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107Y1 -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플러그 후사경 키트 - Google Patents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플러그 후사경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107Y1
KR200405107Y1 KR2020050026643U KR20050026643U KR200405107Y1 KR 200405107 Y1 KR200405107 Y1 KR 200405107Y1 KR 2020050026643 U KR2020050026643 U KR 2020050026643U KR 20050026643 U KR20050026643 U KR 20050026643U KR 200405107 Y1 KR200405107 Y1 KR 200405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using
latch device
rearview mirror
reciproc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민선
Original Assignee
오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민선 filed Critical 오민선
Priority to KR2020050026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1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107Y1/ko
Priority to PCT/KR2006/003629 priority patent/WO200703263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9/0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mirrors for use on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륜차 등의 핸들 바 또는 보조 핸들 바 말단에 래치 장치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일단에 후사경을 연결하고 타단에 강자석을 고정한 플러그를 상기한 래치 장치의 왕복 부재에 자석의 자력으로 연결한 다음에 래치장치 속으로 삽입하여 왕복부재가 고정될 때 래치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형태가 딱 맞아 왕복부재 부착면에 수직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플러그가 강한 자력에 의해서 래치장치에서 빠지지 않게 함으로써 후사경을 핸들바에 장착하고, 상기 삽입된 플러그를 다시 밀어 넣어 래치장치를 해제한 후 탄발 수단에 의해 왕복부재가 원위치하면서 플러그가 래치장치에서 완전히 빠지면 강자석이라도 기울이면 쉽게 부착면에서 떨어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부착면에서 플러그를 기울여서 핸들바로부터 쉽게 후사경을 제거할 수 있는 후사경 키트로서, 후사경 플러그를 핸들바 래치장치에서 제거해도 원위치한 왕복부재 일단이 래치장치 하우징의 입구를 봉함으로써 핸들바 말단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해준다.
사용할 때 외에는 후사경을 제거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가 쓰러질 때 후사경 파손 또는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하지 않은 후사경이 거치적거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후사경, 핸들바, 바앤드, 플러그, 네오디늄 자석, 래치장치

Description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플러그 후사경 키트{Easily attachable and removable handlebar plug mirror kit}
도 1a는 핸들바 말단 속에 삽입, 고정한 래치장치에 후사경의 플러그를 결합
하기 전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서 도시한 플러그 저면과 봉쇄부 외곽에 방사형 걸림돌기를
각각 추가 형성한 사시도
삭제
도 2a는 래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다른 형태의 래치장치 분해사시도
도 3a는 플러그삽입방지기구가 조립된 플러그의 분해사시도
도 3b는 도 3a와 다른 형태의 플러그삽입방지기구를 갖춘
플러그 분체 하나의 사시도
도 4는 조립 실시예1에서 핸들바로부터 래치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조립 실시예2에서 핸들바로부터 래치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핸들바 도시생략)
도 6은 조립 실시예2에 의해 래치장치가 조립된 핸들바의 단면도
도 7은 조립 실시예3에서 핸들바로부터 래치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핸들바 도시생략)
도 8은 조립 실시예4에서 핸들바로부터 조립틀과 래치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도 9는 조립 실시예5에서 핸들바로부터 래치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도 10은 래치장치가 걸림상태일 때 래치장치를 포함한 하우징의 단면도
도 11은 해제된 래치장치에서 플러그를 떼어낼 때의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 후사경 위로 플러그를 접어둔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도 3a의 플러그삽입방지기구 작동 전 플러그의 단면도
도 14는 도 3b의 플러그삽입방지기구 작동 전 플러그의 단면도
도 15는 도 3a의 플러그삽입방지기구 작동 후 플러그의 단면도
도 16은 도 3b의 플러그삽입방지기구 작동 후 플러그의 단면도
도 17은 핸들바에 장착한 후사경을 접은 상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핸들바 2:후사경
3:플러그 4:래치장치
5: 래치장치 하우징 13:연결공
14:봉쇄부 18:부착면
21: 네오디뮴 영구자석
본 고안은 자전거, 모터사이클, 킥보드(스쿠터), 보드러너(Board Runner) 등의 이륜차 또는 이와 유사한 삼륜차의 핸들바 및 보조 핸들바의 말단 파이프 속에 일단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플러그 후사경에 관한 것으로, 핸들바에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한 플러그 후사경이다.

자전거 등의 이륜차 또는 삼륜차는 쓰러지기가 쉬우므로 부착한 후사경이 파손될 위험이 많다. 잘 깨지지 않고 긁히지 않도록 내구성을 높인 후사경이라도 완벽할 수는 없다. 또한 접이식 자전거를 접어서 보관해 둘 때 쉽게 떼어낼 수 없는 후사경이 설치되어 있다면 거치적거릴 수 있다.

이에 관하여 제안된 DE10217177 A1은 보조 핸들바에 힌지결합한 후사경을 보조 핸들바 몸체에 접어 넣도록 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있으나, 후사경의 크기가 소형이어서 만족스럽지 못하였고 핸들바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
또 공지의 핸들 말단 속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플러그 후사경은 공구를 이용해야 하므로 수시로 탈부착하기가 어렵고, 플러그 후사경을 핸들바로부터 뺀 후에는 핸들바 속이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핸들바에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후사경을 힌지결합한 플러그 일부를 바 말단에 밀어넣는 동작 하나로 공구 없이 후사경 플러그를 핸들바 또는 보조핸들바와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후사경 제거 후에는 핸들바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이 제안하는 플러그 후사경은 핸들바 또는 보조 핸들바 내부에 고정되며 공지의 기작으로 작동하는 누름식 래치장치와, 일단에 후사경을 힌지결합하고 타단 저면에는 희토류 네오디늄 강자석을 고정하여 그 자력으로 상기 래치장치 왕복부재에 연결해서 래치장치 하우징 내부로 일부를 삽입하는 플러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식 래치장치는 왕복부재가 눌려 하우징 속으로 밀려 들어가면 복귀하지 못하도록 걸어주고, 걸려있는 왕복부재를 다시 눌러주면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왕복부재가 밀려들어갈 때 압축되었던 탄발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왕복부재가 원위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왕복부재를 래치장치 내부에서 걸어 매고 푸는데 여러가지 공지된 방법이 있다. 본 고안은 핸들에 고정한 래치장치의 왕복부재와 후사경 플러그를 연결한다는 것이 중심 내용이고, 래치장치의 작동 기작이 달라도 동일한 효과를 가지므로 한가지 작동 기작의 것만을 예로 들어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후사경(2)은 원통형 플러그(3) 일단에 힌지결합된 형태이며, 상기 플러그 타단 저면에는 상단을 자른 원뿔형의 연결공(13)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공(13) 바닥에 희토류 네오디늄 영구자석(21)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본 고안에 쓰이는 래치장치는 왕복부재 일단에 설치한 캠이 왕복부재의 움직임에 따라서 작동홈에서 회동하여 작동홈의 좁은 목을 가로질러 왕복부재를 걸거나, 캠이 다시 원래의 상태로 회동하여 상기 좁은 목을 통과하여 원위치하면서 왕복부재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공지의 기작을 가지는 것으로서, 오디오장 등 소형 가구의 문에 많이 이용되는 형태이다.

본 고안에서는 래치장치(4)의 하우징(5)이 컵 모양으로서 핸들 말단에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래치장치 왕복부재(20) 일단에는 상기 하우징(5) 입구(6)의 내주면을 밀착하여 막는 봉쇄부(14)를 나사(50)로 고정한다. 하우징(5) 밖으로 노출되는 봉쇄부(14)의 면에는 상단을 자른 원뿔형의 돌출부(17)를 중앙에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17) 전면은 플러그(3) 자석(21)의 부착면(18)으로서 평평하게 형성한다.
왕복부재(20)가 스위치 역할을 하므로 눌린 뒤 걸림 상태에서도 하우징 밖에 여전히 왕복부재 일부가 돌출하여 남아 있는 통상의 누름식 래치장치와 달리 본 고안의 래치장치(4)는 왕복부재(20)가 하우징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 걸리면서 하우징(5)의 내부 전방에 일정한 깊이의 공간을 만들어 플러그(3)를 삽입할 수 있게 한다.
도 1b 와 같이 플러그(3)의 저면 외곽면과 부착면(18) 외곽에는 서로 교합할 수 있는 방사형의 걸림돌기(19)(22)를 구비할 수도 있다.
왕복부재(20)의 봉쇄부(14)가 결합되는 쪽 반대단 일면에는 도 2a와 같이 양단부에 V형 요홈(34)을 갖는 캠(33)의 하단축을 회전 가능하게 끼운다. 두 개의 반원통형 분체로 나누어져 일분체의 합체면에 형성한 결합돌부(30)를 대응하는 타분체의 합체면 결합공(31)에 끼워넣어 조립되고, 하우징(5) 내벽면에 밀착하여 삽입되는 지지부재(23)는 하우징(5) 바닥에서 일 분체가 바닥을 관통해 들어온 나사(47a)로 구속됨으로써 하우징(5)에서 빠지지 않게 되며, 타 분체 저면의 돌출부(32)가 대응하는 하우징(5) 바닥 구멍(12)에 끼워져 나사(47a)와 함께 하우징 내부에서 지지부재(23)의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분체들의 합체면 중앙 길이방향 홈(24a)(24b)이 합쳐져서 이루어지는 지지공(25)에는 상기 왕복부재(20)의 봉쇄부(14) 반대단을 삽입한다.
삭제
중앙의 홈 (24b) 바닥면에는 상기 왕복부재(20)의 캠(33)이 이동하기 위한 작동홈(26)이 구비되는데, 상기 작동홈(26)은 일단부가 상기 캠(33)이 폭이 좁은 쪽으로 통과할 만한 폭을 가지며, 타단부는 경사면(27)과 직각 모퉁이(28) 이후부터 넓어지는 형태로 말단에는 일측으로 치우쳐서 대략 삼각형의 경사돌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왕복부재(20)는 몸체를 휘감는 탄발수단(35)을 구비하고, 래치장치의 해제상태에서 왕복부재(20)의 봉쇄부(14)가 지지부재(23)로부터 반발하는 탄발수단(35)의 힘으로 하우징(5)의 입구(6)를 항상 봉쇄한다.
도 2b에 도시한 래치장치(4)는 도 2a와 같은 방식의 래치장치이지만, 도 2a의 지지부재(23)를 구성하는 일부가 하우징(5)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하우징(5)의 후방 일부의 반을 잘라낸 절개부(9)를 형성하고, 그 절개부(9)의 안쪽 벽면을 두껍게하고 중심에 축방향으로 홈(24a)을 형성한다. 반원통형으로 상기 절개부(9)에 딱 맞는 덮개(10)는 절개부(9)에 합체하는 평면 중심에 상기 절개부(9)의 홈(24a)과 합하여 지지공(25)을 이루고 바닥면에 작동홈(26)을 포함하는 홈(24b)을 형성한다. 덮개(10)는 홈(24b) 외곽에 구비한 결합돌부(30)를 상기 절개부(9) 홈(24a)의 외곽 결합공(31)에 끼워 넣어 하우징(5)에 결합한다.
도 3a, 도 3b에 도시한 것처럼 플러그(3)는 두 개의 반원통형 분체를 합체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분체들의 합체면 일단에 동일한 홈(53)을 각각 형성하여 한 홈에 플러그삽입방지기구를 설치한다. 플러그삽입방지기구는 두 실시예를 가지고, 두 개의 동일한 멈치(62)(62a), 탄발수단(60)(60a), 누름부(56)로 구성되는데, 멈치들의 일단이 홈(53) 좌우에 각각 형성한 개구부(54)를 통해서 플러그(3) 밖으로 돌출하게 된다. 도 3a에 도시한 멈치(62)는 분체 하나의 홈 내부 좌우에 나란히 구비한 두 개의 회전축(58)에 축설하여 회동하는 형태이며, 도 3b에 도시한 것(62a)은 홈(53)과 자석(21)이 위치한 공간을 분리하는 벽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형태이다. 도 3a에 도시한 탄발수단(60)은 W모양으로 중심부가 홈(53) 상에 형성한 돌부(59)에 끼워져 고정되고, 그 양날개가 두 멈치(62) 각각의 일측면을 탄지한다. 도 3b에 도시한 탄발수단(60a)은 V모양으로 역시 중심부가 홈 상에 형성한 돌부(59)에 끼워져 고정되고, 그 양날개가 두 멈치(62a)의 각각의 하단부를 탄지한다. 누름부(56)는 "ㄷ" 모양으로 홈(53)을 따라서 안쪽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고, 양쪽 선단부(61)가 각각의 멈치(62) 측면에 닿게 된다. 플러그의 분체들은 합체 후 나사(57)로 서로 구속된다. 누름부(56)는 후단부 일부가 플러그(3) 후단부 밖으로 나와 있게 되며, 상기 누름부를 누를 때 방해되지 않도록 플러그(3)와 후사경(2)의 힌지결합부(55)를 플러그(3)의 몸 측면 밖으로 벗어나 있도록 형성한다.
본 고안에서 래치장치는 핸들바(1) 말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공지된 것을 포함해서 여러가지 고정방법이 쓰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4에 도시한 본 고안 제 1 실시예는 공지의 방법으로서, 래치장치(4)의 하우징(5) 저면 끼움축(7)에 연질이며 탄력이 있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 등으로 된 관형태의 고정부재(36)를 끼우고, 끼움축(7)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와셔(41)와 끼움축(7) 말단 나사공에 나합하는 나사(42)로 구속한다. 상기 고정부재(36)는 핸들바(1) 내부 벽면에 밀착하여 벽면과의 마찰력으로 래치장치가 핸들바(1) 내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한 제 2 실시예는 역시 공지의 방법으로서, 래치장치의 하우징(5) 저면 중심을 관통해 나간 볼트(43)에 끼워 너트(44)로 빠지지 않게 한 고정부재(37)를 사용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44) 일면과 하우징(5) 저면에 각각 형성한 돌부(45),(16)가 고정부재(37) 양면의 홈(39)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고정부재(37)와 너트(44)는 볼트(43)와 함께 회전하지 못하므로 하우징(5)을 핸들바(1)에 밀어 넣고 볼트(43)를 조이면 너트(44)가 고정부재(37)를 축방향으로 압축하여 방사형으로 확장시킨다. 확장된 고정부재(37)는 핸들바(1) 내벽면에 밀착하여 하우징(5)이 핸들바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장치(4)의 부속들이 래치장치 하우징(5) 고정 후 조립된다. 그래서 래치장치(4)의 지지부재(23)를 하우징(5)에 고정하는 나사(47b)가 제 1 실시예와 달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3)를 먼저 통하여 하우징(5) 저면에 연결된다. 봉쇄부(14)는 왕복부재(20)와 지지부재(23)로 된 하위 조립체를 하우징(5)에 구속하고, 탄발수단(35)을 왕복부재 주위로 삽입한 다음, 왕복부재(20) 선단에 나사(50)로 가장 나중에 연결 구속된다. 지지부재(23) 저면의 돌출부(32)는 대응하는 하우징(5) 바닥 구멍(12)에 끼워져 나사(47b)와 함께 지지부재(23)의 회전을 방지한다.
도 7에 도시한 제 3 실시예는 대략 제 2 실시예와 비슷한 구조의 공지 방법으로서, 탄력성 있는 연질의 관형태인 고정부재(37) 대신 원판 일면에 바깥쪽으로 벌어진 탄성판(40)을 다수개 원형 배열한 고정부재(38)를 사용하여 래치장치(4)의 하우징(5)을 핸들바(1) 속에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재(38)는 볼트(43)를 돌리면 너트(44)가 볼트(43) 위에서 조여들어와 탄성판들(40)을 핸들바(1) 벽면으로 더욱 벌어지게 하여 강하게 밀착시킴으로서 하우징을 핸들바 내부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고정부재(38)는 하우징(5) 저면 돌부(16)가 끼워지는 홈(39)을 형성하여 볼트(43)를 조일 때 회전하지 못한다. 너트(44)도 마찬가지로 외주에 돌부(46)가 다수개 형성되어 탄성판(40) 사이에 걸림으로써 볼트(43)를 조일 때 회전하지 못한다.
도 8에서 보이는 제 4 실시예에서는 제 2,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립틀(48)의 바닥을 관통해 나간 볼트(43)와 볼트 말단에 나합한 너트(44)로 고정부재(37)를 확장시켜서 조립틀을 핸들바(1)속에서 고정하고, 이 조립틀(48)속에 래치장치(4)를 삽입한다. 조립틀(48)은 내부 형태가 래치장치 하우징(5)의 외곽형태에 딱 맞게 형성되며 외부는 핸들바(1)에 기밀하게 삽입할 수 있는 형태이다. 조립틀(48)과 래치장치 하우징(5) 일단의 두 플랜지(49)(8)는 나사(15)로 결합된다. 이 실시예는 래치장치의 모든 부속이 조립되어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설치하기가 제 2,3 실시예보다 용이하다. 그러나 부착면(18)의 면적이 약간 좁아지므로 자석(21)과 봉쇄부(14)의 두께를 전 조립 실시예보다 좀 더 두껍게 하여야 한다.
도 9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에서는 래치장치(4) 하우징(5) 외주면과 핸들바(1) 내주면에 각각 나선돌부(51)와 나선홈부(52)를 형성하여 래치장치(2)를 핸들바(1)에 나합하여 래치장치(4)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후사경 플러그(3)를 핸들바(1)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 10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후사경(2)을 이륜차 등의 핸들에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플러그(3)의 네오디뮴 자석(21)을 봉쇄부(14)의 부착면(18)에 붙여서 래치장치(4)의 하우징(5)속으로 플러그를 밀어넣으면 된다. 플러그 저면의 연결공(13)과 봉쇄부의 돌출부(17)는 모두 절두 원뿔형으로서 결합하기가 쉽고, 연결공(13) 내주면에 봉쇄부(14)의 외주면이 밀착할 때 플러그(3)가 봉쇄부(14)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므로 래치장치(4) 하우징의 입구(6)에 플러그(3)의 외주를 맞추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 하우징(5) 속으로 정확히 삽입될 수 있다.
왕복부재(20)가 일정깊이만큼 하우징(5) 내부로 밀려 들어가면 캠(33)이 작동홈(26)을 따라서 이동하다 경사돌부(29)에 V형요홈(34)쪽 삼각형 선단 하나가 닿아 회전하고, 밀고 있던 플러그(3)를 놓아주면 왕복부재(20)에 의해 압축된 탄발수단(35)의 반발력에 의해서 왕복부재(20)가 다시 밀려나가면서 직각모퉁이(28)에 캠(33)의 V자요홈(34)이 걸려 다시 회전하고 작동홈(26)을 가로지르는 모양으로 경사면(27)에 의해 좁아지는 목에 걸리게 되어 왕복부재(20)가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3)도 하우징(5)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고안의 자석(21)은 네오디늄 자석을 사용하는데, 이 자석은 작고 두께가 얇더라도 매우 강한 부착력을 발휘하므로 부착면(18)에 수직으로 떼어내기가 굉장히 힘들다. 본 고안 플러그(3)의 직경은 래치장치 하우징(5)의 내경과 거의 같아서 플러그는 사실상 하우징 내부에서 자력에 의해 강하게 통제되는 부착면(18)에 수직 방향 운동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륜차 등의 외부에서 차체에 상당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플러그(3)는 래치장치(4) 봉쇄부(14)의 부착면(18)에서 떨어지지 않고 계속 붙어 있게 된다.
후사경(2)은 설치 후 사용자가 보기 편한 방향으로 맞추어져야 하는데, 도 1a, 도 1b에 도시한 바대로 본 고안은 힌지를 이용해서 후사경(2)을 양쪽으로 구부릴 수 있으며, 도 10에서처럼 걸림 상태에 있는 래치장치(2)에 부착한 상태에서 플러그(3)를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후사경(2) 면을 원하는 위치에 둘 수 있다. 부착면에 플러그의 자석이 강하게 붙어 있는데다가 동일한 절두 원뿔형인 플러그 연결공(13)과 봉쇄부 돌출부(17)가 밀착하여 있기 때문에 플러그는 일정 정도 이상으로 뻑뻑하게 회동한다. 연결공(13)의 내주면과 돌출부(17)의 외주면이 기밀하게 밀착하지 않도록 하고, 대신에 도 1b와 같이 돌출부 외곽과 플러그(3) 저면에 걸림돌기(19)(22)을 구비하여 회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부착면(18)에 붙어 있는 플러그(3)를 회전시키면 플러그(3)의 걸림돌기(22)들이 봉쇄부(14)의 부착면(18) 외곽 걸림돌기(19)들과 한번 엇갈렸다 다시 교합하는데, 이 과정은 플러그(3)를 부착면(18)에서 수직으로 떼는 것보다는 쉽지만 상기 방사형 걸림돌기가 없을 경우 플러그(3)를 부착면(18)에서 회전하는 것보다는 어려우므로 일정정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플러그 회동을 어렵게 하고 한번 정해진 후사경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 후사경(2)을 핸들바의 래치장치(4)로부터 사용자가 떼내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사용하지 않을 때 후사경(2)을 핸들에서 떼내기 위해서는 래치장치(4)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플러그(3)가 부착되어 있는 왕복부재(20)를 원위치시켜야 한다. 래치장치는 플러그(3)를 하우징 안쪽으로 밀어주었다가 놓으면 해제된다. 즉, 플러그(3)로 왕복부재(20)를 하우징(5) 안쪽으로 좀더 밀었다가 놓으면 캠(33)이 도 10에 도시한 모양으로 이동하여 캠(33)의 V자 요홈(34)이 없는 면이 경사돌부(29)에 부딪혀 회동하고 탄발수단(35)의 반발력으로 왕복부재(20)가 밀려 나올 때 처음에 경사돌부(29)에 닿았던 면의 반대면이 직각모퉁이(28)에 다시 부딪혀서 폭이 좁은 작동홈(26) 상단으로 들어갈 수 있는 형태가 되므로 캠(33)과 왕복부재(20)가 탄발수단(35)의 탄발력으로 원위치하게 된다.
래치장치가 해제되고 플러그(3)가 탄발수단(35)에 의해서 하우징(5) 내부에서 완전히 밀려나 벗어나게 되면,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플러그(3)를 부착면(18)에서 기울일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3)의 자석(21)을 부착면(18)에서 쉽게 떼어낼 수가 있다. 네오디늄 자석은 부착면(18)에서 수직으로 떼어내기는 굉장히 힘들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이면 매우 쉽게 부착면(18)에서 떨어진다.
후사경(2)을 떼어낸 래치장치(4) 하우징의 입구(6)는 탄발수단(35)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되어진 왕복부재(20)의 봉쇄부(14)에 의해서 봉쇄된다.
떼어낸 후사경(2)은 도 12과 같이 접어서 보관한다.
후사경이 핸들바에 연결된 상태에서 플러그(3)가 우발적인 힘을 받아 래치장치가 해제되어 플러그가 밀려나올 수가 있다. 밀려나온 플러그는 부착면(18)에 대해 기울이기 전에는 강한 자석(21)에 의해서 쉽게 핸들바(1)로부터 낙하하지는 않지만, 플러그를 다시 래치장치(4) 하우징(5)으로 밀어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플러그삽입방지기구로 플러그(3)가 우발적인 외력이 가해질 때 아예 눌리지 않도록 하여 래치장치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도 13,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삽입방지기구 멈치(62)(62a)의 말단 일부가 탄발수단(60)(60a)에 밀려서 개구부(54)를 통해 플러그(3) 몸 밖으로 나와 있으므로, 플러그(3)가 밀리기 시작할 때 상기 멈치들(62)(62a)이 래치장치 하우징(5)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래치장치는 해제되지 않는다. 도 13에 도시한 형태의 플러그삽입방지기구에서는 플러그 밖으로 돌출한 도 13의 멈치(62) 일단이 래치장치의 하우징(5)에 닿기까지 플러그(3)가 조금 삽입되지만 래치장치를 해제시킬 만큼은 아니다.
삭제

래치장치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플러그를 래치장치 하우징(5)속으로 밀어 넣어야 하므로 먼저 상기 멈치(62)(62a)를 플러그 속으로 들여야 한다. 누름부(56)를 살짝 누르면 누름부(56)의 선단이 도 13에 도시한 플러그삽입방지기구에서는 도 15와 같이 멈치(62)의 측면을 밀어 회동시켜 멈치(62)의 플러그 바깥단이 플러그 내부로 들어오도록 하고, 도 14에 도시한 플러그삽입방지장치에서는 선단이 멈치(62a) 측면의 빗면을 밀어서 도 16에서처럼 멈치(62a)가 플러그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오도록 한다.
플러그삽입방지장치의 탄발수단(60)(60a)은 래치장치(4)의 탄발수단(35)보다 탄성이 약하기 때문에 누름부(56)을 누르면 플러그(3)는 밀리지 않고 멈치(62)(62a)만 플러그 속으로 들어간다. 이 후에 누름부(56)가 있는 플러그 후단면을 누름부(56)과 함께 계속해서 밀면 멈치(62)(62a) 전체를 플러그 내부에 유지하면서 플러그(3)가 래치장치 하우징(5) 속으로 들어가고 래치장치가 해제된다.
후사경이 펼쳐져 있을 때는 후사경이 누름부(56)보다 외곽에 있기 때문에 누름부에 우발적인 외력이 작용하기 어렵고, 도 17과 같이 후사경을 접었을 때도 마찬가지이므로 후사경 플러그(3)와 핸들바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삭제
삭제
핸들바 말단에 고정한 래치장치 하우징에 플러그를 단순히 밀어 넣는 간단한하나의 동작만으로 후사경을 핸들바에 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후사경을 떼었을 때 후사경을 집어 넣었던 래치장치의 하우징 입구가 봉쇄되므로 핸들바 말단이 미관상으로도 깨끗하고, 통상의 플러그 후사경을 핸들바에서 제거했을 때와 달리 핸들바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사경을 플러그에 대해 접어서 더 작은 크기로 만들 수 있으므로 휴대하기가 더욱 편한 후사경 플러그 키트를 제공하고, 접이식 자전거 등에서는 자전거를 접을 때 핸들바에서 후사경이 거치적거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왕복부재(20)가 한 번 눌려지면 그 일단이 하우징(5) 속에서 걸림으로써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고, 다시 한번 눌려지면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탄발수단(35)에 의해서 원위치하게 되는 공지의 누름식 래치장치에 있어서, 왕복부재(20) 일단에 하우징(5)의 입구를 밀접하게 막도록 형성한 봉쇄부(14)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자석(21)을 붙일 수 있는 평평한 부착면(18)을 전면에 구비한 절두 원뿔형 돌출부(17)를 래치장치 하우징 밖으로 노출되는 봉쇄부(14) 일면 중심에 형성하고, 하우징을 핸들바(1) 말단에 기밀하게 삽입하여 고정하고, 눌려진 왕복부재(20)가 하우징(5) 속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걸리면서 하우징 내부 전방에 후술하는 플러그의 일단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래치장치와;
    일단에 힌지 결합한 후사경(2)을 구비하고, 타단 저면 중심에 절두 원뿔형 연결공(13)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공 바닥에 영구자석(21)을 삽입 고정한 것으로서, 상기 자석을 상기 왕복부재(20)의 봉쇄부 부착면(18)에 부착하여 왕복부재와 함께 하우징 내부로 일정깊이로 삽입되되,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왕복부재 부착면에 대해 수직 운동만 가능한 직경과 모양을 가지는 플러그(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후사경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부 외곽의 봉쇄부(14) 면과 플러그(3) 저면 외곽에 서로 교합할 수 있는 방사형 걸림돌기(19)(2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후사경 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래치장치(4) 하우징(5)의 외곽 형태에 딱 맞게 형성된 조립틀(48)을 핸들 말단에 기밀하게 삽입하여 고정하고, 모든 부속이 조립된 래치장치(4)를 조립틀(48)에 삽입하고 하우징과 조립틀의 플랜지(8)(49)를 나사(15)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후사경 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반원통형 분체 둘을 합체하여 이루어지며, 두 분체 각각의 합체면 중심에 홈(53)을 형성하고, 상기 홈 양측에 외부로 통하는 개구부(54)를 구비하고, 후사경을 연결하는 힌지결합부(55)를 몸체 측면 밖으로 벗어나는 위치에 포함하는 플러그(3); 상기 분체 중 하나의 홈(53)에서 제한된 움직임을 갖도록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개구부(54)를 통하여 플러그(3) 안과 밖으로 출몰할 수 있는 두 개의 멈치(62)(62a); "ㄷ" 모양으로 홈의 밖으로 일부 돌출한 후단부를 누르면 홈(53)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양쪽 선단부(61)가 두 멈치(62)(62a)의 측면에 작용하여 플러그 밖으로 돌출한 멈치 부분을 플러그 속으로 들이는 누름부(56); 멈치(62)의 일단이 플러그 밖으로 돌출하도록 탄지하는 탄발수단(60)(60a)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후사경 키트.
KR2020050026643U 2005-09-15 2005-09-15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플러그 후사경 키트 KR200405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643U KR200405107Y1 (ko) 2005-09-15 2005-09-15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플러그 후사경 키트
PCT/KR2006/003629 WO2007032636A1 (en) 2005-09-15 2006-09-13 Bicycle rearview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643U KR200405107Y1 (ko) 2005-09-15 2005-09-15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플러그 후사경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107Y1 true KR200405107Y1 (ko) 2006-01-10

Family

ID=3786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643U KR200405107Y1 (ko) 2005-09-15 2005-09-15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플러그 후사경 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5107Y1 (ko)
WO (1) WO20070326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03Y1 (ko) 2010-04-14 2012-03-15 심종원 자전거용 백밀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D20100353A1 (it) * 2010-11-23 2012-05-24 Federico Kuschlan Specchietto retrovisore per veicoli muniti di manubrio e manopola applicabile al manubrio di detti veicoli munita di specchietto retrovisore
US8919951B2 (en) * 2012-08-09 2014-12-30 Spello Holdings, Llc Cycling safety glasses with rearview mirror
GB201412248D0 (en) * 2014-07-09 2014-08-20 Amaduzzi Luca And Stilli Agostino And Indive Ltd Magnetically mounted bicycle direction indicators
CN106809319B (zh) * 2016-12-31 2019-01-22 张玉莲 一种摩托车后视镜
CN109308755B (zh) * 2018-07-26 2021-02-26 杭州懒陈鑫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锁车系统
US11124120B2 (en) 2018-08-09 2021-09-21 William J Boff Quick release mount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681A (en) * 1986-03-03 1987-12-29 Johnson William M Bicycle reflector for handlebar attachment
JP3404439B2 (ja) * 1995-02-14 2003-05-06 株式会社キャットアイ 取付装置
EP0765798A3 (fr) * 1995-09-28 1998-05-20 Carlo Dondo Rétroviseur réglable pour vélo de course et tous terrains
IT1298247B1 (it) * 1998-02-13 1999-12-20 Dogaiar S A S Di Sante Gaiardo Specchietto retrovisore per bici
JP2001010575A (ja) * 1999-06-25 2001-01-16 Infuomu:Kk 自転車の後方確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03Y1 (ko) 2010-04-14 2012-03-15 심종원 자전거용 백밀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32636A1 (en)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107Y1 (ko)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플러그 후사경 키트
JP3628945B2 (ja) サンバイザーホルダー
EP0088699B1 (fr) Porte-clefs du type à clef escamotable dans un boitier
US7249475B2 (en) Padlock
TWI398572B (zh) 用於車輛鎖住裝置之保護裝置以及具有該保護裝置之車輛鎖住機構與鞍形車輛
US7168772B1 (en) Engaging device of a handle for a modularized casing
US3994043A (en) Door bumper
US5832762A (en) U-lock keyway protector
US6302539B1 (en) Eyeglass frame
JP4856434B2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4530589B2 (ja) 車両用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2009121228A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H11230426A (ja) 貫通スリーブ
KR200417374Y1 (ko)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후사경 키트
JP4260699B2 (ja) オイルタンク・キャップ
JP3346706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939378B2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EP1637676A2 (fr) Poignée de portière et procédé pour la monter
FR2759869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cephalique, notamment casque integral de moto
JP4378002B2 (ja) シリンダー錠保護機構
CN219140452U (zh) 可折叠收纳手柄组件和摄影摄像支架
KR200391260Y1 (ko) 자유롭게 탈착 가능한 플러그 후사경 시스템
CN216517331U (zh) 一种手柄锁
KR960003462B1 (ko) 드라이버용 보조기구
KR20060025062A (ko) 글로브박스의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