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1449A - 인쇄가능한 필름 - Google Patents

인쇄가능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1449A
KR20040111449A KR10-2004-7015435A KR20047015435A KR20040111449A KR 20040111449 A KR20040111449 A KR 20040111449A KR 20047015435 A KR20047015435 A KR 20047015435A KR 20040111449 A KR20040111449 A KR 20040111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polymer
film
optionally
jet pri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네일 듀톤
리챠드 싸우스워드
Original Assignee
유씨비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비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유씨비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40111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44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54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47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by ink-jet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41M5/508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 Jet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아크릴릭,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잉크-젯 인쇄가능한 중합체 필름으로서, 필름이, 잉크-젯 인쇄된 경우 잉크 수용층에서 소적 크기의 평균 증가율이 인쇄 후 약 0.2 내지 약 2.0 초 사이에 측정시 약 5% 이하인 잉크-젯 인쇄가능한 잉크 수용층으로 코팅되어 있는 잉크-젯 인쇄가능한 중합체 필름을 기술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B) 또는 C)를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가능한 상층 피막층을 지닌 전술한 특성을 임의로 갖는 인쇄가능한 필름을 기술한 것이다: A)는 하기 중합체 전구체로부터 얻고/얻거나 얻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화된 3중 혼성 중합체이며: (a) 할로겐화된 비닐, 임의로 비닐 클로라이드; (b) 비닐 에스테르, 임의로 비닐 아세테이트; (c) 올레핀, 임의로 에틸렌; B)는 하기 중합체 전구체 중 2개로부터 얻고/얻거나 얻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이며: (i) 할로겐화된 비닐, 임의로 비닐 클로라이드; (ii) 비닐 에스테르, 임의로 비닐 아세테이트; (iii) 올레핀, 임의로 에틸렌; 및 C)는 (x) PVdX 중합체 전구체; 및 (y) 하나 이상의 할로겐화되지 않은 전기음성 기로 치환된 올레핀 단량체를 포함하는 작용기화된 아크릴 공중합체로부터 얻고/얻거나 얻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비닐리덴 할라이드 공중합체이다.

Description

인쇄가능한 필름{PRINTABLE FILM}
디지탈 인쇄는 라벨 및 그래픽 아트와 같이 많은 적용을 위한 통상적인 인쇄 방법으로 점차 사용되고 있다. 디지탈 인쇄 방법(예를 들어 잉크-젯 인쇄)은 미리 인쇄 판을 제조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기판이 인쇄기로 전달된 데이타로 즉시 인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디지탈 인쇄는 특히 소량 인쇄 실행 또는 각각의 물품에 서로 다른 정보를 인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 인쇄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생성물을 개별적으로 그릴 필요가 있거나 서로 다른 언어 또는 시험 생성물을 위해 경쟁적으로 서로 다른 시기에 생성물을 주문받은 경우에 유용하다. 비용은 보관될 필요가 있는 미리 인쇄된 물질 만큼 감소된다. 잉크-젯 인쇄(피에조(piezo) 및 열적 IJ 둘 모두)는 예를 들어 라벨 및 그래픽 아트 분야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디지탈 인쇄 형태이다.
종이는 통상적으로 디지탈 인쇄용 기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이는 특정 적용을 위한 기판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예를 들어, 야외 그래픽 아트 적용에서 종이 기판의 내구성이 문제이다. 종이는 또한 고속 라벨 적용에서 라벨 페이스스톡(facestock)으로 사용되는 경우 찢어지기 쉽다. 종이는 높은 주위 온도 또는 높은 습도의 환경에서 덜 적합하다. 따라서 중합체 필름 기판은 종종 종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나 비코팅된 플라스틱 필름은 필름 상에 잉크의 낮은 흡수도(소적 분산 및 낮은 해상도를 초래함) 및 손상되거나 지워짐을 초래하는 낮은 잉크 부착력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디지탈 인쇄 방법으로 인쇄하기가 어렵다. 다만 특정 PVC 필름은 추가 표면 코팅과정 없이 디지탈 방법으로 인쇄됨을 발견하였다.
지금까지 수많은 인쇄가능한 중합체 필름(예를 들어 라벨 또는 그래픽 아트 디스플레이)의 적용을 위해 선택될 필름에서 광범위한 선택을 갖음으로써 기판의 성능 및 형상 특징이 특정 적용과 어울리도록 선택되는 것이 중요하다. 각각의 중합체 필름은 서로 다른 성능 및 형상 특성을 나타내며,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비닐(PVC) 및 폴리에스테르(PET)와 같은 통상적인 라벨 필름은 특정 최종 용도로 더욱 적절하게 선택된다.
따라서, 디지탈 인쇄법을 많은 적용에서 바람직하게 이용하는 동안, 다양한 서로 다른 필름 형태를 선택하여 적응성을 유지함으로써 기판 성능 및 형상 특징이 특정 최종 용도에 어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적 또는 피에조 잉크젯 인쇄기에서 잉크 분사 과정의 특성으로 인한 잉크에 부과되는 제약으로 인해, 기판의 잉크 수용 표면이 잉크 자체 보다 덜 변형되어 최종 인쇄된 이미지에 요망되는 성질의 일부 또는 전체를 최적화하기에 바람직하다.
이상적인 잉크-젯 수용 기판이 유지될 수 있는 기준은 특정 적용에 의존하는 하기의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비-라벨" 모양에 대하여, 투광도는 백색도 또는 불투명도 보다 덜 중요하다.) 적합한 잉크-젯 인쇄가능한 기판은 밝기, 백색도, 광택, 불투명도 및/또는 색재현율과 같은 양호한 광학 특성을 지녀 고품질의 인쇄된 이미지를 수득할 것이다. 기판은 잉크의 성분과 양립할 수 있어 최종 잉크 이미지가 충분한 고착 및 예를 들어 UV 빛에 노출된 경우 낮은 색 바램 경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필름 표면의 흡수도는 중요하다. 잉크 젯 인쇄는 많은 양의 액체와 함께 인쇄되는 기판상의 특별한 요구를 지니고 있으며, 지금까지 크기 또는 형태의 변화없이 빠르게 건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록 종이 섬유가 액체를 잘 흡수하지만, 팽창되고 일그러져 표면 결함 및 수분-유도 파동이 이미지 품질에서 유해한 효과를 갖는 결과를 초래한다. 종이는 또한 본원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많은 적용에 대해 부적합하다. 적합한 기판은 인쇄 시간 동안 그의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있어야 하며, 이는 치수 안정성, 인열 저항, 열적 안정성, 및 내수성 및 내광성에 의해 결정된다. 잉크 젯 인쇄가능한 코팅 및 필름은 매개물의 내구성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관련된 성분들 모두를 포함한다. 따라서, 잉크 젯 인쇄기로 양호한 이미지를 생산하기 위해 잉크 수용 표면은 치수적으로 열적으로 안정하며, 예를 들어 인열, 인장 또는 변형되지 않으며, 부드럽고 방수처리되며, 모양을 유지하고 많은 화학품에 대해 내화학성이며, 수분 또는 습도에 팽창되지 않거나 수축되지 않을 수 있다.
비코팅된 PVC 필름은 잉크 젯 인쇄용 필름 기판로서 사용되지만 그래픽 분야또는 라벨과 같은 적용을 위한 기판로서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비-PVC 필름은 용매계 잉크와 같은 일반 잉크 젯 인쇄가능한 잉크에 매우 수용적이지 않다. 이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필름(예를 들어 PE 또는 PP)과 같은 다른 필름 기판을 사용하고 잉크 젯 인쇄가능한 표면에 요망되는 특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 코팅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디지탈로 인쇄가능한 중합체 필름의 종래 기술은 하기에 기술한다.
WO 98/04418호(3M)에서는 산- 또는 산/아크릴레이트-변형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로 이루어진 이미지 수용층을 포함하는 이미지 수용체 매개물을 기술하고 있다. 이미지 수용체 매개물은 추가로 임의의 전처리제막, 임의의 부착막 및 임의의 잉크젯막을 포함할 수 있다.
WO 99/28791호(3M)에서는 폴리프로필렌의 후면막, 예를 들어 에틸렌-알파-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간막, 및 수용체 막을 포함하는 정전기적 인쇄를 위한 다중막 이미지 매개물을 기술하고 있다. 이미지 매개물은 특히 1차 온도에서 입자에 대한 용매가 아니고 2차 온도에서 입자에 대한 용매이거나 건조 토너를 지닌 용매인 액체 운반체에서 열가소성 토너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토너를 보유한 전자사진 인쇄에 유용하다. 전자사진에서 사용되는 잉크는 잉크 젯 인쇄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과 매우 다르다.
WO 00/20521호(3M)에서는 특정 잉크로 인쇄할 수 있는 신규한 피에조 잉크-젯 및 기판을 기술하고 있다.
WO 00/52532호(3M)(US 6316120호)에서는 필름 외부표면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3원 혼성 중합체의 이미지 수용층으로 코팅된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아크릴릭,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진 할로겐화되지 않은 이미지 수용체 매개물을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은 특히 필름 또는 필름 피막에서 임의의 클로린화된 것을 사용하는 것과는 다름을 지시하고 있다.
FR 2312371호에서는 a)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b) 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잉크 수용층을 지닌 플라스틱 표면을 기술하고 있다.
FR 2352667호에서는 잉크 명각(inscription)을 수용하기 위한 플라스틱 물질에서 인쇄가능한 층을 기술하고 있다. 층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일 수 있는 결합제와 함께 탈크 또는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함유할 수 있다.
GB 2 050 866-A호(Fuji Photo)에서는 지지체에 수용성 중합체의 막을 적용함으로써 형성되는 수성 잉크를 지닌 잉크젯 인쇄를 위한 기록판을 기술하고 있다. 형성된 코팅은 30 gm/m2이하의 물 흡수도를 지닌다. 긴 목록 중에서 적합한 중합체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말레이 무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EP 0228835-A호(3M)에서는 잉크 젯 인쇄와 다른 열 질량 이동 인쇄용 수용체 필름을 기술하고 있다.
EP 0315063-A호(Hitachi Maxell)에서는 기판, 및 기판상에 착색제 및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기로부터 선택된하나 이상의 결합 수지를 포함하는 인디시아-수용층을 포함하는 물품을 기술하고 있다.
EP 0507409-A호(Arkwright)에서는 옵셋(offset) 리토그래피에서 사용되는 고속 건조 인쇄 필름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기판 면에 필수적으로 투명 중합체 층인 잉크 수용층을 지닌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필름 기판을 포함하는 유사 인쇄 적용을 기술하고 있으며, 상기 잉크 수용층은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에서 용해되거나 팽창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며, 잉크 수용층의 중량에 대하여 14 중량% 내지 45 중량%의 Isopar G의 용매 흡수도, 140 cc 공기/분 미만의 셰필드 표면 거칠기 값, 및 약 2 시간 미만의 옵셋 건조 시간을 갖는다.
EP 0524636-A호(Mitsubishi Paper Mills)에서는 코팅에서 요구되는 완전한 것을 제외하고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잉크 수용층을 지닐 수 있는 잉크 젯 기록판을 기술하고 있다.
EP 0778156-A호 (Oce)에서는 설명서, 잉크 젯 기록 및 전자사진그래픽 인쇄 및 복사를 포함하는 다중 적용에 유용한 다목적 이미지화되는 판을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판은 기본 지지체 및 적어도 한쪽 면에, (i) 가교된 중합체 및 이를 위한 가교제 및 (ii) 착색제의 수성 분산을 포함하는 수계 코팅 제형으로부터 형성된 표면 코팅을 포함한다. 표면 코팅은 다양한 이미지화 수단을 위한 수용체와 같이 적합한 표면을 제조하는 특성을 포함하는 연필, 잉크 및 토너 수용성 가교된 표면이다.
EP 1122083-A호(Mitsubishi Paper Mills)에서는 지지체에 적어도 착색제를함유하는 잉크-흡수막, 원유 시스템 고비점 용매에서 용해되거나 팽창될 수 있는 중합체로 코팅되거나 주입된 잉크-흡수층을 포함하는 비수성 잉크용 잉크 젯 기록 물질을 기술하고 있는 것으로, 착색제의 30 중량% 이상이 칼슘 카르보네이트이다.
US 3450557호(Dratz 등)에서는 PVA 고형물의 약 88% 이하의 가수분해된 아세테이트 라디칼 및 약 1 내지 10% 폴리에틸렌이민을 지닌 폴리비닐 알코올 코팅 조성물로 코팅되어 폴리올레핀 표면 상에 형성된 잉크 수용성 표면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칼륨 피로안티미노네이트가 존재될 수 있다. 알코올계 잉크는 하나의 예로 사용된다.
US 3489597호(Parker)에서는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코팅되어 잉크 수용체가 형성된 플라스틱 표면을 기술하고 있다. 폴리올레핀 필름에 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았다.
US 4085245호(Xerox)에서는 구성성분으로서 아크릴 중합체 및 비닐 아세테이트와 비닐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하는 칼라 제로그래픽 복사를 위한 투명도를 기술하고 있다.
US 4904519호(3M)에서는 기록판용 잉크 수용성 코팅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중합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기록판을 기술하고 있다. 조성물은 비닐 아미드 단량체 단위 및 비닐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로부터 형성된 가수분해된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발명의 기록판은 펜 플로터(pen plotter) 또는 수계 잉크 또는 용매계 잉크를 사용하는 잉크 젯 인쇄기를 이용하여 이미지화될 수 있다.
US 6113679호(3M)에서는 수용성 기판이 아크릴-함유 필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함유 필름, 우레탄-함유 필름, 멜라민-함유 필름, 폴리비닐부티랄-함유 필름, 산- 또는 산/아크릴레이트 변형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수용층을 지닌 다중층 필름, 두개 이상의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로 이루어진 이미지 수용층을 지닌 다중층 필름(여기에서 하나의 단량체 단위는 각각의 잔기가 0 내지 약 8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치환된 알켄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단량체 단위는 알킬기가 1 내지 약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알킬 사슬에서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알코올이 자연적으로 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는 비삼차 알킬 알코올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의 단일 및 다중-층 구조인 피에조 잉크젯 잉크로 기판을 인쇄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필름은 잉크-분사가능한 잉크로 인쇄될 경우 몇가지의 단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잉크-분사가능한(ink-jettable) 잉크로 인쇄될 수 있는 수용성 코팅을 지닌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디지탈 인쇄 방법에 사용되는 개선된 기판에 관한 것으로, 필름은 예를 들어 라벨 및 그래픽 아트 적용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원에서 기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사가능한 잉크에 대한 수용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디지탈 인쇄방법, 바람직하게는 잉크-젯 인쇄로 인쇄가능한, 예를 들어 광범위한 통상적인 필름 형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코팅이 제공된 필름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체로 본 발명에 따라,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아크릴릭,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중합체 필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필름이 잉크-젯 인쇄된 경우 잉크 수용층에서 소적 크기의 평균 증가율이 인쇄 후 약 0.1 내지 약 5 초 사이에 측정시 약 5% 이하인 잉크-젯 인쇄가능한 잉크 수용층으로 코팅된다.
추가로 구체예 및 본 발명의 임의의 특징은 본원의 청구범위에서 제공된다.
일반적인 용매계 잉크(예를 들어, 비수성 시스템)는 비코팅된 PVC 필름에 잉크젯 인쇄될 수 있다. 일반적인 용매 잉크 젯 잉크는 비닐 수지 및 차례로 PVC 기판에 용해시키는 글리콜, 글리콜 에테르 및/또는 락테이트와 같은 용매 시스템을 사용하여 건조된 인쇄물에 양호한 부착력 "키(key)"를 수득한다. 인쇄물 품질은 상대적인 기판-잉크 표면 에너지(접촉각) 및 중량 의존적으로 코팅될 수 있는 기판-용매 상호작용(용해/흡수)에 의해 지배되는 잉크-소적 분사에 의해 결정된다.
본 출원인은 폴리올레핀 필름(예를 들어, OPP)과 같은 비 PVC 기판을 코팅하여 일반적인 잉크 젯 잉크와 함께 사용되는 용매에서 유사한 표면 에너지 및 용해도와 같은 PVC-유사 표면 특성을 수득할 수 있는 중합체 시스템을 발견하였다.
다양한 코팅된 OPP 샘플은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PVdC; 에틸렌-비닐 클로라이드(E/VC)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E/VA) 공중합체; 및 에틸렌-VC-VA 3원 혼성 공중합체의 수성 분산제/유제를 기본으로 하여 측정되었다.
비닐리덴 할라이드 중합체(또는 본원에서 X가 할로인 PVdX를 의미함)는 호모 또는 하기 화학식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상기 식에서 X1및 X2는 독립적으로 할로이다.
중합체 반복 단위에 대하여, 화학식에서 별표(*)는 중합체 사슬 및/또는 말단기의 반복 단위 및/또는 다른 반복 단위(예를 들어, 중합체가 공중합체인 경우)의 부착을 의미한다. 동일한 화학식의 중합체 전구체(예를 들어, 단량체)에 대하여, 별표는 H와 같은 반응성 기를 의미하며, 중합화될 수 있는 전구체를 의미한다. X1및 X2둘 모두가 Cl인 경우 상기 중합체는 폴리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본원에서 PVdC로 칭함)이다. X1및 X2둘 모두가 F인 경우 상기 중합체는 폴리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이다. 본 발명의 코팅은 다른 중합체 전구체가 작용기화된 아크릴릭인 PVdX 형 공중합체를 임의로 포함한다.
문맥에서 특별히 지시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본원의 복수 형태의 용어는 단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반대로도 해석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하는"은 하기 목록이 모두 기술된 것이 아니며 다른 추가적인 적합한 항목, 예를 들어 적절한 하나 이상의 추가 특징(들), 성분(들), 구배(들) 및/또는 치환기(들)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용어 '효과적인', '허용되는', '활성적인' 및/또는 '적합한'(예를 들어 본 발명 및/또는 본원에서 기술된 임의의 공정, 용도, 방법, 적용, 제조, 생성물, 물질, 제형, 화합물, 단량체, 올리고머, 중합체 전구체, 및/또는 중합체와 관련하여)은 정확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효용이 부가되거나 혼입되는 요망되는 특성이 제공된 본 발명의 특징을 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효용은 예를 들어 직접적으로 물질이 전술된 용도를 위해 요망되는 특성을 갖고/갖거나 간접적으로 물질이 직접 효용의 다른 물질을 제조함에 있어서 합성 중간체 및/또는 진단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또한 기능기가 효과적, 허용되는, 활성적인 및/또는 적합한 최종 생성물을 제조하는 것과 양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효용은 양호한 이미지를 생산하기 위해 잉크 젯 인쇄가 가능한 중합체 필름 기판을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라벨 및/또는 그래픽 아트 적용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임의적 치환체' 및/또는 '임의로 치환된'(다른치환체의 목록이 따르지 않는 한)은 하나 이상의 하기 기(또는 이러한 기에 의해 치환)를 의미한다: 카르복시, 설포, 포르밀, 히드록시, 아미노, 이미노, 니트릴로, 메르캅토, 시아노, 니트로, 메틸, 메톡시 및/또는 이의 조합물. 이러한 선택적 기는 다수(바람직하게는 두개)의 전술된 기(예를 들어 아미노 및 설포닐은 각 다른 것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경우 설파모일기를 나타냄)의 동일한 부분에서 화학적으로 가능한 모든 조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선택적 치환체는 카르복시, 설포, 히드록시, 아미노, 메르캅토, 시아노, 메틸, 할로, 트리할로메틸 및/또는 메톡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동의어 '유기 치환체' 및 '유기기'(또는 본원에서 '유기(organo)'로 단축됨)는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다른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일가 또는 다가 부분(임의로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에 부착됨)을 의미한다. 유기기는 탄소를 함유하는 일가 이온을 포함하는 유기헤테릴기(또는 유기원소기로 칭함)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기성이지만, 탄소를 제외한 다른 원소(예를 들어 유기티오기)에 자유원자가를 갖는다. 유기기는 작용 형태에도 불구하고 탄소 원자에서 1 자유원자가를 지닌 임의의 유기 치환체기를 포함하는 오르가닐(organyl)기를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유기기는 또한 헤테로고리형 화합물(두개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고리 구성 원자를 지닌 고리형 화합물, 이 경우 하나는 탄소임)의 임의의 고리 원자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일가기를 포함하는 헤테로시클릴(heterocyclyl)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기기에서 비탄소 원자는 수소, 할로, 인, 질소, 산소, 실리콘 및/또는 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소, 질소, 산소, 인 및/또는 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유기기는 하나 이상의 하기 탄소: 알킬, 알콕시, 알카노일, 카르복시, 카르보닐, 포르밀 및/또는 이의 조합물 함유 부분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하기 헤테로 원자; 옥시, 티오, 설피닐, 설포닐, 아미노, 니트릴로 및/또는 이의 조합물 함유 부분과 조합한 것을 포함한다. 유기기는 다수(바람직하게는 두개)의 전술된 탄소 함유 및/또는 헤테로 원자 부분의 동일한 부분에 화학적으로 가능한 모든 조합물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각각 다른 것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 알콕시 및 카르보닐은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히드로카르보기'는 유기기의 부분 집합이며 하나이상의 수소원자 및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로 구성된 임의의 일가 또는 다가 부분(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에 임의로 부착)을 의미하며, 하나 이상의 포화, 불포화 및/또는 방향족 부분을 포함한다. 히드로카르보기는 하나 이상의 하기 기를 포함할 수 있다. 히드로카르보닐기는 탄화수소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형성된 일가 이온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알킬). 히드로카르빌렌기는 탄화수소로부터 두개의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형성된 이가기를 포함하며, 자유 원자가는 이중 결합(예를 들어 알킬렌)과 관련되지 않는다. 히드로카르빌리덴기는 탄화수소의 동일한 탄소 원자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형성된 이가 기("R2C="로 표시될 수 있음)를 포함하며, 자유 원자가는 이중 결합(예를 들어 알킬리덴)과 관련된다. 히드로카르빌리딘기는 탄화수소의 동일한 탄소 원자로부터 3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형성된 삼가 기("RC≡"로 표시될 수 있음)를 포함하며, 자유 원자가는 삼중 결합(예를 들어 알킬리딘)과 관련된다. 히드로카르보기는 또한 탄소 단일 결합(예를 들어 알킬기)에 포화된 탄소를; 탄소 결합(예를 들어 각각 알케닐 및 알키닐기)에 불포화 이중 및/또는 삼중 탄소를; 동일한 부분내에 및 다른 작용기로 치환될 것으로 지시되는 방향족기(예를 들어 아릴기) 및/또는 이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킬' 또는 이의 동의어(예를 들어, 'alk')는 적절하고 문맥에서 명확하게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본원에서 기술된 것(예를 들어 이중 결합, 삼중 결합, 방향족 부분(예를 들어, 각각 알케닐, 알키닐 및/또는 아릴) 뿐만 아니라 두개 이상의 부분(이가 히드로카르빌렌 라디칼, 예를 들어 알킬렌을포함)이 연결된 임의의 다가 히드로카르보 기와 같은 임의의 다른 히드로카르보기를 포함하는 용어로 쉽게 대체될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된 임의의 라디칼기 또는 부분(예를 들어 치환체)은 달리 기술되거나 문맥에서 명확하게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다가 라디칼 또는 일가 라디칼일 수 있다(예를 들어, 두개의 다른 부분이 결합된 이가 히드로카르빌렌 부분). 그러나, 본원에서 지시된 이러한 일가 또는 다가기는 또한 임의의 치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세개 이상의 원자의 사슬을 포함하는 기는 전체적으로 또는 일부분에 사슬이 선형, 분지형이고/이거나 고리(스피로 및/또는 용융된 고리를 포함)를 형성할 수 있는 기를 의미한다. 특정 치환체, 예를 들어 C1-N유기로 규정된 특정 원자의 총수는 1 내지 N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유기 부분을 의미한다. 본원의 임의의 화학식에서 하나의 부분에 하나 이상의 치환체가 임의의 특정 원자에 부착되는 것으로 지시되는 않는 경우 치환체는 임의의 H를 대체할 수 있고/있거나 화학적으로 적합하고/거나 효과적인 부분에서 임의의 이용가능한 자리에 위치될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된 바람직한 임의의 유기기는 1 내지 36개의 탄소 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유기기에서 탄소 원자의 수는 1 내지 12, 특히 1 내지 10, 예를 들어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알킬)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괄호안에 주어진 특징을 포함하는 본원에서 사용되는 화학적 용어(특히 확인된 화합물에대해 IUPAC 명을 제외하고)는 괄호 부분이 문맥에 지시된 바와 같이 임의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용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둘 모두를 의미한다.
중합체 및/또는 올리고머의 반복 단위에서 치환체는 본원에서 기술된 용도를 위해 제형화되고/되거나 혼입될 수 있는 중합체 및/또는 수지를 지닌 물질의 양립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치환체의 크기 및 길이는 수지와의 물리적 엉킴 또는 상호간위치(interlocation)를 최적화하기 위한 것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치환체는 적절한 다른 수지와 화학적 반응 및/또는 가교될 수 있는 다른 반응성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는 모두에 포함되고/포함되거나 사용되는 특정 부분, 종류, 기, 반복 단위, 화합물, 올리고머, 중합체, 물질, 혼합물, 조성물 및/또는 제형은 하기 전부 열거하지 않은 목록에서 임의의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형태로서 존재할 수 있다: 입체이성질체(거울상 이성질체(예를 들어 E 및/또는 Z 형태), 부분입체이성질체 및/또는 기하이성질체와 같은); 호변체(예를 들어, 케토 및/또는 에놀 형태), 이형태체, 염, 양쪽성 이온, 착물(킬레이트, 포접 화합물, 크라운 화합물, 크립탄드/크립타드, 내포 화합물, 삽입 화합물, 틈새형 화합물, 리간드 착물, 유기금속 착물, 비-화학양론적 착물, π-첨가물,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과 같은); 동위원소로 치환된 형태, 중합체성 배열[호모 또는 공중합체, 랜덤, 그래프트 및/또는 블록 중합체, 선형 및/또는 분지형 중합체(예를 들어, 스타 및/또는 곁가지), 가교 및/또는 망상 중합체, 이가 및/또는 삼가 반복단위로부터 얻을 수 있는 중합체, 덴드리머(dendrimer), 다른 입체 규칙성의 중합체(예를 들어 동일배열, 규칙배열 또는 혼성배열 중합체)와 같은], 서로 다른 상, 고용체; 및/또는 가능한 이의 조합물 및/또는 혼합물. 본 발명은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효과적인 이러한 모든 형태를 포함하거나 사용한다.
미립자 물질은 추가로 용매 흡수를 개선시키기 위해 피막에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물질이 코팅의 50 건조 중량% 이하로 첨가: 실리카(콜로이드성, 용융된 및/또는 침전된)와 같은 무기 안료;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 디옥사이드, 탈크 및/또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스멕타이트(smectite), 벤토나이트 등과 같은 무기 클레이; 미정질의 셀룰로즈 및/또는 이의 임의의 적합한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입자의 장축이 약 10 나노미터 내지 약 10 마이크론의 평균 크기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입자가 약 1의 가로세로비를 갖는다(예를 들어 형태가 바늘 형태가 아니고 대체로 큐비오드(cubiod) 또는 원형임). 임의로 입자는 코팅 조성물에 전체 코팅의 건조 중량에 대해 약 10% 내지 약 85%의 양,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50%의 양으로 혼입된다.
임의로 다른 통상적인 첨가제는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적합한 첨가제는 유화제, 소포제, 유착제, 분산제, 습윤제, 항-침전제, 증주제, 평탄제(flatting agent) 및/또는 안정제이다.
본 발명의 코팅된 필름은 양호한 인쇄 해상도 및 부착력을 수득할 수 있는 표면 특성(표면 장력 및 용해도 파라미터)을 지닌다.
본 발명은 본원에서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설명되는데, 인쇄 후 최초 2 초에 걸쳐 소적 폭의 증가율로 측정되는 바와 같이 필름의 표면 상에 분산되는 잉크 젯 소적에 대한 평균으로 다룬 시간을 나타내는 플롯(plot)이다. 종래 기술 필름(조성 A 내지 E - 하기 참조)는 본 발명의 코팅된 BOPP(실시예 1 내지 11 - 하기 참조)와 비교되었다: 기판로부터 분사된 소적의 "튐(bounce)"으로 인한 0 시간에서 소적 크기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소적 크기의 변화와 관련된 측정을 인쇄 후 0.2 초의 것과 비교하였다.
도 1은 3원 혼성 중합체 코팅된 필름 실시예 1 내지 5와 조성 A 내지 C를 비교한 것이다(도 2는 비교 데이타 없이 세로좌표를 확장한 실시예 1 내지 5에 대한 동일한 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공중합체 코팅된 필름 실시예 6 내지 10과 조성 A 내지 C를 비교한 것이다.
도 4는 작용기화된 PVdC 공중합체 코팅된 필름 실시예 11과 조성 A 내지 E를 비교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비제한된 실시예와 관련된 것으로 기술될 것이다.
일련의 실험은 PVC 필름의 표면 에너지 대 상기 코팅의 범위를 측정하여 수행되었다. 표면 에너지를 계산하기 위한 우(Wu) 및 오엔스-웬트(Owens-Wendt) 모델 둘 모두를 사용하였다(극성 및 분산 성분을 수득하기 위함).
힐드브란드(Hildbrand) 용해도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중합체/용매 상호작용을 예측하였으며, 이를 추가로 분산, 극성 및 H-결합 성분으로 간주되는 한센(Hansen) 파라미터로 나누었다.
힐데브란드 ∼ [(δd)2+(δp)2+(δh)2]0.5
상기 식에서 δd, δp및 δh는 각각 한센 분산, 극성 및 수소 결합 파라미터이다.
잉크 젯 인쇄를 위한 비닐 잉크 제형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매는 시클로헥사논,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이소포론;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아세테이트, 락테이트, MEK, 및/또는 아세테이트 및/또는 이의 임의의 적합한 혼합물이다.
PVC와 가장 유사한 표면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된 코팅 제형을 90 마이크론 두께의 초벌칠된 통상적인 BOPP계 필름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Dixon 코팅기를 사용하여 적용하였다. 코팅된 필름 표면을 접촉각 장치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여 코팅된 표면상의 통상적인 잉크-젯 잉크의 평균 접촉각, 평균 기저폭(예를 들어 표면상의 소적 분사) 및 잉크 소적에 대한 평균 부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인쇄되지 않은 필름의 표면 에너지를 측정하였다.
임의의 적합한 잉크-젯 잉크는 이러한 측정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하지만 이러한 측정에서 사용된 잉크는 피에조 잉크(piezo) 젯 인쇄를 위해 제형화된 통상적인 용매계 검정색 잉크(Sunjet Crystal SOV 7575)였다. 다양한 종래 기술 필름(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조성 A 내지 조성 E)을 기준으로서 사용하여 다양한 코팅을 비교하였다. 3가지 개개의 측정을 각각의 샘플에 대해 수행하고 평균화하였다.소적 폭 증가율 대 인쇄 후 0.2 초 내지 2.0 초의 시간 데이타는 본원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었다(참조 도 1 내지 3).
실시예 1 내지 11
사용된 코팅 제형은 하기와 같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모든 공중합체 및 3원 혼성 중합체는 상품명 에어플렉스(Airflex) 및 주어진 상품 지정하에서 에어 프로덕트(Air Product)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되었다. PVdC 공중합체는 주어진 상품 지정하에서 솔빈(Solvin)으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되었다. 적용시, 건조전에 25% 고형물 및 75% 물을 포함하는 CE35 및 45% 고형물 및 55% 물을 포함하는 A115를 제외하고 모든 제형은 20% 고형물 및 80% 물을 포함하였다.
실시예 중합체 형태 상품 지정 피막 중량(g/㎡)
3원 혼성 중합체
1 VA/E/VC CEF 19 1
2 VC/E/VE CEF 52 4
3 VA/E/VC CEF 19 4
4 VC/VA/E CEF 35 4
5 VC/E/VE CEF 52 1
공중합체
6 VC/E CEN 752 4
7 VC/VA CF 70 4
8 VC/E CEN 752 1
9 VA/E EPN 865 1
10 VC/VA CF 70 1
작용기화된 비닐리덴 할라이드
11 PVdC 공중합체 A 115 2
상기 표에서, PVdC는 폴리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중합체를 의미하며; E는 에틸렌 단량체를 의미하며; VC는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를 의미하며; VA는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를 의미하며; VE는 비닐 에스테르 단량체를 의미한다.
또한 하기 기준 필름을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인쇄 및 측정하였다. 비교 코팅된 필름을 임의의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지 않은 조성 C를 제외하고 상층부에 코팅하기 전에 운모로 초벌칠을 하였다.
조성 A는 통상적인 비코팅된 PVC 필름이다.
조성 B는 통상적인 비코팅된 BOPP 필름이다.
조성 C는 1 g/㎡로 통상적인 수성 에틸렌/아크릴산(E/AA) 공중합체 코팅 제형(건조 고형물에 대해 15%)이 코팅되고 또한 왁스 및 PMMA 안티-블록(anti-block)을 함유한 통상적인 BOPP 필름이다. 사용된 E/AA는 20% 아크릴산을 포함하였고 과량의 암모니아 및 물에 분산되어 중합체를 중화시키고 용해시켰다.
조성 D는 1 g/㎡의 통상적인 수성 아크릴산 코팅 제형(건조 고형물에 대해 15%)으로 코팅된 통상적인 BOPP 필름이다. 이러한 코팅된 필름은 상품 지정 WGS 하에 UCB Films으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되었다.
조성 E는 2 g/m2로 상품 지정 Ixan A-36하에 Solvin으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되는 통상적인 비작용기화된 PVdC 코팅 제형(건조 고형물에 대해 45%)이 코팅된 통상적인 BOPP 필름이다.
실시예 1 내지 11 및 종래 기술 조성 A 내지 E에 대한 %단위의 폭 데이타는 본원의 도면에 나타내었으며, 도 1은 3원 혼성 중합체 코팅 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공중합체 코팅 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PVdC 코팅 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실시예 1 내지 11은 조성 A 내지 E와 비교하여 더욱 낮고 평평한 선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코팅된 필름의 표면상에 인쇄된 통상적인 검정색 용매 잉크의 잉크젯 소적들은 일반적으로 더욱 짧은 시간 간격내에 최대 폭에 도달하여 더욱 높은 인쇄 속도에서 종래 기술 기판 보다 개선된 인쇄 해상도를 수득할 수 있었다. 잉크 소적의 분산은 본 발명의 필름의 표면에서 매우 얇게 되었다.
종래 기술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름은 잉크젯 잉크로 인쇄하기에 적당하지 않다. 도 1, 3 및 4는 조성 A(PVC) 및 B(비코팅된 BOPP)가 3원 혼성 중합체 코팅된 실시예 1 내지 5; 공중합체 코팅된 실시예 6 내지 10 또는 실시예 11의 각각의 작용기화된 PVdC 피막 보다 더욱 큰 도트(dot) 분산도를 나타냄과 같이 잉크-젯 잉크로 덜 인쇄가능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코팅은 PVC에 대해서도 놀랍게도 유리하여 잉크-젯 인쇄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도 3은 또한 본 발명 실시예 6 내지 10의 공중합체가 예상외로 조성 C의 유사 E/AA 공중합체 보다 잉크 수용성 코팅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실시예 11의 작용기화된 아크릴릭/PVdC 공중합체가 놀랍게도 아크릴릭(조성 D) 또는 비작용기화된 PVdC(조성 E) 보다 더욱 잉크-젯 인쇄가능한 표면임을 보이고 있다.

Claims (19)

  1.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아크릴릭,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잉크-젯 인쇄가능한 중합체 필름으로서, 필름이, 잉크-젯 인쇄된 경우 잉크 수용층에서 소적 크기의 평균 증가율이 인쇄 후 약 0.2 내지 약 2.0 초 사이에 측정시 약 5% 이하인 잉크-젯 인쇄가능한 잉크 수용층으로 코팅되어 있는 잉크-젯 인쇄가능한 중합체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잉크 수용층에서 소적 크기의 평균 증가율이 인쇄 후 약 0.2 내지 2.0 초 사이에 측정시 약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필름.
  3.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아크릴릭,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잉크-젯 인쇄가능한 중합체 필름으로서, 필름이 각각 별도로 하기 작용기를 포함하는 3개의 중합체 전구체로부터 얻고/얻거나 얻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화된 3원 혼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가능한 잉크 수용층으로 코팅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인쇄가능한 중합체 필름:
    (a) 할로겐화된 히드로카르빌리덴
    (b)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기로 치환된 히드로카르빌리덴, 및
    (c) 비치환된 히드로카르빌리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잉크-젯 인쇄가능한 층이 각각 별도로 하기 작용기를 포함하는 3개의 중합체 전구체로부터 얻고/얻거나 얻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화된 3원 혼성 중합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필름:
    (a) 할로겐화된 히드로카르빌리덴
    (b)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기로 치환된 히드로카르빌리덴, 및
    (c) 비치환된 히드로카르빌리덴.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3원 혼성 중합체가 하기 3개의 단량체로부터 얻고/얻거나 얻을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필름:
    (a) 할로겐화된 비닐, 임의로 비닐 클로라이드,
    (b) 비닐 에스테르, 임의로 비닐 아세테이트, 및
    (c) 올레핀, 임의로 에틸렌.
  6.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아크릴릭,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잉크-젯 인쇄가능한 중합체 필름으로서, 필름이 각각 별도로 하기 작용기를 포함하는 두개의 중합체 전구체로부터 얻고/얻거나 얻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가능한 잉크 수용층으로 코팅되어 있는 잉크-젯 인쇄가능한 중합체 필름:
    (i) 할로겐화된 히드로카르빌리덴,
    (ii)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기로 치환된 히드로카르빌리덴, 및
    (iii) 비치환된 히드로카르빌리덴.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잉크-젯 인쇄가능한 층이 각각 별도로 하기 작용기를 포함하는 2개의 중합체 전구체로부터 얻고/얻거나 얻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필름:
    (i) 할로겐화된 히드로카르빌리덴,
    (ii)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기로 치환된 히드로카르빌리덴, 및
    (iii) 비치환된 히드로카르빌리덴.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하기 3개의 단량체 중 2개로부터 얻고/얻거나 얻을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필름:
    (a) 할로겐화된 비닐, 임의로 비닐 클로라이드,
    (b) 비닐 에스테르, 임의로 비닐 아세테이트, 및
    (c) 올레핀, 임의로 에틸렌.
  9.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아크릴릭,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잉크-젯 인쇄가능한 중합체 필름으로서, 필름이
    (x) PVdX 중합체 전구체; 및
    (y) 하나 이상의 할로겐화되지 않은 전기음성 기(임의로 유기기)로 치환된 올레핀 단량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화된 아크릴릭 중합체 전구체로부터얻고/얻거나 얻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비닐리덴 할라이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가능한 잉크 수용층으로 코팅되어 있는 잉크-젯 인쇄가능한 중합체 필름.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잉크-젯 인쇄가능한 층이,
    (x) PVdX 중합체 전구체; 및
    (y) 하나 이상의 할로겐화되지 않은 전기음성 기(임의로 유기기)로 치환된 올레핀 단량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화된 아크릴릭 중합체 전구체로부터 얻고/얻거나 얻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비닐리덴 할라이드 공중합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필름.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작용기화된 아크릴릭 중합체 전구체(y)가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 카르복시, 시아노 및/또는 아미드기로 치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필름.
  12. 제 11항에 있어서, 작용기화된 아크릴릭 중합체 전구체(y)가 하나 이상의 C1내지 C6히드로카르보 (임의로 C1내지 C4알킬) 및/또는 C1내지 C6히드로카르복시 (임의로 C1내지 C4알콕시)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필름.
  13. 제 12항에 있어서, 중합체 전구체(y)가 히드록시(메트)아크릴릭,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및/또는 (메트)아크릴아미드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필름.
  14. 제 9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전구체(y)의 양이 중합체의 총 건조 중량의 약 0.1% 내지 약 49%를 차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필름.
  15. 제 14항에 있어서, 중합체 전구체(y)가 비닐리딘 할라이드 공중합체의 총 건조 중량의 약 3% 내지 약 15%를 차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필름.
  16. 잉크-젯 인쇄기를 사용하여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을 인쇄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고/얻거나 얻을 수 있는 인쇄된 필름.
  18. 제 1항 내지 제 15항 및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원단(label facestock) 및/또는 그래픽 아트 디스플레이.
  19. 본원의 실시예 1 내지 11 및/또는 도 1 내지 4를 참조로 본원에 실질적으로기술된 필름.
KR10-2004-7015435A 2002-03-26 2003-03-19 인쇄가능한 필름 KR200401114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207089.4 2002-03-26
GBGB0207089.4A GB0207089D0 (en) 2002-03-26 2002-03-26 Printable film
PCT/EP2003/002868 WO2003080356A1 (en) 2002-03-26 2003-03-19 Printable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449A true KR20040111449A (ko) 2004-12-31

Family

ID=9933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435A KR20040111449A (ko) 2002-03-26 2003-03-19 인쇄가능한 필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50100687A1 (ko)
EP (1) EP1490233A1 (ko)
JP (1) JP2005520718A (ko)
KR (1) KR20040111449A (ko)
CN (1) CN1642749A (ko)
AU (1) AU2003212368A1 (ko)
CA (1) CA2479690A1 (ko)
GB (1) GB0207089D0 (ko)
WO (1) WO2003080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71805B1 (en) 2004-12-16 2009-03-11 Agfa Graphics N.V. Radiation curable ink-jet printing process using dotsize control fluid
US7575314B2 (en) 2004-12-16 2009-08-18 Agfa Graphics, N.V. Dotsize control fluid for radiation curable ink-jet printing process
GB0606458D0 (en) * 2006-03-31 2006-05-10 Innovia Films Ltd Printable film
US7985483B2 (en) * 2006-11-16 2011-07-26 Smarthealth, Inc. Digital printing of low volume applications
WO2010005452A1 (en) * 2008-07-10 2010-01-14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mposition, film and related methods
US9752022B2 (en) 2008-07-10 2017-09-05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mposition, film and related methods
EP2353881A1 (en) * 2010-02-08 2011-08-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intable film
RU2571140C2 (ru) 2010-03-04 2015-12-20 Авери Деннисон Корпорейшн Не содержащая пвх пленка и не содержащая пвх многослойная пленка
US20130209758A1 (en) * 2010-04-12 2013-08-15 Anne P. CAMPEAU Coating for Polymeric Labels
CN102476503A (zh) * 2011-07-29 2012-05-30 深圳光启高等理工研究院 一种基于高分子材料的微结构的制备方法
JP2015509873A (ja) 2012-02-20 2015-04-02 エーブリー デニソン コーポレイションAvery Dennison Corporation 多目的インクジェットシステム用多層フィルム
US10183099B2 (en) 2013-10-07 2019-01-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timicrobial and antifouling catechol-containing polycarbonates for medical applications
US20150183544A1 (en) 2013-12-30 2015-07-02 Avery Dennison Corporation Label Application System
US9919551B2 (en) 2014-02-19 2018-03-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able medium
DK3576961T3 (da) * 2017-02-03 2021-04-19 Xylo Tech Ag Pvc-kunststofpanel
EP3628504B1 (en) * 2018-09-28 2023-09-13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thod,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ed matter
EP3963405A1 (en) 2019-05-02 2022-03-0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inting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multilayer film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8687A (en) * 1984-10-31 1987-07-07 Xerox Corporation Thermal transfer printing sheets containing certain coating compositions thereof
US4686549A (en) * 1985-12-16 1987-08-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ceptor sheet for thermal mass transfer printing
WO2000041890A1 (en) * 1999-01-12 2000-07-20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Receiver medium for ink jet printing
US6316120B1 (en) * 1999-02-20 2001-11-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mage receptor medium containing ethylene vinyl acetate carbon monoxide ter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80356A1 (en) 2003-10-02
CN1642749A (zh) 2005-07-20
GB0207089D0 (en) 2002-05-08
JP2005520718A (ja) 2005-07-14
CA2479690A1 (en) 2003-10-02
EP1490233A1 (en) 2004-12-29
US20050100687A1 (en) 2005-05-12
AU2003212368A1 (en)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11449A (ko) 인쇄가능한 필름
US4474850A (en) Ink jet recording transparency
KR100645859B1 (ko)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일산화탄소 삼원공중합체를함유하는 화상 수용체 매체
KR20010070263A (ko) 코팅 필름
JP2008213199A (ja) 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容器、容器の製造方法
US8455064B2 (en) UV inkjet printed substrates
WO1997017207A1 (en) Ink jet printing sheet
JP2009073171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用染料受容層組成物
JP568988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
WO2006080410A1 (ja) 熱転写受容シート
JP2008105356A (ja) インクジェット用受像層転写シート
WO1996008377A1 (en) Ink jet printing sheet
MXPA97001762A (en) Sheet for printing with it jet
US20040126507A1 (en) UV inkjet printed substrates
EP1476312A1 (en) Polyvinylpyridine image receptive material
JP4013808B2 (ja) インクジェット受容シート
US10858530B2 (en) Inkjet receiving media
US10858529B2 (en) Aqueous pre-treatment compositions for inkjet printing
JP2021535000A (ja) 水性前処理組成物及びそれから調製される物品
GB2380695A (en) Recording material
KR100478534B1 (ko) 화이트 보드 기능이 부가된 출력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H01280580A (ja) 被記録材
US10730331B2 (en) Method for providing inkjet receiving media
JP311264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H0776178A (ja) 熱転写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