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517Y1 - 철근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517Y1
KR200404517Y1 KR20050028989U KR20050028989U KR200404517Y1 KR 200404517 Y1 KR200404517 Y1 KR 200404517Y1 KR 20050028989 U KR20050028989 U KR 20050028989U KR 20050028989 U KR20050028989 U KR 20050028989U KR 200404517 Y1 KR200404517 Y1 KR 200404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inforcing bars
covers
reb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28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혁
최원중
Original Assignee
(주)윈윈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윈윈개발 filed Critical (주)윈윈개발
Priority to KR20050028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5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5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시공시에 철근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 끝단에 걸림부를 마련하고, 상기 걸림부가 마련된 철근 끝단에 각각 연결부재를 유동 가능하게 결합 구성함으로써, 철근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하고, 아울러 종래 철근의 끝단에 나사산을 가공하는데 따른 제작상의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근 연결 장치{A steel reinforcing linking device}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시공시에 철근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되는 철근을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Concrete)의 내부에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철근을 매립시킨 것으로, 시공의 용이성과 높은 내구성을 갖는 등의 장점에 따라 각종 건설 및 토목공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철근은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긴 봉상으로 제작되는 바, 그 제작 및 운반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일정길이 단위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와같이 일정 길이로 제작된 철근을 교각이나 고층 건물 등의 대형 구조물에 사용할 경우에는 다수의 철근들을 수평 또는 수직 등의 방향으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는 철근들을 상호 일체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철근 연결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연결할 두 철근의 대향 단부를 적절히 겹친 뒤 철사 등의 금속 와이어로 묶어주는 방법과, 연결할 두 철근의 대향 단부를 용접으로 상호 접합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금속 와이어 의한 접속 방법은 작업성이 나빠 공기 지연을 유발할뿐만 아니라 특히 연결부의 기계적 강도가 철근의 강도에 비해 크게 취약하여 쉽게 분리되는 등 부실 공사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고, 용접에 의한 결속 방법은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용접에 의한 열변형이 발생하여 철근의 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이에따라 최근에는 두 철근을 기구적으로 연결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장치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이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외측 끝단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로 내측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캡을 제작하여, 상기 캡을 통해 철근을 연결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철근 연결 장치는 철근에 형성된 나사산과 캡(30)에 형성된 나사산과의 상호 공극차에 의하여 장기간 사용할 경우 철근과 캡이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초기 결합시에 철근과 캡에 각도를 인가하기가 어려워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별도의 공극 해결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였지만, 이 경우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근 연결 장치는 철근의 끝단부에 나사산을 가공할 때 나사산의 가공이 불량할 경우 캡과의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관계로 정밀 가공이 필요하였으며 이러한 정밀 가공시에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 끝단에 걸림부를 마련하고, 상기 걸림부가 마련된 철근 끝단에 각각 연결부재를 유동 가능하게 결합 구성함으로써, 철근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하고, 아울러 종래 철근의 끝단에 나사산을 가공하는데 따른 제작상의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 철근 연결 장치는,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 끝단부에 각각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철근 끝단부에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유동이 가능한 연결부재를 각각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걸림부는, 단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걸림부는, 다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걸림부는, 원형 또는 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선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는,
하나의 철근 끝단부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 및, 또 다른 하나의 철근 끝단부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부는,
내측부위의 일단에 걸림부로 걸림되는 제 1 걸림턱이 마련되고, 외측부위의 타단에 제 1 나사산이 마련되는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2 연결부는,
내측부위의 타단에 걸림부로 걸림되는 제 2 걸림턱이 마련되고, 내측부위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 2 나사산이 마련된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 끝단부에 각각 다단의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단의 걸림부가 형성된 2개의 철근 외곽 둘레면에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측 철근의 각도 조절 범위를 제공하는 덮개형 연결부재를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는,
다단의 단차부가 마련된 반원형의 주름관 형태를 가진 제 1,2 덮개로 구성하고,
상기 제 1,2 덮개의 일단은 경첩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 1,2 덮개의 타단에는 각각 제 1,2 덮개에 의해 2개의 철근 외곽을 덮을 때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제 1,2 압착플랜지를 다단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걸림부는, 원형 또는 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선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2 덮개는, 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2 압착플랜지에는,
체결구멍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멍으로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조임부재가 결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2 덮개는,
일단에 각각 제 3 나사산이 형성된 경사면을 마련하고,
상기의 경사면에는 제 1,2 덮개를 압착시키는 조임 캡이 결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철근 연결 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철근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철근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 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원형의 구조를 가진 걸림부의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각형의 구조를 가진 걸림부의 구조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걸림부를 다단으로 형성한 구조도 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철근 연결장치는 철근(10)(10'), 걸림부(20), 연결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20)는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10)(10') 끝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구조로, 그 형상은 도 4와 같이 원형이거나, 또는 5와 같이 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선택된다.
여기서, 상기 원형 또는 각형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철근(10)(10')의 끝단부를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가공야금(process metallurgy)하는 것으로, 그 가공야금으로는 압연(壓延)·단조(鍛造)·압출(押出) 등의 성형가공, 열처리가공 또는 가압(加壓)·소결(燒結)의 성형 등이 이용되고, 그 가공온도는 높은 온도에서 행하는 열간(熱間)가공, 낮은 온도에서 행하는 냉간(冷間)가공, 중간 온도에서 행하는 온간(溫間)가공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걸림부(20)는 도 2에서와 같이 단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지만, 도 6에서와 같이 다단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며, 도 6과 같이 걸림부(20)를 다단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제 1,2 연결부(31)(32)의 제 1,2 나사산(31b)(32b)에 대한 길이가 길게 연장되면서, 상기 제 1,2 나사산(31b)(32b)의 체결범위로부터 상기 2개의 철근(10)(10')에 대한 연결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2개의 철근(10)(10')상에 각각 결합되는 제 1,2 연결부(31)(32)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 1,2 연결부(31)(32)는 각각 상기 걸림부(20)에 의해 그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 1 연결부(31)는 내측부위의 일단에 걸림부(20)로 걸림되는 제 1 걸림턱(31a)이 마련되고, 외측부위의 타단에 제 1 나사산(31b)이 마련되는 구조로서, 상기 하나의 철근(10)에 결합되어 그 좌우(또는 상하) 유동이 가능하고, 좌우 유동시 상기 걸림부(20)에 의해 그 이탈은 방지된다.
상기 제 2 연결부(32)는 내측부위의 타단에 걸림부(20)로 걸림되는 제 2 걸림턱(32a)이 마련되고, 내측부위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나사산(31b)과 나사 결합되는 제 2 나사산(32b)이 마련되는 구조로서, 상기 또 다른 하나의 철근(10')에 결합되어 그 좌우(또는 상하) 유동이 가능하고, 좌우 유동시 상기 걸림부(20)에 의해 그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철근 연결장치의 결합순서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끝단부에 각각 원형 또는 각형의 형상을 가진 걸림부(20)가 마련된 2개의 철근(10)(10')을 맞닿도록 한 후, 상기 걸림부(2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연결부재(30)의 제 1,2 연결부(31)(32)를, 상기 2개의 철근(10)(10')이 서로 맞닿은 부분으로 좌우 유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연결부(31)의 타단 외측에 마련된 제 1 나사산(31b)이, 상기 제 2 연결부(32)의 일단 내측으로 끼움되면서, 상기 제 2 연결부(32)의 일단 외측에 마련된 제 2 나사산(32b)과 맞물림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제 1 연결부(31) 또는 제 2 연결부(32)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또는 제 2 연결부(31)(32)의 회전으로부터 제 1,2 나사산(31b)(32b)의 맞물림 깊이가 깊어지고, 이에따라 상기 2개의 철근(10)(10')은 상기 제 1,2 연격부(31)(32)에 의해 그 연결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이는 2개의 철근(10)(10') 외곽에 상측 철근(10)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덮개형 연결부재(40)를 결합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한다.
즉,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는,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10)(10') 끝단부에 각각 원형 또는 각형으로 이루어진 다단의 걸림부(20)를 형성하고, 상기 다단의 걸림부(20)가 형성된 2개의 철근 외곽 둘레면에는 상기 걸림부(2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측 철근의 각도 조절 범위를 제공하는 연결부재(40)를 덮는 구조로 설계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40)는 다단의 단차부(41)가 각각 마련된 반원형의 주름관 형태의 제 1,2 덮개(42)(43)로 구성된 상태에서, 그 일단은 경첩부(44)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타단에는 체결구멍(45)이 마련된 제 1,2 압착플랜지(46)(47)를 다단으로 형성한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2 압착플랜지(46)(47)의 체결구멍(45)으로 조임부재에 포함되는 볼트(51)가 관통된 후 그 볼트(51)에 너트(52)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2 덮개(42)(43)는 단차부(41)와 걸림부(20)의 걸림상태는 물론, 상기 조임부재에 포함되는 볼트(51) 및 너트(52)의 조임작업으로부터 2개의 철근(10)(10') 외곽 둘레면을 압착시키면서, 상기 철근(10)(10')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2 덮개(42)(43)에 의해 2개의 철근(10)(10')이 상호 연결될 때, 상기 상측의 철근(10)은 상기 반원형의 주름관 형태를 가진 제 1,2 덮개(42)(43)에 의해 그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 1,2 덮개(42)(43)는 걸림부(20)가 각형일 경우 이에 대응되는 형상 즉, 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였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로, 이는 2개의 철근(10)(10') 외곽에 상측 철근(10)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제 1,2 덮개(42)(43)를 결합시킬 때, 상기 제 1,2 덮개(42)(43)을 압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는 제 1,2 덮개(42)(43)의 일단에 각각 제 3 나사산(62a)이 가공된 경사면(62)을 마련하고, 상기 경사면(62)의 제 3 나사산(62a)과 대응하는 나사산(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이 내측면에 마련된 조임 캡(61)을 상기 경사면(62)을 따라 회전시켜 조임으로써, 상기 조임 캡(61)에 의해 제 1,2 덮개(42)(43)의 압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 끝단에 걸림부를 마련하고, 상기 걸림부가 마련된 철근 끝단에 각각 연결부재를 유동 가능하게 결합 구성함으로써, 철근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하고, 아울러 종래 철근의 끝단에 나사산을 가공하는데 따른 제작상의 어려움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철근 연결 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철근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철근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원형의 구조를 가진 걸림부의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각형의 구조를 가진 걸림부의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걸림부를 다단으로 형성한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철근 연결장치에 적용되는 덮개형 연결부재의 구조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덮개형 연결부재로 철근을 연결한 상태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로 캡과 덮개형 연결부재로 철근을 연결한 상태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철근 20; 걸림부
30; 연결부재 31,32; 제 1,2 연결부
31a,32a; 제 1,2 걸림턱 31b,32b; 제 1,2 나사산
40; 덮개형 연결부재 41; 단차부
42,43; 제 1,2 덮개 44; 경첩부
45; 체결구멍 46,47; 제 1,2 압착플랜지
51; 볼트 52; 너트
61; 조임 캡 62; 경사면
62a; 제 3 나사산

Claims (6)

  1.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10)(10') 끝단부에 각각 다단의 걸림부(20)를 형성하고,
    상기 다단의 걸림부(20)가 형성된 2개의 철근(10)(10') 외곽 둘레면에는, 상기 걸림부(2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측 철근(10')의 각도 조절 범위를 제공하는 덮개형 연결부재(40)를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다단의 단차부(41)가 마련된 반원형의 주름관 형태를 가진 제 1,2 덮개(42)(43)로 구성하고,
    상기 제 1,2 덮개(42)(43)의 일단은 경첩부(44)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 1,2 덮개(42)(43)의 타단에는 각각 제 1,2 덮개(42)(43)에 의해 2개의 철근(10)(10') 외곽을 덮을 때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제 1,2 압착플랜지(46)(47)를 다단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덮개(42)(43)는, 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덮개(42)(43)는,
    일단에 각각 제 3 나사산(62a)이 형성된 경사면(62)을 마련하고, 상기의 경사면(62)에는 제 1,2 덮개(42)(43)를 압착시키는 조임 캡(61)이 결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압착플랜지(46)(47)에는,
    체결구멍(4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멍(45)으로는 볼트(51)와 너트(52)로 이루어진 조임부재가 결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0)는, 각형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선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KR20050028989U 2005-10-11 2005-10-11 철근 연결 장치 KR200404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8989U KR200404517Y1 (ko) 2005-10-11 2005-10-11 철근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8989U KR200404517Y1 (ko) 2005-10-11 2005-10-11 철근 연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574U Division KR200402504Y1 (ko) 2005-06-17 2005-06-17 철근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517Y1 true KR200404517Y1 (ko) 2005-12-23

Family

ID=39083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28989U KR200404517Y1 (ko) 2005-10-11 2005-10-11 철근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5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7422B1 (en) Combination reinforcing coupler and column alignment device
JP6543383B2 (ja) 杭頭接合構造
EP0776399B1 (en) Metal loadbearing structure having structural connections with no welding or drilling
KR100725584B1 (ko) 철근 연결 장치
JP2011102488A (ja) 異径鉄筋ねじ式鉄筋継手および継手付き鉄筋構造
US20060059841A1 (e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rebar end anchor there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200404517Y1 (ko) 철근 연결 장치
KR200402504Y1 (ko) 철근 연결 장치
WO2016135624A1 (en) Anchoring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s
KR200150719Y1 (ko) 콘크리트거푸집 연결용 클램프
KR100779427B1 (ko) 거푸집의 주밴드용 고정장치
JP5638018B2 (ja) コンクリート接続部材及びコンクリート部材のための接続装置
JP2004116199A (ja) 鉄骨柱と基礎コンクリートの主鉄筋との仲介連結部材
KR200398008Y1 (ko) 철근 연결 장치
JP2009174126A (ja) 鉄筋の機械継手
KR20130132191A (ko) 정착헤드가 구비된 철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84776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건식 접합구조
JP2008163697A (ja) 型枠構造
JP2011174277A (ja) 長さ調整用ねじ式鉄筋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継手付き鉄筋構造
SE1650518A1 (sv) Method of producing a wetroom floor module, a wetroom floor module and a floor module frame
KR200446594Y1 (ko) 보강편이 형성된 거푸집 간격유지구 및 체결구
JP2010168740A (ja) 開口補強構造
KR101150859B1 (ko) 철근단부 성형금형
TWI720417B (zh) 可無限延伸連結的鋼筋梁柱或鋼筋籠或連續壁之定位接合構造
KR200323936Y1 (ko) 철근의 다방향 배열이 가능한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