결되고 벨트(51)를 통해 회전편(16)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풀리이다.
한편, 전술한 렌즈모듈 고정수단(19), 접착제 도포수단(31), 센서모듈 고정수단(40)의 구동부를 공기압을 공급하는 호스 및 이들 구동부를 제어부(미도시됨)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시키는 것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의 조립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렌즈모듈(14)에 렌즈가 장착된 여부를 확인/점검하여(S100 참조) 흡착구(15)에 렌즈모듈(14)을 안착하되, 외부의 진공펌프(미도시됨)에 연결된 호스를 통하여 흡착구(15)에 진공압이 형성되므로 흡착구(15)에 렌즈모듈(14)을 진공흡착으로 고정한다(S200 참조).
전술한 제1구동수단(17)(일예로서, 스텝모터가 사용됨) 구동으로 인해 흡착구(15)가 고정된 회전편(16)(종동풀리를 말함)이 회전된다. 클램프(27)에 고정된 접착제 용기(26)로 부터 토출되는 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는 렌즈모듈(14)의 결합부(14a)(나사부를 말함)에 분사된다(S300 참조).
이때, 전술한 클램프(27)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접착제 용기(26)의 토출구와 흡착구(15)에 고정된 렌즈모듈(14)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접착제를 렌즈모듈(14)의 결합부(14a)에 정확하게 분사시킬 수 있다. 즉 클램프(27)가 고정된 슬라이더(29)를 몸체(28)에 대한 이동량을 마이크로 노브(36)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함에 따라, 결합부(14a)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흘러내려 센서모듈(13)의 인쇄회로기판(P)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회전편(16)이 제1구동수단(17)으로 사용되는 스텝모터의 기설정된 각도값에 의해 90도, 180도, 270도, 360도 등으로 정확하게 회전됨에 따라, 후속공정에서의 미세조정시 작업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전술한 회전편(16)이 회전되는 경우에도 흡착구(15)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호스(2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흡착구(15)에 고정되는 진공호스(20) 단부가 회전편(16)에 장착된 베어링(2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므로, 회전편(16) 회전시 진공호스(20) 꼬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렌즈모듈(14)의 결합부(14a)에 접착제 도포공정이 완료되면, 전술한 제2구동수단 구동으로 인해 테이블(18)을 180도 방향전환한다(도면상,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180도 회전됨)(S400 참조). 이로 인해 흡착구(15)에 진공흡착된 렌즈모듈(14)은 바닥면을 향하게 된다.
전술한 렌즈홀더(12)가 장착된 센서모듈(13)을 확인/점검한 후, 센서모듈 고정수단(40)을 이루는 보조테이블(42)에 센서모듈(13)을 안착시키는 경우, 구동수단(38)(일예로서 에어 실린더가 사용됨) 구동에 따라 보조테이블(42)을 상승시키되, 렌즈홀더(12)의 하우징(13a)이 포지셔너(11)의 결합공(39)에 결합되는 위치로 상승시킨다(S500 참조).
180도 방향전환된 테이블(18)을 이의 자중 및 카운터웨이트(23)의 자중으로 인해 포지셔너(11)쪽으로 하강시킨다. 이때 센서모듈(13)의 렌즈홀더(12)(암나사부를 말함)에 대해 렌즈모듈(14)의 결합부(14a)(숫나사부를 말함)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공(39)에 상승된 렌즈홀더(12)에 대해 렌즈모듈(14)이 면접촉되도록 테이블(18)이 하강된다.
이때, 전술한 카운터웨이트(23)에 별도의 무게추(24)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사양에 따라 테이블(18)의 하강충격을 감쇠시켜 흡착구(15)에 고정된 렌즈모듈(14)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제1구동수단(17)(일예로서 스텝모터가 사용됨) 구동에 따라 센서모듈(13)의 렌즈홀더(12)(암나사부를 말함)에 렌즈모듈(14)의 결합부(14a)(숫나사부를 말함)가 나사결합된다(S600 참조). 이때 렌즈모듈(14)과 센서모듈(13)이 결합되는 부위의 나사산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 모듈의 조립시 신뢰도를 높일 수 있 다.
즉,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1구동수단(17) 구동으로 인해 회전편(16)이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말함)으로 저속상태에서 1회전된 후, 정방향으로 고속상태에서 3회전을 하게 되므로, 결합부(14a)와 하우징(13a)의 나사부의 상호 나사결합되는 초기위치를 확보한 상태에서 센서모듈(13)의 하우징(13a)에 대해 렌즈모듈(14)의 결합부(14a)가 나사결합되므로, 결합부위의 나사산 망가지는 것을 방지되므로 이들을 정확한 위치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흡착구(15)의 진공상태를 해제시킴에 따라 렌즈모듈(14)이 흡착구(15)로 부터 분리된다. 테이블(18)을 제3구동수단(41)(에어 실린더가 사용됨) 구동으로 인해 포지셔너(11)로 부터 상승시키고, 보조테이블(42)을 구동수단(38) 구동에 따라 초기위치로 하강시킨다(S700 참조).
보조테이블(42)로 부터 센서모듈(13)에 렌즈모듈(14)이 결합된 카메라 모듈을 인출한다(S800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휴대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모듈(14)과 센서모듈(13)을 서로 나사결합시켜 조립하는 경우, 렌즈모듈(14)을 회전편(16)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작업공정과, 렌즈모듈(14)의 결합부(14a)에 인체에 유해한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는 작업공정과, 센서모듈(13)의 하우징(13a)에 렌즈모듈(14)의 결합부(14a)를 나사결합하는 작업공정을 자동화함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이루지는 작업을 단순화하여 작업자 피로도를 줄이며, 카메라 모듈을 정밀하게 조 립할 수 있어 신뢰도를 높이며, 작업능률 향상으로 카메라 모듈의 양산화로 인해 원가비용을 낮추어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을 이루는 센서모듈과 렌즈모듈의 조립작업을 반자동화하여 대량생산으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에 대해 렌즈모듈이 조립되는 위치가 항시 균일하므로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모듈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작업을 기계화하고,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작업자 업무를 단순화하여 피로도를 줄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작업자 인원을 대폭 줄여 인건비로 인한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8)

  1. 이미지 센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는 센서모듈에 대해 렌즈가 장착된 렌즈모듈을 결합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 상면을 진공흡착하는 흡착구가 형성된 회전편과, 상기 회전편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수단과, 상기 회전편이 장착된 테이블을 180도 방향전환 및 승강시키는 제2,3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렌즈모듈 고정수단;
    상기 흡착구에 고정된 렌즈모듈 결합부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수용하는 접착제 용기와, 상기 접착제 용기가 고정된 클램프를 렌즈모듈쪽으로 슬라이딩이송하는 이송수단, 승강수단 및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접착제 도포수단;
    상기 센서모듈이 안착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보조테이블과,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제2구동수단 구동으로 180도 방향전환된 렌즈모듈이 상기 제1구동수단 구동으로 상기 센서모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센서모듈의 하우징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포지셔너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고정수단; 및
    상기 렌즈모듈 고정수단, 센서모듈 고정수단 및 접착제 도포수단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은,
    상기 클램프에 장착되고, 외부의 압축공기공급원으로 부터 토출되는 공기압을 상기 흡착구에 고정된 렌즈모듈에 분사시켜 렌즈모듈 결합부에 묻은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압 분사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 고정수단은,
    외부의 진공펌프 또는 진공발생기에 연결되고 상기 흡착구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호스가 회전편 회전시 꼬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편의 흡착구에 결합되는 진공호스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 고정수단의 제1구동수단으로 스텝모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 고정수단은,
    상기 제2구동수단 구동으로 상기 테이블이 180도 방향전환후, 상기 제3구동수단 구동으로 테이블의 하강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구동수단이 내설된 케이싱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카운터밸런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밸런서는 휴대폰용 카메라에 장착되는 렌즈모듈 및 센서모듈의 사양에 따라 상기 테이블의 하강충격을 감쇠시키도록 상기 카운터밸런서의 중량을 조절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은,
    상기 흡착구에 고정된 렌즈모듈과 접착제 용기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렌즈모듈쪽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의 미세한 이동을 조정하는 마이크로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 고정수단은,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회전편의 X축,Y축방향으로 이동량을 조정하여 상기 포지셔너의 결합공 중심과 일치되도록 상기 흡착구 중심을 보정하는 위치보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KR2020050030314U 2005-10-25 2005-10-25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KR200405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314U KR200405169Y1 (ko) 2005-10-25 2005-10-25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314U KR200405169Y1 (ko) 2005-10-25 2005-10-25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831A Division KR100652815B1 (ko) 2005-10-25 2005-10-25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169Y1 true KR200405169Y1 (ko) 2006-01-10

Family

ID=4175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314U KR200405169Y1 (ko) 2005-10-25 2005-10-25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1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281B1 (ko) 2006-11-27 2007-12-04 이태석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와 하우징의 자동체결기
CN114449148A (zh) * 2022-02-09 2022-05-06 安徽卓呈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生产的镜头组装装置及其工作方法
CN114995026A (zh) * 2017-02-27 2022-09-02 广东弘景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摄像模组精准辅助安装设备
US11997225B2 (en) 2019-06-24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281B1 (ko) 2006-11-27 2007-12-04 이태석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와 하우징의 자동체결기
CN114995026A (zh) * 2017-02-27 2022-09-02 广东弘景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摄像模组精准辅助安装设备
CN114995026B (zh) * 2017-02-27 2024-03-01 广东弘景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摄像模组精准辅助安装设备
US11997225B2 (en) 2019-06-24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CN114449148A (zh) * 2022-02-09 2022-05-06 安徽卓呈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生产的镜头组装装置及其工作方法
CN114449148B (zh) * 2022-02-09 2023-10-03 安徽卓呈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生产的镜头组装装置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815B1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KR200405169Y1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US9016598B2 (en) Nozzle rotation mechanism and application device therewith
KR100782281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와 하우징의 자동체결기
US20120057016A1 (en) Multifunctional working platform for the process of an image sensor module
US20100224216A1 (en) Camera module, fabricating method and cleaning method thereof
KR100717257B1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본딩장치
KR100818450B1 (ko) 렌즈배럴 체결장치
JP5601443B2 (ja) 部品実装機およびその実装ヘッド装置
US201000258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elements
KR200405915Y1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본딩장치
CN207573477U (zh) 一种手机摄像头模组的镜片组装机
JP5004412B2 (ja) レンズ一体型撮像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960449B2 (ja) 車両用灯具のボディ・レンズ間ねじ締結装置
KR200441242Y1 (ko) 수평 및 수직 조절 기능을 갖는 렌즈 조립체의 카메라 렌즈조립장치
CN108141998B (zh) 元件安装机、吸嘴拍摄方法
JP2007299966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4592637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H056912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2013115346A (ja) 基板作業装置
JP2003154301A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2001246583A (ja) 光学部品の位置決め装置
US10753442B2 (en) Dustproofing device for use with linear module
JPH09107198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20090065854A (ko) 카메라 모듈의 자동초점조정장치 및 자동초점조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