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1204A - 용광로 헤드 또는 용광로 투입구 시일 - Google Patents

용광로 헤드 또는 용광로 투입구 시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1204A
KR20040111204A KR1020040046248A KR20040046248A KR20040111204A KR 20040111204 A KR20040111204 A KR 20040111204A KR 1020040046248 A KR1020040046248 A KR 1020040046248A KR 20040046248 A KR20040046248 A KR 20040046248A KR 20040111204 A KR20040111204 A KR 20040111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furnace
rotary
measuring device
furnac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르조스카엑케하드
일니히프란쯔요셉
파울루스프리드헴
Original Assignee
제트 운트 요트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 운트 요트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 운트 요트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11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20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33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charging of particulat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 C21B7/20Bell-and-hopper arrangements with appliances for distributing the burd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0Arrangements of devices for 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6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25Charging or loading melting furnaces with material in the solid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25Charging or loading melting furnaces with material in the solid state
    • F27D3/0032Charging or loading melting furnaces with material in the solid state using an air-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광로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용광로 헤드(11)는 제1 수직회전축(16)을 중심으로 회전구동되는 회전식 슈트(14)와, 재료투입장치의 배출구에서 제1 회전축(16)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오프셋된 제2 수직회전축(17)을 중심으로 회전구동되는 투입 슈트(15)를 포함한다. 양 슈트들(14, 15)에 배정된 기어들(20, 21)은 밀봉 챔버(22) 내부에 배치된다. 이 밀봉 챔버(22) 내부에는, 통합측정장치(29 또는 30), 윤활 지점들 또는 이와 유사한 유지관리 대상들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28)이 구비되고, 이러한 공급수단(28)은 두 슈트들에 배정된 기어들(20, 21) 중 하나, 특히 회전식 슈트(14)에 배정된 기어(20)에 의해 구동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능적으로 안전한 재료투입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필요한 경우 그 작용을 확인할 수 있는 용광로 헤드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광로 헤드 또는 용광로 투입구 시일{FURNACE HEAD OR FURNACE THROAT SEAL}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preamble) 또는 청구항 2의 전제부에 따른 용광로 헤드(furnace head) 또는 용광로 투입구(furnace throat) 시일(seal)에 관한 것이다.
용광로(shaft furnace or blast furnace)에 장입물(charge)을 투입하기 위하여, 다수의 다양한 투입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장입물을 샤프트 단면에 걸쳐 고르게 배분하기 위해서, 용광로 축에 대해 편심되어 배치된 동등하게 회전가능한 배분기를 포함하여 회전가능한 용광로 투입구 시일들이 이미 수십년 전에 제안되었다. 이러한 투입장치에 의해, 배분기의 오리피스(orifice)가 두 개의 중첩된 원형 경로상에서 샤프트 단면 위로 안내된다는 점에서, 두드러진 원추 덩어리를 형성하지 않고서 높은 정도의 균일한 투입을 할 수 있게 된다.
EP 00 65 084 B1로부터, 회전식 슈트(chute)가 알려져 있으며, 상기 회전식 슈트는 상호 수직인 두 개의 축들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슈트가 선회되는 중심을 이루는 축들 중 하나는 슈트의 서스펜션 축이고, 제2의 축은 슈트의 길이방향 축이다. 이 장치는 용광로에 장입물이 균일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며, 이러한 회전식 슈트에서 투입의 균일도를 제어하려는 것은 전혀 가능성이 없다.
DE 295 15 419 U1에서 알려진 것과 다소 다른 설비는, 회전구동가능한 원통형 하우징, 반경방향 크기가 다르고 하우징의 배출구에 연결된 여러 투입 슈트들, 및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슈트의 단부가 투입 슈트와 통해 있고 하우징과 함께 회전가능하며, 하우징 내부에서 조절가능하고, 투입 슈트에의 할당량이 선택가능한 배분 슈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설비에 의해, 투입 프로파일(profile)을 특별히 조절할 수 있지만, 이는 건설 및 재료비용에 관한 한 비교적 비싸다.
DE-PS 868 913으로부터, 다르게 구성된 용광로용 투입장치들이 알려져 있는데, 그 핵심부분은 가져올 재료를 용광로의 가장자리까지 안내하는 트렁크 모양의 배출구를 갖는 제1 호퍼(hopper), 및 수직인 배출구를 갖는 제2 호퍼이며, 제2 호퍼는 투입 재료를 용광로의 중앙을 향하여 공급한다. 또한, 이 설비는 재료의 소모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덧붙여서 다양한 투입 재료들로부터의 투입 프로파일의 원하는 조절을 매우 제한된 방식으로만 가능하게 한다.
DE-AS 1 169 474로부터 알려진 또 다른 회전가능 투입장치는 원의 주변 위에 펼쳐진 다수의 배분 슈트들과, 덧붙여서 중앙에 가까운 배분 슈트, 및 외부 배분 슈트를 포함하며, 이들은 전부 다 적절하게 안내되는 호퍼 슈트로 채워진다. 이 설비에서는, 샤프트 단면의 원하는 지점을 향하여 오리피스를 자유로이 선택하여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 장치는 또한 건설 및 재료에 관한 한 비싸다.
마지막으로, 본 출원인의 DE 199 29 180 C2에 따른 투입장치를 참조한다. 이 투입장치는 공간절약 및 재료절약형이다. 이 장치는 용광로의 용광로 투입구 또는 용광로 셸(shell)에서 극히 균일한 재료의 배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출발하여, 본 발명은 기능적으로 안전한 재료 투입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필요한 경우 그 작용을 확인할 수 있는 용광로 헤드를 만들어낸다는 목적에 기초를 두고 있다.
도 1은 재료 벙커(material bunker)가 위쪽에 배치된 용광로 헤드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조 내부에서 에너지/데이터 소스와 측정장치(센서들) 사이의 에너지 및/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바람직한 수단을 개략적인 단면도로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광로 헤드 11 : 용광로 셸(용광로 투입구)
12 : 재료 벙커 13 : 이송설비
14 : 회전식 슈트 15 : 투입 슈투
16,17 : 회전축 18,19 : 화살표
20,21 : 기어 22 : 밀봉 챔버
23 : 플레이트(열차폐 피복) 24 : 표면 윤곽
25 : 재료 26 : 화살표
27 : 서브랜스 28 : 공급수단
29,30 : 측정장치 31 : 직류발전기
32 : 윤활유펌프 33 : 피니언
34 : 윤활유공급라인 35 : 하우징
36 : 디스크 37 : 아암
38,39 : 전력라인 40 : 축
41 : 화살표 42 : 플랫폼
43 : 링킹 로드 44 : 링 디스크
45 : 회전식 플레인 베어링 46 : 플랜지 플레이트
47 : 상부 코일 48 : 전기 및 전자 장치
49 : 화살표 50 : 하부 코일
51 : 전기 및 전자 장치 52,53 : 센서
54 : 하우징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위한 한 가지 해결방법은, 단지 하나의 회전식 슈트만이 존재한다면, 회전식 슈트의 활동영역 내에 배치된 측정장치들, 윤활지점들 또는 이와 유사한 유지관리 대상들(maintenance recipients)을 제공하는 장치가 구비되고, 이 제공장치는 회전식 슈트에 배정된 기어에 의해 구동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기어는 다기능을 갖는다는 사실로부터 유래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 장치는 게다가 측정장치들, 윤활펌프들 등에 대하여 에너지 흐름을 바꾸는데 사용된다. 에너지 흐름을 바꾸는 것(channelling off of energy)은 필요한 경우 분출 가스에 의해 작용을 받게 되는 둘러싸인 하우징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회전식 및 배분기 슈트 또는 투입 슈트의 구성에서, 공급수단을 두 개의 슈트에 배정된 기어들 중 하나, 특히 회전식 슈트에 배정된 상부 기어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슈트들에 배정된 두 기어들은 공급수단과 함께 방진 및 방열 밀봉 챔버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극히 콤팩트함과 또한 측정장치들, 윤활지점들 따위에 장기간에 걸쳐 기능적으로 안전한 공급을 보장하게 된다. 공급수단은 측정장치에 전류를 공급하는 직류발전기(dynamo) 및/또는 두 개의 기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펌프, 특히 회전식 슈트에 배정된 상부 기어로부터 투입 슈트에 배정된 하부 기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펌프이다. 무엇보다도, 투입 재료에 더 가까이 위치된 기어, 즉 하부 기어로의 윤활유 공급은 그 주변의 높은 온도 때문에 극히 중요하다. 능동적인 윤활유 공급이 없이는, 기어, 즉 일반적으로 이가 형성된 기어가 건조되고 마모 및 파열의 증가에 처하게 되는 위험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공급과 먼지로부터의 보호를 보장하는 밀봉 챔버 내부에의 기어 배치 덕분에, 기어의 마모와 파열은 상당히 감소되어 이에 따라 수명이 더 길어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시점에서, 밀봉 챔버는 분출 가스에 의해 작용을 받아 챔버 내부를 먼지 없는 구역으로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덧붙이고자 한다.
측정장치는 용광로의 투입구와 대향하는 밀봉 챔버 하측에, 특히 여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암(arm) 또는 디스크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구조적으로 단순하기 때문에 특히 세련된 방법이, 측정장치를 회전구동되는 투입 슈트에 연결된 아암상에 배치하는데 있다. 이 때문에, 측정장치용의 별도의 회전구동부는, 이러한 회전식 구동부가 측정장치에 의해 원하는 방식으로 용광로의 전체 단면을 "훑거나" 검출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한에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측정장치는 IR(적외선) 센서, 온도 센서 및/또는 레이다 탐침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충전된 재료의 표면 윤곽의 측정(프로파일 미터) 및/또는 재료 투입 챔버 내부 또는 용광로 투입구에서 온도, 압력, 기체 조성 따위의 측정을 하는데 사용된다.
회전식 슈트의 정지시에도 측정장치의 전력공급을 보장하기 위하여, 전력공급은 필요한 경우 상기 직류발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완충 배터리를 통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장치의 지극히 뜨겁고, 강렬하며, 먼지가 많은 환경 때문에, 측정장치에 의해 생성된 측정신호의 평가 및 표시수단, 특히 용광로 헤드 외부에 배치된 모니터로의 전송은 무선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고장에 대비한 이중안전장치가 되고 마모가 없는 측정장치의 에너지 공급 및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은 필요한 에너지와 데이터를 유도(induction)에 의해 전송하는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전송이 접촉없이 이루어진다는 사실 때문에, 간섭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배터리 및/또는 발전기(generator or dynamo)를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광로 헤드의 일 실시예를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용광로 헤드는 첨부도면에서 도면부호 10으로 지시된다. 이 용광로 헤드는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용광로의 용광로 셸(11) 또는 용광로 투입구 위쪽에 위치된다. 용광로 헤드 위로는, 소위 재료 벙커(12)가 위치되고, 이 안으로 벌크 재료가 이송설비(13)를 통해 채워진다. 재료 벙커(12)로부터 회전식 슈트(12) 및 배분기 또는 투입 슈트(15)를 통한 용광로 투입구(11)의 투입이 이뤄진다. 회전식 슈트(14)는 제1 회전축(17) 중심으로 회전구동된다. 배출구에서, 즉 회전식 슈트(14)의 하단부에서, 배분기 또는 투입 슈트는 제1 회전축(16)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수직의 제2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회전구동되도록 장착된다. 상술한 슈트들 각각의 회전운동은 화살표들(18, 19)에 의해 지시된다.
양 슈트들(14, 15)의 회전구동부는 온도 및 방진을 이유로 컵모양의 밀봉 챔버(22)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배정된 기어들(20, 21)에 의해 이루어진다. 더욱이 회전식 슈트(14)에 배정된 상부 기어(20)는 전력구동부에 접속되나 본 도면에는 더욱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다. 게다가, 하부 배분기 및 투입 슈트(15)로의 회전운동의 전달은, 회전식 슈트(14)에 배정된 기어(20)와 투입 슈트(15)에 배정된 기어(21) 사이의 기어결합을 통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식 슈트(14)에 대해 상대적으로 발생하는데, 역시 더욱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DE 199 29 180 C2에 기재되어 있는 구조를 참조한다.
밀봉 챔버(22)의 하측은 특히 내열성의 플레이트(23)에 의해 폐쇄된다. 이플레이트는 일종의 열차폐 피복을 나타낸다. 이 플레이트는 또한 투입 슈트(15)에 배정된 기어(21)의 하우징을 둘러싼다.
여기에서, 종래에는, 용광로 투입구(11) 안으로 채워진 재료(25)의 표면 윤곽(24)의 측정이 용광로 투입구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는 서브랜스(sublance)에 의해 수행된다는 점에 또한 유의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서브랜스를 화살표(26)의 방향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용광로 투입구의 상단부에서 통로 개구부들이 필요하다. 서브랜스는 첨부도면에서 도면부호 27로 지시된다. 이런 종류의 측정은 힘이 든다는 것이 명백하다. 특히, 서브랜스가 용광로의 투입구의 상단부에서 인력에 의해 도입되어야 한다는 사실 때문에 이는 서비스 인력에게도 또한 유쾌하지 않은 일이다. 서브랜스의 도입 또는 회수시에, 재료는 랜스(lance) 위로 넘칠 것이며, 이는 마모와 파열을 가져온다. 또한 누출이 불가피한데, 이는 서비스 인력에게 불쾌할뿐더러 극단적인 경우 상해를 유발할 수도 있다. 더욱이, 종래의 서브랜스들은 용광로 투입구의 가장자리 영역들의 정확한 검출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들은 종종 재료 덩어리의 그늘 속에 있다. 이에 따라, 측정장치들을 용광로 헤드 내에 위치시킬 강력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더욱이, 이러한 측정장치들에는 물론 전류가 공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슈트들(14, 15)에 배정된 기어들, 특히 슈트(15)에 배정된 하부기어로의 윤활유 공급은 영구적으로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서 실질적인 관심사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단(28)이 밀봉 챔버(22) 내부에 배치되어 통합측정장치(29 또는 30), 윤활지점들, 예를 들어 하부 기어(21), 또는 이와 유사한 유지관리 대상들에 공급하며, 이 공급수단(28)은 회전식 슈트(14)에 배정된 상부 기어(20)에 의해 구동된다. 현재의 경우, 공급수단(28)은 직류발전기(31)와, 윤활펌프(32)로 이루어진다. 직류발전기뿐 아니라 윤활펌프는 적합한 기어들을 통하여 회전식 슈트(14)에 배정된 기어(20)에 연결된다. 이러한 기어 결합은 첨부도면에서 톱니바퀴 또는 피니언(33)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상부 기어(20)의 기어박스로부터 공급라인(34)을 통하여 투입 슈트(15)에 배정된 하부 기어(21)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이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공급라인은 회전식 슈트(14)에 배정된 기어(20)의 하우징(35)으로부터 윤활유펌프(32)를 통해 공급된다.
측정장치(29 또는 30)는 용광로의 투입구(11)와 대향하는 밀봉 챔버(22)의 하측에, 즉 여기에 회전식으로 설치된 디스크(36)상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회전구동되는 투입 슈트에 연결된 아암(37) 상에 배치된다. 직류발전기(31)와 측정장치(29 또는 30) 사이의 전력공급은 각각의 전력라인(38 또는 39)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열차폐 피복(23)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디스크(36)는 수직축(40)(화살표(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구동은, 열차폐 피복(23)의 내부에 배치되고 직류발전기(31)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모터를 통해, 또는 회전식 슈트(14)에 배정된 기어(20)와의 추가적인 기어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투입 슈트(15)에 배정된 기어(21)와 회전식 디스크(36) 사이의 기어 결합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기어 결합들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물론 측정장치(29)를 투입 슈트(15)에 연결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며, 투입 슈트(15)는 어떤 경우든 수직축(17)을 중심으로 회전구동된다. 이와 유사하게 측정장치(29)가 그 후에 축(17)을 중심으로 회전할 것이며, 이러한 회전운동은 회전식 슈트(14)의 중심축(16)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에 의해 중첩되어, 측정장치(29)에 의한 용광로 투입구(11) 단면의 완전한 스캐닝이 이루어진다. 측정장치(30)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하며, 이는 디스크(36)가 축(40)뿐만 아니라 축(16)을 중심으로도 열차폐 피복(23)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정장치(30, 또한 두 개의 중첩된 회전운동을 만든다. 열차폐 피복(23)은 수직축(1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식 슈트(14)에 설치된다는 점을 여기서 유의해야 한다.
시작부분에서 이미 언급한 바대로, 측정장치(29 또는 30)는 IR 센서, 온도 센서, 압력 센서 및/또는 레이다 탐침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센서들 또는 탐침들에 의해, 채워진 충전 재료(25)의 표면 윤곽(24)이 완전히 표본화될 수 있다. 덧불여서 또는 이와 다른 방법으로, 온도, 압력, 기체 조성 등을 재료 투입 챔버 또는 용광로 투입구(11) 내에서 측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시작부분에서 언급한 이유 때문에, 측정장치(29 또는 30)의 전력공급은 완충 배터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장치(29 또는 30)에 의해 생성된 측정신호들을 용광로 헤드 외부에 배치된 평가 및 표시 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은 무선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마찬가지로, 종래의 측정신호 전송방식도 가능하며, 이는 특히, 어찌됐건 케이블들을 통하여 직류발전기(31)로부터 측정장치로의 전력공급(전력라인 38 또는 39)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공급수단(31, 32)뿐 아니라 공급라인들(34, 38, 39)은 방열 및 방진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는 장기간에 걸친 고도의 작동안정성에 의해 차이를 나타낸다. 용광로 헤드(10)의 상측 높이에 있는 소위 플랫폼(42)보다 아래쪽의 용광로 투입구에의 접근은 필요하지 않는다. 모든 검사, 교체작업 및 수리는 상기 플랫폼(42)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는, 밀봉 챔버(22)의 상측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위 맨홀(manhole)이 용광로 헤드(10)의 상부 커버에, 또는 용광로 헤드 안으로 삽입된 밀봉 챔버(22)에 구비되며, 상기 맨홀을 통하여 밀봉 챔버(22)에 접근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밀봉 챔버는 용광로 투입구(11)로부터의 만지와 지나친 고열로부터 보호된다.
현재의 경우, 밀봉 챔버(22)의 구성이 또한 발명으로서 청구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공급수단(28)과는 독립적으로 및 공급수단(28)에 종속적으로 발명으로서 청구된다는 점을 이 시점에서 유의해야 한다. 먼지 및 온도 보호체로서 밀봉 챔버의 유리한 효과는 시작부분에서 이미 언급하였다. 더욱이, 열차폐 피복(23)이 회전식 슈트(14)와 함께 수직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는 점을 위에서 지적하였다. 이러한 목적에서, 링킹 로드들(linking rods)(43)이 열차폐 피복(23)과, 역시 축(16)을 중심으로 회전식 슈트(14)와 함께 회전하는 링 디스크(44) 사이에 구비된다. 링 디스크(44)는 회전식 슈트(14)에 배정된 기어(20)의 영역에서 회전식슈트(14) 둘레로 연장된다. 열차폐 피복(23) 또한 투입 슈트(15)에 배정된 기어(21)를 둘러싼다. 따라서, 투입 슈트(15)는 한편으론 제1 수직축(16)을 중심으로, 덧붙여서 다른 한편으론 제2 수직축(17)을 중심으로도 열차폐 피복(23)과 함께 회전한다. 열차폐 피복(23)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밀봉 챔버(22)의 하측 개구부 가장자리에서 유밀(流密) 방식으로 가장자리측에 설치된다. 상응하는 회전식 플레인 베어링이 첨부도면에 도면부호 45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장치의 에너지공급과 측정장치로의 및 측정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은 유도(induction)에 의해 이루어진다. 부속되는 구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부 고정 플랜지 플레이트(46), 예를 들어 용광로 헤드 또는 소위 용광로 투입구에 상부 코일(47)이 배치되며, 상부 코일(47)에는 상응하는 전기 및/또는 전자 장치들(48)(이하 줄여서 전자장치(48)로 칭함)에 의해 에너지 및/또는 데이터가 공급된다. 용광로 헤드의 회전부(화살표(49)에 의해 도시됨)에서, 하부 코일(50)이 공기 틈새에 의해 상부 코일(47)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48)에 의해 에너지와 데이터가 공급되는 상부 코일(47)은 에너지/데이터를 유도적으로 하부 코일(5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전송된 에너지/데이터는 전기 또는 전자 장치들(51)(이하 줄여서 전자장치(51)로 칭함)과 센서들(53)에 대한 전압공급 또는 에너지공급으로 사용되는데, 이들은 용광로 헤드의 회전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터리 및/또는 발전기는 불필요한 것으로 되며, 이러한 사실은 용광로 헤드에서의 유지관리 작업을 감소시킨다.
센서들(52, 53)의 측정 데이터는 전자장치(51)에서 준비되고 하부 코일(50)을 통하여 상부 코일(47)로 유도적으로 전송된다. 추가적인 처리를 위하여, 측정 데이터는 곧이어 전자장치(48)로 보내지며, 전자장치(48)는 데이터를 평가하고, 이후에 배치된 평가수단이 추가적인 처리를 위한 표준적인 신호로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데이터는 전자장치(48)로부터 전자장치(51)로 전송되며, 이는 예를 들어 센서들(52, 53) 또는 전자장치(51)에 대한 명령과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방향 데이터 흐름은 장치의 높은 유연성을 보장한다.
상부 및 하부 코일들(47, 50)은 하우징(54) 내부에 배치되어 코일들을 용광로 투입구 내부의 강렬한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때, 하우징(54)은 회전구동부 및/또는 회전구동부와 하부 코일(50)(도 2에서만 부분적으로 도시됨) 사이의 기어 결합을 또한 둘러싼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하우징에 의해 보호된다. 이 하우징 또한 분출 가스에 의해 작용을 받아서 내부를 먼지 없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용광로 헤드의 개개의 구조에서 보다 쉽게 실현될 수 있다면, 개개의 구성요소들, 즉, 코일들, 회전구동부 및/또는 회전구동부와 하부 코일(50) 사이의 기어결합부가 각각 별도의 하우징들에 의해 보호된다는 것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출원서류에서 개시된 모든 특징들은 종래 기술에 대하여 신규한 것인 한도에서는 개별적으로든 또는 조합을 이루어서든 발명과 관계있는 것으로 주장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능적으로 안전한 재료투입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필요한 경우 그 작용을 확인할 수 있는 용광로 헤드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수직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회전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식 슈트(16)을 구비한 재료투입장치를 포함하며,
    회전식 슈트(14)의 능동 영역에 배치된 측정장치들(29 또는 30), 윤활 지점들 또는 이와 유사한 유지관리 대상들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28)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수단(28)은 회전식 슈트(14)에 배정된 기어(20)에 의해 구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헤드 또는 용광로 투입구 시일(11).
  2. 제1 수직회전축(16)을 중심으로 회전구동되는 회전식 슈트(14)와, 제1 회전축(16)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제2 수직회전축(17)을 중심으로 회전구동되는 배분기 또는 투입 슈트(15)를 구비한 재료투입장치를 포함하며,
    회전식 슈트 및/또는 배분기 슈트의 능동 영역에 배치된 측정장치들(29 또는 30), 윤활 지점들 또는 이와 유사한 유지관리 대상들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28)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수단(28)은 두 슈트들에 배정된 기어들(20, 21) 중 하나, 특히 회전식 슈트(14)에 배정된 기어(20)에 의해 구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헤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식 슈트(14)에 배정된 기어들(20, 21) 및, 배분기 슈트(15)에 배정된 기어들이 존재하는 경우 배분기 슈트(15)에 배정된 기어들(20, 21)은 용광로 투입구(11)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밀봉되어 있으며, 상응하는 밀봉 챔버(22)는 분출 가스에 의해 작용을 받고, 공급수단은 상기 밀봉 챔버(22)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헤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수단(28)은 측정장치(29 또는 30)에 전류를 공급하는 직류발전기(31), 및/또는 두 기어 모두(20, 21)에, 특히 회전식 슈트(14)에 배정된 상부 기어(20)의 하우징(35)으로부터 투입 슈트(15)에 배정된 하부 기어(21)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펌프(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헤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장치(29 또는 30)는 용광로의 투입구(11)와 대향하는 밀봉 챔버(22)의 하측에, 특히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암 또는 디스크(36) 상에, 바람직하게는 회전구동되는 투입 슈트(15)에 연결된 외팔보 또는 아암(37)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헤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장치(29 또는 30)는, 충전 재료(25)의 표면 윤곽(24)의 측정 및/또는 재료투입챔버 또는 용광로 투입구 내의 온도, 압력, 기체 조성 따위의 측정에 사용되는 IR 센서, 온도 센서, 압력 센서 및/또는 레이다 탐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헤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측정장치(29 또는 30)의 전력공급은 완충 배터리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헤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장치(29 또는 30)에 의해 생성된 측정신호들을 용광로 헤드(11) 외부에 배치된 평가 및 표시 수단(모니터)으로 전송하는 것은 무선방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헤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장치의 에너지 공급 및/또는 측정장치로의 및 측정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은 유도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헤드.
  10. 제9항에 있어서, 한편으론 고정 플랜지 플레이트에서, 다른 한편으론 용광로 헤드의 회전부에서, 각 경우에 코일들(47, 50)이 공기 틈새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되고, 각각은 전기 및/또는 전자 장치(48, 5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헤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코일들(47, 50)은 코일들뿐 아니라, 회전구동부 및/또는 회전구동부와 코일(50)간의 기어결합들이 있는 경우 이들까지도, 용광로 투입구 내부의 강렬한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하우징(54)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헤드.
KR1020040046248A 2003-06-20 2004-06-21 용광로 헤드 또는 용광로 투입구 시일 KR200401112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27931.8 2003-06-20
DE10327931 2003-06-20
DE10334417.9 2003-07-28
DE10334417A DE10334417A1 (de) 2003-06-20 2003-07-28 Ofenkopf bzw. Gichtverschlu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204A true KR20040111204A (ko) 2004-12-31

Family

ID=3343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248A KR20040111204A (ko) 2003-06-20 2004-06-21 용광로 헤드 또는 용광로 투입구 시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948930B2 (ko)
EP (1) EP1493827A1 (ko)
JP (1) JP2005009855A (ko)
KR (1) KR20040111204A (ko)
CN (1) CN100513584C (ko)
BR (1) BRPI0401959A (ko)
CA (1) CA2471549A1 (ko)
DE (1) DE10334417A1 (ko)
ES (1) ES2241510T1 (ko)
RU (1) RU2353874C2 (ko)
TR (1) TR200502591T3 (ko)
UA (1) UA82656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945A2 (ko) 2011-09-20 2013-03-28 Noe Ye-Sol 2중 코팅 캡슐 구조를 이용한 침수라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372B1 (ko) * 2003-07-09 2010-10-04 주식회사 포스코 용광로 장입 분배슈트의 구동장치
EP1870651A1 (en) * 2006-06-21 2007-12-26 Paul Wurth S.A. Charging device for a shaft furnace
EP1935993A1 (en) * 2006-12-18 2008-06-25 Paul Wurth S.A. A rotary charging device for a shaft furnace
CN102277458B (zh) * 2011-07-26 2013-04-24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料罐进料方法及进料装置
CN102519243B (zh) * 2011-11-14 2013-11-27 姚立猛 冲天炉的加料系统
CN104762431B (zh) * 2015-04-21 2016-08-24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小摆臂的高炉炉顶布料器
CN105180669B (zh) * 2015-10-21 2017-02-22 大连华锐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埋弧电炉定量防爆加调整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252C (de) 1920-01-27 1921-03-12 Rudolf Cott Vorrichtung zum Veraendern der Drehzahl einer umsteuerbaren Kraftmaschine
DE868913C (de) * 1943-11-20 1953-03-02 Koelsch Foelzer Werke Ag Begichtungseinrichtung fuer Hochoefen
DE1169474B (de) * 1959-09-07 1964-05-06 Rheinische Kalksteinwerke Drehbare Begichtungseinrichtung eines fortlaufend mit ebenem Spiegel zu fuellenden Schachtes, insbesondere eines Hochofens
JPS5113724B2 (ko) * 1973-03-26 1976-05-01
LU74321A1 (ko) * 1976-02-09 1976-08-13
LU75564A1 (ko) * 1976-08-06 1977-03-28
JPS5930764B2 (ja) * 1977-03-23 1984-07-28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炉頂装入装置
LU77547A1 (ko) * 1977-06-16 1977-09-19
LU80112A1 (ko) * 1978-08-16 1979-01-19
LU80630A1 (fr) * 1978-12-08 1979-04-09 Wurth Anciens Ets Paul Procede et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US4219814A (en) * 1978-12-26 1980-08-26 Rca Corporation Scanning radar
LU81158A1 (fr) * 1979-04-13 1979-06-19 Wurth Paul Sa Dispositif de montage d'une sonde radar pour fours a cuve
JPS56108809A (en) * 1980-01-31 1981-08-28 Toshiba Corp Measuring apparatus of deposit profile in blast furnace
LU83279A1 (fr) * 1981-04-03 1983-03-24 Wurth Paul Sa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LU83370A1 (fr) * 1981-05-18 1983-03-24 Wurth Paul Sa Dispositif de commande du mouvement d'une goulotte oscillante et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equipe d'un tel dispositif
LU84520A1 (fr) * 1982-12-10 1984-10-22 Wurth Paul Sa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d'une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JPS59107010A (ja) * 1982-12-13 1984-06-21 Nippon Steel Corp 高炉装入装置の潤滑装置
EP0134772A1 (fr) * 1983-07-19 1985-03-20 CENTRE DE RECHERCHES METALLURGIQUES CENTRUM VOOR RESEARCH IN DE METALLURGIE Association sans but lucratif Procédé de mesure de la carte topographique de la charge d'un four à cuve
LU84992A1 (fr) * 1983-09-07 1985-06-04 Wurth Paul Sa Dispositif pour la determination du profil de la surface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JPS61272585A (ja) * 1985-05-24 1986-12-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ベルレス式炉頂装入装置
JPS61197491U (ko) * 1985-05-31 1986-12-09
LU87341A1 (fr) * 1988-09-22 1990-04-06 Wurth Paul Sa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JPH06273073A (ja) * 1993-03-23 1994-09-30 Murata Mfg Co Ltd 積載崩れ検知装置
JPH0762411A (ja) * 1993-08-26 1995-03-07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原料装入方法
LU88429A1 (fr) * 1993-11-23 1995-07-10 Wurth Paul Sa Dispositif de chargement d'un four à cuve
LU88494A1 (fr) * 1994-06-08 1996-02-01 Wurth Paul Sa Dispositif de chargement à goulotte rotative pour un four à cuve
DE29515419U1 (de) * 1995-07-14 1995-11-16 Zeisel Peter Dipl Ing Drehschurre zum Beschicken eines Schachtofens
SE507247C2 (sv) * 1996-03-29 1998-04-27 Ssab Oxeloesund Ab Beskickningsanordning för en masugn
JPH10103934A (ja) * 1996-09-30 1998-04-24 Sumitomo Metal Ind Ltd 装入物プロフィール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LU90013B1 (de) * 1997-01-29 1998-07-30 Wurth Paul Sa Vorrichtung zum direkten Beobachten des Beschickungsvorgangs im Innern eines Schachtofens
LU90294B1 (fr) * 1998-10-06 2000-04-07 Wurth Paul Sa Dispositif de répartition de matières en vrac
DE19929180C2 (de) * 1999-06-25 2001-08-09 Zimmermann & Jansen Gmbh Beschickungsvorrichtung für einen Schachtofen
LU90642B1 (fr) * 2000-09-20 2002-03-21 Wurth Paul Sa Dispositif de r-partition de mati-res en vrac avec goulotte rotative - angle d'inclinaison
JP3501146B2 (ja) * 2001-01-19 2004-03-02 ヘレウス・エレクトロナイト株式会社 ノイズ環境下での測温方法及び測温装置
LU90863B1 (en) * 2001-12-13 2003-06-16 Wurth Paul Sa Charging device with rotary chu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945A2 (ko) 2011-09-20 2013-03-28 Noe Ye-Sol 2중 코팅 캡슐 구조를 이용한 침수라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41510T1 (es) 2005-11-01
DE10334417A1 (de) 2005-01-05
BRPI0401959A (pt) 2005-01-25
CN100513584C (zh) 2009-07-15
TR200502591T3 (tr) 2005-09-21
UA82656C2 (uk) 2008-05-12
EP1493827A1 (de) 2005-01-05
RU2004117326A (ru) 2006-01-10
US20040265766A1 (en) 2004-12-30
US6948930B2 (en) 2005-09-27
JP2005009855A (ja) 2005-01-13
CA2471549A1 (en) 2004-12-20
RU2353874C2 (ru) 2009-04-27
CN1616685A (zh)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11204A (ko) 용광로 헤드 또는 용광로 투입구 시일
EP1453983B1 (en) Charging device with rotary chute
US6481946B1 (en) Device for dispensing bulk materials
CA2893719C (en) Mounting configuration for thermocouple temperature detector on kneader for high viscosity kneading material
US20220356539A1 (en) Shaft furnace condition monitoring
US6390268B1 (en) Device for dispensing bulk materials
EP2875297B1 (en) Rotary charging device for shaft furnace
KR102019440B1 (ko) 고로용 회전식 장입 장치
CN204830829U (zh) 一种多功能回转式电炉
US5426968A (en) Arrangement for determining the tension in a chain used in a mineral mining installation
US6261513B1 (en) Device for directly monitoring the charging process on the inside of a shaft furnace
KR100860318B1 (ko) 가스홀더의 실링장치
CN220130965U (zh) 一种下料闸
KR100931652B1 (ko) 고로 노정의 살수 노즐 각도 조정장치
US20160377226A1 (en) Automatic lubrication device
JP2001113149A (ja) 混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