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8561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8561A
KR20040108561A KR1020040037422A KR20040037422A KR20040108561A KR 20040108561 A KR20040108561 A KR 20040108561A KR 1020040037422 A KR1020040037422 A KR 1020040037422A KR 20040037422 A KR20040037422 A KR 20040037422A KR 20040108561 A KR20040108561 A KR 20040108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layer
hydrophilic
heat
fibers
sea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8909B1 (ko
Inventor
다나까마사히또
기가따데쯔유끼
나가하라신스께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8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2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texti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9/00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 B41F19/008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with means for stamping or cutting out

Abstract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 (1) 은 액흡수성의 부직포 (2) 와, 상기 부직포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된 액불투과성 샘방지 시트 (7) 를 구비한다. 부직포 (2) 는 열융착성 섬유층 (5) 과 그 양면에 적층된 친수성 섬유층 (3, 4) 을 갖고 있다. 열융착성 섬유층 (5) 은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구성섬유끼리가 열융착된 접합점을 가지고 있다. 부직포 (2) 의 피부 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 (3) 을 구성하는 친수성 섬유의 일부가 열융착성 섬유층 (5) 에 파고들어 상기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구성섬유와 교락(交絡)하고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 특히 팬티라이너 (직물 시트) 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이나 팬티라이너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피부에 대한 감촉성의 관점에서 표면재로서 면섬유를 수류(水流) 교락(交絡)한 부직포 (면 스펀레이스 부직포) 가 종종 사용되고 있지만, 면의 친수성에 의해, 액을 흡수했을 때 표면에 유지하여 젖은 느낌이나 달라붙는 느낌이 들기 쉽다는 결점이나, 액을 흡수하여 젖으면 늘어지기 쉬워 제품 전체가 꼬이기 쉽다는 결점을 갖는다.
그 때문에, 표면재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흡수재에 대한 액의 이행을 꾀하거나, 흡수재에 중공의 합섬섬유를 사용하여 그 회복력에 의해 꼬임 용이함을 개선하는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3200673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 있어서는 표면재와는 독립되어 꼬이기 어려운 부직포를 선정하고 있어, 제품 전체가 두꺼워져 장착감에 영향을 준다. 또한, 표면재와 상기 부직포를 일체적으로 접합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점착재 등에 의한 고정이 필요하고 전체가 딱딱해져 장착감이 나빠진다. 또한, 흡수재로서 친수성의 부직포를 사용하고 있지만, 합성섬유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액의 유지성의 면에서 떨어진다.
또한, 표면재로서 레이온, 면 등의 친수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단층으로 사용하는 경우, 액을 흡수하여 젖어도 표면 파괴를 일으키지 않는 강도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친수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평량의 웨브를 형성하여 그 웨브의 섬유를 강한 수류로 교락시킨다. 그 때문에, 표면이 단단하고 까끌까끌하기 쉬운 감촉이 된다.
이 과제에 대해서는, 면섬유 등의 천연섬유를 다른 섬유와 복합화시켜 면섬유층의 저평량화를 꾀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199962호 참조). 이 방법에서는, 네트형 시트의 상면에 천연섬유 등의 단섬유의 웨브를 적층하고, 고속 수류 처리에 의해 상기 웨브의 섬유를 서로 교락시키면서 네트형 시트로도 교락시키고 있다. 그러나, 단섬유의 교락 대상이 네트형 시트인 것에 기인하여, 교락된 단섬유가 막힘을 일으키고 섬유간 거리가 짧아져 얻어지는시트는 유연성이 결여된 딱딱한 것이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팬티라이너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팬티라이너에서의 부직포 부분의 단면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 상당도) 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흡수성의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된 액불투과성의 샘방지 시트를 구비한다. 상기 부직포는 열융착성 섬유층과 그 양면에 적층된 친수성 섬유층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열융착성 섬유층은 열융착성의 합성섬유를 포함하고, 구성섬유끼리가 열융착된 접합점을 갖고 있다. 상기 부직포의 피부 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을 구성하는 친수성 섬유의 일부가, 상기 열융착성 섬유층에 파고들어 상기 열융착성 섬유층의 구성섬유와 교락하고 있다.
본 발명은 표면에 액이 남기 어려워 달라붙지 않고, 또한 얇아서 꼬이기 어려우면서 고강도이고 유연한 감촉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팬티라이너 (1) 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유지성의 부직포 (2) 와, 부직포 (2) 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된 액불투과성의 샘방지 시트 (7) 를 구비하며, 또한 샘방지 시트 (7) 의 외면측에 속옷 등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제 등의 어긋남 방지제 및 상기 어긋남 방지제를 사용할 때까지 피복 보호하는 박리시트 (모두 도시 생략) 를 이 순서로 갖고 있다.
부직포 (2) 는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양쪽면에 친수성 섬유층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고, 피부 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 (3) 과 피부 비접촉면측의 친수성섬유층 (4) 을 갖고 있다. 부직포 (2) 와 샘방지 시트 (7) 는 점착제 (6) 를 통하여 접합되어 있다.
샘방지 시트 (7) 로서는 액불투과성의 시트재라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필름, 휘발성의 스펀본드 부직포나 스펀본드-멜트블로우-스펀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투습 필름 (폴리에틸렌에 탄산칼슘이나 탈크 등의 입자를 분산시킨 필름을 연신하여 다수의 미세구멍을 낸 필름) 이 사용된다.
점착제 (6) 는 부직포 (2) 와 샘방지 시트 (7) 를 일체화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일체화면에서는 샘방지 시트 (7) 의 부직포측의 전체면에 도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유연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관점에서는, 스파이럴 스프레이 도공, 슬롯 스프레이 도공, 컨트롤 위브 도공 등, 비연속적 부분을 더불어 갖는 도공방법으로 도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성과 유연성의 밸런스면에서, 그 도공평량은 3 g/㎡ 내지 20 g/㎡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 g/㎡ 내지 12 g/㎡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 (6) 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계,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계, 올레핀계 등의 고무계 핫멜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부직포 (2) 에서의 친수성 섬유층 (3, 4) 은 각각 친수성 섬유를 주체로서 구성되는 층이다. 각 친수성 섬유층 중의 친수성 섬유의 함유율 (중량 기준) 은 50 % 초과 100 % 이하이고, 80 내지 100 % 가 바람직하며, 특히 9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섬유층 (3, 4) 을 형성하는 친수성 섬유 (13, 14) 로는 폴리비닐알코올섬유, 폴리아크릴산염을 주체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섬유, 내구친수가공을 실시한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복합섬유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높은 친수성 및 높은 모관력을 갖는 점에서 천연물 유래의 레이온 섬유 또는 면섬유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피부 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 (3) 에서는 감촉과 피부에 대한 적성에서 면섬유가 양호하고, 한편 샘방지층에 대향하는 피부 비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 (4) 에서는 비용 저감의 관점에서 레이온 섬유가 양호하게 사용된다. 어떠한 친수성 섬유도 1 종류의 친수성 섬유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종류의 섬유가 혼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친수성 섬유층 (3, 4) 에는 친수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열융착성 섬유층 (5) 에 사용되는 합성섬유가 일부 함유되어 있을 수도 있다.
부직포 (2) 에서의 열융착성 섬유층 (5) 은 열융착성의 합성섬유를 함유하는 층이다. 상기 합성섬유는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소수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섬유이다. 열융착성 섬유층 (5) 중에서의 열융착성 합성섬유의 함유율 (중량기준) 은 80 내지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융착성 섬유층 (5) 을 형성하는 열융착성의 합성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스테르 (PET) 등 및 이들의 수지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 종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섬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열융착성의 합성섬유는 섬유표면이 소수성이거나, 또는 섬유표면의 친수 레벨이 친수성섬유층 (3, 4) 의 친수성 섬유 (13, 14) 의 친수성보다 낮으면, 일단 하층인 친수성 섬유층 (4) 에 이행한 액의 역행이나 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그 섬유표면은 계면활성제 등에 의해 흡액시까지는 일시적으로 친수성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구성섬유 (15) 는 상기 합성섬유 외에 나일론 등의 융착성을 갖지 않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나, 액흡수 후의 꼬임을 방지하는 효과를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흡수성을 갖는 친수성 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흡수성을 갖는 친수성 섬유에는 레이온 외에 폴리아크릴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흡수성수지의 섬유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상기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소수성 및 꼬임 방지성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그 함유율 (중량기준) 은 20 % 이내가 타당하다.
열융착성 섬유층 (5) 은 그 구성섬유 (15) 끼리가 열융착된 접합점을 가지고 있고, 그 구성섬유 (15) 끼리가 서로 접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이로써, 열융착성 섬유층 (5) 내에서 섬유 (15) 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어 꼬임 방지면에서 효과적이다. 열융착성 섬유층에 관해서, 구성섬유끼리의 열융착이라는 표현에는, 열융착성의 합성수지끼리의 열융착 외에, 상기 합성섬유와 다른 구성섬유와의 열융착도 포함된다.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구성섬유 (15) 끼리의 열융착은 열융착성 섬유층 (5) 을 부직포화하고 있지 않은 웨브 상태에서, 상기 웨브의 양면 각각에 친수성 섬유층 (3, 4) 을 적층하고, 이어서 섬유 교락에 의해 상기 웨브를 부직포화한 후에 열융착하는 경우와, 미리 열융착성 섬유층 (5) 을 합성섬유의 열융착에 의해 부직포화해 두고, 상기 친수성 섬유층 (3, 4) 을 섬유 교락에 의해 이에 일체화하는 경우가 있다.
전자의 경우, 친수성 섬유층 (3, 4) 의 섬유끼리가 접근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액흡수성이 좋은 부직포가 얻어진다. 후자의 경우, 강도가 우수하고, 제조시의 공정성도 좋다. 나아가서는, 표면측에 수류 교락에 의해 일체화되는 친수성 섬유층 (3) 은 하층의 소수성 섬유 네트워크로 지지되기 때문에, 얇아도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미리 열융착성 섬유층 (5) 을 부직포화해 두는 경우에는, 에어스루 부직포, 히트롤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직포 (2) 에 있어서 피부 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 (3) 을 구성하는 친수성 섬유의 일부는, 열융착성 섬유층 (5) 에 파고들어 상기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구성섬유 (15) 와 교락하고 있다. 한편, 도 2 에 있어서, 일점쇄선은 친수성 섬유층 (3, 4) 과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대강의 경계를 나타낸다. 친수성 섬유층 (3) 은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섬유 네트워크 내에 그 친수성 섬유 (13) 의 일부가 파고들어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구성섬유 (15) 와 교락하고, 그에 따라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한쪽면측에 적층 일체화되어 있다. 친수성 섬유 (13) 는 그들끼리도 교락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부 비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 (4) 에 관해서도,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섬유 네트워크 내에 친수성 섬유 (14) 의 일부가 파고들어 친수성 섬유층 (3)의 친수성 섬유 (13) 에 일부의 섬유가 접하고 있다. 상기 친수성 섬유 (14) 는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구성섬유 (15) 와 교락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액의 이동성면에서, 열융착성 섬유층 (5) 에 파고든 친수성 섬유층 (3) 의 친수성 섬유 (13) 와 친수성 섬유층 (4) 의 친수성 섬유 (14) 는 근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로 접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그 일부의 섬유에 있어서 서로 교락하고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친수성 섬유층 (4) 의 친수성 섬유 (14) 는 열융착성 섬유층 (5) 에 파고들지 않고, 대신에 친수성 섬유층 (3) 의 친수성 섬유 (13) 및/또는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구성섬유 (15) 가 친수성 섬유층 (4) 에 파고들어 있을 수도 있다.
열융착성 섬유층의 평량은, 친수성 섬유층 (4) 으로부터의 액의 역행 방지면 및 꼬임 방지면에서 7 g/㎡ 이상이 바람직하고, 12 g/㎡ 이상이면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친수성 섬유층 (3) 에서 친수성 섬유층 (4) 으로의 액이동의 관점에서는 30 g/㎡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g/㎡ 이하가 한층 바람직하다.
한편, 피부 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 (3) 은 스펀레이스 부직포가 갖는 특징인 슬라이딩성, 유연성을 발현하고,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섬유가 표면에 노출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이기 때문에 그 평량은 20 g/㎡ 이상이 바람직하다. 한편, 딱딱함, 뻣뻣함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평량 40 g/㎡ 이하가 바람직하고, 35 g/㎡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피부 비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 (4) 은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흡수 유지성의 관점에서 평량은 1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부직포 전체의 유연함을 유지하기 위해서 4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3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부직포 (2) 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열융착성 섬유층 (5) 을 형성한 후, 상기 열융착성 섬유층 (5) 상에 친수성 섬유층 (3) 을 적층하며, 이어서 네트 상에서 친수성 섬유층 (3) 측으로부터 고압수류를 분사하여 수류 교락시킨다. 다음에, 얻어진 복합시트의 열융착성 섬유층 (5) 측을 위를 향하게 하고, 그 열융착성 섬유층 (5) 상에 친수성 섬유층 (4) 을 적층하며, 다시 네트 상에서 친수성 섬유층 (4) 측으로부터 고압수류를 분사하여 수류 교락시킨다. 그리고, 건조공정을 거쳐 목적으로 하는 부직포 (2) 를 얻는다.
별도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친수성 섬유층 (4) 의 상면에 열융착성 섬유층 (5) 을 적층한 후 친수성 섬유층 (3) 을 적층하고, 고압수류를 친수성 섬유층 (3) 의 측에서 분사하며, 건조공정을 거쳐 목적으로 하는 부직포 (2) 를 얻는다. 이 방법에서는, 친수성 섬유층 (3) 측으로부터 고압수류를 분사한 후, 친수성 섬유층 (4) 측으로부터 고압수류를 분사할 수도 있고, 친수성 섬유층 (4) 에 친수성 섬유층 (3) 및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구성섬유가 파고든 형태를 취하기 쉽다.
상기 어느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친수성 섬유층에 적층시키기 전의 열융착성 섬유층 (5) 은, 미리 부직포화되어 있지 않은 웨브 상태인 경우와, 미리 부직포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미리 부직포화되어 있지 않은 웨브를 사용하는 경우, 건조공정으로 가열하고, 열융착성의 합성섬유끼리 또는 상기 섬유와 다른 구성섬유를 열융착시켜 섬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또한, 모든 제조방법에 있어서, 친수성 섬유층의 어느 한 쪽에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으면, 건조공정에 있어서 열융착성 섬유가 열융착성 섬유층의 구성섬유와 열융착하여, 친수성 섬유층과 열융착성 섬유층의 결합이 강고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열융착성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스테르 (PET) 등 및 이들의 수지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 종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폴리에틸렌을 섬유의 표면에 갖는 복합섬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친수성 섬유층의 친수성 및 액흡수성을 높게 유지하면서 섬유 교락의 결합강도를 높게 하는 관점에서, 열융착성 섬유를 함유시키는 경우의 각 친수성 섬유층 중의 함유율 (중량기준) 은 20 % 이내, 특히 10 %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팬티라이너 (흡수성 물품) 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액흡수성의 부직포 (2) 의 중간에 열융착성 섬유층 (5) 이 일체적으로 존재함으로써, 습윤시의 꼬임이나 늘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부직포 (2) 의 중간층을 이루는 열융착성 섬유층 (5) 은 흡액하여 습윤해도 친수성 섬유와 같이 늘어지거나 꼬이거나 하기 어렵고, 그 열융착성 섬유층 (5) 과 수류 교락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친수성 섬유층 (3, 4) 도 열융착성 섬유층에 지지되어 꼬이기 어렵다.
또한, 이 열융착성 섬유층에 그 구성섬유의 열융착에 의해 섬유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꼬이기 어렵고, 또한 부직포에 강도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부직포 (2) 가 수류 교락으로 일체화되고, 그 전체 영역에서 양 친수성 섬유층과 열융착성 섬유층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한층 꼬이기 어렵다.
또한, 실시형태의 팬티라이너 (흡수성 물품 : 1) 는 부직포 (2) 에 있어서,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친수성 섬유층 (4) 이 추가로 존재함에 따라, 피부 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 (3) 의 액이 하층측의 친수성 섬유층 (4) 에 이행하여 액이 표면에 남기 어렵다. 이것은 친수성 섬유층 (3) 을 형성하는 친수성 섬유 (13) 의 일부가 열융착성 섬유층 (5) 에 침입하여 액의 이동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직포 (2) 의 친수성 섬유층 (4) 의 친수성 섬유 (14) 가 열융착성 섬유층 (5) 에 파고 들어가 있고, 또한 구성섬유 (15) 와 교락하고 있기 때문에, 친수성 섬유층 (3) 으로부터의 액의 이행성은 한층 향상되어 있다. 액의 이행은 열융착성 섬유층 (5) 에 파고든 친수성 섬유층 (3) 의 친수성 섬유 (13) 와, 친수성 섬유층 (4) 의 친수성 섬유 (14) 가 근접하여 존재함으로써 향상되고, 접촉하고 있으면 더욱 액의 이행이 일어나기 쉬우며 서로 교락하고 있으면 한층 효과적이다. 친수성 섬유 (13, 14) 의 접촉 또는 교락은 그 일부의 섬유에서 액의 이행성에 기여한다.
또한, 실시형태의 팬티라이너 (흡수성 물품 : 1) 는 부직포 (2) 의 중간에 열융착성 섬유층 (5) 을 갖고 있기 때문에, 피부 비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 (4) 으로부터 표면측으로의 액의 역행을 분석하는 효과를 발현하기 쉽고, 피부 접촉면이 항상 건조한 느낌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표면의 친수성 섬유층 (3) 은 그 하층의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네트워크로 지지되기 때문에, 얇아도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부직포(2) 는 친수성 섬유층 (3) 의 평량을 낮게 해도, 흡액후에 표면 파괴가 일어나기 어렵고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강도가 높고 유연한 감촉의 팬티라이너 (1) 가 된다.
한편, 열융착성 섬유층 (5) 이 부직포화된 것에 친수성 섬유층 (3, 4) 을 수류 교락시킨 경우, 열융착성 섬유층 (5) 의 네트워크에 의해 수류 교락에 의한 과도한 조임이 방지되어 유연한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융착성 섬유층 (5) 도 저평량으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친수성 섬유층 (4) 에 대한 액의 이행성이 양호해진다. 따라서, 유연성이 있으면서 표면이 달라붙지 않는 팬티라이너 (1) 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부직포와 상기 샘방지 시트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얇고 유연하게 흡수성 물품을 제공가능하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더욱 구성요소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 (2) 와 샘방지 시트 (7) 사이에 추가로 액유지성의 흡수층 (8) 을 개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형태로 한 경우, 부직포 (2) 의 친수성 섬유층 (4) 으로 이행한 액은 다시 흡수층 (8) 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액이 표면에 더욱 남기 어렵다. 추가하는 흡수층 (8) 은 생산성과 액이행성의 관점에서 친수성 섬유를 시트형으로 형성한 부직포가 바람직하고, 건식 펄프시트 또는 건식 펄프시트에 고흡수성 수지입자 (또는 섬유) 를 복합한 시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열융착성 섬유층 (5), 친수성 섬유층 (3, 4) 의 각 층은 복수의 층을 구성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열융착성 섬유층 (5) 을 미리 2 층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팬티라이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속옷에 장착하여 체액을 흡수하는 다른 물품일 수도 있고, 예컨대 생리용 냅킨, 모유 패드, 땀 패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의 액 잔존이나 액 번짐에 의한 달라붙는 느낌이 방지된다. 또한, 흡액 후의 꼬임이나 늘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액 후에도 표면 파괴를 일으키지 않고 표면층의 평량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강도가 높고 유연한 감촉을 나타낸다.

Claims (4)

  1. 액(液)흡수성의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된 액불투과성 샘방지 시트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부직포는 열융착성 섬유층과 그 양면에 적층된 친수성 섬유층을 갖고 있고, 상기 열융착성 섬유층은 열융착성의 합성섬유를 포함하고 구성섬유끼리 열융착된 접합점을 갖고 있으며, 상기 부직포의 피부 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을 구성하는 친수성 섬유의 일부가 상기 열융착성 섬유층에 파고들어 상기 열융착성 섬유층의 구성섬유와 교락(交絡)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성 섬유층에 상기 부직포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을 구성하는 친수성 섬유의 일부가 파고들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을 구성하는 친수성 섬유와,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의 친수성 섬유층을 구성하는 친수성 섬유가 접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가 면 또는 레이온인 흡수성 물품.
KR1020040037422A 2003-06-17 2004-05-25 흡수성 물품 KR101108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72198 2003-06-17
JP2003172198A JP4145203B2 (ja) 2003-06-17 2003-06-17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561A true KR20040108561A (ko) 2004-12-24
KR101108909B1 KR101108909B1 (ko) 2012-01-31

Family

ID=3409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422A KR101108909B1 (ko) 2003-06-17 2004-05-25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45203B2 (ko)
KR (1) KR101108909B1 (ko)
CN (1) CN1331451C (ko)
TW (1) TWI2681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7077A (ja) * 2005-03-24 2006-11-02 Kao Corp 吸収性物品
WO2010143635A1 (ja) * 2009-06-12 2010-12-16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シート
CN102535010B (zh) * 2011-12-23 2014-09-03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复合无纺布吸收体生产设备、工艺及复合无纺布吸收体
JP6411066B2 (ja) * 2014-05-12 2018-10-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用の不織布シートを含む吸収性物品、及び当該吸収性物品に用いられる不織布シートの製造方法
JP6630271B2 (ja) * 2014-06-17 2020-01-15 株式会社クラレ 吸水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780301A (zh) * 2016-03-30 2016-07-20 大源非织造(苏州)有限公司 一种强亲水复合双层热风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JP7271150B2 (ja) * 2018-11-30 2023-05-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0151399A (zh) * 2019-05-27 2019-08-23 宜昌市欣龙卫生材料有限公司 一种纯棉与熔纺复合卫生材料及其制备方法
JPWO2021172475A1 (ko) * 2020-02-27 2021-09-02
JP2022046325A (ja) * 2020-09-10 2022-03-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用シート
JP2022031459A (ja) * 2021-12-24 2022-02-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吸収体、及び当該吸収体を備える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9962A (ja) * 1984-03-21 1985-10-09 ユニ・チヤ−ム株式会社 低目付不織布の製造方法
JP2545260B2 (ja) * 1988-02-02 1996-10-16 チッソ株式会社 嵩高補強不織布
JPH0617361A (ja) * 1992-06-30 1994-01-25 Kao Corp 嵩高性シート
JPH0770902A (ja) * 1993-08-30 1995-03-14 Kanebo Ltd 伸縮性不織布
JPH11229256A (ja) * 1998-02-13 1999-08-24 Unitika Ltd 複合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06750A (ja) 2005-01-13
JP4145203B2 (ja) 2008-09-03
CN1572265A (zh) 2005-02-02
KR101108909B1 (ko) 2012-01-31
TWI268150B (en) 2006-12-11
CN1331451C (zh) 2007-08-15
TW200503657A (en) 2005-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788B1 (ko) 일회용체액흡수성물품
TWI722139B (zh) 吸收性物品
JP5065037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5624425A (en) Localized application of fine denier fibers onto a spunbonded web for optimization of leg cuff hydrophobicity in diapers and pads
KR100536763B1 (ko) 체액처리용흡수성물품
JP2002153510A (ja) 吸収性物品
JP2008289771A (ja) 吸収性物品
MXPA04010043A (es) Articulo absorbente desechable con estructura absorbente unitaria.
KR100657831B1 (ko)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
WO2020066234A1 (ja) 吸収性物品
KR101108909B1 (ko) 흡수성 물품
JPH02501977A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KR101267010B1 (ko) 흡수성 물품
JP4518856B2 (ja) 吸収性物品
KR100779041B1 (ko)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JP4925812B2 (ja) 吸収性物品
JP6207557B2 (ja) 吸収性物品
KR102106836B1 (ko) 축회전 가능한 날개를 구비한 흡수 용품
JP6982101B2 (ja) 吸収性物品
JP2005211135A (ja) 吸収性物品
CN1175789C (zh) 体液处理用吸湿用品
MXPA01009867A (es) Pelicula polimerica tridimensional, resilente, mejorada con aberturas capilares inclinadas, y articulo absorbente con una hoja posterior que comprende la pelicula.
JPH08322881A (ja) 吸収性物品
JP4859508B2 (ja) 吸収性物品
MXPA01009865A (es) Pelicula resilente, tridimensional, que comprende un compuesto que incrementa la capacidad hidrofobic, y su uso en hojas posteriores de articulos absorben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