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719Y1 - 콘크리트거푸집 연결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거푸집 연결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719Y1
KR200150719Y1 KR2019970010062U KR19970010062U KR200150719Y1 KR 200150719 Y1 KR200150719 Y1 KR 200150719Y1 KR 2019970010062 U KR2019970010062 U KR 2019970010062U KR 19970010062 U KR19970010062 U KR 19970010062U KR 200150719 Y1 KR200150719 Y1 KR 200150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clamp
bent
present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750U (ko
Inventor
조근제
Original Assignee
김종우
금강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우, 금강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우
Priority to KR2019970010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719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7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7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형건축물의 큰 외벽을 시공하는데 사용되며 갱포옴(Gang Form)으로 불리우는 콘크리트거푸집을 이루는 여러개의 단위거푸집들을 가로방향으로 고정시켜주는 클램프에 관한 것임.
종래에는 2개의 홈형강을 간격유지판으로 용접시켜만든 연결부재와 거푸집의 세로방향보강부재를 "ㄷ"형 볼트, 와셔 및 너트로 고정시켜왔었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많이들었고 강도가 부족했었음.
본 고안은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며 큰 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원형금속파이프의 외주면과 접할 수 있도록 4분원꼴로 굽혀진 조임쇠(10)의 한쪽에는 볼트관통구멍(12)이 있는 절곡된 조임부(14)를 형성하고, 폭이 좁은 목부(20) 끝에 이 목부(20) 보다 폭이 넓은 단부(18)를 가진 걸림부(16)를 조임쇠(10)의 다른 한쪽으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콘크리트거푸집 연결용 클램프임.

Description

콘크리트거푸집 연결용 클램프
본 고안은 콘크리트거푸집 연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층아파트와 같은 대형건축물의 큰 외벽을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갱포옴(Gang Form)이라고 불리우는 거푸집을 이루는 여러개의 단위거푸집들을 가로방향으로 고정시켜주는데 사용되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재(40)의 한쪽면에 앵글강(angle steel)과 같은 가로방향보강부재(42)와, 홈형강(channel steel)과 같은 세로방향보강부재(44),(44')가 일정한 간격으로 교차하도록 용접하여 고정된 여러개의 단위거푸집(46)들을 연결시켜서 갱포옴(48)으로 만들때 2개의 홈형강(50),(50')을 간격유지판(52)으로 용접시켜서 홈형강(50)과, 홈형강(50')사이에 공간부(54)가 형성된 연결부재(56)를 세로방향보강부재(44),(44')에 가로방향으로 덧대고, "ㄷ"형 볼트(58)를 연결부재(56)의 공간부(54)와, 세로방향보강부재(44),(44')와 판재(40)사의 공간부(60)쪽으로 삽입시켜서 "ㄷ"형 볼트(58)의 양단부에 있는 숫나사부(62),(64)가 연결부재(56)의 공간부(54)밖으로 노출되도록 한다음 와셔(68),(70)를 끼우고 너트(72),(74)를 조여서 여러개의 단위거푸집(46)들을 연결시켜왔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연결부재(56)자체를 만드는데 많은 비용과 품이 들었었고, 연결부재(56)와 단위거푸집(46)들의 세로방향보강부재(44),(44')들을 고정시켜주는 것도 매우 불편했었을 뿐아니라 연결부재(56)가 2개의 홈형강(50),(50')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굽힘에 대한 단면계수가 비교적 큰것이므로 갱포옴(48)이 적은 수의 단위거푸집(46)으로 이루어진 것일 경우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서 평탄한 외벽면을 얻을 수는 있지만 갱포옴(48)의 크기가 커서 많은 수의 단위거푸집(46)으로 이루어진 것일 경우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이 매우 커지게 되므로 연결부재(56)가 굽힘하중에 의하여 변형되어서 큰 외벽면을 평탄하게 시공하기가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자는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제반문제점을 예의 검토한결과 연결부재자체를 홈형강보다 굽힘에 대한 단면계수가 큰 원형파이프로 하고 단위거푸집들의 세방향보강부재들 사이에 있는 공간부를 이용하여서 연결부재와 세로방향보강부재들을 고정시켜줄 수 만 있다면 갱포옴의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제작공정과 품수를 크게 줄이면서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많은수의 단위거푸집으로 큰 갱포옴을 만들더라도 콘크리트 타설시 굽힘하중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어서 큰 외벽면도 평탄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임을 알게 되어서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굽힘에 대한 강성이 매우 크고 획득이 용이한 기초제품인 원형금속파이프로 된 연결부재를 단위거푸집들의 세로방향보강부재들과 견고하면서도 손쉽게 고정시켜줄 수 있는 콘크리트거푸집연결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보인 콘크리트거푸집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의 조립상태를 보인 제1도의 부분확대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종래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보인 콘크리트거푸집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임쇠 12 : 볼트관통구멍
14 : 조임부 16 : 걸림부
18 : 단부 20 : 목부
본 고안은 제1~3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4분원(quadrant)꼴로 굽혀진 조임쇠(10) 한쪽끝에는 볼트관통구멍(12)을 가진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조임부(14)를 형성하고, 조임쇠(10)의 다른 한쪽에는 걸림부(16)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걸림부(16)는 조임쇠(10)의 다른 한쪽으로부터 길게 연장된 것으로서 걸림부(16)의 단부(18)와, 조임쇠(10)의 다른 한쪽사이에는 폭이 좁은 목부(20)가 형성되어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조임쇠(10)의 폭(W1)과, 걸림부(16)쪽 단부(18)의 폭(W2)은 통상의 단위거푸집(46)에 고정된 세로방향보강부재(44)와 세로방향보강부재(44')사이에 있는 공간부(76)의 폭(W3)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고, 목부(20)의 폭(W4)은 상기 공간부(76)의 폭(W3)보다 조금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목부(20)의 길이(ℓ1)는 상기 세로방향보강부재(44),(44')들의 깊이(d1)이 보다 조금 길게 형성되어 있고, 단부(18)의 길이(ℓ2)는 통상의 단위거푸집(46)에 고정된 가로방향보강부재(42)의 폭(W5)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2도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한쌍의 조임쇠(10)를 세워서 걸림부(16)와 목부(20)를 단위거푸집(46)에 고정된 세로방향보강부재(44)와 세로방향고정부재(44')사이에 있는 공간부(76)쪽으로 집어 넣어 걸림부(16)의 단부(18)가 세로방향보강부재(44),(44')들 밖으로 나온 상태에서 한쌍의 조임쇠(10)가 서로 마주보도록 돌려서 즉, 걸림부(16)의 단부(18)가 세로방향보강부재(44),(44')들 밖에서 걸려지고, 목부(20)가 세로방향보강부재(44),(44')들 사이의 공간부(76)속에 끼워맞춤된 상태로 되어서 제2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원형금속파이프로 된 연결부재(78)의 외주면 일부를 감싼 다음 윗쪽과 아래쪽 조임쇠(10)들의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조임부(14)에 형성된 볼트관통구멍(12)에 볼트(80)를 끼워넣고 너트(82)를 조여서 원형금속파이프로 된 연결부재(78)를 단위거푸집(46)에 고정되어있는 세로방향보강부재(44)와 세로방향보강부재(44')사이의 공간부(76)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제1~3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한쌍의 조임쇠(10)를 세워서 단위거푸집(46)에 고정되어 있는 세로방향보강부재(44)와 세로방향보강부재(44')사이에 있는 공간부(76)속으로 끼워넣고, 마주보도록 돌려준 상태에서도 걸림부(16)의 단부(18)와 목부(20)가 세로방향보강부재(44),(44')에 걸려져서 흘러내려가지 않고, 조임쇠(10)들의 연장부(14)를 한 개의 볼트(80)와 너트(82)로 조여주는 것에 의해서 굽힘에 대한 강성이 매우 크고 획득이 용이하며 기초제품인 원형금속파이프로 된 연결부재(78)를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대형건축물의 외벽시공용 갱포옴과 같은 대형콘크리트거푸집을 조립한는데 적합하고, 특히 획득이 용이한 기초제품인 원형금속파이프를 가공하지 않고 바로 연결부재(78)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과 해체작업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원형금속파이프로 된 연결부재(78)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4분원꼴로 굽혀진 조임쇠(10)의 한쪽에는 볼트관통구멍(12)이 있는 절곡된 조임부(14)를 형성시키고, 폭이 좁은 목부(20) 끝에 이 목부(20)보다 폭이 넓은 단부(18)를 가진 걸림부(16)를 조임쇠(10)의 다른 한쪽으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시켜서 된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거푸집 연결용 클램프.
KR2019970010062U 1997-05-07 1997-05-07 콘크리트거푸집 연결용 클램프 KR200150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062U KR200150719Y1 (ko) 1997-05-07 1997-05-07 콘크리트거푸집 연결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062U KR200150719Y1 (ko) 1997-05-07 1997-05-07 콘크리트거푸집 연결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750U KR19980065750U (ko) 1998-12-05
KR200150719Y1 true KR200150719Y1 (ko) 1999-07-01

Family

ID=1950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062U KR200150719Y1 (ko) 1997-05-07 1997-05-07 콘크리트거푸집 연결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7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626B1 (ko) * 2021-09-29 2022-09-27 (주)지오알앤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460370B1 (ko) * 2021-09-29 2022-10-31 (주)지오알앤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468391B1 (ko) * 2021-11-02 2022-11-17 (주)지오알앤디 흙막이측벽파일지지형 거푸집을 포함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468396B1 (ko) * 2021-11-09 2022-11-17 (주)지오알앤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과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750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3383B2 (ja) 杭頭接合構造
KR200150719Y1 (ko) 콘크리트거푸집 연결용 클램프
KR102019302B1 (ko) 셀프 드릴링 피스를 이용한 조적조 구조체의 연결부재, 이를 이용한 조적조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조적조 구조체
JP2007092435A (ja) 鉄筋結束用金具
JP2008169606A (ja) ブレース、ブレースの取付構造及び建物ユニット
KR100725584B1 (ko) 철근 연결 장치
KR200394341Y1 (ko) 강관기둥의 어떠한 방향에도 h형보의 설치를 가능케 하는다각형 다이아프램
KR20130092870A (ko) 간격유지부재의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JP2003013550A (ja) 鉄筋カゴ用組立式フープ
JP2009174126A (ja) 鉄筋の機械継手
CN220365304U (zh) 一种构造柱浇筑模板的加固工具
CN216840042U (zh) 一种装配式建筑物的预制墙体
KR200404517Y1 (ko) 철근 연결 장치
CN214575620U (zh) 矩形管型材及模板加固体系
KR200402504Y1 (ko) 철근 연결 장치
CN212613738U (zh) 一种边缘柱阴角模板固定体系
JP2833994B2 (ja) 外ケーブルの中間部固定装置
JP2007056670A (ja) せん断補強筋
JPH0474520B2 (ko)
KR200205942Y1 (ko) 금속제 거푸집의 고정 구조
KR200347797Y1 (ko) 거푸집고정 연결구
KR200339378Y1 (ko) 건축용 거푸집 간격유지구
JPS597959Y2 (ja) コンクリ−ト型枠用締付金具
JPS6214221Y2 (ko)
JP4257005B2 (ja) ねじ鉄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